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16:18:43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게임별 블랙 매지션 (카드군 / 테마)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러시 듀얼
블랙 매지션
<colbgcolor=#91278F> 한국판 명칭 블랙 매지션
일본판 명칭 ブラック・マジシャン
영어판 명칭 Dark Magician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마법사족
드래곤족
기타[1]
[ 보기 ]
일반
효과

의식
융합

1. 개요2. 설명3. 일반 몬스터4. 효과 몬스터
4.1. 레벨 1
4.1.1. 매지션즈 소울즈4.1.2. 매지크리보
4.2. 레벨 2
4.2.1. 매지션즈 로브
4.3. 레벨 3
4.3.1. 매지션즈 로드
4.4. 레벨 44.5. 레벨 64.6. 레벨 74.7. 레벨 8
4.7.1. 합체룡 티마이오스
4.8. 레벨 9
5. 의식 몬스터
5.1. 레벨 7
5.1.1. 매지션 오브 카오스5.1.2. 일루전 오브 카오스
6. 융합 몬스터7. 마법 카드
7.1. 일반 마법
7.1.1. 사우전드 나이프7.1.2. 기사의 칭호7.1.3. 흑·마·도7.1.4. 흑마술의 커튼7.1.5. 현자의 보석7.1.6. 흑·마·도·연·탄7.1.7. 사제의 연
7.2. 속공 마법
7.2.1. 빛과 어둠의 세례7.2.2. 흑·폭·열·파·마·도7.2.3. 일루전 매직7.2.4. 매직 익스팬드7.2.5. 흑마술의 계승7.2.6. 영혼의 심복7.2.7. 흑마술의 비의7.2.8. 티마이오스의 안광
7.3. 지속 마법
7.3.1. 흑의 마도진7.3.2. 결속된 힘
7.4. 장착 마법7.5. 의식 마법7.6. 필드 마법
7.6.1. 매지션즈 샐베이션
8. 함정 카드
8.1. 일반 함정8.2. 지속 함정
8.2.1. 영원의 혼8.2.2. 매지션즈 콤비네이션
9. 기타 서포트 카드10. 관련 카드11. OCG화되지 않은 카드
11.1. 라그나로크11.2. 블랙 스피어11.3. 블랙 스파이럴 포스
12. 같이 쓰면 좋은 카드13. 둘러보기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주인공 무토우 유우기 & 어둠의 유우기의 에이스 몬스터 블랙 매지션을 서포트하는 카드들의 묶음.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을 선언한 카드들은 이 분류에 들어가서 서치 등의 서포트로 묶이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카드는 이전부터 여럿 존재하였으나 9기 팩 더 다크 일루전부터 카테고리화하게 되었다. "XXX"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를 지정하는 최초의 카테고리이다.

흔히 카드군이라고 부르는, 툰 블랙 매지션 등을 아우르는 "블랙 매지션"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에 대한 서포트도 일단은 존재하지만[2] 실제로 해당 서포트를 주는 것은 오직 티마이오스의 눈 1장뿐이고, 게다가 그 티마이오스의 눈으로 실제로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는 몬스터는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뿐이다. 즉 카드군이라고는 하지만 마도처럼 카드군 지정은 유명무실한 상황이라, 실제 플레이에 있어서 지정하는 카테고리는 상술한 카드명이 적힌 카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2. 설명

파일:Dark_Magician_Girl_Movie_2.png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3]

푸른 눈은 카드군이 되기 전부터 오로지 푸른 눈의 백룡만을 서포트해왔던 것에 비해 블랙 매지션 쪽 카드들은 블랙 매지션만 서포트하다가도 블랙 매지션 걸과 같이 서포트하는 것도 있고, 어떤 건 버스터 블레이더까지 끼워 서포트하는 등 서포트가 중구난방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사실상 블랙 매지션이라는 카드군은 큰 의미가 없었고 이후 신규 지원을 통해 싸워볼만한 덱으로 변모했다.[4]

카드군 개념이 없을 때부터 서포트를 받아온 카드군인지라 "블랙 매지션"이란 이름이 직접 들어간 몬스터는 당시에는 5장이었고, 현재는 11장[5]인 데다가 다른 카드[6]는 이름이 모두 따로 논다.

그렇다고 해서 붉은 눈처럼 카드군의 이름이 적힌 새로운 마법/함정 카드를 만들자니 빛과 어둠의 세례, 흑·마·도나 흑·폭·열·파·마·도, 현자의 보석, 영원의 혼처럼 기존의 서포트 마법/함정 카드들이 모두 버려져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위해 더 다크 일루전의 매지션즈 로드를 기점으로 블랙 매지션이라는 카드명이 기재되어 있는 카드라는 전례없는 방법으로 시너지를 만들어서 덱이 회전하게 만들었다. 기존에 있던 영원의 혼과 저 팩에서 나온 흑의 마도진을 통한 사이클로 상대 카드를 매 턴마다 1장씩 제외하는 기믹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완성됐다.

문제는 그걸로 끝이라는 것. 이후로 나온 지원들은 하나씩 문제가 쌓여 있다. 폭발력이 부족하고 전개력도 느려터졌는데, 이를 보완해줄 카드들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영속류 카드들은 금제리스트 어딘가에 쳐박혀 있는 게 다수. 그렇다고 해서 블매 덱의 장점만을 보면 타 카드군들이 훨씬 더 강하게 가지고 있는 것도 문제.
파일:GFZ5GlPaoAAMxcL.jpg
애니메이터 '若人'[7]팬아트

OCG 25주년 특별 영상 유희왕 카드게임 더 크로니클즈에서는 블랙 매지션블랙 매지션 걸이 맨 먼저 등장해 오프닝 역할을 맡았다.

2.1.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일반 몬스터

3.1. 레벨 7

3.1.1. 블랙 매지션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1

4.1.1. 매지션즈 소울즈

파일:マジシャンズ・ソウルズ(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소울즈,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ソウルズ,
영어판 명칭=Magicians' Souls,
레벨=1,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덱에서 레벨 6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3=●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4=②: 자신의 패 / 필드에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묘지로 보낸 수만큼 자신은 드로우한다.)]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6편에서 등장한 블랙 매지션 지원.

1번 효과의 경우 덱에서 상급 마법사족을 코스트로 덤핑하고[8] 자신을 특수 소환하거나 블랙 매지션/블랙 매지션 걸을 소생한다.

2번 효과는 자신의 패 / 필드에서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까지 보내고 보낸 수만큼 드로우한다.

모든 효과가 기존 블랙 매지션에게 절실했던 효과로 똘똘 뭉쳐 있다. 먼저 1번 효과는 '코스트'이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의 방해 없이 블랙 매지션을 묘지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이득이 된다.[9] 단순히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보다 효율이 압도적으로 좋다는 이야기. 게다가 기존 블랙 매지션은 정작 선턴에 블랙 매지션을 꺼낼 방법이 없어[10] 후공 돌파력이 절망적이었는데, 이 카드와 마도진을 사용하여 후공 첫 턴에 즉시 제외 효과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제의 연을 활용하기도 쉬워졌다. 거기다 원래 카드명을 지정하지 않아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는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나 매지션 오브 카오스를 소생하는 게 가능하다. 선턴에 굳이 블랙 매지션을 꺼낼 필요가 없으면 자신을 꺼내 필요없는 마법 / 함정을 갈아버리고 덱 압축이 가능하다는 것까지 전부 블랙 매지션에게는 완벽한 효과다. 덱 압축 효과 역시도 흑의 마도진으로 마도진을 뽑거나 영원의 혼만 2장 잡힌 경우, 필드에 흑의 마도진이 2장 이상 있어 마법 & 함정 존 자리가 부족한 경우, 원하는 타이밍에 깔아둔 스킬 드레인을 치우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큰 보탬이 된다. 심지어는 일반 소환권도 사용하지 않아 매지션즈 로드와도 충돌하지 않는다.

주의할 점이라면 2번 효과에 하루 우라라를 맞으면 코스트로 보낸 마법 / 함정 수만큼 디스어드밴티지가 생긴다는 것, 1번 효과에 하루 우라라는 안 맞아도 저택 와라시는 맞는다는 것 정도. 다만 저택 와라시는 어차피 빈도가 높지 않고, 영원의 혼에 날아올 저택 와라시와 매지션즈 로드/흑의 마도진에 날아올 하루 우라라를 이 카드가 맞아준다면 그건 그것대로 이득이니 나쁘지 않다.

이 카드는 블랙 매지션 서포트 카드지만 코스트로 묻는 것이 레벨 6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라는 것을 이용해 타 카드군에도 용병으로 출장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SPYRAL에서 그레이스를 묻는 데 사용하거나, 위치크래프트에서 하이네, 베르, 아루루를 묻는 데 사용한다. 단순히 묻는 데서 끝나지 않고 SPYRAL은 레벨 1임을 이용해 엑시즈 소재로 써먹어 지니어스의 제외 디메리트를 회피하는 데 쓰고, 위치크래프트는 패 교환 + 엔드 페이즈 시 위치크래프트 마법 공통효과인 회수효과로 +1 ~ +2에 가까운 아드벌이를 할 수 있다. 죄보&스네이크아이 등 레벨 6 이상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들어간 테마에도 용병으로 사용 가능하다. 심지어 마법사족이 없는 엘드리치 덱에서 흑드라군용 블매를 섞어넣은 후 패를 교환해 엘드릭실/황금경 마/함 효과를 묘지에서 발동하는 데 써먹는 등, 거의 마함용 트레이드 인에 가깝게 쓰이고 있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 발매된 일루전 오브 카오스가 출시 된 후 일오카-소울즈만으로도 용병으로 써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일러스트에는 정면에 선 블랙 매지션 걸의 영혼과, 뒤에서 지켜보는 블랙 매지션의 구도.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02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1.2. 매지크리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크리보(유희왕/카드군)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マジクリボ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지크리보,
일어판 명칭=マジクリボー,
영어판 명칭=Magikuriboh,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자신이 데미지를 받은 자신 /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사족 몬스터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추가된 카드로, 크리보 카드군에도 속한다. 일러스트에는 크리보블랙 매지션의 장갑과 스태프를 장비하고 있고, 뒤에는 흑의 마도진이 있다.

①의 효과는 데미지를 받은 메인 / 배틀 페이즈에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덱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즉시 효과. 크리보 카드답게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마법사족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묘지의 이 카드를 샐비지하는 유발효과. 묘지에 매지크리보가 존재할 때 상대가 필드의 몬스터를 파괴하면 묘지에서 이 카드가 되돌아오고, 데미지를 입으면 또다시 블랙 매지션이 튀어나와 상대에게 압박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영원의 혼의 파괴 후 디메리트에 대응하지 않는 점은 아쉬운 부분.

조건이 빡빡한 특수 소환 효과 하나만 보고 채용해야 하는 카드인데, 블랙 매지션은 이런 복잡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능동적으로 특수 소환할 수단이 필요하다 보니 실전성이 떨어진다. 그냥 귀여운 일러 보고 만족하자. 레어도가 높지 않음에도 인기가 많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BATTLE OF CHAOS BACH-JP001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2. 레벨 2

4.2.1. 매지션즈 로브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79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로브,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ローブ,
영어판 명칭=Magician's Robe,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700, 수비력=2000,
효과외1=“매지션즈 로브”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턴에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대 턴에 자신이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①의 효과는 상대 턴에 패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코스트로 덱에서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즉시 효과.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다. 영원의 혼의 필드 클린 이후에 특수 소환해서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받아내거나, 덱에서 블랙 매지션을 추가로 소환해 전열을 가다듬는 등의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다. 또는 상대 엔드 페이즈에 특수 소환 후, 자신 턴에 링크 소재로 써먹는 방식도 유효.

패 코스트와 애매한 능력치 때문에 안 쓰인다. 거기다 자신 턴에 바로 덱에서 불러내는 소울즈가 나온 뒤에는 완전히 버려졌다. 그나마 듀얼링크스에서는 초창기에 쓰이긴 했지만, 매지션즈 내비게이트가 나오면서 쫓겨났다.
일러스트는 블랙 매지션의 갑주로 실루엣은 코믹스 원작과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에 최초로 등장한 버전의 포즈.

4.3. 레벨 3

4.3.1. 매지션즈 로드

파일:マジシャンズ・ロッド(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로드,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ロッド,
영어판 명칭=Magician's Rod,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상대 턴에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①은 일반 소환 했을 때,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기재된 마법/함정 카드를 1장 서치한다. 이후 다른 카드군들에도 나오게 될 "@@@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류의 효과의 시초다. 지금이야 흔하지만 출시 당시에는 "독보적인, 놀라운" 같은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파격적인 효과였다. 초창기 카드라서 그런 지 마법/함정만 서치하고, 일반 소환에만 대응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블매덱에서는 이 카드가 일소권을 먹고 시작한다.

비슷한 고대 테마였던 붉은 눈의 경우에는 고대 카드인 흑염탄을 빼고는 9기 시절이 되어서야 관련 마법/함정 카드들이 나왔고, 클래시 오브 리벨리온에 수록됐지만 붉은 눈의 이름이 안 붙은 홍옥의 패를 빼고는 모두 "붉은 눈"이라는 이름이 붙은 채 나왔다. 푸른 눈은 반대로 몬스터 위주로 지원을 줬다 보니, 당시에는 큰 의미가 없었다. 반면 블랙 매지션은 이 카드가 나오기 전의 시점을 보아도 사우전드 나이프/흑마도/흑마술의 커튼 같은 당시 기준으로 유용한 카드들이 꽤 많았다. 이는 이름이 전부 따로 노는 블랙 매지션 카드군의 특성상, 서포트 카드를 서치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이렇게 만든 듯하다.

다만 카드명을 지정하고 있으므로, 카드군으로서의 "블랙 매지션"을 지정하는 티마이오스의 눈은 이 카드로 서치할 수 없다. 사이버 트윈 드래곤(사이버 드래곤 2체)과 키메라테크 램페이지 드래곤(사이버 드래곤 "몬스터" 2체 이상)의 소재 차이랑 비슷하다.

②의 효과는 상대 턴에 마법 / 함정을 썼을 경우 묘지에서 발동하여 스스로를 샐비지하는 유발 효과이다. 블랙 매지션 덱은 기본적으로 영원의 혼을 유지하여 흑의 마도진으로 매턴 상대의 아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돌아가는데, 블랙 매지션을 패 또는 묘지로 되돌려야 영원의 혼으로 다시 소환하므로 릴리스 대상을 블랙 매지션으로 함으로써 묘지에 다시 보내두는 것이 주요한 사이클이다.

릴리스하는 몬스터는 종족 이외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링크 1 마기스토스 메이든 아르테미스를 소환하면 로드를 묘지에 보내면서 샐비지 코스트 마련이 가능하다. 발동 조건 마련은 영원의 혼이나 영혼의 심복을 서치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고, 로드가 막혔다면 무덤의 지명자나 말살의 지명자, 무한 포영 같은 범용 스펠 스피드2 마함을 써도 된다.

영원의 혼보다 넓은 서치 풀로 카드를 가져올 수 있으며, 같은 이름의 카드도 릴리스가 가능하므로 매지션즈 로드가 필드에 하나, 묘지에 하나 있다면 턴마다 둘을 바꿔먹는 것도 가능하다. 흑의 마도진과 함께 블랙 매지션 덱의 키 파츠로, 3핸드 기믹의 2/3인 마법과 함정의 서치를 담당하는 만큼 순수 축에서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원석의 등장으로 원석룡 어나더 베릴과 일소권이 부딪히는 문제 때문에 1장만 넣거나, 혹은 아예 넣지 않는 경우도 심심치 않아졌다. 마이아즈마 네크로맨서의 출시 이후 베릴 일소 후 네크로맨서를 꺼내고 로드를 추가 일소할 수는 있게 됐으나 2링크라서 베릴-정령-영당-현사가 가능한 파란 눈의 정령보다는 여전히 불편하다.

이 카드는 유희왕 듀얼링크스에도 등장했다. 처음에는 판도라의 레벨업 보상 카드로만 획득 가능했고, 단 2장밖에 얻을 수 없어서 자체 준제한이 걸렸었다. 하지만 오프와 달리 그 때 당시에는 이 카드로 서치해서 쓸만했던 게 기껏해봐야 흑마술의 커튼 하나 정도였고, 흑마술의 커튼은 로드와 충돌하기도 했거니와 무엇보다도 정작 블랙 매지션을 쉽게 부를 수 있는 방법이 커튼 하나였다. 그러다보니 당시의 블매덱은 예능에 가까웠고, 오히려 매지션즈 로브가 더 잘 쓰이는 기현상이 벌어졌다. 후에 빙고보상으로 이 카드를 풀어 3장 획득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찬밥대우를 받고 있었던 도중 GUARDIANS OF ROCK에서 매지션즈 내비게이트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블매덱의 키 카드로 완전히 자리잡았다. 이후 트레이더에게서도 8시간 교환 목록에서 추가되었다. FUTURE HORIZON에서 흑의 마도진까지 출시되면서 이 카드의 가치는 더욱 상승했다.

이후 2020년 7월 블랙 매지션이 티어권에서 내려오지 않자 이 카드가 제한 2에 걸렸다. 하지만 그럼에도 블랙 매지션 덱의 강세가 보이자 결국 이 카드와 매지션즈 내비게이트가 같이 제한 3으로 묶였다. 이후 23년 8월 제한 해제되었다.

일러스트는 블랙 매지션의 지팡이로, 블랙 매지션의 실루엣이 비기너즈 에디션 등에서 나오는 석판 버전의 모습이다.

TCG에 발매될 때는 슈퍼 레어로 올렸다.

4.4. 레벨 4

4.4.1. 숙련된 흑마술사

블랙 매지션의 소환을 서포트하는 몬스터. 마력 카운터와도 관련 있다.

4.4.2. 크로니클 소서리스

푸른 눈의 백룡과 블랙 매지션, 또는 관련 카드를 추가로 덤핑하는 몬스터.

4.5. 레벨 6

4.5.1. 블랙 매지션 걸

4.5.2. 툰 블랙 매지션 걸

4.5.3. 환상의 견습 마도사

파일:幻想の見習い魔導師(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환상의 견습 마도사,
일어판 명칭=<ruby>幻想<rp>(</rp><rt>げんそう</rt><rp>)</rp></ruby>の<ruby>見<rp>(</rp><rt>み</rt><rp>)</rp>習<rp>(</rp><rt>なら</rt><rp>)</rp></ruby>い<ruby>魔導師<rp>(</rp><rt>まどうし</rt><rp>)</rp></ruby>,
영어판 명칭=Apprentice Illusion Magician,
레벨=6,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000, 수비력=1700,
효과1=①: 이 카드는 패를 1장 버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자신 / 상대 턴에\, 다른 자신의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그 데미지 계산시에만 2000 올린다.)]
블랙 매지션 걸의 리메이크 카드이자, 블랙 매지션 덱의 새로운 지원 카드. 능력치는 원본인 블랙 매지션 걸과 똑같지만 블랙 매지션 덱에 유용한 효과들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는 패를 1장 버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룰 효과. 더 트릭키와 마찬가지로 패 1장을 코스트로 특수 소환 하는 효과로, 룰 특수 소환이기 때문에 상대에게 증식의 G를 던질 타이밍을 주지 않는다. 특수 소환 제약은 없어서 패만 넉넉하다면 2장이고 3장이고 전부 소환할 수 있다. 한 장을 소환하여 효과를 발동, 처리에 성공했다면 블랙 매지션을 버리고 소환하는 것으로 묘지에 블랙 매지션을 쌓고, 아드 손실도 막을 수 있다. 여러장 소환하여 마법사족/랭크 6 엑시즈 몬스터인 매지매지☆매지션 걸이나 풍기궁사 노리토를 꺼내 환상의 흑마도사를 겹쳐서 소환하는 것도 괜찮은 루트.

②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블랙 매지션을 서치할 수 있는 유발 효과. ①의 효과와 시너지를 이루어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시 덱에서 블랙 매지션을 서치하는 효과로 패에서 블랙 매지션을 버릴 경우, 덱에서 블랙 매지션을 가져와 실질적으로 노코스트 덱 압축과 필드 어드밴티지 + 묘지 덤핑까지 챙길 수 있게 된다.

③의 효과는 데미지 계산시에 자신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자신의 어둠 속성 / 마법사족 몬스터를 강화하는 유발즉시 효과. 요컨대 어둠 속성 마법사족 전용의 BF-달그림자의 카르트. 달그림자의 카르트와는 달리 필드에서도 발동할 수 있긴 하지만, 상대가 이 카드가 필드에 나와있는 시점에서 다른 어둠 속성 / 마법사족 몬스터를 공격할 상황은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같은 효과가 있지 않고서야 그냥 공격하진 않을 것이라는게 문제. 공격력의 상승치가 2000이고, 자신도 어둠 속성 / 마법사족이기 때문에 이 카드가 2장 있다면 1장을 소환하고 1장을 남겨뒀다 기습적으로 발동할 수도 있다. 아니면 패에 가지고 있다가 ③의 효과로 던진 뒤 묘지 소생으로 ②의 효과를 써도 된다. 어쨌건 이 덕에 블랙 매지션 덱이 기존 마법사족 덱의 한계였던 낮은 타점이라는 단점을 한정적이긴 해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은 희소식. 블매에 사용 시 공격력 4500점을 한정적으로나마 기본선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되었고, 블랙 매지션이 아닌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에 사용할 경우 5천 이상의 더욱 높은 공격력을 노려볼 수도 있다.

출시 초기에는 3장 풀 투입하는 블매 덱의 필카로 여겨졌으며, 본토에서 3장을 넣은 채 우승한 사례도 있다. 그러나 패 코스트가 생각보다 치명적으로 작용한다는 단점 때문에 블매 지원이 많아진 10기 들어서 풀투입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고, 유저에 따라 0~2장까지 재량껏 사용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오히려 패 코스트가 패의 몬스터를 묘지로 덤핑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오르페골 덱 파츠로 투입됐다. 오르페골은 어떻게든 오르페골 몬스터를 묘지로 묻어야 전개가 시작되기 때문. 또한, 패 코스트와 함께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된 환견마를 링크 소재로 써먹을 수 있다. 안 그래도 2023년 8월말에 블매 덱이 모든 금제가 풀려 쓰는 사람이 훌쩍 늘어났고, 오르페골과 블매 덱 두 인기 덱에서 높은 채용률을 보인 결과 채용률 1위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팩 12에 시크릿 레어로 수록되어 한글판으로 이 카드를 구할 수 있게 되었으나, 레어도 조절 실패로 엉망이 된 프리미엄 팩 12의 카드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비싸서 유저들이 많이 구비해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였으나 2019년 11월 9일에 발매하는 듀얼리스트 팩-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6에서 재록이 결정되어서 노멀로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어판도 마찬가지. 이후 이터니티 코드 스페셜 팩에서 시크릿 레어와 20th 시크릿 레어(일본)/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한국) 사양으로 또 한 번 재록되었다.

미국의 경우 2017년 2월 중순에 주간 소년 점프 2017년 4월호 동봉 카드 투표 후보 4인방 중 하나로 올라와서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참고로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블레이드 드래곤은 7월호 동봉으로 밀려났다. 나머지 2장은 초중검성 무사-C사신 게.

모티브는 원작 왕의 기억 편에 등장한 마하드의 제자이자, 블랙 매지션 걸을 부리는 마술사 소녀 마나.[11] 이름이나 일러스트는 블랙 매지션의 엑시즈 리메이크인 환상의 흑마도사와 유사하다.

약간의 가슴골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는데도 드물게 탄압이 없는 편에 속한다.

일러스트 상으로는 잘 부각이 되지 않지만 피규어로 공개된 전신샷의 경우 레오타드 차림의 파격적인 노출도를 자랑하는 것이 밝혀졌다.
수록 시리즈
2016-09-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22 | Vジャンプ 2016年 11月号 付録カード
2017-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7SP-JP007 | SPECIAL PACK
2019-11-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JP007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20-01-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CP-JPF02 | 20thシークレットレア FINAL CHALLENGE PACK
2022-12-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B1-JP028 | 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2024-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JP005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08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17-05-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MP-EN080 | SHONEN JUMP membership Promotional Card - May 2017 -
2017-10-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D-ENA03 | LEGENDARY DRAGON DECKS
2018-09-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MPS-EN007 | Shonen Jump Scholastic Edition
2020-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6-EN007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2022-07-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DS3-EN087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2025-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4-EN023 | QUARTER CENTURY STAMPEDE
2017-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2-KR024 | 프리미엄 팩 Vol.12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07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020-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9-KR032 | 스페셜 팩 Vol.4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05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08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4.6. 레벨 7

4.6.1. 흑마도의 집행관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8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흑마도의 집행관,
일어판명칭=<ruby>黒魔導の執行官<rp>(</rp><rt>ブラック・エクスキューショナー</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Eradicator Warlock,
레벨=7,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21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블랙 매지션" 1장을 릴리스한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나 상대가 일반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금지됨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금지됨}}}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스트럭처 덱 마법사의 심판의 커버 카드로, 필드의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했을 때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조건을 가지고 있다. 붉은 눈의 흑룡-붉은 눈의 암룡과 비슷하게 블랙 매지션과 같은 능력치에 효과가 붙어 있는 카드.

일반 마법이 발동할 때마다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는 지속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초창기 스트럭처 덱의 커버 카드답게 쓰기 힘들다. 암흑의 저주의 상위호환격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문제는 이 카드가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해야 나오는 강화형인데 능력치가 블랙 매지션과 똑같다는 것이다. 당시의 느린 환경에서라면 이 효과만 보고 락 번 덱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했겠지만, 이 카드의 발매 1년 후 성스러운 마술사쓰쿠요미가 금지되면서 핵심인 무한 마법 회수 후 1000데미지를 주는 전략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그대로 묻혔다. 한국에서는 이 스트럭처의 발매 이전부터 저 두 카드가 금지였던지라 제대로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일러스트에서도 얼굴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있고 유희의 블랙 매지션과도 색깔이 동떨어진 지라 그 블랙 매지션의 진화체임에도 공식에서도, 팬덤에서도 거의 없는 카드 취급하고 있다.

하지만 멸망의 흑마술사가 나오면서 일단 이 카드를 꺼내는 건 상당히 쉬워졌다. 이 카드도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써있기 때문에 멸망의 흑마술사로 서치할 수 있고, 필드에서 "블랙 매지션" 취급인 멸망의 흑마술사를 릴리스하면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이 카드를 굳이 블랙 매지션 덱에 쓸 이유는 없고, 굳이 쓰려면 실전성 떨어지는 이 카드 전용 원턴킬 덱을 짜야한다. 하지만 1핸드로 매우 쉽게 이 카드를 꺼낼 수 있어 이전보다는 실전성이 높아진 것도 사실이라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못지않게 이 카드의 활용도 주목받았다.

한편 듀얼 링크스에선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지원용으로 준 스킬인 "어둠을 베는 힘"을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 + 덱 외부에서 일반 마법 2장을 창조해 이 카드로 선턴킬 하는데 써먹었기 때문에 25년 5월 7일 금지가 되었다.[12][13] 공교롭게도 멸망의 흑마술사의 정보가 공개된 게 그 다음날인 5월 8일이라 상술한대로 OCG에서도 선턴킬 가능성이 주목 받은 것이 화제가 된 것이었다.

마법사의 심판의 또 다른 신규 카드인 매직 블래스트의 일러스트에서는 매직비스트 케로베로스와 함께 실제로는 대미지가 400밖에 안 되는 엄청난 마력탄을 발사하고 있다.

이름에 마도가 들어가지만 원래 일본어판에서는 '흑마도의 집행관'이라고 쓰고 루비로 '블랙 엑스큐셔너'라고 읽는 카드라 "마도"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로 치지 않는다. 애초에 레벨이 7이어서 받을 수 있는 서포트도 존재하지 않는다.

블랙 매지션의 진화형이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영이 종료되고 OCG 오리지널로 공개된 카드인 만큼 무토우 유우기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적은 없다.[14] 용갑의 색상으로 따지면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보다는 오히려 판도라의 블랙 매지션 진화체라 봐도 될 정도로 비슷하다. 실제로 이런 점을 의식해서인지는 몰라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판도라와 듀얼하여 랜덤으로 나오는 파밍 보상 목록에 이 카드가 있고, 유희의 DSOD 버전에도 이 카드의 보이스는 없다.

유희왕 5D's 다크 시그너 편의 33화에서는 듀얼 갱 '매지션즈 포'의 리더가 팀 새티스팩션 시절 키류 쿄스케와의 듀얼 중 사용.[15] 키류 쿄스케제너럴 데몬을 공격했으나, 키류가 발동한 헤이트 버스터의 효과로 파괴되면서 패배했다. 역시 원조 듀얼킹수족은 엑스트라가 다루면 승률이 영 안 나오는 것 같다.
수록 시리즈
2005-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6-JP00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魔法使いの裁き -
2009-07-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0-JP001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9 Vol.2
2006-01-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6-EN001 | STRUCTURE DECK SPELLCASTER'S JUDGMENT
2010-08-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CPP-EN014 | WORLD CHAMPIONSHIP 2010 CARD PACK
2016-07-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02-EN016 | OTS TOURNAMENT PACK 2
2007-06-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6-KR001 | 스트럭처 덱 - 마법사의 심판 -
2011-08-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0-KR001 | 토너먼트 팩 Vol.10

4.6.2.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79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オブ・ブラック・イリュージョン,
영어판 명칭=Magician of Dark Illusion,
레벨=7,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2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상대 턴에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만\, 자신이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자신 묘지의 "블랙 매지션"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더 다크 일루전에서 등장한 새로운 블랙 매지션. 이 카드 자체는 "블랙 매지션"도, 블랙 매지션 카드군도 아니지만, 2번 효과로 몬스터 존에 있으면 관련 서포트 카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붉은 눈의 흑염룡, 푸른 눈의 아백룡, 파괴검 마스터-버스터 블레이더와 같이 예전 에이스 카드 리메이크 성향이 강하게 느껴지지만, 공격력 / 수비력이 뒤집혔기 때문에 어택커로 쓰기엔 그리 좋지 않다.

이 카드와 매지션즈 로드, 매지션즈 로브와 같이 출시된 '블랙 매지션' 관련 카드가 속공 마법 위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별다른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특수 소환 조건을 채우기 쉽다. 게다가 블랙 매지션 한정 소생 효과까지 있어서 랭크 7 엑시즈 소환을 만족시키는 등 여러모로 유용하다. 모든 효과가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는 것도 장점.

필드에서만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는 점은 상당히 아쉽다. 비슷한 카드들은 필드 / 묘지에서 해당 카드명로 취급하므로 묘지까지 서포트의 범위를 뻗치지만, 이 카드는 영원의 혼의 강력한 묘지 재생력을 걱정했는지 필드에서만 카드명이 변한다. 아니면 매직 익스팬드나 이 카드의 효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런 듯.

이후 시간이 지나고 난 뒤 이 카드를 아예 안 넣거나 넣어봤자 1~2장 정도 넣는다. 특수 소환의 조건이 상대 턴에 자신이 마함을 발동해야 돼서 즉발성이 떨어지고, 능력치도 원본 것을 뒤집어 필드 견제에도 힘을 못 쓰고, 용기사 블매나, 매오카 같은 경우에는 묘지에서도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여 영원의 혼 등의 서포트를 다 받기 때문.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블랙 매지션의 강세가 이어지자 이 카드는 제한 3에서 무제한이었다가 제한 2로, 매지션즈 로드는 제한 3을 받았다. 이후 22년 3월 제한 해제.

4.6.3. 수호신관 마하드

블랙 매지션의 본 모습. 문서 참조.

4.6.4. 크로니클 매지션

푸른 눈의 백룡과 블랙 매지션을 동시에 지원하는 카드.

4.6.5.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

4.7. 레벨 8

4.7.1. 합체룡 티마이오스

파일:合体竜ティマイオス(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합체룡 티마이오스,
일어판 명칭=<ruby>合体竜<rp>(</rp><rt>がったいりゅう</rt><rp>)</rp></ruby>ティマイオス,
영어판 명칭=Timaeus the United Dragon,
레벨=8,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8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에서 마법사족 몬스터 1장 또는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마법사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추가된 지원으로, 이전까지 블랙 매지션과 연관된 원작의 몬스터를 리메이크하는 일은 많았지만 DM 오리지널 요소였던 티마이오스를 최초로 리메이크한 카드이기도 하다. 하지만 티마이오스의 리메이크임에도 티마이오스의 눈이나 전설의 용 티마이오스와 관련된 효과가 없다는 것이 아쉬움을 샀다.

①의 효과는 패, 필드의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기동효과. "버린다"가 아닌 "묘지로 보낸다"지만 코스트이기 때문에 섀도르 카드군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으며, 이 카드 자체는 드래곤족, 동일 팩에서 지원된 매지크리보의 경우 악마족이므로 이 카드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도 마법사족 몬스터라는 비교적 널널한 조건이라 수호신관 몬스터도 묘지로 보낼 수 있으며,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가 있는 매지션즈 내비게이트나 영혼의 심복을 보내는 것도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어떤 마법사족 몬스터도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블랙 매지션 이외의 마법사족에 융합 소환을 사용하는 덱에서 공격력 2800 몬스터가 덤으로 나오는 융합용 몬스터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②의 효과는 융합 소환을 실행하는 기동효과. 1의 효과로 이 카드를 소환한 후, 패/필드의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해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반드시 이 카드를 포함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원한다면 용기사 블랙 매지션/블랙 매지션 걸 외에도 블랙 카발리나 마스터 오브 카오스를 불러낼 수도 있으며, 블랙 매지션을 소재로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비롯한 용병 몬스터도 소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

기존에 있던 티마이오스의 눈의 단점이던 서치 불가 문제를 해결한 지원으로, 합체룡은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을 명확하게 표기하고 있다. 마법/함정이 아니라서 흑의 마도진/매지션즈 로드의 서치 범위에는 들지는 않아도 영혼의 심복으로 끌어올리는 것은 가능하고 일루전 오브 카오스의 효과로 서치할 수도 있다. 특수소환 자체도 용이하고, 융합에 있어서는 별도의 코스트가 없다. 다만 소환 시 1장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기 때문에, 융합 소재 1장만 소모하는 티마이오스의 눈과 달리 일반 융합처럼 3장 이상의 카드를 소모하게 된다는 것은 단점.[16] 그나마 서치하고 남은 매지션즈 로드나 영원의 혼을 세트하고 남은 매지션즈 샐베이션, 불필요하게 패에 잡힌 블랙 매지션 걸을 코스트로 삼을 때 손실이 덜하며, 블랙 매지션이 패에 2개 이상일 경우 블랙 매지션 1장을 미련없이 코스트로 쓸 수도 있다. 융합 효과 자체에는 코스트가 없으므로 이 카드가 다음 자신 턴까지 살아만 있다면 평범한 융합처럼 써먹을 수 있다.

일단 서치가 되는 드래곤족 융합 자체 탑재 몬스터라서 용기사 블랙 매지션을 쓰기가 쉬워졌고 빛 속성이라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의 효과를 보조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블랙 매지션 덱에서도 붉은 눈의 흑룡을 넣을 필요 없이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을 손쉽게 불러낼 수 있다. 파괴 효과는 1번밖에 못 쓰긴 하지만, 정크 파츠인 붉은 눈의 흑룡을 빼는게 더 유연하기 때문.

티마이오스의 사례를 볼 때 이후 크리티우스나 헤르모스도 리메이크될 가능성이 있다. 일단 같은 팩에선 크리티우스의 이빨의 파생형 몬스터인 푸른 눈의 타이란트 드래곤이 같이 출시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BATTLE OF CHAOS BACH-JP003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8. 레벨 9

4.8.1. 검은 옷의 대현자

블랙 매지션이 나이 먹고 현자로 득도한 모습. 정규 소환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마술사의 효과를 필요로 한다.

5. 의식 몬스터

5.1. 레벨 7

5.1.1. 매지션 오브 카오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카오스(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マジシャン・オブ・カオ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매지션 오브 카오스,
일어판명칭=マジシャン・オブ・カオス,
영어판명칭=Magician of Chaos,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1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카오스 폼"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③: 의식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매지션 오브 카오스" 이외의 "카오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강림하라! 매지션 오브 카오스!"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소환 대사
"이 순간! 매지션 오브 카오스의 효과 발동! 카드 한 장 파괴 한다!"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② 효과 발동 대사
"의식 소환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패에서 카오스 의식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어!"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③ 효과 발동 대사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에 이어서 카오스 폼을 통해 의식 소환되는 블랙 매지션 계열의 의식 몬스터.

①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는 지속 효과이다. 필드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는데, 이 카드는 다른 카오스 의식체들과 달리 정규 소환을 했다면 소생이 가능하다. 즉, 용기사 블랙 매지션과 함께 영원의 혼의 효과를 받는다는 것. 주구장창 소생시킬 수 있다. 후에 발매된 매지션즈 소울즈의 효과로 소생이 가능하다.[17] 허나 ③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건 의식 소환해서 파괴되었을 때, 단 한 번 뿐이기 때문에 일부러 필드에서 벗어나게 할 필요는 없다.

②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 발동시의 제거류. 가장 기본적인 연계는 흑의 마도진일 것이다. 그 카드가 깔려 있으면 이 카드나 소재로 쓴 블랙 매지션을 소환만 해도 2장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 하지만 흑의 마도진이 대상 지정 제외이고, 보통 대상 지정 제외가 안통하는 몬스터는 대상 지정 파괴도 잘 안먹힌다는 것을 생각하면 미묘하다. 결국 블랙 매지션 덱과의 승패는 깡내성 빌드를 부수냐 부수지 못하냐에서 갈리지, 전개력 우위 싸움은 아니기 때문. 이외에도 상대의 지속 마법/지속 함정/필드 마법 발동을 주저하게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해봤자 바로 이 효과로 끊을 수 있기 때문이다.

③의 효과는 파괴되면 패에서 본 카드 이외의 카오스 의식몹을 특소하는 효과. 다른 카오스 의식 몬스터가 효과 없는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카오스 솔저, 푸른 눈 2장과 초전사 카오스 솔저, 전설의 검투사 카오스 솔저, 일루전 오브 카오스,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밖에 없고 블랙 매지션 덱에서 저 카드들을 쓰거나 역으로 이 덱들이 굳이 본 카드를 사용해서 의식 몬스터를 불러낼 가치가 크게 없는 것이 문제다. 카오스 솔저 덱은 레벨 4 전사들을 소재로 의식 소환해야 의식 몬스터가 제 값을 하고 의식 백룡은 원턴킬 덱이라 속도가 느린 본 카드를 쓰는 것보다 그냥 의식 소환을 하는 것이 훨씬 낫다. 그나마 블랙 매지션 덱에서 이 효과를 쓴다면 블랙 카오스 맥스나 일루전을 특수 소환하는 것이 나은데, 일루전은 몬스터 효과를 막으면서 블랙 매지션을 불러올 수 있고, 카오스 맥스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그 턴에 상대 몬스터 효과 발동을 봉쇄할 수 있기 때문.

대체적으로는, 당시 같이 나온 주인공 지원 카드들 중 그나마 성능은 나쁘지 않은 카드지만 카오스 카드군의 다른 의식 몬스터로서도, 블랙 매지션 카드군의 비슷한 위치인 용기사 블랙 매지션에게도 밀린다는 평. 추가적인 상위체 지원이 나오지 않는 한 의식 블랙 매지션 같은 덱이 구축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리고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가 발매되고, 듀얼링크스에서도 스트럭처 팩으로 풀렸다. 블랙 매지션 전용 융합/의식 카드인 흑마술의 비의가 출시 되었으나 의식 특화가 아닌 이상 굳이 쓸 필요가 없는 편. 후에 출시된 일루전 오브 카오스는 상당히 잘 쓰인다는 것과는 대비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TH-JPB01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5.1.2. 일루전 오브 카오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카오스(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イリュージョン・オブ・カオス(TTP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일루전 오브 카오스,
일어판명칭=イリュージョン・オブ・カオス,
영어판명칭=Illusion of Chaos,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100, 수비력=25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카오스 폼"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의식 몬스터가 아닌\, "블랙 매지션"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덱 맨 위로 되돌린다.,
효과2=②: 상대가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이 카드를 패로 되돌리고\, 자신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하고\, 그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한다.)]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의 카오스 버전. 거기에 걸맞게 공격력 / 수비력 수치도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처럼 블랙 매지션의 수치를 뒤집어 놓은 것이다. 소환 조건으로는 카오스 폼을 요구하지만, 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흑마술의 비의로도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의식 몬스터 이외의 블랙 매지션 및 그 카드명이 텍스트에 수록된 몬스터를 서치하는 기동 효과. 일루전 매직과 환상의 견습 마도사 이후로 세 번째로 등장한 블랙 매지션을 패에 넣는 효과를 가진 카드.[18] 서치 범위가 굉장히 넓어 블랙 매지션 덱의 핵심 카드 대부분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블랙 매지션 뿐만 아니라 서치 수단이 마땅치 않던 최중요 카드인 매지션즈 로드나 매지션즈 소울즈를 패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몬스터만 패에 넣을 수 있지만 매지션즈 로드를 가져오면 마법 / 함정 카드 역시 간접적으로 서치가 가능하다.

의식 몬스터는 소환에 필요한 준비물이 많아 패 말림을 유발한다는 큰 단점이 있는데, 이 카드는 소환하지 않고도 패에서 능동적으로 효과를 사용할 수 있으며, 패의 이 카드를 보이고 발동할 뿐이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 등으로 무효가 되어도 어드밴티지 손해 없이 다음 턴에 다시 발동할 수 있다.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지 않으므로 무덤의 지명자를 맞지도 않는다. 서치 마법 카드처럼 패에서 바로 발동하고 자신을 덱에 되돌리는 것도 가능할 뿐더러, 반드시 자신을 덱에 되돌릴 필요는 없으므로 패에 남겨두고 매 턴 발동 가능한 서치 수단으로 쓸 수도 있고, 덱에 있어야 할 카드가 패에 잡혔을 때 덱으로 돌릴 수도 있다. 의식의 준비에도 대응하므로 블랙 매지션 덱은 사실상 증원이 6장 추가된 것이나 다름없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 존재할 때의 효과로, 상대가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자신을 패로 되돌리고 묘지의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한 후, 그 상대 효과를 무효로 하는 유발 효과. 소환이 무거운 의식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는 점은 부담이지만, 패로 돌아온 자신은 ①의 효과를 발동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완전히 낭비는 아니다.

효과가 다소 미묘한 편이었던 매지션 오브 카오스와는 다르게 단순 서치 카드로도 투입 가치가 확실한 것은 물론 여차할 때는 소환 또한 고려해볼 만한[19] 효과를 들고 나왔다. 단, 매지션 오브 카오스와 원본인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이 가지고 있던 "이름을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는 효과"는 가지고 있지 않다.[20]

블랙 매지션 덱 이외에는 소울즈를 핵심 초동 카드로 쓰는 SPYRAL에서도 채용된다.

2023년 2월 14일, 마스터 듀얼 1주년 기념 캠페인으로 이 카드를 포함해 그동안 미출시된 배틀 오브 카오스 출신 지원카드들을 모두 수록한 블랙 매지션 스트럭처 덱이 출시되어 괴담에서 벗어났다. 대신 같은 팩 출신임에도 아직까지 출시가 안된 단풍나무 아가씨[21] 디멘션 포스의 XX 클루전이 이 기믹을 이어받았다.

6. 융합 몬스터

"블랙 매지션"을 융합 소재로 지정하는 융합 몬스터 카드들이다.

6.1. 레벨 6

6.1.1. 블랙 플레어 나이트

화염의 검사와의 융합체. 전투로 파괴될 시 미라지 나이트를 불러온다.

6.2. 레벨 8

6.2.1. 애뮤릿 드래곤

6.2.2. 용기사 블랙 매지션

6.2.3.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어둠의 유우기가 배틀 시티 준결승전에서 소환, 나머지 소재가 가진 드래곤 킬러 능력으로 듀얼의 피니셔가 되었다. 융합 소재인 버스터 블레이더를 서포트하는 카드로 용파괴의 상징, 숙련된 백마도사, 그리고 버스터 블레이더 본 카드가 있는데 이들에 대한 설명은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 문서 참조.

6.2.4. 초마법 기사 블랙 카발리

암흑 기사 가이아와의 if융합체. 단, 가이아만이 아니라 전사족이면 뭐든 소재가 된다.

6.2.5.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6.2.6.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6.2.7.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카오스 솔저와의 if융합체. 카오스 의식 몬스터를 소재로 한다.

6.2.8. 용마도 기사 블랙 매지션

용기사 가이아와의 if 융합체. 용기사 가이아만 소재로 쓸 수 있는 건 아니며, 레벨 7 이상의 전사족/드래곤족을 소재로 한다.

6.2.9. 멸망의 흑마술사

파일:滅びの黒魔術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멸망의 흑마술사,
일어판 명칭=<ruby>滅<rp>(</rp><rt>ほろ</rt><rp>)</rp></ruby>びの<ruby>黒魔術師<rp>(</rp><rt>くろまじゅつし</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ian of Destructio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8,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800, 수비력=2600,
소재="블랙 매지션" +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외1="멸망의 흑마술사"는 1턴에 1번\,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외2=●마법 카드의 효과가 발동한 턴에\, 자신 필드의 레벨 6 이상인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제외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블랙 매지션" 1장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의 융합판 리메이크로, 택티컬 트라이 팩의 커버 카드 중 하나. 소환 방식을 고려하면 빛과 어둠의 세례 - 혼돈의 흑마술사 루트 자체를 리메이크했다고 볼 수 있다. 카드명의 경우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혹은 혼돈의 흑마술사의 공격명 멸망의 주문에서 응용한 것으로 보인다.

타협 소환 조건은 부상하는 빅 죠스처럼 마법 카드를 사용한 턴이어야 한다.[22] 세븐스 타키온으로 이를 보충한 샤크 덱과 달리 블매 덱은 마법 카드가 초동이 되기 어렵기에 순수 블매 기믹만으로는 소환이 어렵다. 하지만 테마 외 용병을 투입하면 소환은 어렵지 않은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 별개로 융합 소환의 소재도 널럴해서 흑마술의 비의나 매지컬라이즈 퓨전 같은 묘지 융합 카드로 소환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만하다. 한편 이 두 가지 방법 이외의 소환은 불가능하며, 1턴에 1번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①번 효과는 필드와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는 효과.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존재할 것을 요구하는 카드나 블매 융합체의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묘지에서도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지만 애초에 융합소환 및 타협소환 외에는 특소가 불가능한 몬스터이므로 영원의 혼-흑의 마도진 콤보 등에서 원본 블랙 매지션을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는 없다.

②번 효과는 블랙 매지션 관련 카드 1장을 서치하는 효과. 기존에 블매 덱의 서치 능력은 로드는 마법 / 함정만, 일오카는 몬스터만, 그리고 심복은 이미 블매를 묻거나 소환했어야 한다는 조건부라는 식으로 쪼개져있었는데, 처음으로 종류 불문하고 단번에 서치 가능한 카드가 나왔다. 그래서 상급 융합 몬스터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블매 기믹의 초동이나 다름 없는 역할을 맡게 된다. 더욱이 서치 범위가 매지션즈 로드보다 더 넓기 때문에 굳이 일반 소환권을 원석룡 어나더 베릴과 저울질하지 않게 된 것도 호재.

마법 카드와 아무 상급 어둠 법사만 있으면 소환이 가능하기에 블랙 매지션 덱 기믹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낮춘 카드로, 라이벌인 백룡처럼 원석을 초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원석이 블랙 매지션(레벨 7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과 마법 카드인 원석의 황맥 및 원석의 명영 등을 모두 준비시켜 준다. 블랙 매지션을 제외하는 문제도, 베릴이 묘지에 블랙 매지션을 추가로 묻어주기에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정작 블매 덱 자체 기믹 내에서는 원핸드로 마법 발동과 상급 마법사를 모두 마련할 정석적인 소환수단이 마련되어있지 않다보니 최소 2핸드를 요구하며, 일반적으로 마법 발동은 어떤 식으로든 채우더라도 블매 소환은 소울즈 효과를 소모해야 한다. 그 경우 소환 코스트로 블랙 매지션을 제외하는 것이 뼈아파서 영원의 혼과 마도진을 서치하고도, 묘지의 블랙 매지션을 추가 덤핑한다는 조건까지 채우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며 이를 통해 기믹까지 세우려면 요구 원핸드가 천정부지로 늘어난다. 즉, 블랙 매지션 덱의 지원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순수 블매 덱에서의 사용 난이도는 꽤 높은 편이며 상황에 따라서는 정규 융합 소환이 오히려 더 나은 경우마저도 볼 수 있다.

한편 워낙 소환조건이 널널하다보니 다른 덱에서도 블매 덱 파츠를 가져가는 용도로 쓸 수 있는데, 레토르트 퓨전으로 크릿치를 소환하거나 호루스의 임세티, 빛의 황금궤-마술사의 제자-블랙 매지션 걸 간의 상호서치 등 1핸드~1.5핸드 소환수단이 상당히 많다. 특히 한 번 서치를 하고 나면 그저 링크 소재1 취급이던 마술사의 제자를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황금궤 용병이 고평가 받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블랙 매지션 지원인데 정작 블매 카드만으로는 잘 쓸 수가 없다"는 점에서 카드 설계는 낮은 평가를 받는다. 블매 덱에서 아예 쓸 수 없는 지원은 결코 아니고 분명 강화가 되긴 했지만, 오히려 금궤 파츠와의 궁합이 더 좋고 블매도 거기에 의존해야하는 점에서 모양새가 상당히 이상해진 것.

게다가 이 카드 자체도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다보니 블매 기믹의 핵심에 접근할 필요 없이 티마이오스의 안광만 투입해 서치하면 흑드라군을 세우는 용병 파츠로 쓸 수 있다보니 환경권에서는 황금궤와 함께 이 점에만 주목받고 있다.[23] 이 때문에 블매 유저층에서는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의 재림 같다는 박탈감을 표하기도 한다.
수록 시리즈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01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01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6.3. 레벨 10

6.3.1. 합체마룡 티마이오스

파일:合体魔竜ティマイオ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합체마룡 티마이오스,
일어판 명칭=<ruby>合体魔竜<rp>(</rp><rt>がったいまりゅう</rt><rp>)</rp></ruby>ティマイオス,
영어판 명칭=Timaeus the Combined Demon Drago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10,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800, 수비력=1800,
소재="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 드래곤족 / 마법사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때에 적용한다. 다음 자신 턴의 종료시까지\, 이 카드는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서로의 묘지 / 제외 상태인 마법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효과3=③: 상대 턴에\,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티마이오스의 진화형이자, 단순한 용기사 탑승 형태였던 애뮤릿 드래곤/용기사 블랙 매지션 & 걸과 달리 티마이오스가 메인이 되어 용갑을 입은 모습이다.

①효과는 특수 소환 후 2~3턴 간 다른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 한시적 완전 내성 지속 효과. 비록 현 유희왕이 3턴쯤 승부가 나는 상황이 많다지만 블랙 매지션은 장기전 지향 덱이라 게임이 더 길어질 경우 내성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나, 블매덱의 가장 큰 리스크인 영원의 혼이 터져도 살아남는다는 점 자체는 우수하다. 다만, 동 팩에 수록된 티마이오스의 안광의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는 다음 턴 엔드 페이즈에 제외된다'는 디메리트는 잔존 효과이기 때문에 기존 재정대로라면 못 피한다.

②효과는 애뮤릿 드래곤을 계승한 효과로 전투 데미지 계산 시 서로의 묘지/제외 상태인 마법 카드의 수만큼 타점을 상승시키는 유발 효과. 상승치는 소소하지만 턴 종료시까지가 아니라서 매 턴마다 중첩된다.

③효과는 상대 턴에 필드의 마법/함정 카드 1장을 대상 지정으로 파괴하는 프리 체인형 유발 즉시 효과.

또한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에 이어 오랜만에 나온 블랙 매지션 걸을 소재로 하는 몬스터이기도 하다.

허나 결과적으로 여러모로 애매모호한 지원. 기본 공격력이 레벨에 비해 낮고,[24] 타점을 올리는 효과를 보고 피니셔로 쓰자니 공격력 상승분이 너무 작고, 견제용으로 쓰자니 마도진의 대상 제외보다 활용도가 떨어지는 대상 지정 마법/함정 파괴, 그것도 상대 턴 한정이라는 점에서 활용도가 극히 떨어진다. 그나마 단독으로 완전 내성을 얻을 수 있으나 이마저도 한시적이며, 와중에 블랙 매지션은 상술했듯 장기전을 지향하는 편이라 선공에 세우기에도, 피니셔로 쓰기에도 애매하기 그지없다. 거기에 같은 소재로 뽑을 수 있는 흑드라군, 초마도사라는 우수한 자체 융합몹이 있는 블매이기에 타 융합몹 대비 투입을 할 가치가 많이 떨어지는 편.
수록 시리즈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02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02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7. 마법 카드

7.1. 일반 마법

7.1.1. 사우전드 나이프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있으면 몬스터 하나를 파괴시키는 카드.

7.1.2. 기사의 칭호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를 특수 소환하는 카드.

7.1.3. 흑·마·도

7.1.4. 흑마술의 커튼

파일:黒魔術のカーテン.jpg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DarkMagicCurtain-PP01-KR-UR-1E.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흑마술의 커튼,
일어판 명칭=<ruby>黒魔術<rp>(</rp><rt>くろまじゅつ</rt><rp>)</rp></ruby>のカーテン,
영어판 명칭=Dark Magic Curtain,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이 카드의 효과 이외로는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LP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DarkMagicCurtain-JP-Manga-DM.png
한글판 명칭 흑마술의 커튼
일어판 명칭 [ruby(黒魔術, ruby=くろまじゅつ)]のカーテン
영어판 명칭 Dark Magic Curtain
필드 마법
이 턴 모든 플레이어는 라이프를 절반 줄이는 것으로 덱 안에서 흑마술사를 1마리 소환할 수 있다.

원작 배틀 시티 편에서 판도라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후반부에 또다른 블랙 매지션을 불러내어 결판을 내려 했으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흑마술사'라는 점과 '필드 마법'이라 상대한테도 효력이 미친다는 점을 이용해 어둠의 유우기블랙 매지션 걸을 불러내버린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통해 어둠의 유우기가 OCG 사양을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블랙 매지션을 손쉽게 덱에서 불러오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도마 편라펠과의 2차전에서는 어쩐지 크리밴디트를 특수 소환하는 데에 쓰이기도 했다.

OCG에서는 원작과 달리 자신과 상대는 자신 혼자로 변경되었지만 어둠 속성 마법사족은 블랙 매지션으로 바뀌어 버렸다. 자신 혼자 어둠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로 발매되지 않은 것은 아쉽다. 덕분에 로드로 서치가 가능하긴 하지만, 소환 제약이 걸려 있으니...

블랙 매지션 한 장에도 의지할 수 있던 과거의 블매덱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쓰였지만 현재는 이 카드 1장만 믿고 다른 몬스터의 소환을 모두 봉쇄하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크다. 저놈의 소환 제한만 없었어도 아직까지 충분히 현역이었겠지만 당시 환경을 기준으로 저 정도의 제약도 안 걸어놓았을 경우, 금제는 따놓았을 당상이었을 것을 생각해 봤을 때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하다. 당장 이것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소환 디메리트라곤 전혀 없는 후배히어로 얼라이브가 너무도 악마적인 활용력[25] 때문에 금제를 왔다갔다 하던 것과는 비교가 된다. 일단 세트는 가능하다.

더 다크 일루전 발매 이후 일부 블랙 매지션 덱 유저들이 채용하는 케이스가 가끔 보였었다. 일단 이 카드에 붙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불가 디메리트는 상대 턴에 프리체인으로 몬스터를 전개하는 것이 컨셉이 된 TDIL 이후 자신의 턴 전개를 좀 희생하더라도 블매를 확실하게 덱에서 뽑아내고 마도진 등의 서포터로 이득을 노리는 방식으로 사용했으나 환상의 견습 마도사가 지원된 이후엔 거의 보이지 않으며, 매지션즈 소울즈가 나오면서 볼 일이 아예 없어졌다. 원석의 명영은 일반 몬스터 속공 덱 특소에 보조 견제 효과까지 붙은 이 카드의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유희왕 OCG의 인플레이션을 체감할 수 있다.

해외판에서는 종교적 문제로 오망성이 탄압받았다.[26] 북미판 애니메이션에서는 OCG 일러스트와는 달리 원본의 오망성에다 다시 여러 개의 원을 덧대서 수정했다. 흑마족 부활의 관도 이와 동일하게 수정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판도라의 레벨 40 보상으로 등장하였다. 판도라 캐릭터 레벨 23, 레벨 38 달성시 주는 매지션즈 로드를 통해 서치가 간편해 순식간에 듀얼링크스 환경에서 블랙 매지션 덱이 실전에서 사용 가능한 정도로 만들어주었다. 엘렉트로 군조와 절망의 함정 속으로를 2장 이상 채용한 블랙 매지션 덱 레시피가 듀얼킹을 달성했던 것도 볼 수 있었다. 코스트로 LP 절반을 지불하는 것은 아프지만 판도라의 스킬인 마술의 대가의 사용 조건을 만족시켜줘서 궁합이 좋은 편. 유저들은 흑마족 부활의 관이 출시되지 않아 안타까워했으나 흑마술의 커튼이 레벨 40 보상에 걸맞은 위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매지션스 내비게이트가 출시됨에 따라 이 카드는 묻혔다가, 블매덱이 엄청난 금제를 받게 되면서 울며 겨자먹기로 1장 정도 채용하는 유저들도 가끔 있다.

7.1.5. 현자의 보석

파일:賢者の宝石.jp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agesStone-LCYW-EN-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현자의 보석,
일어판 명칭=<ruby>賢者<rp>(</rp><rt>けんじゃ</rt><rp>)</rp></ruby>の<ruby>宝石<rp>(</rp><rt>ほうせき</rt><rp>)</rp></ruby>,
영어판 명칭=Sage's Ston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블랙 매지션 걸"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SagesStone-JP-Anime-DM.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현자의 보석,
일어판 명칭=<ruby>賢者<rp>(</rp><rt>けんじゃ</rt><rp>)</rp></ruby>の<ruby>宝石<rp>(</rp><rt>ほうせき</rt><rp>)</rp></ruby>,
영어판 명칭=Sage's Stone,
효과1=블랙 매지션 걸이 필드 위에 있을 때에만 발동 가능. 이 마법 카드는 몬스터 존에 놓이며\, 1턴 동안\,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노아 편에서 마자키 안즈오오타키 슈조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마법 카드.

작중 오리지널 설정으로 과거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블랙 매지션 걸 현자의 보석'이라는 뮤지컬이 상영되었는데, 중학생 시절 안즈는 이를 관람하고 크게 감명받았던 기억이 있었기에 듀얼 전 덱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 카드를 맨 먼저 보고 무의식적으로 선택한 것이었다. 안즈는 블랙 매지션 걸덱 마스터로까지 골랐으면서 정작 블랙 매지션을 투입하지 않아 듀얼 내내 오오타키에게 조롱을 들었지만, 이후 블랙 매지션 걸의 덱 마스터 능력인 '소울 서클' 덕분에 이 카드를 뽑으면서 바로 사용했고, 이 카드가 블랙 매지션으로서 필드에 나타나면서[27] 듀얼의 피니셔가 되었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사용. OCG 사양으로 등장하며, 블랙 매지션 걸이 있을 때 발동하여 덱에서 블랙 매지션을 불러온 후 둘을 제물로 바쳐 어둠의 마법신관을 특수 소환했다.

OCG에서는 마법 카드는 함정 몬스터처럼 특수 소환하는 것이 룰적으로 어렵기에, 블랙 매지션 소환용 서포트 카드로 나왔다. 하지만 블랙 매지션 걸 자체가 진지하게 덱을 짤 때에 들어갈 카드가 아닌 만큼 이 카드의 활용도는 떨어진다.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블랙 매지션 걸도 대응하는 융합파병이나 매지션즈 소울즈만으로 충분하기 때문.

일단 이 카드는 발동 횟수 제한이 없으니 해당 카드들로 블랙 매지션 걸을 꺼낸 후 이 카드를 발동하여 흑·폭·열·파·마·도의 발동 조건을 채워볼 수는 있다. 하지만 스승인 블랙 매지션을 간단히 꺼낼 수 있는 방법이 제자보다 더 많은지라 그냥 블랙 매지션을 먼저 꺼낸 뒤 사제의 연으로 제자를 꺼내고 해당 카드를 서치하는 방법이 더 좋다는 것이 문제. 게다가 매지션즈 샐베이션이 등장하면서 이 카드는 더욱 쓸모없게 됐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초반에 블랙 매지션 덱을 짠다면 넣어볼만한 카드. 매지션즈 로드, 흑마술의 커튼 등이 판도라 파밍을 미칠듯이 해야 나오는 데 비해 이건 아주 초반에 바로 구할 수 있기에 블랙 매지션 걸을 어드밴스 소환한 다음 블랙 매지션을 부르는 용도 정도로는 쓸 수 있겠다.

애니메이션에서 모티브가 되었다고 나온 뮤지컬 '블랙 매지션 걸 현자의 보석'은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화제였던 영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카드의 간접적인 모티브는 현자의 돌.
수록 시리즈
2003-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B8-003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8 破滅の大邪神 同梱カード
2009-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9-JP011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9 Vol.1
2014-01-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T05-JP007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4 Vol.1
201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5AX-JPM41 | 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武藤遊戯
2017-06-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01-JP014 | 遊戯王デュエルリンクス レジェンドデッキガイド 闇遊戯VS海馬瀬人 同梱カード
2004-06-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D-EN003 | Yu-Gi-Oh! RESHEF OF DESTRUCTION Bundles
2011-07-0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LD4-EN038 | GOLD SERIES 4 PYRAMIDS EDITION
2012-10-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YW-EN073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19-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S01-ENA10 | SPEED DUEL STARTER DECK: DESTINY MASTERS
2009-09-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00-KR017 | 듀얼리스트 팩 - 유희 편 -
2011-06-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9-KR011 | 토너먼트 팩 Vol.9
2020-04-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5AX-KRM41 | 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유희

7.1.6. 흑·마·도·연·탄

파일:20TH-JPC09(SC).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흑·마·도·연·탄,
일어판 명칭=<ruby>黒・魔・導・連・弾<rp>(</rp><rt>ブラックツインバース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 Twin Burs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블랙 매지션"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서로의 필드 / 묘지의 "블랙 매지션 걸"의 공격력의 합계만큼 올린다.)]
블랙 매지션 걸의 힘을 얻어 블랙 매지션은 공격력이 올라간다! 마법 카드, 흑·마·도·연·탄
듀얼링크스에서 유희(DSOD) 전용 대사
극장판인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나온 마법 카드로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팩에서 OCG화되었다. 흑마도연탄이라 쓰고 블랙 트윈 버스트라고 읽는다.

서치의 간편함, 타점 수준 등의 모든 면에서 매지션즈 크로스의 강화 버전으로 나왔다. 아래의 사제의 연으로도 편하게 서치할 수 있고, 블랙 매지션 카드명을 지정하니 매지션즈 로드, 흑의 마도진 역시 OK. 사제의 연으로 이 카드를 서치했다면 블랙 매지션의 공격력은 어지간하면 최소 4500으로, 극장판에서 Sin 패러독스 드래곤을 때려잡았던 것처럼 어지간한 고타점 몬스터라도 쉽게 때려잡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타점 상승 효과만 보고 채용하기에는, 환상의 견습 마도사라는 만능 서포터의 존재가 발목을 잡는다. 이 카드로 타점을 확 올리려면 블랙 매지션 걸을 많이 묘지로 보내는 밑준비가 필요하며 일반 마법이라 속공성이 떨어진다. 반면, 환상의 견습 마도사는 잠재적인 폭발력은 떨어져도 별도의 준비가 필요없고, 애초에 굳이 필드에 내놓을 필요도 없이 상대 턴에도 기습적으로 타점을 올릴 수 있다. 여기에 더해, 환상의 견습 마도사의 주된 용도인 블랙 매지션 서치와 필드 전개는 이 카드로는 전혀 불가능하다. 이래저래 손이 많이 가는데 용도가 너무 한정적인 카드. 다만, 드래곤족인 용기사 블랙 매지션은 이 카드로만 강화가 가능하니 차별화시킬 수는 있다.

7.1.7. 사제의 연

파일:20TH-JPC12(SC).jpg 파일:51PuKg4NDEL.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사제의 연,
일어판 명칭=<ruby>師弟<rp>(</rp><rt>してい</rt><rp>)</rp></ruby>の<ruby>絆<rp>(</rp><rt>きずな</rt><rp>)</rp></ruby>,
영어판 명칭=Bo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흑·마·도" "흑·마·도·폭·열·파" "흑·폭·열·파·마·도" "흑·마·도·연·탄" 중 어느 1장을 골라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
파일:BondBetweenTeacherandStudent-TF06-JP-VG.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사제의 유대,
일어판 명칭=<ruby>師弟<rp>(</rp><rt>してい</rt><rp>)</rp></ruby>の<ruby>絆<rp>(</rp><rt>きずな</rt><rp>)</rp></ruby>,
영어판 명칭=Bo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블랙 매지션"이 존재할 경우\, 자신의 패 또는 덱에서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자신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어둠의 유우기패러독스와의 3vs1 듀얼 중 사용. 첫 턴에 고대의 룰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한 뒤에 발동하여 곧바로 블랙 매지션 걸을 특수 소환했다.

극장판 상영 후 시리즈 2개를 넘어서야 OCG화했다.[28] 등장 시점과의 긴 간극 때문인지 극장판에서 나왔던 효과보다 월등히 상향되어, 현자의 보석과는 비교 대상으로 놓는 것이 실례인 효과를 탑재하고 등장했다.

블랙 매지션이 띄우기 쉬운 일반 몬스터인 점, 그리고 원래 카드명을 따지지 않는다는 점 등으로 인해 발동 조건 자체는 매우 쉽다. 블랙 매지션 걸의 소환 범위도 패, 덱, 묘지까지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제외되지 않은 한 거의 무조건 소환을 성공시킬 수 있는 점 또한 플러스 요소. 텍스트에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을 정확히 기재했으니 매지션즈 로드와 흑의 마도진의 서치 범위에도 들어간다. 거기에 추가로 상대 마법 / 함정을 모두 터트리는 흑·마·도, 상대 앞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 하는 흑·마·도·폭·열·파, 블랙 매지션 걸의 공격력만큼 끌어올리는 흑·마·도·연·탄, 1턴의 딜레이가 있지만 상대 필드 카드만 모두 파괴하는 흑·폭·열·파·마·도까지 골라서 필드에 꽂아준다. 콤보를 넣는 카드로서 월등한 서치 편의성, 블랙 매지션 걸의 소환 편의성, 후속 연계 카드의 서치라는 세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기 위해 대놓고 설계된 효과인 셈.

이 카드의 또 다른 사용법으로, 흑·폭·열·파·마·도로 연계하는 필드 클린 대신에 필드에 공짜로 몬스터가 1장 늘어난다는 점을 이용해 링크 소환으로 잇는 선택지도 있다.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만 있어도 견습 마양, 마계의 경라과 데스폴리스 등으로 이어갈 수 있고, 필드에 다른 몬스터가 있다면 소환할 수 있는 링크 몬스터는 더더욱 늘어난다.

기존에는 블랙 매지션 걸이 블매 운용에 전혀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순간화력 이외에는 사용도가 애매했으나, 레전데리 듀얼리스트 팩 6에서 블매걸 관련 지원이 대규모로 추가된 덕에 이전에 비해 실전적인 덱구성이 가능해졌다. 다만 블매걸 운영의 주축인 매지션즈 콤비네이션은 블매와 블매걸이 각각 필드/패, 묘지에 각각 하나씩 있어야 하는 반면 흑·폭·열·파·마·도는 두 체가 필드 위에 함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둘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신중해야 한다. 흑·폭·열·파·마·도를 먼저 사용한 후 매지션즈 로드의 회수효과를 이용해 한 체를 묘지로 보내거나, 콤비네이션으로 블매를 블매걸로 체인지 - 영원의 혼으로 블매를 소생 - 흑폭열파마도 순서대로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
수록 시리즈
2019-02-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TH-JPC12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2019-04-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PO-EN017 | DUEL POWER
2019-05-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C1-KR012 | 레전드 컬렉션

7.2. 속공 마법

7.2.1. 빛과 어둠의 세례

7.2.2. 흑·폭·열·파·마·도

파일:card100030355_1.jpg 파일:黒・爆・裂・破・魔・導.jpg
수정 전 수정 후
내수판
파일:DarkBurningMagic-MB01-KR-MLR-1E.png 파일:800px-DarkBurningMagic-DP17-KR-C-1E.png
수정 전 수정 후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흑·폭·열·파·마·도,
일어판 명칭=<ruby>黒・爆・裂・破・魔・導<rp>(</rp><rt>ブラック・バーニング・マジック</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Burning Magic,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원래의 카드명이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이 되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스승과 제자의 연계 마법이야! 속공 마법! 흑·폭·열·파·마·도!" (유희왕 듀얼링크스, 안수진(DSOD) 전용 대사)
듀얼리스트의 영광에 수록된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의 연계 공격 카드. 흑폭열파마도라 읽고 블랙 버닝 매직이라고 읽는다. 블랙 매지션 걸 용으로 발매되는 블랙 버닝과 블랙 매지션의 블랙 매직의 효과를 하나로 합쳤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의 공격명으로 사용되었다.

효과는 번개 + 해피의 깃털. 속공 마법이여서 상대 턴에에도 발동 가능하지만, 난이도가 어렵다. 애초에 블랙 매지션 걸 자체가 진지하게 덱 짤 때 들어갈 카드가 아니니.

하지만 사용하려고 한다면 아주 못 쓸 것도 아닌 게 매지션즈 네비게이트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을 동시에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잘만 사용하면 상대 필드를 전부 날려보낼 수 있는 키 카드가 될 수도 있다. 이후 사제의 연이나 매지션즈 콤비네이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매지션즈 샐베이션 등 블랙 매지션 걸을 활용하기 위한 지원 카드들이 나왔고, 블매걸이 한 장은 들어가는 추세가 되어 사용하기 용이해졌다.

원래 카드명을 대상으로 하는지라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 용기사 블랙 매지션 등으로는 이 카드의 발동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파일:3c1f0b4e.jpg

일러스트는 원작에서 디멘션 매직으로 라의 익신룡을 박살냈을 때의 스승과 제자의 연계 공격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29]

국내판으로 출시된 흑·폭·열·파·마·도의 일러스트를 보면 블랙 매지션 걸의 가슴과 오망성은 아예 탄압되었지만, 어째서인지 마법진은 오망성이 육망성으로 바뀌는 가벼운 탄압만 받아서 넘어왔다. 참고로 원작에서는 마법진이 육망성으로 그려져 있었는데, 최근 들어 내수판에서 육망성이 문제가 되어 관련 일러스트들이 오망성으로 변경되는 와중에 외수판은 되려 원작에 가까워진 셈. 이후 재록과 함께 일러스트가 재수정되면서 문양 자체가 사라졌다.

7.2.3. 일루전 매직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9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일루전 매직,
일어판 명칭=イリュージョン・マジック,
영어판 명칭=Illusion Magic,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을 2장까지 고르고 패에 넣는다.)]
블랙 매지션 서쳐 겸 샐비지 속공 마법. 이름과 속공 마법이라는 점에서 디멘션 매직을 오마주한듯. 또한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 허공의 흑마도사, 매지션즈 로드 등과 연계를 의도하기 위해 속공으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릴리스는 디멘션 매직과 다르게 코스트이므로 메인 덱 섀도르 몬스터로 릴리스하면 발동할 수 없다. 소환사의 스킬과 달리 패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하자. 2장 이상 사용한다면 쉽게 필드에 꺼낼수 있는 마법사족을 여러 장 사용해 말림을 방지하자.

일러스트에는 블랙 매지션이 손을 까닥거리며 공격을 피하는 모습이다.

얼핏 보면 패에서 버리고 서치하는 드래곤 자각의 선율의 하위호환으로 보이지만 사실 이 카드와 선율은 용도가 아예 다르다. 이 카드는 매지션즈 로드 단독으로 블랙 매지션을 서치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이고, 마법사족 몬스터에게 이펙트 뵐러나 무한포영 같은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를 피할때 및 스킬 드레인이 발동되어 있는 상황에서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체인을 걸어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그 가치가 있다. 또한 서치만이 아닌 묘지회수 역시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블랙 매지션이 지명자 등의 묘지견제를 맞을 때 회피하는 등의 응용도 가능하다.

7.2.4. 매직 익스팬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95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매직 익스팬드,
일어판 명칭=<ruby>黒魔導強化<rp>(</rp><rt>マジック・エクスパンド</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 Expanded,
효과1=①: 서로의 필드 / 묘지의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의 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1장 이상: 필드의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000 올린다.,
효과3=●2장 이상: 이 턴에\, 자신의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자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3장 이상: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상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더 다크 일루전에서 발매된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의 지원 카드. 부족한 타점을 채워주거나 효과 내성을 부여해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속공 마법이므로 매지션즈 로브, 매지션즈 로드,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의 효과에 모두 대응한다. 블랙 매지션 걸이 그랬듯 상대 묘지의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까지 모두 세는 특징이 있다. 마도명사 라모르흔들리는 눈빛같이 "~장 이상" 이기 때문에, 3장 이상인 경우 3가지 효과를 모두 받을 수 있다는 점도 특징.

1장 이상째의 효과는 공격력을 1000 올리는 효과. 돌진수축처럼 상대 공격을 견제 가능하다. 2, 3장 이상 효과가 모두 상대가 메인 페이즈시 쓸만한 효과를 견제하므로 메인 페이즈 때 이미 발동완료했을 때가 더 많아 배틀을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타점을 미리 올려둬 전투 파괴를 면하거나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같은 카드를 낭비시키는 느낌으로 쓰일 때가 더 많을 것이다.

2장 이상째의 효과는 자신의 마법 / 함정 효과의 발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마법 / 함정에 파괴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필드에서 벗어나면 디메리트가 큰 영원의 혼을 지키는 데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 카드를 대량으로 파괴하는 파워 카드들을 안전하게 쓸 수 있다. 일단 발동하는데 성공하기만 하면 발동 이후에는 카운터 함정마저도 발동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은 상당한 이점. 초융합처럼 발동만 틀어막는 것인지라 지속 무효에는 약한 약점을 공유하고, 이 카드 자체는 무효화가 가능한 약점이 있다.

3장 이상째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모든 어둠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에 효과 내성을 주는 카드. 2번 효과와 합치면 거의 완벽한 필드 방어가 가능하다. 영원의 혼이 블랙 매지션에게 효과 내성을 이미 부여해주기 때문에 효과가 겹치는 점은 조금 아쉽지만, 혼돈의 흑마술사라거나 어둠의 마법신관,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블랙 매지션 걸 까지 효과 내성을 부여받는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효과 발동 시 내성이 부여되므로, 이후에 추가로 소환된 몬스터는 나락, 신의 통고 등으로 쓸려나갈 수 있으니 주의 해야한다. 내성 부여도 '상대 효과'에만 완전 내성이므로 1번 효과도 무리없이 적용되고, 추가로 확산하는 파동 등까지 써서 상대를 정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만 이 카드에 대한 블랙 매지션 덱 유저들의 평가는 좋지 않다. 영원의 혼, 흑의 마도진을 꺼내놓은 후 블랙 매지션을 꺼내야 하는 블랙 매지션 덱에서, 매직 익스팬드의 마법 / 함정 보호 효과가 블랙 매지션 / 블랙 매지션 걸의 수를 둘이나 요구한다는 점은 치명적인 난점으로 작용하기 때문. 게다가 마법 / 함정 보호 효과는 오직 파괴 내성만을 부여할 뿐, 프리 체인 바운스나 제외에는 무력하다. 차라리 마법 / 함정 보호 효과를 3장째의 효과처럼 상대 효과에 대해 면역이 되도록 하거나, 파괴 내성과 더불어 대상 지정 내성이라도 얹어줬으면 훨씬 쓸만했을 것이다. 이러한 제약과 허점 때문에 이 카드는 패말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간주되어 많이 넣어도 2장 정도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자세히 보면 블랙 매지션 걸의 오망성이 깨알같이 탄압되었으나 대신 가슴골 비스무리한 건 탄압되지 않았다.

7.2.5. 흑마술의 계승

파일:黒魔術の継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흑마술의 계승,
일어판 명칭=<ruby>黒魔術<rp>(</rp><rt>くろまじゅつ</rt><rp>)</rp></ruby>の<ruby>継承<rp>(</rp><rt>けいしょう</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 Inherita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마법 카드 2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흑마술의 계승" 이외의\,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 또는 "블랙 매지션 걸"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무토 유우기 스트럭처 덱에서 공개된 블랙 매지션 전용 서치 카드.

매지션즈 로드와 흑의 마도진에 이어 3번째로 나온 블랙 매지션 카드명이 포함된 카드를 지정하는 카드. 이쪽은 "블랙 매지션 걸"도 지정해준다.

묘지의 마법 카드 2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블랙 매지션 및 매지션 걸 서포트 카드를 덱에서 서치해오는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마법 카드 2장을 제외할 필요조차 없는 매지션즈 로드가 있지만 일반 소환권이 필요없고 속공 마법이므로 매지션즈 로드, 매지션즈 오브, 블랙 일루전 등의 효과에 대응하므로 차별화 가능하며, 필드에 허공의 흑마도사가 있고 서치할 카드가 속공 마법이거나 함정이면 상대 턴에 서치, 패에서 곧바로 발동하는 연계도 가능하다. 2번째 매지션즈 로드를 쓰는 느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블랙 매지션 걸도 친절하게 따로 지정해주고 있지만 아직 블랙 매지션 없이 블랙 매지션 걸의 카드명만 들어간 카드는 없어서 이걸로 차별화가 가능할지는 두고볼 일. 블랙 매지션 걸과 관련 있는 흑ᆞ마ᆞ도ᆞ폭ᆞ열ᆞ파가 있긴 하지만, 불행히도 '블랙 매지션 걸' 카드군이 대상인지라 서치가 불가능하다. 또한 발동 조건이 묘지에 마법 카드 2장 제외하는지라 제외할 카드가 없으면 발동 못하니 주의해야한다.

일러스트는 블랙 매지션이 마법을 쓰는데 주변에 마법진이 생기고 블랙 매지션 걸은 모자를 벗은 채 명상을 한다. 이름대로 블랙 매지션이 자신의 제자에게 자신의 마법을 물려주는 모습인 듯하다.

7.2.6. 영혼의 심복

파일:魂のしもべ(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영혼의 심복,
일어판 명칭=<ruby>魂<rp>(</rp><rt>たましい</rt><rp>)</rp></ruby>のしもべ,
영어판 명칭=Soul Serva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영혼의 심복"이 아닌\,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1장 또는 그 어느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 1장을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고르고\, 덱 맨 위에 놓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필드 / 묘지의\, "수호신관" 몬스터\,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의 종류의 수만큼 자신은 드로우한다.)]
①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의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 1장을 덱 맨 위에 놓는 효과인데 상대 엔드 페이즈에 발동하거나 흑의 마도진이나 이 카드의 ②의 효과나 드로우 가속 카드와 연계하는 것으로 확정 서치가 가능하며, 수호신관 마하드와 연계할 수도 있다. 이 카드 또한 블랙 매지션을 기재하여 매지션즈 로드나 흑의 마도진으로 서치가 가능하다. 패 / 묘지 / 덱을 가리지 않아서 패에 있는 마하드를 재탕하거나 묘지의 카드를 간접적으로 샐비지할 수 있다. 단, 묘지의 카드에 손을 대는 효과가 포함되어 있어 저택 와라시의 견제를 받는 점은 주의. 속공 마법이므로, 흑의 마도진에 체인하여 발동하면 상대의 방해를 덜 받을 수 있다. 또한,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의 드로우 후 마법 함정 카드일 경우 세트 후 즉시 발동 가능을 노리고 영원의 혼 같이 속공 마법/함정 카드르 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외에도 베어진 어둠이나 매지션즈 소울즈에 체인하여 확정 서치를 하는 것을 추천.

②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 수호신관 마하드, 수호신관 마나를 합쳐 최대 4장까지 드로우가 가능한 효과, 이 카드가 묘지에 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는 제약도 없어서 ①의 효과와 연계가 가능하다. ①의 효과로 이 조건에 맞는 몬스터를 모두 덱 맨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서로의 필드 / 묘지인 관계로 드물겠지만 미러전에서는 엄청난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필드에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까지 있다면 이 카드의 발동값까지 포함해 5장의 패 보충을 단번에 하는 기염을 토할 수 있다. 보통은 블매 단독 혹은 블매걸까지 합해서 1~2장 정도 드로우하지만, 덱과 상황만 받쳐준다면 한 번에 4장을 드로우하는 막강한 포텐셜을 지닌 카드. 이 효과는 ①의 효과와는 달리 순수 드로우 효과라서, 하루 우라라를 포함한 드로우 견제 효과를 받는다.

원작 사용자인 아템의 데스티니 드로우를 재현하면서, 서치 범위도 넓고, 마도진이나 수호신관 마하드 등 기존 카드들의 단점을 해소해주고 조건부로 어드밴티지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등 효과 디자인은 훌륭한 편이나, 결국 이 카드 역시 블매를 가져올 수단이나 혹은 흑의 마도진, 드로우 부스팅 카드 등이 같이 있어야 서치로 기능하기에 원 핸드 초동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여전히 아쉽다. 섬도기동-인게이지처럼 즉시 서치 및 조건부 추가 드로우였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

여담으로, 이 카드는 수호신관 마하드, 수호신관 마나를 따로 지정하지 않고 최초로 수호신관 카드군을 지정한 사례이다. 때문에 세토, 아이시스, 샤디 등 원작에서 파라오를 보좌하던 신관들도 이후 OCG로 구현되는 거 아니냐는 예상이 있었다.

파일:MW-036_Dark_Magician_protects_the_Pharaoh.png

카드명의 유래는 원작에서의 블랙 매지션 최후의 등장에서의 블랙 매지션의 "나의 혼, 당신에게 바친다"랑 어둠의 유우기의 "나의 최강의 심복" 이라는 대사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03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7.2.7. 흑마술의 비의

파일:黒魔術の秘儀(TTP1).jpg 파일:黒魔術の秘儀(イラスト違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흑마술의 비의,
일어판 명칭=<ruby>黒魔術<rp>(</rp><rt>くろまじゅつ</rt><rp>)</rp></ruby>の<ruby>秘儀<rp>(</rp><rt>ひぎ</rt><rp>)</rp></ruby>,
영어판 명칭=Secrets of Dark Magic,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을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3=●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을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드디어 나온 매지션즈 로드, 흑의 마도진, 흑마술의 계승으로 서치할 수 있는 블랙 매지션 전용 융합 & 의식 카드[30]이자, 의식이나 융합 소환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카드로, 의식 소환도 가능한 융합 카드는 이 카드가 최초다. 융합과 의식이 가능하다는 점으로만 봐선 초월융합과 비슷하지만, 초월융합은 몬스터의 융합 소환 후, 융합 소재 몬스터를 필드로 불러와 의식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등의 특수 소환으로 이을 수 있지만, 이쪽은 둘 중 하나만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얼핏 보면 융합 소재를 줄여주는 것도 아니고 깡아드 3장을 써서 융합 몬스터를 뽑는 고전 융합과 똑같아 저평가 당하기 쉽지만, 이 카드의 진짜 가치는 서치도 가능하고 디메리트도 전무한 속공 융합이라는 데에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배틀 페이즈에 공격이 끝난 몬스터끼리 융합하여 추가타로 안심하고 있던 상대를 뜬금킬 내는 것이 있으며, 영혼의 심복의 드로우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패의 블매/블매걸을 묘지로 보낸 후 심복의 묘지 효과 + 초마도사의 효과로 빠르게 아드를 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지션즈 로드에 무한포영이나 뵐러가 날아왔을 때 이 카드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가 가능하며, 영원의 혼이 터지는 타이밍에 이 카드로 초마도사를 융합 소환하여 디메리트를 최소화하는 등 무궁무진한 활용도가 있다. 이후에 묘지의 블매나 블매걸 한 장만을 소재로 융합하는 속공 융합 카드가 등장하였으나 턴당 1장 발동 제약에 이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는 다음 턴의 종료 시에 제외된다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있어, 융합축 블매덱에서의 입지는 지킬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도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라는 강력한 융합 에이스도 있었지만, 초마도사와 초마도전사 같이 새로운 고효율 융합 몬스터를 받은 블랙 매지션에게 걸맞은 매우 좋은 지원. 이후 초마도용기사가 금지에서 해제됨에 따라 이 카드의 파워도 올라갔다.

반면 의식 쪽은 그다지 쓸 일이 없었다.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는 사실상 블매덱과 연계성이 없고, 매지션 오브 카오스 역시 실전성이 높다고 보기 어렵다. 원작의 의식 위주의 플레이를 구현한 로망적인 요소에 가깝다. 그나마 고성대 사우라비스가 레벨7 드래곤족 패 트랩 의식 몬스터이기 때문에 의식 소환이 이론상 가능은 하지만, 이럴 바에야 블매 + 고성대로 용기사를 꺼내는 것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예능 플레이에 가까웠다. 이후 일루전 오브 카오스가 등장하면서 의식 소환도 고려해볼만 하게 되었다. 이후 마이아즈마 네크로맨서를 통해 블카맥의 덤핑 및 회수가 용이해지면서 상대 턴 블카맥 소환으로 몬스터 락을 거는 콤보의 실전성도 크게 상승하였다.

일러스트는 카오스-흑마술의 의식을 모티브로 했으며 아래는 흑마술의 의식에 등장한 황금 의식 도구가 있고 위는 융합을 의식한 소용돌이가 그려져 있다. 신규 일러스트는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가 강림한 모습이다. 마침 일러스트대로 비의로 매오블 소환이 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2019-11-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JP004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21-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1TP-JP401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1 Vol.4
2024-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JP011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21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20-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6-EN004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2022-07-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DS3-EN096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04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11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21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7.2.8. 티마이오스의 안광

7.3. 지속 마법

7.3.1. 흑의 마도진

파일:黒の魔導陣(TTP1).jpg 파일:黒の魔導陣(イラスト違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흑의 마도진,
일어판 명칭=<ruby>黒<rp>(</rp><rt>くろ</rt><rp>)</rp></ruby>の<ruby>魔導陣<rp>(</rp><rt>まどうじ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al Circl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확인한다. 그 중에서 "블랙 매지션" 1장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패에 넣을 수 있다. 남은 카드는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위로 되돌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지속 마법 발동! 흑의 마도진!" (발동시)
"흑의 마도진의 효과로 네 카드를 1장 제외하겠어!" (효과 사용시)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탁월한 마도사가 다루는 마법진을 떠올리게 하는 아이콘 프레임.
그 힘은 앞을 내다보아, 승리로 향하는 힘이 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프레임 설명
1번 효과는 블랙 매지션 덱판 노 디메리트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 서치에 실패해도 기본적으로 덱 카드 확인+조작이 가능하다. 대상 카드가 있으면 어드밴티지+1로 패 소모없이 이 카드를 발동하게 된다. 대상이 되는 카드의 주의점은 매지션즈 로드에 자세히 써 있으니 그쪽을 참고하자.

대상 카드가 없으면 패에 넣을 수 없어 안정성은 욕겸에 비해 떨어지지만, 그쪽과 달리 디메리트가 없어 정상적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또한 욕겸과 달리, "확인한다" 텍스트여서 보는 3장은 상대가 못 본다. 그래도 영혼의 심복을 흑의 마도진의 발동 전에, 혹은 체인해서 발동하면 비록 2:1 교환이긴 하나 디메리트 없이 확정 서치로 바꿀 수 있다. 거기다 자신이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 조정도 가능하다.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가 있다면 덱 조정 후 가장 위로 설정한 카드를 드로우할 수 있으며, 그게 아니더라도 증식의 G 등을 활용해 어느걸 먼저 드로우할지 정해놓을 수도 있다. 덱 조정 시 패 트랩이 있었다면 상대 턴에 증G로 패 트랩을 드로우하고, 그 턴에 바로 써먹는 플레이도 가능. 단, 소울즈나 로드 등으로 인한 덱 셔플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봤을 때에는 빙고머신 GO! GO!처럼 단독으로 써도 최소한 1장은 가져오는 다른 테마들에 비해 이 카드는 단독으로 써도 못 가져오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상당히 나사 빠진 효과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효과이다. 원본 블매 외에는 마법/함정만 대상이라 로드 등 블매 테마 몬스터를 보고도 못 가져오는 것도 상당히 불편한 점. 또한 블매 테마 기믹을 두껍게 가져가야 작동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마도진의 1번 효과를 제대로 쓰기 위해 덱을 짠다면 덱이 무거워지고 범용 카드를 투입할 공간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2번 효과로 블랙 매지션이 나올 경우에 노코스트로 상대 카드를 1장 제외시키는 효과를 지녔다.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이나, 매지션 오브 카오스, 용기사 블랙 매지션, 멸망의 흑마술사,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은 전부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므로 소환되자마자 즉시 제외빔을 날릴 수 있다. 상대 턴에도 몬스터가 튀어나오는 블랙 매지션 덱 특성상 상대의 전개를 방해할 때 매우 유용하다. 강력한 성능 때문에 지속 효과에도 카드명이 직접 거론된 1턴에 1번 제한이 붙어있다. 필드에 이 카드가 여러 장 깔려있거나, 블랙 매지션이 몇 번이나 소환 되어도 딱 1번밖에 제외 할 수 없다는 말.

영원의 혼과 연계하면 블랙 매지션이 박살나는 순간 바로 부활하고 애꿎은 상대 필드의 카드만 1장이 날아가기 때문에 함부로 블랙 매지션을 건드리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간접 압박 식으로 쓸 수도 있고, 링크 소환이나 매지션즈 로드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을 계속 치워서 능동적으로 쓰는 것도 가능하다. 이 카드 자체도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포함된 카드"이므로 여러 카드의 서포트를 받는다. 단 유령토끼는 조심하자. 또한 제외 효과는 데미지 스텝시에는 발동이 불가능하니 참고. 수호신관 마하드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의 유언 효과로 나오는 블랙 매지션이 대표적인 예시다.

블랙 매지션 덱의 상징적인 카드지만, 블랙 매지션의 낮은 성능의 원인으로 지적받는 카드이기도 하다. 본래 이 카드가 발매된 9기 TDIL 시절에는 게임 스피드가 느렸던 때라 욕겸 효과가 나쁘지 않았고, 블매덱의 메인 기믹을 두껍게 가져가도 손해는 아니었다. 또한 영원의 혼과 맞물리는 견제 효과로, 초동과 결과물을 겸하는 역할으로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후 1번의 욕겸 효과는 원 핸드 전개가 판치는 11기 이후 게임에서 사실상 초동으로 기능하지 않아 없는 효과나 다름없으며, 그마저도 재미를 보려면 심복 등 다른 카드들의 도움을 받아야 겨우 확정 서치가 가능하다. 2번 효과의 1장 제외의 경우 겨우 1제외밖에 못한다는 점은 마도진을 서치권을 써서 직접 찾아오는 결과물로는 3파츠 1장 대상 지정 제외로 아드 교환비가 너무 낮다. 블매의 혼-마도진 기믹을 수정해서 도입한 푸른 눈의 경우 혼 역할의 진정한 빛이 2:2 서치 카드인 파란 눈의 기도를 가져오고, 기도는 몬스터 서치로 이펙트 뵐러와 비대상 광역 파괴 함정인 하얀 용의 위광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으며, 뵐러 대신 하얀 소녀를 가져오면 진빛을 설치할 수 있어 진빛-기도-소녀 간에 서로를 서치하는 순환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하얀 소녀 원 핸드만으로 기본 2방해 후열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영원의 혼은 '흑·마·도' 혹은 '사우전드 나이프'만을 지정하고 있어 마도진을 직접적으로 가져오지도 못하고, 그렇게 3파츠를 투자해 세운 빌드는 너무 가성비가 낮다는 점이 비판받는다.[31] 또한 범용 일반 몬스터 서포트인 원석 파츠가 어나더 베릴 일반 소환만으로 황맥(매 턴 블매 소환=혼 대체 가능)+천광(프리 체인 대상 지정 제외 겸 퍼미션=마도진 대체 가능)을 확보할 수 있어서 마도진의 성능 문제에 대한 비판은 더욱 강해졌고, 13기 이후 실전적인 블매덱 구축에서는 마도진이 아예 빠지는 경우가 늘었다. 설령 투입해도 1장만 투입한다.

모티브는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등장하는 팩의 유우기 뒤에 존재하던 마법진이다. 애초에 블랙 매지션의 일러스트 대부분에 등장하는 것을 보면 블랙 매지션들[32]의 상징인 듯. 신규 일러스트는 블랙 매지션이 소환될 때 상대 카드를 제외하는 듯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수록 시리즈
2016-04-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JP057 | ザ・ダーク・イリュージョン [ THE DARK ILLUSION ]
2018-1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TH-JPB05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19-11-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JP009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2022-12-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B1-JP030 | 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2024-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JP009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19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2016-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KR057 | 더 다크 일루전
2019-0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BI-KRB05 | 크로니클 바인더
2020-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23-KR009 |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6 -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09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025-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KR019 | 택티컬 트라이 팩 -흑마도 / 히어로 / 미캉코-
2016-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EN057 | THE DARK ILLUSION
2017-08-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7-EN100 | 2017 MEGA-TINS MEGA PACK
2017-10-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D-ENA15 | LEGENDARY DRAGON DECKS
2019-04-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PO-EN051 | DUEL POWER
2020-0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6-EN009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2022-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8-EN024 | OTS TOURNAMENT PACK 18
2022-07-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DS3-EN093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7.3.2. 결속된 힘

푸른 눈의 백룡과 공통 서포트 카드. 블랙 매지션을 소재로 융합/의식시 발동되는 지속 효과가 있다.

7.4. 장착 마법

7.4.1. 마술의 주문서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을 동시에 지정하는 카드. 현재는 안 쓰인다.

7.5. 의식 마법

7.5.1. 카오스 폼

7.6. 필드 마법

7.6.1. 매지션즈 샐베이션

파일:マジシャンズ・サルベーション(TTP1).jpg 파일:MagiciansSalvation-MP21-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샐베이션,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サルベーション,
영어판 명칭=Magician's Salv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영원의 혼"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이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을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그 중의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자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무려 20년 넘게 걸려 나타난, 블랙 매지션 덱의 필드 마법.

①의 효과는 전뇌계도-지우롱처럼 영원의 혼을 덱에서 세트하는 효과. 일단 하루 우라라를 무시한다는 점이 매력적이며, 혼은 블랙 매지션을 안정적으로 매 턴 특수 소환시켜주니 ②의 효과 발동 조건을 채우기도 좋다. 또한 세트는 임의라 덱에 해당 카드가 없어도 이 카드는 발동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나머지 한 쪽을 소생시키는 효과. 발동을 위해서는 한 쪽이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다른 쪽이 묘지에 존재해야 한다. 특수 소환 / 서치 / 덤핑 수단이 윤택한 블랙 매지션에 비해 블랙 매지션 걸은 비교적 딸리는 편인지라 채용하겠다면 해당 카드를 의식하고 덤핑하도록 하자. 매지션즈 콤비네이션과 상성이 좋아 해당 카드가 릴리스한 몬스터를 즉석에서 이 효과로 소생시킬 수 있다. 단, 이럴 경우 한 쪽이 묘지에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콤비네이션의 조건 충족이 애매해질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당연하지만 대상 효과이므로 영원의 혼 등으로 블랙 매지션을 소환했다면, 이 카드의 처리가 끝날때까지 블랙 매지션을 매지션즈 로드 코스트로 치운다든지 하면 불발된다.

걸을 쓰는 구성이라면 당연히 유용하고, 아니더라도 ②의 걸 관련 효과를 무시하고 단순히 우라라를 피하는 혼 서쳐로도 효율이 좋다. 같이 출시된 합체룡의 코스트로 쓰기도 좋고, 소울즈의 드로우 효과 코스트로도 사용되기에 1장은 필수 투입된다. 테라포밍이나 메타버스를 넣어 본 카드는 물론 마법족의 마을같은 블매에게 잘 맞는 범용 필드 마법을 골라 쓰기도 좋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MG_saves_Mahado.png

일러스트는 원작 왕의 기억 편에서 마나의 정령수 블랙 매지션 걸이 도적왕 바쿠라와 대결하던 스승의 혼이 깃든 정령수 블랙 매지션을 위기에서 구해내는 장면에서 따왔다. 그야말로 샐베이션(구원)이란 단어에 걸맞은 일러스트.

원래는 탄압된 수출판 일러스트가 내수판보다 먼저 공개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일정 변경으로 WORLD PREMIERE PACK 2021이 먼저 출시되면서 내수판 일러가 먼저 공개되었다. WORLD PREMIERE PACK 2021 한글판에서는 울트라 레어는 수출판 일러, 시크릿 레어는 일본 내수판 일러로 수록되었다. 하지만 시크릿 레어는 봉입률이 극악이다.[33]

레어리티 컬렉션 -쿼터 센츄리 에디션-에서 재록되었다. 한글판의 경우 수출판 일러로만 나온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WORLD PREMIERE PACK 2021 WPP2-JP062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8. 함정 카드

8.1. 일반 함정

8.1.1. 매지션즈 내비게이트

파일:マジシャンズ・ナビゲート.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agicianNavigation-TDIL-KR-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내비게이트,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ナビゲート,
영어판 명칭=Magician Navigation,
효과1=①: 패에서 "블랙 매지션"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레벨 7 이하의 마법사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존재할 경우\,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우리를 이끌어줘! 매지션즈 내비게이트! - 듀얼링크스에서 안수진(DSOD) 전용 대사

①효과는 패에서 블랙 매지션을 불러내면서 동시에 덱에서 레벨 7 이하의 어둠 속성 마법사족을 불러내는 효과. 블랙 매지션을 패에 넣는 것은 소환사의 스킬이나 일루전 매직, 환상의 견습 마도사 등으로 그리 어렵지 않고 발동 기회는 잡기 쉬운 편이다. 블랙 매지션에 더해 효과로 정말 수도 없이 다양한 어둠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를 불러낼 수 있다. 블랙 매지션을 또 1장 부르거나 환상의 견습 마도사를 불러 블랙 매지션을 서치할 수도 있고,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 그리고 일러대로 블랙 매지션 걸 등등을 부를 수 있다. 블랙 매지션 걸의 경우 속공 마법인 흑・폭・열・파・마・도와 연계해서 상대 필드를 쓸어버릴 수도 있다. 혹은 가가가 매지션을 불러와 랭크 1, 3, 4, 6, 7 엑시즈 소환을 시도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에라타 먹고 풀린 검은 숲의 마녀 역시 대응한다. 이외에도 싱크로 소재, 융합 소재, 의식 소재, 링크 소재 등등 정말 많다.

튜너를 불러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가는 것도 가능. 나이트엔드 소서러를 불러 상대 묘지를 털고 하늘빛 눈의 은룡 등의 레벨 9 싱크로 몬스터로 잇는 것은 마스터 룰 3 당시 대회 덱들, 그리고 듀얼링크스에서도 심심찮게 보였다.

그 외에도 묘지 제외를 막기위해 영멸술사 카이쿠를 부르거나 블랙 매지션과 레벨 6, 7의 어둠 속성 마법사족을 불러내면 어둠의 마법신관의 코스트로도 가능하다. 여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는 무궁무진하다. 대신 소환이 2번에 걸치는 만큼 증식의 G[34] 등을 조심할 것.

②효과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류의 앞면 마법 / 함정 무효화 효과. 발동 시 효과 처리도 무리없이 막아낼 수 있고, 상대를 위기에 몰았을 때 더욱 강력해지는 효과로, 상대의 역전의 패를 틀어막고 묘지의 매지션즈 로드, 매지션즈 로브 및 패의 매지션 오브 블랙 일루전의 효과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대신 ①효과를 사용한 턴 바로 쓸 수 없고 그 전 턴에 묘지로 보내져야 하므로, 3턴에 굳히기로 쓰거나 전턴에 코스트로 버려 두는 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 카드와 매지션즈 로드의 서치 효과 덕에 흑의 마도진의 사용 조건이 한결 느슨해졌다. 그리고 이 카드는 1턴에 1번이라는 제약이 없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TCG권에서는 시크릿 레어로 올려버렸다.

허나 11기 이후 시점에는 함정 카드라 속도가 느릴 뿐더러 우라라로 막히고 패에 블랙 매지션이 있어야한다는 점 때문에 잘 쓰지 않는다. 넣어봐야 1장 정도. 이마저도 1번 효과를 노리고 투입하는게 아닌 2번 효과를 노리고 투입하는 카드가 되었다.

해외판에서는 블랙 매지션 걸의 가슴이 역시 얄짤없이 탄압받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블랙 매지션 덱의 강세가 이어지자 결국 이 카드가 제한 3을 받게 되었다. 이후 23년 8월 제한 해제되었다.

일러스트의 모티브는 원작에서 도적왕 바쿠라의 디어바운드한테 접근하는 블랙 매지션의 모습을 참고하였다(블랙 매지션 걸은 덤).[35] 이어서 공격하는 모습이 흑마도.

8.1.2. 기적의 부활

버스터 블레이더와 서포트를 공유하는 함정 카드. 마력 카운터와도 연관이 있다.

8.1.3. 대치의 숙명

푸른 눈의 백룡과 공통 서포트 카드. 필드에 블랙 매지션만 있으면, 상대 몬스터를 싸그리 무효시켜버리는 강력한 카드.

8.1.4. 흑마술의 방어막 거울의 힘

빛의 황금궤와 공통 서포트 카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의 블랙 매지션 테마 리메이크.

8.1.5. 흑마술의 호부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5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葬角のカルノヴルス.jpg
파일:聖月の魔導士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うかのみつねのたまゆら.jpg
파일:心を凍らせるスノークリスタル.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263
장각의 카르노불스
VJMP-JP264
크레센트 오브 마기스토스 엔디미온
VJMP-JP265
우카노미츠네노타마유라
VJMP-JP266
마음을 얼리는 스노우크리스탈
파일:ダークリボー.jpg 파일:試号閃刀姫-アマツ.jpg 파일:ドローパン.jpg 파일:黒魔術の護符.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270
다크리보
VJMP-JP271
시호섬도희-아마츠
VJMP-JP272
드로우빵
VJMP-JP273
흑마술의 호부
파일:熒焅聖 アレクゥス.jpg 파일:教導の死徒.jpg 파일:トレジャー・パンサー.jpg 파일:磁石の戦士Ω+.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277
형곡성 알레쿠스
VJMP-JP278
채플린 드래그마
VJMP-JP279
트레져 팬서
VJMP-JP280
마그넷 워리어 Ω+
정기구독 특전
VJMP-JP267 문 매지션
VJMP-JP268 문 가드너
VJMP-JP269 스타쉽 어저스트 프레인
VJMP-JP274 계약을 맺은 드래곤 워리어
VJMP-JP275 아인 로이드
VJMP-JP276 요마 누리카베
}}}}}}}}} ||
← 2024년2026년 →


파일:黒魔術の護符.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흑마술의 호부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黒魔術<rp>(</rp><rt>くろまじゅつ</rt><rp>)</rp></ruby>の<ruby>護符<rp>(</rp><rt>ごふ</rt><rp>)</rp></ruby>,
영어판 명칭=Dark Magic Amule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는 패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도 있다.,
효과1=①: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 효과의 발동에 체인하여\,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이 턴에\, 그 몬스터와 원래 카드명이 같은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했을 경우\, 25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V점프 동봉으로 나온 함정 카드.

함정 카드면서도 조건에 따라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있으며, 스스로의 유발 효과로 자체적인 세트도 가능하기에 함정 카드지만 실질적으로 속공 마법 이상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자랑한다. 이는 하술할 효과 구조의 특성과 시너지를 일으켜 독보적인 탱킹력을 발휘한다.

①의 효과는 소위 퍼미션을 카운터치는 퍼미션 효과로, 단순히 서치 효과에 날아오는 우라라 등의 패트랩을 받아내주는 것은 물론이며, 흑마도 등 자신이 사용하는 제거류 마법에 대한 몬스터 퍼미션을 막아주는 역할도 해주고, 또 그냥 증식의 G나 니비루 등의 프리체인 카드를 체인해서 던졌을 경우 낼름 받아먹어줄 수도 있다. 잔존 무효 효과는 소소한 덤. 그러나 이 잔존 무효는 자신한테도 적용된다. 비록 자기 턴에 패트랩을 쓸 일은 거의 없겠지만, 이왕이면 숙지해두는게 좋을 것이다. 그리고 몬스터의 효과 한정이기에, 무한포영 등은 카운터칠 수 없다는 짐에도 유의. 또한 매지션즈 소울즈 등의 패에서 발동하는 카드를 발동할 경우, 패에서 발동한 카드는 이미 공개된 카드이므로 그 카드를 다시 공개해서 이 카드의 세트된 턴에 발동이 가능해지는 조건을 만족할 수는 없다.

②의 효과는 블랙 매지션이 특수 소환되었을 때 스스로를 다시 세트하는 유발 효과. 라이프 코스트가 크긴 하지만 블랙 매지션 덱에서 이 카드와 흑마술의 커튼을 제외하면 딱히 LP를 소모할 일이 없기 때문에 2번 정도 쓰는 것은 문제 없을 것이다. 효과 타이밍상 발동하는 것만으로도 멸망의 흑마술사의 서치 효과를 좀 더 안전하게 통과시킬 수 있으며, 세트되는 즉시 또 ①의 효과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발동에 대해서 카드명처럼 강력한 수호 능력을 누릴 수 있다.

이 카드의 가장 큰 장점은 ①②의 효과에 명칭 제약이 없다는 것이다. ①의 효과를 사용해 상대의 패 트랩을 막아낸다면 높은 확률로 ②의 효과도 쓸 수 있을텐데, 그 경우 상대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눈 뜨고 코 베이는 수준의 경험을 하는 셈이다. 하다못해 비슷한 카드인 무덤의 지명자를 맞아도 패 트랩 1장과 상대 패 1장을 교환했다 위안 삼을 수 있다면, 이 카드에 당하면 아예 패 트랩을 쓰지 않으니만 못했다 느끼게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잘못 걸리면 본전조차 되지 못한다는 상황을 이용해, 블랙 매지션 유저는 아무 마함이나 세트해놓고 소위 블러핑을 시도할 수도 있다.[36]

아쉬운 점은 오직 몬스터의 효과에만 대응한다는 점. 상술했듯 무한포영을 못 막는 것도 문제지만 상대가 마법/함정 카드로 효과를 무효화하는 걸로 대응해온다면 블랙 매지션 입장에서는 여러모로 속속무책이다. 또한 자신의 카드 발동에 대해서 발동한 카드에만 대응한다는 점도 아쉬운 부분. 블랙 매지션이 서치 효과가 보호 받아야 함은 사실이나, 그만큼 마함 제거 효과에도 보호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도와줄 만한 카드에는 여러모로 준비과정이 길다보니 체인 없이 날아드는 마함제거기에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점은 조금 아쉽긴 하다.[37]

사족으로, 직전에 공개된 택티컬 트라이 팩의 지원카드들이 성능 자체가 부실하거나 블매 덱보다 다른 덱에서의 용병 채용이 어울리는 디메리트를 가지고 있어서 블매덱 유저들의 원성을 샀는데, 이 카드는 확실히 타 지원 카드 대비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고 블매덱 외에는 사실상 채용할 메리트가 없다시피해서 블매 유저들의 설움을 달래주었다.
수록 시리즈
202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273 | Vジャンプ8月特大号 付録カード

8.2. 지속 함정

8.2.1. 영원의 혼

8.2.2. 매지션즈 콤비네이션

파일:マジシャンズ・コンビネーション.jpg 파일:MagiciansCombination-LED6-EN-U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매지션즈 콤비네이션,
일어판 명칭=マジシャンズ・コンビネーション,
영어판 명칭=Magicians' Combination,
효과1=①: 1턴에 1번\,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자신의 패 / 묘지에서 골라 특수 소환하고\, 그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한다.,
효과2=②: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스승과 제자의 콤비네이션을 똑똑히 보여주겠어! 지속 함정 발동! 매지션즈 콤비네이션! - 듀얼링크스에서 안수진(DSOD) 전용 대사

①의 효과는 효과가 발동했을 때 필드의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을 릴리스해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를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고,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패, 묘지에 또 나머지 한 쪽을 갖출 필요가 있다. 코스트는 무겁지만 양쪽 모두 서포트 카드가 풍부하므로 필드 / 패 / 묘지에 준비해두기 쉽다. 소생으로 실질적인 손해도 없으니 상대 견제로서 충분한 효력을 발휘해준다. 발동 조건을 갖추면 반 영구적으로 코스트를 준비할 수 있어 묘지 자원은 가능한 빨리 채워두는 것이 좋다. 이 카드도 매지션즈 로드나 흑마술의 계승으로 서치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의 발동 제한도 없으니 여러 장을 필드에 준비해두면 강력한 포진이 된다. 그러나 TCG판에 보이듯 데미지 스탭 때는 발동할 수 없으니 주의할 것.

이론적으론 좋지만 무덤의 지명자를 채용하는 덱이 환경에 많고, 덱에 1장 넣은 블랙 매지션 걸이 제외되면 사용할 수 없는 카드라는 것을 감안 했을 때 무조건 좋다고 말하긴 어렵다.

참고로 재정상 이 카드로 묘지의 용기사 블랙 매지션을 꺼낼 수 있을지 언정, 용기사 블랙 매지션을 코스트로 블랙 매지션을 꺼내는 플레이는 불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앞면 표시로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하는 효과. 이 카드 자체가 카운터 능력을 갖추고 있어 상대에게 큰 소모를 강요하게 된다. 매지션즈 소울즈 등을 사용해 자발적으로 치워버리는 것도 좋다.

종합하자면 블랙 매지션 걸 운용의 핵심 격으로 나온 카드이지만 정작 활용도는 블랙 매지션 걸 관련 신규 지원들 중 가장 애매하다. 초마도사, 소울즈, 영혼의 심복 등은 전부 블랙 매지션 걸이 없어도 쓸만하고 있으면 훨씬 좋은 성능으로 발매된 덕에 무리하게 블랙 매지션 걸을 덱에서 꺼내오지 않아도 기존 콤보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고 블랙 매지션 걸이 날아가도 별 타격이 없는 반면 이 카드만은 블랙 매지션 걸이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블랙 매지션 + 블랙 매지션 걸을 모두 서치/덤핑한 후 블랙 매지션 걸을 지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 그렇게 해서 얻는 이 카드의 효과가 파격적인가 하면 또 그것도 아닌지라 퍼미션은 다른 카드에 맡기고 영원의 혼 + 흑의 마도진 콤보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성으로 보나 파워로 보나 낫다는 것이 대부분 유저들의 결론.

슬픈 점은 아이러니하게도 블랙 매지션 테마 내에서 그나마 서치가 가능하고 원하는 타이밍에 사용 가능한 퍼미션을 제공가능한 카드는 이 카드가 유일하며, 블매에 채용 가능한 범용 퍼미션은 1회용인데 비해, 이 카드는 지속적으로 1턴의 1번의 퍼미션을 준다는 점.

여러모로 경쟁력이 없다고 하기엔 너무 무거운 주제에, 성능은 강하다고 하기도, 약하다고 하기에도 애매하기 그지없는 성능을 가지고 있는 카드.

마술사의 제자-블랙 매지션 걸 출시 및 택티컬 트라이 팩 이후로는 마도진-혼을 포기하고 이 카드를 주력 견제기로 사용하는 구축도 연구되고 있다. 제자는 필드에서 블매걸 취급이며, 빛의 황금궤로 서치 및 소환도 쉬운데, 원석의 황맥을 통해 혼 없이도 필드에 블매를 남기는 건 어렵지 않아서 원본 블매걸의 말림성을 감안해도 차라리 마도진+혼 조합보다 운용이 더 쉽다는 재평가를 받고 있다.
파일:Magicianscombination_origin.png 파일:DMG_reading_up.png

일러스트의 구도는 원작 배틀 시티 결선 편의 최종전인 어둠의 유우기vs어둠의 마리크 전에서 디멘션 매직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한 장면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한 편, 블랙 매지션 걸은 원작에서 마술의 주문서를 장착해 강화했을 때의 자세와 비슷하게 보여준다.

자세히보면 놓칠 수 있는 부분이지만 해외판은 블랙 매지션 걸의 오망성이 탄압되었으나 대신 가슴골은 드물게 탄압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는 초마도사 블랙매지션즈랑 극장판 특전 블랙매지션 걸, 매지션즈 프로텍션도 마찬가지.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デュエリストパック-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05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9. 기타 서포트 카드

효과 텍스트나 융합 소재 등에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적혀있지 않으나, 명백히 블랙 매지션과 연관되어있다는 공식 언급이 존재하고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지는 않아도 서포트 카드에서 지정하거나 효과상으로 연이 있는 카드들.

9.1.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

기사의 칭호로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 해당 몬스터 자체에는 효과 텍스트에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기입되어있지 않아 서포트 대상이 아니다.

9.2.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원작에서 블랙 매지션을 의식 소재로 사용한 진화체. 블랙 매지션 걸이 블랙 매지션과 동선상에서 효과 참고용으로 기입하고 있다. 이 카드를 오마쥬한 카드들은 블랙 매지션의 서포트 카드로 분류된다.

9.3. 환상의 흑마도사

블랙 매지션을 오마주한 엑시즈 리메이크. 랭크 7이며 마법사족 일반 몬스터를 서포트하는 효과를 가졌다.

9.4. 허공의 흑마도사

마찬가지로 블랙 매지션을 오마주한 엑시즈 리메이크. 어둠 속성 마법사족을 서포트하는 효과를 가졌다.

9.5. 티마이오스의 눈

"블랙 매지션"이라는 몬스터를 지정하는 건 아닌 탓에 서포트 카드로 치지 않는다는, 상당히 비직관적인 재정을 가진 카드다. 이와 관련된 얘기는 매지션즈 로드 참고.

10. 관련 카드

블랙 매지션을 공식적으로 오마주하거나 혹은 이름이 유사하고 디자인 상으로 명백하게 비슷한 카드들이다. 하지만 효과상으로는 관련이 없다.

11. OCG화되지 않은 카드

11.1. 라그나로크

11.2. 블랙 스피어

한글판 명칭 블랙 스피어
일어판 명칭 ブラック・スピア
영어판 명칭 Dark Spear
장착 마법
필드에 "블랙 매지션"에 장착 가능. 필드 위에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할 때, 장착된 몬스터의 공격력이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비력을 넘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 포인트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유희왕 애니메이션 224화에 등장한 장착 마법. 이미 제약이 없는 관통 장착 마법인 메테오 스트라이크가 있기 때문에 나와도 쓸 사람이 있을지는... 나온다고 하더라도 부가 효과가 붙거나 장착 조건을 널널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11.3. 블랙 스파이럴 포스

파일:external/images.wikia.com/DarkSpiralForce-TF06-JP-VG.png
한글판 명칭 블랙 스파이럴 포스
일어판 명칭 ブラック・スパイラル・フォース
영어판 명칭 Dark Spiral Force
일반 함정
필드에 "블랙 매지션"이 존재할 경우, "블랙 매지션"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엔드 페이즈까지 배로 한다. 이번 턴, "블랙 매지션"은 공격할 수 없다.

sin 몬스터의 공격력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한 함정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버전으로 "네오스 스파이럴 포스"라는 카드도 같이 나왔다.

12. 같이 쓰면 좋은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같이 쓰면 좋은 카드|같이 쓰면 좋은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둘러보기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어둠의 유우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서브 에이스 에이스
원작 · DM
데몬 소환
암흑 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버스터 블레이더
블랙 매지션 걸
크리보
DM
티마이오스의 눈
R
아르카나 나이트 조커
OCG · GX
카오스 솔저 -개벽-
블랙 매지션
DSOD
수호신관 마하드 ||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원작 · DM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DM
검은 옷의 대현자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
애뮤릿 드래곤
빛의 피라미드
어둠의 마법신관
OCG
혼돈의 흑마술사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
용기사 블랙 매지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초마법 기사 블랙 카발리
원작 · DM 초반
봉인된 엑조디아(유실)
토에이
메테오 블랙 드래곤
DM / GX
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
}}}}}}}}} ||

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사일런트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 빛의 황금궤
<rowcolor=#000>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핵심 마법 카드
DM
데몬 소환
암흑 기사 가이아
버스터 블레이더
블랙 매지션 걸
DSOD
암흑 기사 가이아로드
매지션 걸
OCG
데몬 광래
마술사의 제자-블랙 매지션 걸
원작 · DM
블랙 매지션
파괴룡 간드라
사일런트 스워드맨
사일런트 매지션
DSOD
파멸룡 간드라X
OCG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파괴룡 간드라G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
원작 · DM
봉인의 황금궤
OCG
빛의 황금궤
}}}}}}}}} ||



[1] 매지크리보는 악마족, 블랙 플레어 나이트는 전사족.[2] 초창기 주인공의 에이스치고는 오랫동안 카드군화되지 않았다가 티마이오스의 눈이 "블랙 매지션" 몬스터를 지정하면서 3인방의 에이스 중 2번째로 카드군이 되었다.[3] 왼쪽부터 블랙 매지션 걸, 블랙 매지션이다.[4] 이후 버스터 블레이더는 독자적인 카드군으로 독립했고, 블랙 매지션 걸 또한 매지션 걸이라는 카드군이 있지만, 블랙 매지션 걸 자체가 블랙 매지션이 없으면 아무 능력이 없는 카드가 되어버리는 데다가 매지션 걸 카드군도 성능은 둘째치고 블랙 매지션 걸을 넣어봤자 딱히 좋을 것도 없어서 넣지 않는다.[5]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 툰 블랙 매지션 걸,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 이후에 툰 블랙 매지션, 용기사 블랙 매지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용마도 기사 블랙 매지션,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 마술사의 제자-블랙 매지션 걸이 추가로 나왔다.[6] 당시에는 숙련된 흑마도사와 흑마도의 집행관 뿐이었다.[7] 'Yu-gi-oh! CARD GAME CHRONICLES'에서 블랙 매지션 파트, 섬도희 파트의 캐릭터 디자인과 작화감독을 담당했다.[8] 흔히 서큘러류로 불리는 효과다. 묘한 건 이 카드가 참기 서큘러보다 2~3년 전에 나왔다.[9] 자신을 소환하는 장소가 ‘패’여서 못하고, 사제 중 1명을 소환하는 건 ‘묘지’에서 소환하기 때문.[10] 흑마술의 커튼이나 코스모브레인, 흑마술의 베일 등이 있긴 하지만 다 문제투성이였다. 흑마술의 커튼은 디메리트가 궤멸적이라 사실상 안 쓰였다. 코스모브레인은 서치할 방법도 없는데다가 패에서 블랙 매지션까지 동시에 잡혀야 한다. 흑마술의 베일도 서치할 수 없는데 패나 묘지에 블랙 매지션이 있어야 한다.[11] 이후에 진짜로 수호신관 마하드에 이어 수호신관 마나가 발매되었다.[12] 공식에서 밝힌 제재 사유는 "패를 줄이지 않고 사용 할 수 있는 일반 마법 카드의 증가에 따른 선턴킬 가능성의 증가"다. 하지만 상술된 스킬이 OCG에 비해 선턴킬 난이도를 대폭 낮춘 것도 사실이다.[13] 참고로 이 카드는 듀얼 링크스 초창기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효과 대미지가 OCG의 절반으로 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즉 이 카드를 꺼낸 후 일반 마법 4장만 쓰면 선턴킬이 되는데, 그 절반인 2장이나 덱 외부에서 패로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14] 마찬가지로 같은 시기에 스트럭처 덱 커버로 등장한 붉은 눈의 암룡 역시 죠노우치 카츠야와는 무관하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텐죠인 후부키의 카드로 등장했다.[15] 리더 뿐만 아니라 다른 멤버도 숙련된 흑마술사를 사용한 것을 보면 멤버들 대부분이 팀 이름답게 블랙 매지션 덱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작 블랙 매지션이 직접 등장하는 일은 없었지만.[16] 블랙 매지션은 특성상 패 소모가 심하고 보충을 쉽게 할 수 있는 테마가 아니다. 때문에 욕탐같은 항아리 카드 채용률이 높은 편. 이런 덱에서 패3장 소모 융합은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17] 다만 이럴 경우 이 카드를 소울즈로 묻는 목적이 아닌 정규 소환되고 난 뒤 이미 묘지에 있는 매오카 지정이 가능하다.[18] 네 번째로는 크로니클 소서리스.[19] 이 카드의 효과로 매지션즈 로드 - 흑마술의 비의나 블랙 매지션을 서치한 뒤 흑마술의 비의로 블랙 매지션을 릴리스해 이 카드를 의식 소환하면 이 카드의 모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20] 매오카는 용기사 블매와 같이 필드/묘지에서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하고 매오블은 필드에서만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한다. 이후 출시한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은 매오블과 같이 필드에만 블랙 매지션 취급하는 효과를 지니게 되었다.[21] 단풍나무 아가씨는 10월 10일에 추가되어 무려 8개월 즈음이 더 흘러 실장되었다.[22] 엄밀히 말하면 저쪽과 달리 마법 카드의 효과이기에 전턴에 발동하고 필드에 남아있는 지속의 효과나 묘지 효과 등을 발동한 턴이라도 충족돼서 범위가 더 넓다.[23] 기존의 베르테축과 비교하면 채용 파츠 수는 거의 같고 저쪽은 아무 몬스터나 2장 꺼내면 되는 대신 메인덱 카드 3장이 사실상 전부 호감패라는 게 차별점이다. 이쪽은 그냥 마법 카드 하나만 쓰고 라이프 좀 째면 된다.[24] 당장 블랙 매지션을 융합 소재로 하는 레벨 8 융합 몬스터 중에 공격력이 3000인 카드가 은근 있다.[25] 블랙 매지션만 소환 가능한 이 카드와 달리 그 카드는 아예 렙 4 이하 엘리멘틀 히어로를 부르는 카드군 단위 소환력이기 때문.[26] 일러스트를 잘 보면 오망성이 뒤집혀 있는데 그건 악마를 상징한다.[27] 이 때 듀얼을 지켜보고 있던 무토우 유우기의 덱의 블랙 매지션이 안즈의 필드로 출동하는 것으로 연출되었다.[28] 원래 결투왕의 기억 시리즈 동봉 카드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배틀 시티 편 실물 발매 직후에 블랙 일루전으로 교체되었다.[29] 애니메이션에서는 해당 장면에서 라그나로크라는 속공마법이 나왔는데 덱, 묘지, 패의 몬스터를 전부 제외한다는 조건만 제외하면 그외의 조건과 효과가 흑폭열마파도와 가장 유사하다.[30] 의식 카드의 경우는 카오스 폼이 있다.[31] 덱의 성격은 상당히 다르긴 하지만, 트라이브리게이드의 함정인 리볼트-슈라이그의 비대상 1제외는 마도진보다 기본적으로 강하다. 그런데 트라이브리게이드의 전개력은 블매보다 훨씬 우수하며 3턴 안에 게임을 끝낼 결정력 또한 가지고 있다. 정통 운영 덱의 핵심 빌드라고 있는 카드 주제에 미드레인지 덱의 보조 견제기보다 약하다는 뜻이다.[32]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혼돈의 흑마술사, 블랙 매지션 걸을 비롯해 일부 마법사족이나 블랙 매지션 지원 카드에도 빠짐없이 등장하고 있다. 이외에 육망성의 저주의 내수판 일러스트도 이 마법진을 사용하고 있다.[33] 2카톤을 뜯어도 안나와서 결국 낱장으로 구했다는 유저 제보가 있으며, 모 매장에서는 10카톤을 뜯었는데도 안나왔다는 썰이 있다. 1카톤에 40통이니, 400통을 뜯어도 안나왔다는 의미가 된다.[34] 이 효과를 맞으면 상대는 2장 드로우한다.[35] 파일:213123321231243465.png[36] 사실 블러핑이 큰 의미가 없긴 하다. 어차피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에서도 서술된 것처럼, 블매의 서치 구조 상 순환식 서치가 전혀 되지 않으며, 3핸드이기 때문에 아드 소모는 많은 데 비해 리턴 값은 1대1 교환에 불과하다. 때문에 상대 입장에서는 세트카드 블러핑을 해봐야 서치 효과에는 효과가 박히든 아니든 패트랩을 던지면 막히면 1대1 교환 또는 호부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안 막히면 몇 되지 않는 서치 카드가 한 턴 막혀버린다. 고로 뭐가 되든 간에 던지는 게 이득인 셈.[37] 융합을 위해서 블매, 드래곤족 융합소재, 융합 시켜줄 카드까지 3장이 필요한 용기사 블랙 매지션, 퍼미션을 위해서 블매와 블매걸이 필요한 매지션즈 콤비네이션, 필드 위에 블매가 있고 묘지에 자신이 있어야하는 네비게이트 등 마함을 지켜줄 카드는 대다수 필요 파츠가 많거나 특정 카드가 특정 위치에 있는 걸 요구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 version=1385, uuid=c5a46a1d-ab9e-4fc7-b00a-3b9a08761044,
title2=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성능, version2=1572, uuid2=31126f09-e996-47bc-9161-0e329ac50cb2,
title3=흑마도의 집행관, version3=54,
title4=합체룡 티마이오스, version4=28,
title5=매지션 오브 카오스, version5=35,
title6=일루전 오브 카오스, version6=92,
title7=환상의 견습 마도사, version7=83,
title8=흑의 마도진, version8=25,
title9=사제의 연, version9=14,
title10=흑마술의 커튼, version10=10,
title11=매지크리보, version11=16,
title12=현자의 보석, version12=11,
title13=빛과 어둠의 세례, version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