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06:14:59
유희왕 의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레어 피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レア・フィッシュ 영어판 명칭 Rare Fish 일반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물마족 어류족 1500 1200 짐승의 머리를 가진 희귀한 물고기. 성격은 너무나도 흉폭.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에서부터 등장.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 명칭=레어 피시, 일어판 명칭=レア・フィッシュ, 영어판 명칭=Rare Fish, 속성=물, 레벨=4, 공격력=1500, 수비력=1200, 종족=어류족, 소재="퓨저니스트" + "황홀한 인어")] OCG 최초이자 제 1기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삼는 몬스터. 융합 소재인 퓨저니스트 부터 이미 소재용으로 쓰는 경우를 제외하면 실전성이 전혀 없어서 정규 융합 소환 이 쓸데없이 까다로운 것도 모자라, 비슷한 소재 조건의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이나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에 비해 실전성이 너무나도 떨어진다. 거기다 1기 초창기의 룰 은 마법 카드를 1턴에 1장밖에 쓸 수 없었고, 융합 소재를 패에서 고를 수도 없었기에 도저히 못 써먹을 카드로 악명이 높았다. 이렇듯 실용성이 전무한 카드였으나, 3기에서부터 돌연변이 의 등장으로 갑자기 주가가 상승한다. 당시 레벨 4 융합 몬스터 중 카르보나라 전사 와 더불어 공격력이 가장 높았기 때문. 따라서 상대가 필드에 꺼낸 레벨 4 몬스터를 마음의 변화 등으로 컨트롤을 뺏어와서 이 카드로 갈아치우는 행위가 가능했다. 이후 2006년 에는 인스턴트 퓨전 이라는 새 특수 소환 수단이 생겼지만, 2007년 9월 1일자로 돌연변이가 금지 카드 가 돼버리면서 실용성이 급락한다. 인스턴트 퓨전으로 꺼낼 만한 카드인 것은 사실이었지만, 마스터 룰 개정으로 엑스트라 덱의 투입 매수 제한이 생겨나면서 결국 대부분 빠지는 신세가 되었다.2016년 에는 떡 깨구리 의 등장으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 해당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바하무트 샤크 의 엑시즈 소재 마련을 위해 인스턴트 퓨전 으로 꺼낼 수 있는 물 속성 / 레벨 4 융합 몬스터는 당시 이 카드와 구신 노덴 뿐이었기 때문. 거기다 구신 노덴 이 여러 악명을 떨친 끝에 먼 길을 떠나버리면서 사실상 유일한 카드가 되었다. 따라서 초동에 바하무트 샤크와 떡 깨구리 포진을 마련하는 것이 주 전략인 덱에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엑스트라 덱 한 칸을 소비하는 한이 있어도 채용할 만한 가치를 가진 카드로 변모했다. 10기에 들어서면서 신 마스터 룰 의 정립으로 바하무트 샤크 의 역할이 너프됨에 따라 다시 이 카드의 가치도 떡락한다. 그리고 2017년 하반기에 같은 레벨, 속성인 것은 물론 능력치도 더 높고 괜찮은 효과까지 있는 늪지의 도로곤 이 등장해 입지는 더더욱 악화되었다. 11기에 룰 개정으로 바하무트 샤크가 힘을 되찾고 효과 몬스터 이외에만 대응하는 레토르트 퓨전 이 등장하면서 어는 정도 입지를 회복했다. 그러나 떡 깨구리 가 금지가 되면서 이 카드의 입지도 다시 떨어지고 말았다. 12기가 되고 출시된 융합강병 의 엑스트라 덱 소환에 대응하는 몇 안 되는 카드이나 아직까지 퓨저니스트 를 활용할 만한 덱은 딱히 없는 상황. 이렇듯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가치가 심하게 널뛰는 카드지만, 어느 시기든 정규 융합으로 꺼낼 가치는 없다는 점에서는 일관적이다.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찾아볼 수 없다가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20 vol.1 가 되어서야 등장했다. 일러스트의 실사 배경은 백상어 의 것을 돌려쓰고 있다. 수록 시리즈 1999-05-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Vol.3 2010-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5-JP009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0 Vol.3 2021-07-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1TP-JP308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1 Vol.3 2016-11-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03-EN026 | OTS TOURNAMENT PACK 3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118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2021-01-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15-KR022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20 Vol.1
3. 관련 카드3.1. 융합 소재 몬스터3.2. 기타 관련 카드 레어 피시의 팔레트 스왑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