#!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CROWN VELLFIRE |
一汽丰田 皇冠威尔法 |
1. 개요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토요타에서 생산하는 중국 시장 전용 고급 준대형 MPV이다.2. 상세
2.1. 1세대 (AH30, 2021~2023)
| | ||
| |||
크라운 벨파이어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내부 | |||
| | ||
로얄 라운지 사양 | }}}}}}}}} | ||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에어로 사양 | |||
1세대 크라운 벨파이어 |
2021년 4월 19일, 상하이 국제 모터쇼에서 하이랜더 기반의 SUV 모델인 크라운 크루거, 자사 고급 브랜드 사양인 렉서스 LM과 같이 크라운 시리즈의 미니밴으로 최초 공개되었다. FAW 토요타(이치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되는 벨파이어 2세대 후기형[1]을 기반으로 한 차량이다. 파워트레인은 2.5L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2AR-FXE)과 2개의 모터가 결합된 eCVT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전 차량에 전자식 4륜구동 시스템인 E-four가 적용되었다. 외관에는 전면부 그릴을 비롯한 여러 부분에 크라운 브랜드를 상징하는 왕관 엠블럼이 부착되어 있다. 실내는 7인승 사양만 존재하며, 에어컨에는 N95 수준의 미세입자 제거가 가능한 필터인 "나노 이온X" 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파워 오토만 기능이 적용된 2열 시트, JBL 오디오 시스템, DVD 리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16색 앰비언트 라이트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갖춰져 있다. 스티어링 휠 중앙의 로고는 토요타 마크가 부착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와 계기판 속 LCD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에는 크라운의 왕관 마크가 표시되며, 트윈 선 루프도 장착되어 고급스러운 사양을 자랑한다. 가격은 83만 위안에서 92만 위안(약 1억 3,900만 ~ 1억 5,300만 원)까지 총 세 가지 등급(노멀, 로얄 라운지 에어로,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에어로)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얄 라운지 에어로 사양에는 금색 크롬 장식이 추가된다.
중국 시장에서 미니밴에 새롭게 부여된 ‘크라운’ 명칭을 부여받은 것에 주목을 받았다. 중국에서는 1964년 4월 처음으로 크라운이 수입되었으며, 1980~9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 홍콩에서도 ‘크라운’은 일반인 자가용 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존재인 홍콩 택시로 오랜 기간 채택되어 대표적인 일본차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1990~2000년까지 판매 부진으로 인해 한동안 중국 본토 수출이 중단되었으나, 2003년부터는 FAW 토요타가 크라운의 중국 내 생산을 시작하며 부활했다. 이후 약 17년간 생산 및 판매가 이어졌으며, 2020년 4월 15세대를 끝으로 중국에서의 크라운 생산은 중단되었다. 이러한 생산 종료는 고급 세단 수요가 알파드나 LM과 같은 고급 미니밴으로 대체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약 1년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가장 인기 있는 차종인 SUV(하이랜더)와 미니밴(벨파이어)에 ‘크라운’이라는 이름을 붙여 후속 모델로 판매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토요타의 전략은, 중국 본토 내에서 알파드와 LM과의 내부 경쟁에서 밀려난 벨파이어에 전통 있는 ‘크라운’의 이름을 부여하여 이미지와 판매를 동시에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2.2. 2세대 (AH40, 2023~현재)
| |
| |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사양 |
Discover Your Crown
품격 있는 럭셔리를 마음에 담다
품격 있는 럭셔리를 마음에 담다
2023년 6월 21일, 크라운 스포츠 크로스(크라운 크로스오버 FAW 토요타 중국시장 명칭)와 동시에 발표되었다. 이번 신형 크라운 벨파이어는 중국 소비자들의 고급차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기존 벨파이어와 차별화된 디자인과 사양을 제공한다고 한다.
크라운 벨파이어는 전면부에 크롬으로 장식된 대형 그릴과 함께 '크라운' 엠블럼을 중앙에 배치하여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또한, 3개의 LED가 탑재된 매트릭스 헤드라이트와 시퀀셜 턴 시그널 램프가 적용되어 현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했다. 측면에는 크롬으로 둘러싸인 창문 테두리와 B필러 부근의 '크라운' 로고가 고급스러움을 더하며, 19인치 알로이 휠이 장착되어 안정감 있는 자세를 보여준다. 후면부에는 U자형 LED 리어 테일램프와 크라운 벨파이어 전용 배지가 부착되어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부각시킨다.
실내는 최고급 나파 가죽으로 마감된 독립형 캡틴 시트가 2열에 배치되어 최상의 안락함을 제공한다. 각 좌석에는 5.5인치 터치스크린 컨트롤 패널이 장착되어 좌석 조절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했다. 14인치 대형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Apple CarPlay와 Android Auto를 지원하며,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운전 편의성을 높입니다. 또한, 64색 앰비언트 라이팅과 JBL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이 실내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킨다. 또,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스티어링 휠 중앙에도 전용 엠블럼이 부착되어 있다.
크라운 벨파이어는 2.5L 다이내믹 포스 I4 가솔린 엔진(A25B-FXS)[2]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결합되어 총 250마력의 출력을 발휘한다. 전륜과 후륜에 각각 전기 모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eCVT와 E-Four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이 조화를 이뤄 부드럽고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토요타의 최신 안전 기술인 T-Pilot 지능형 주행 보조 시스템(토요타 세이프티 센스 중국시장명)을 탑재하고 있다. 차선 변경 보조(LCA), 전방 교차 교통 경고(FCTA), 긴급 조향 보조(ESA)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또한, 파노라믹 뷰 모니터(PVM)와 주차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PKSB)이 주차 시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토요타 커넥트(Toyota Connect) 시스템을 통해 차량 잠금, 해제 및 공조 시스템 원격 제어가 가능하여 첨단 기술의 편리함을 제공했다.
크라운 벨파이어는 중국 시장에서 두 가지 트림으로 제공되며, 가격은 각각 899,000위안(약 1억 6,000만 원)과 909,000위안(약 1억 6,200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이 차량은 일본에서 전량 생산되어 중국으로 수입되며, 중국 소비자들의 고급 미니밴에 대한 높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출시되었다고 한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191919><rowcolor=#ffffff> 분류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중형 | - | 컴포트 · 세단 | |
준대형 | 크로스오버 · 세단 | - | |
대형 | - | 에이트 · 마제스타 | |
중형 SUV | 스포트 | - | |
준대형 SUV | 크루거 · 에스테이트(시그니아) | - | |
대형 MPV | 벨파이어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