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30 14:27:08
관련 문서: 융합(유희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 개요2 . 설명2.1 .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3 . 수록 팩 일람4 . 관련 카드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레토르트 퓨전, 일어판명칭=<ruby>簡素融合<rp>(</rp><rt>レトルトフュージョン</rt><rp>)</rp></ruby>, 영어판명칭=Ready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 몬스터가 아닌 레벨 6 이하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마법카드 발동! 레토르트 퓨전!
듀얼링크스 세레나 대사 '간소융합'이라 쓰고 '레토르트 퓨전'이라 읽는 카드. 제한 카드인 인스턴트 퓨전 의 효과를 조정해서 낸 카드로, 인스턴트 퓨전이 인스턴트 컵라면이라면 이쪽은 레토르트 식품 이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인해 인스턴트 퓨전의 제재가 완화될 가능성은 낮아진 편. 다만 인스턴트 퓨전의 단순한 하위 호환은 아니며, 레벨 6까지 범위가 늘어나 인스턴트 퓨전의 혜택을 받지 못했던 레벨 6 융합 몬스터들도 활용할 수 있다. 단, 효과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만 꺼낼 수 있기에 전성기 시절 구신 노덴 이나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등 효과를 가진 융합 몬스터와 콤보는 불가능해졌다. 어차피 이 카드를 쓴다면 제한 전의 인스턴트 퓨전과 마찬가지로 각종 엑시즈나 싱크로 몬스터, 소재에 조건이 붙는 링크 몬스터를 위한 소재를 불러내는 용으로 쓸 테니 크게 문제되는 점은 아니다. 가령 튜너를 겸하는 테세우스의 마서물 이나 같은 날 공개된 무의 필경 올베인 이 효과가 없는 카드이니, 이 카드로 싱크로 소환하기 위한 소재를 공급하는 데 쓰면 좋다. 일반몬스터인 화염의 검사를 쓰는 화염의 검사 덱 에서 사용하면 좋다. 한편 페어싸이크로이드를 인스턴트 퓨전으로 소환해서 슈퍼 비크로이드 모빌 베이스의 융합 소재로 활용하다가, 인스턴트 퓨전의 제한화로 인해 난감해진 비크로이드 덱에서도 스팀자이로이드를 대신 꺼낼 수 있게 되었다.택티컬 트라이 팩 에서 블랙 매지션 지원 으로 출시된 멸망의 흑마술사 에 접속 가능한 크릿치 를 본 카드 한 장으로 꺼낼 수 있어서 링크 1 소재/레벨 8 몬스터+시한부 흑드라군을 뽑는 의문의 떡상을 하였다. 일러스트의 레토르트 팩에는 엄지를 올리며 미소짓는 마도 사이언티스트 가 그려져 있다. 오른쪽 아래 부분에는 1000이라는 숫자가 있고, 위아래로는 융합 마법 카드에서 나오는 몬스터 실루엣이 그려져 있다. 마도 사이언티스트 역시 1000 LP를 지불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6 이하의 융합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꽤 재치있는 일러스트로 평가받기도 한다. 레토르트 식품이란 말이 영어에서 나오긴 했지만, 이러한 식품을 부를 때 '레토르트'라는 용어 자체가 자주 쓰이지 않는 탓에 미군 전투식량 'Meal, Ready -to-Eat '에서 따 와 "Ready Fusion"이 되었다.2.1.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 ☆ : 튜너 몬스터레벨 5 어둠 속성 빛 속성 바람 속성 땅 속성 화염 속성 물 속성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1-04-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MA-JP066 | ドーン・オブ・マジェスティ [ DAWN OF MAJESTY ] 2021-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MA-KR066 | 던 오브 마제스티 2021-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MA-EN066 | DAWN OF MAJESTY 2022-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2-EN163 | 2022 TIN OF THE PHARAOH'S GODS
4. 관련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