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42:47
관련 문서: 샤크(유희왕)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유희왕 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빅 죠스, 일어판명칭=ビッグ・ジョーズ, 영어판명칭=Big Jaws, 속성=물, 레벨=3, 공격력=1800, 수비력=300, 종족=어류족, 효과1=일반 마법을 발동한 턴에\, 패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유희왕 ZEXAL 에서 카미시로 료가 가 1화부터 최종전까지 계속 애용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는 34화인 III 와의 듀얼에서 첫 사용되었고, 이후로도 자체 효과보다는 일반 소환이나 다른 카드를 이용한 특수 소환으로 불려왔다. 많이 등장했음에도 효과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었다는 점은 가가가 매지션 , 고고고 골렘 과도 비슷하다. 주인인 료가가 낫슈와의 정체성에서 갈등할 때 카미시로 료가로서의 카드로 자주 은유되기도 한다. 과거 회상을 할 때 아버지에게 받은 카드로 이 카드가 나왔고, 유마와의 결전에서 인간 시절의 모습으로 돌아온 낫슈는 이 카드를 사용해 듀얼을 재진행했다. 2화에서 아쿠아 제트 를 사용해 주바바 나이트 를 파괴했는데, 여기서 료가의 부하 한 명이 내뱉은 대사 나왔다! 샤크 씨의 매직☆콤보야! (出た!シャークさんのマジック☆コンボーだ!)가 네타화되었다. 겨우 마법 카드 1장 발동한 모습에 콤보라며 띄워주는 모습이 웃기는 호들갑으로 보였기 때문. 공격명은 '빅 마우스(ビッグマウス / Big Mouth)'.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빅 죠스, 일어판명칭=ビッグ・ジョーズ, 영어판명칭=Big Jaws, 속성=물, 레벨=3, 공격력=1800, 수비력=300, 종족=어류족, 효과1=①: 이 카드가 공격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제외한다.)] 원작의 특수 소환 효과는 사라지고, 뜬금없이 무거운 디메리트를 달고 나왔다. 공격력은 레벨 3 치고는 높은 편이지만 이미 레벨 4만 봐도 1800 이상의 하급 어태커가 차고 넘치고, 배틀 페이즈 이후에는 바로 제외되기 때문에 어태커로 운용하기도 힘들다. 어류족 1800 하급 어태커가 필요하다면 레인보우 휘시 나 메타보 샤크 를 쓰면 되지, 공격력도 애매하면서 디메리트만 커다란 이 카드를 쓸 이유는 없다. 능력치로 차별화를 해봐도 이것보다 좋은 카드들이 있다. 원작의 특수 소환 효과가 텍스트에 기재됐기는 해도 실제로 사용된 경우가 너무 늦은 것, 같은 팩에서 나온 제너레이션 피시 와 억지로 연계하기 위한 것이 너프의 이유로 추정된다.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 도 이와 비슷한 너프를 당했다. 수록 시리즈 2011-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ENF-JP005 | ジェネレーション・フォース [ GENERATION FORCE ] 2011-10-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13-JP002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星の騎士団セイクリッド!!」 2011-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ENF-EN005 | GENERATION FORCE 2012-05-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01-EN165 | BATTLE PACK EPIC DAWN 2012-09-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7-EN002 | DUEL TERMINAL 7A 2013-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3-EN006 | STAR PACK 2013 2011-09-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ENF-KR005 | 제너레이션 포스
유희왕 크로스 듀얼 에서는 디메리트가 삭제된 무난한 1800 어태커에 SR 등급 카드로 등장했다.3. 관련 카드3.1. 부상하는 빅 죠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부상하는 빅 죠스, 일어판 명칭=<ruby>浮上<rp>(</rp><rt>ふじょう</rt><rp>)</rp></ruby>するビッグ・ジョーズ, 영어판 명칭=Surfacing Big Jaws, 레벨=4, 속성=물, 종족=어류족, 공격력=18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마법 카드가 발동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엑시즈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어류족의 "샤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이 카드를 물 속성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에 사용할 경우\, 이 카드의 레벨을 3이나 5로 취급할 수 있다.)]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에서 등장한 빅 죠스의 리메이크 카드. 원본에서 입술과 이마의 칼날디자인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이름의 "부상하는"은 원작에서 부상 으로 빅 죠스를 소생시킨 것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최초로 샤크 를 어류족 한정으로 카드군으로 지정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이 덕에 샤크는 제알 방영으로부터 십수년 만에 드디어 정식 카드군으로 묶이게 되었다. ①의 효과는 원작처럼 마법 카드가 발동한 메인 페이즈에 특수 소환이 가능한 효과. 제알이 종영한 지 정확히 10년 이 지나고 나서야 드디어 원작 효과를 계승하게 되었다. 여기에 모든 마법 카드에 대응하도록 상향되어 추가적인 상향을 받았다. 대신에 효과를 사용하면 엑스트라 덱에서 엑시즈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게 되지만, 어차피 샤크 덱은 엑시즈 중심 덱이므로 거의 의미없는 페널티이다. 다른 덱에서도 쓰일 수 있는 범용성만 딱 잘라낸 것. 물론 발동 후에 적용되는 디메리트이므로, 엑시즈 이외의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다음에 발동하거나, 엑시즈 소환 중심 덱에서 사용할 경우엔 그리 큰 문제가 아니다. 다만 마법 카드를 꼭 써야 공격권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덱에 마법 비중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고, 그래도 안 잡힐 수 있다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②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시 덱에서 어류족의 샤크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레벨 제약이 없기에 기존에 쓰던 레벨 3~5의 샤크 및 레벨 1의 인어 샤크는 물론 레벨 6의 샤크라켄이나 레벨 8의 에이션트 샤크까지 서치가 가능하다. 태엽 샤크 와 스크랩 샤크 역시 서치가 가능한데 태엽의 경우 같은 엑시즈 테마인데다 이 카드 자신에게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붙어있기에 해당 테마에서 용병으로 써보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반면 스크랩 카드군은 싱크로,링크 테마이기에 엑시즈 제약이 걸리는 이 카드와는 충돌이 있어 용병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편. ③의 효과는 다른 샤크 카드들이 종종 갖고 있는 엑시즈 소환 시 레벨 조정 효과. 세 효과 모두 유용한 카드이나 정작 자기 자신은 샤크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어비스 샤크, 세븐스 타키온 등으로 가져와야 한다. 어차피 이 카드의 카드명이 빅 "샤크"였어도 동명 카드 외 서치 제약이 붙었을테니 크게 의미는 없는 디메리트이다. 또한 레벨 변경 효과 때문에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음에도 굳이 원래 빅 죠스의 레벨 3이 아닌 4로 조정되어 나왔는데 비슷한 시기에 나온 세븐스 타키온 과 연동되게 하기 위함이라는 추측이 있다. 실제로 해당 카드를 통해 서치한 뒤 특소 효과로 꺼내 드레이크 샤크를 가져와 일소권없이 원핸드로 4랭크 엑시즈를 꺼내기 위한 용병으로서 라이제올 등에서 쓰이기도 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4-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JP001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KR001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2024-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A-EN001 | RAGE OF THE ABY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