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우리말
국화과에 속하는 풀 중 식용이 가능한 나물을 '취'라고 부르는데, 주로 '취나물'이라 많이 부른다. 곰취, 단풍취, 수리취, 참취, 서덜취, 미역취 등이 있다.2. 한자
한국 한자음 빈도 |
[11~106위] 부18 주17 계 조 지16 소 우15 고 비 위 제14 호13 서 연 자 적 전12 공 단 모 시 원 재11 가 방 선 성 신 오 의 진 화10 간 관 리 반 양 영 인 천9 강 개 거 교 대 동 무 미 배 복 순 역 이 초 한8 각 견 량 련 망 매 보 분 석 아 여 증 창 축 파 포 현7 감 과 근 금 명 박 봉 세 속 숙 식 안 종 청 취 치 침 편 폐 하 항 해 형 환6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에서 '취'라 읽는 글자는 아래 6자이다.
표 외 한자로는 다음이 있다.
- 聚 (모을 취): 2급 한자. 취합(聚合), 취락(聚落)
- 炊 (불땔 취): 2급 한자. 취사(炊事)-취사병(炊事兵), 자취(自炊)
- 脆 (연할 취): 1급 한자. 취약(脆弱)
- 翠 (푸를 취): 1급 한자. 비취(翡翠)
북한 문화어로는 췌장(膵臟)을 취장이라 한다.
근래의 인터넷 은어에서는 취향(趣向)을 '취'로 줄이는 일이 잦다. '개취'(개인 취향), '취존/취좆'(취향 존중/좆까), '취저'(취향 저격) 등의 줄임말이 있다.
이들 한자는 일본 한자음으로는 スイ/シュウ 둘 중 하나가 된다. 取는 단음 シュ이며 脆는 예외적으로 ゼイ이다.
2.1. 취(趣), 큰 수
취(수) 문서 참고3. 외래어
비표준 표기로 [tʃ]를 '취'로 적기도 한다. [dʒ]를 '쥐'로도 적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중국어 한글 표기에서는 'ju/qu/xu'를 각각 '쥐/취/쉬'로 적는다. 상용한자 2500자 중 'qu'로 읽는 글자는 아래 9자이다.
<colbgcolor=#DDDDDD,#383B40> 1성(qū) | 区(구) 驱(구) 屈(굴) 趋(추) |
2성(qú) | 渠(거) |
3성(qǔ) | 曲(곡) 取(취) |
4성(qù) | 去(거) 趣(취) |
取, 趣는 중국어 한글 표기, 한국 한자음 모두 '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