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20:42:24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에서 넘어옴

파일:머라이어 캐리 Merry Christmas era 로고.png
[ 정규 앨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파일:mcmc.jpg ||<width=25%><nopad> 파일:mce.jpg ||<width=25%><nopad> 파일:mcmb.jpg ||<width=25%><nopad> 파일:merrychristmas.jpg ||
'{{{-1 [[Mariah Carey(음반)|{{{#151515,#D2B48C Mariah Carey''}}}]]}}}
1집
'''
1990. 06. 12.
'{{{-1 [[Emotions|{{{#412b1c,#e1b987 Emotions''}}}]]}}}
2집
'''
1991. 09. 13.
'{{{-1 [[Music Box|{{{#403b32,#BFB4AA Music Box''}}}]]}}}
3집
'''
1993. 08. 31.
'{{{-1 [[Merry Christmas|{{{#A61B34 Merry Christmas''}}}]]}}}
4집
'''
1994. 10. 28.
파일:mcd.jpg 파일:mcb.jpg 파일:mcr1.jpg 파일:mcg.jpg
'{{{-1 [[Daydream(머라이어 캐리)|{{{#0A0D0C,#8c815e Daydream''}}}]]}}}
5집
'''
1995. 09. 26.
'{{{-1 [[Butterfly(머라이어 캐리)|{{{#8C5F37,#f2ebc4 Butterfly''}}}]]}}}
6집
'''
1997. 09. 10.
'{{{-1 [[Rainbow(머라이어 캐리)|Rainbow'']]}}}
7집
'''
1999. 10. 27.
'{{{-1 [[Glitter(머라이어 캐리)|{{{#A92E27 Glitter''}}}]]}}}
8집
'''
2001. 08. 18.
파일:Charmbracelet.jpg 파일:mcteom.jpg 파일:mcemc2.jpg 파일:Memoirs of an imperfect Angel.jpg
'{{{-1 [[Charmbracelet|{{{#D9965B Charmbracelet''}}}]]}}}
9집
'''
2002. 11. 20.
'{{{-1 [[The Emancipation of Mimi|{{{#141414,#e6c88e The Emancipation of Mimi''}}}]]}}}
10집
'''
2005. 03. 30.
'{{{-1 [[E=MC²(머라이어 캐리)|{{{#141414,#fff E=MC²''}}}]]}}}
11집
'''
2008. 04. 14.
'{{{-1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ad8d5c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
12집
'''
2009. 09. 22.
파일:mcmciy.jpg 파일:mcmimtec1.jpg 파일:mccaution.jpg
'{{{-1 [[Merry Christmas II You|Merry Christmas II You'']]}}}
13집
'''
2010. 11. 02.
'{{{-1 [[Me. I Am Mariah...The Elusive Chanteuse|{{{#d08d2a Me. I Am Mariah...The Elusive Chanteuse''}}}]]}}}
14집
'''
2014. 05. 06.
'{{{-1 [[Caution|{{{#0e8dd5 Caution''}}}]]}}}
15집
'''
2018. 11. 16.
[ 싱글 목록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100%><bgcolor=#151515>
파일:Mariah Carey_logo.png
||
파일:vol.jpg 파일:ltt_mc.jpg 파일:someday_mc.jpg 파일:idwc_mc.jpg 파일:tgtbaw.jpg
'''Vision of Love
싱글
'''
1990. 05. 15.
'''Love Takes Time
싱글
'''
1990. 08. 22.
'''Someday
싱글
'''
1990. 11. 28.
'''I Don't Wanna Cry
싱글
'''
1991. 03. 19.
'''There's Got to Be a Way
싱글
'''
1991. 05. 20.
파일:Emotions_logo.png
파일:emotions_mc.jpg 파일:mce.jpg 파일:clg_mc.jpg 파일:Make It Happen.jpg
'''Emotions
싱글
'''
1991. 08. 13.
'''Till the End of Time
프로모 싱글
'''
1991. 09. 17.
'''Can't Let Go
싱글
'''
1991. 10. 23.
'''Make It Happen
싱글
'''
1992. 04. 04.
파일:Music Box_logo.png
파일:Dreamlover.jpg 파일:mchero.jpg 파일:wy.jpg 파일:nfy_mc.jpg 파일:aynaf_mc.jpg
'''Dreamlover
싱글
'''
1993. 07. 27.
'''Hero
싱글
'''
1993. 10. 18
'''Without You
싱글
'''
1994. 01. 21.
'''Never Forget You
싱글
'''
1994. 01. 21.
'''Anytime You Need a Friend
싱글
'''
1994. 05. 24.
파일:Merry Christmas_logo.png
파일: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jpg 파일:mym_mc.jpg 파일:Jesus Born on This Way.jpg 파일:jttw_mc.jpg 파일:O Holy Night.jpg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싱글
'''
1994. 10. 29.
'''Jesus Born on This Way
프로모 싱글
'''
1994. 11. 18.
'''Joy to the World
싱글
'''
1995. 11. 27.
'''O Holy Night
프로모 싱글
'''
1996.
파일:Daydream_logo.png
파일:mcfantasy.jpg 파일:mcd.jpg 파일:osd.jpg 파일:oa_mc.jpg 파일:abmb_mc.jpg
'''Fantasy
싱글
'''
1995. 08. 23.
'''I Am Free
프로모 싱글
'''
1995. 10. 03.
'''One Sweet Day
싱글
'''
1995. 11. 14.
'''Open Arms
싱글
'''
1995. 12. 05.
'''Always Be My Baby
싱글
'''
1996. 02. 20.
파일:f_mc.jpg 파일:uts_mc.jpg
'''Forever
싱글
'''
1996. 06. 18.
'''Underneath the Stars
싱글
'''
1996. 11. 19.
파일:Butterfly_logo.png
파일:h_mc.jpg 파일:b_mc.jpg 파일:The Roof (Back in Time).jpg 파일:br_mc.jpg 파일:ma_mc.jpg
'''Honey
싱글
'''
1997. 08. 26.
'''Butterfly
싱글
'''
1997. 12. 01.
'''The Roof (Back in Time)
싱글
'''
1998. 03. 20.
'''Breakdown
싱글
'''
1998. 03. 24.
'''My All
싱글
'''
1998. 04. 21.
파일:Rainbow_logo.png
파일:he_mc.jpg 파일:tgify_mc.jpg 파일:ctta_mc.jpg 파일:c_mc.jpg 파일:aaotalamn_mc.jpg
'''Heartbreaker
싱글
'''
1999. 08. 23.
'''Thank God I Found You
싱글
'''
1999. 11. 15.
'''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
싱글
'''
2000. 04. 17.
'''Crybaby
싱글
'''
2000. 05. 29.
파일:aao_mc.jpg
파일:Glitter_logo.png
파일:l_mc.jpg 파일:ntf_mc.jpg 파일:mcg.jpg 파일:ds_mc.jpg 파일:r_mc.jpg
'''Loverboy
싱글
'''
2001. 06. 05.
'''Never Too Far
싱글
'''
2001. 08. 14.
'''Last Night a DJ Saved My Life
프로모 싱글
'''
2001. 08. 18.
'''Don't Stop (Funkin' 4 Jamaica)
싱글
'''
2001. 09. 11.
'''Reflections (Care Enough)
싱글
'''
2001. 09. 27.
파일:Lead the Way.jpg
'''Lead the Way
프로모 싱글
'''
2001. 11.
파일:Charmbracelet_logo.png
파일:ttr_mc.jpg 파일:boy_mc.jpg 파일:both_mc.jpg
'''Through the Rain
싱글
'''
2002. 09. 30.
'''Boy (I Need You)
싱글
'''
2002. 11. 26.
'''Bringin' On the Heartbreak
싱글
'''
2003. 06. 02.
파일:The Emancipation of Mimi_logo.png
파일:ilt_mc.jpg 파일:wbt.jpg 파일:sio_mc.jpg 파일:Get Your Number.jpg 파일:flab_mc.jpg
'''It's Like That
싱글
'''
2005. 01. 25.
'''We Belong Together
싱글
'''
2005. 03. 15.
'''Shake It Off
싱글
'''
2005. 07. 12.
'''Get Your Number
싱글
'''
2005. 10. 03.
'''Fly Like a Bird
싱글
'''
2006. 03. 13.
파일:ss_mc.jpg
'''Say Somethin'
싱글
'''
2006. 04. 03.
파일:E=MC²_logo.png
파일:tmb_mc.jpg 파일:bb_mc.jpg 파일:I'll Be Lovin' You Long Time.jpg 파일:isil_mc.jpg
'''Touch My Body
싱글
'''
2008. 02. 12.
'''Bye Bye
싱글
'''
2008. 04. 15.
'''I'll Be Lovin' U Long Time
싱글
'''
2008. 07. 01.
'''I Stay in Love
싱글
'''
2008. 10. 28.
파일:Memoirs of an Imperfect Angel_logo.png
파일:o_mc.jpg 파일:iwtkwli_mc.jpg 파일:h_mc.png 파일:Up Out My Face.jpg 파일:ac_mc.jpg
'''Obsessed
싱글
'''
2009. 06. 16.
'''I Want to Know What Love Is
싱글
'''
2009. 09. 22.
'''H.A.T.E.U.
싱글
'''
2009. 11. 01.
'''Up Out My Face
싱글
'''
2010. 02. 16.
'''Angels Cry
싱글
'''
2010. 02. 23.
파일:It's A Wrap.jpg
'''It's A Wrap
싱글
'''
2023. 02. 10.
파일:Merry Christmas II You_logo.png
파일:os_mc.jpg 파일:als_mc.jpg 파일:wcc_mc.jpg
'''Oh Santa!
싱글
'''
2010. 10. 01.
'''When Christmas Comes
싱글
'''
2011. 11. 21.
파일:Me. I Am Mariah...The Elusive Chanteuse_logo.svg
파일:be_mc.jpg 파일:taolg_mc.jpg 파일:ym_mc.jpg 파일:ydkwtd_mc.jpg
'''#Beautiful
싱글
'''
2013. 05. 07.
'''The Art of Letting Go
싱글
'''
2013. 11. 11.
'''You're Mine (Eternal)
싱글
'''
2014. 02. 12.
'''You Don't Know What to Do
싱글
'''
2014. 06. 30.
파일:Caution_logo.png
파일:g_mc.jpg 파일:wy_mc.jpg 파일:ann_mc.png
'''GTFO
프로모 싱글
'''
2018. 09. 13.
'''With You
싱글
'''
2018. 10. 04.
'''A No No
싱글
'''
2019. 03. 04.
[ 기타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파일:mcmtv.jpg ||<width=25%><nopad> 파일:Valentines_cover.jpg ||<width=25%><nopad> 파일:The Remixes.jpg ||<width=25%><nopad> 파일:mctld.jpg ||
'{{{-1 [[MTV Unplugged(머라이어 캐리)|MTV Unplugged'']]}}}
라이브 EP
'''
1992. 06. 02.
'{{{-1 [[Valentines|Valentines'']]}}}
EP 2집
'''
2000. 01. 28.
'{{{-1 [[The Remixes(머라이어 캐리)|The Remixes'']]}}}
리믹스 1집
'''
2003. 06. 25.
'{{{-1 [[The Live Debut: 1990|The Live Debut: 1990'']]}}}
EP 3집
'''
2020. 07. 17.
[ 컴필레이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파일:mcnumberones.jpg ||<width=25%><nopad> 파일:mcgh.jpg ||<width=25%><nopad> 파일:external/4.bp.blogspot.com/Mariah-Carey-The-Ballads-450140.jpg ||<width=25%><nopad> 파일:external/www.israbox.com/1265759036_cover.jpg ||
'{{{-1 [[\#1's|{{{#727273 #1's''}}}]]}}}
컴필레이션 1집
'''
1998. 11. 16.
'{{{-1 [[Greatest Hits(머라이어 캐리)|{{{#cca72c Greatest Hits''}}}]]}}}
컴필레이션 2집
'''
2001. 12. 04.
'{{{-1 [[The Ballads|{{{#958989 The Ballads''}}}]]}}}
컴필레이션 3집
'''
2008. 10. 17.
'{{{-1 [[Playlist: The Very Best of Mariah Carey|{{{#2a91b0 Playlist: The Very Best of Mariah Carey''}}}]]}}}
컴필레이션 4집
'''
2010. 01. 26.
파일:external/s.cdon.com/the_essential_mariah_carey_2cd-13444494-frntl.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Ov736DZhL._.jpg 파일:mcjb.jpg 파일:mctr.jpg
'{{{-1 [[The Essential Mariah Carey|{{{#845782 The Essential Mariah Carey''}}}]]}}}
컴필레이션 5집
'''
2011. 01. 07.
'{{{-1 [[\#1 to Infinity|{{{#454f58 #1 to Infinity''}}}]]}}}
컴필레이션 6집
'''
2015. 05. 15.
'{{{-1 [[Japan Best|{{{#bd7a68 Japan Best''}}}]]}}}
컴필레이션 7집
'''
2018. 10. 17.
'{{{-1 [[The Rarities|{{{#8a8a8a The Rarities''}}}]]}}}
컴필레이션 8집
'''
2020. 10. 02.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width=1000> 논란 ||<width=33%> 생애 및 활동 ||<width=33%> 인간관계 ||
음반 싱글 창법
<colbgcolor=#b50302><colcolor=#fff>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파일:머라이어캐리신규프로필.jpg
본명 Mariah[1] Carey[2][3]
머라이어 캐리
출생 1969년 3월 27일 ([age(1969-03-27)]세)[4]
미국 뉴욕 주 헌팅턴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73cm
가족 할아버지 프란시스코 누녜스
할머니 애디 캐리
외할아버지 존 웨슬리 히키
외할머니 앤 엘리자베스 이건
아버지 알프레드 로이 캐리(1929년 ~ 2002년)
어머니 패트리샤 캐리(1936년 ~ 2024년)[#]
오빠 모건 캐리(1960년생)[6]
언니 앨리슨 캐리(1962년 ~ 2024년)[#]
자녀 아들 모로칸 스콧 캐넌(2011년생)[8]
먼로 캐넌(2011년생)[9][10]
학력 하버필드 고등학교(1987년 졸업)[11]
직업 싱어송라이터, 배우, 프로듀서
장르 R&B, , 힙합, 소울, 캐럴
종교 개신교 (성공회)[12]
활동 1988년[13]- 현재
데뷔 1990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9BAE92; background: #fff; color: #000" [[Vision of Love|
Vision of Love
]]
레이블 미상[14]
팬덤
Lamb
[15]
별명 MIMI, MC, Songbird Supreme[16], 팝의 여왕, 크리스마스의 여왕
관련 링크 파일:MC_NewLogo_2020-600.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사이트
링크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 파일:멜론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서명
파일:머라이어 캐리 서명.svg

1. 개요2. 생애 및 활동3. 디스코그래피
3.1. 기록3.2. 음반
3.2.1. 음반 순위 및 판매량
3.3. 싱글
4. 차트인 기록5. 창법6. 작사 및 작곡
6.1. 작곡6.2. 작사
7. 뮤직비디오8. 평가
8.1. 주요 실적8.2. 영향력
9. 인간관계10. 논란11. 출연 작품
11.1. 영화11.2. 방송
12. 수상 내역13. 여담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Mariah Carey_tokyo tour.gif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배우.

팝음악 역사상 여가수중 상업성과 가창력, 영향력 어느 쪽도 빠지지 않는 인물로 19개의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보유하고 있고, 4연대 연속으로[17] 1위 곡을 배출한 기록과 더불어, 캐럴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를 탄생시킨 크리스마스의 여왕으로 알려져 있다.[18]

그녀를 보고 꿈을 키운 가수들을 지칭하는 머라이어 키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수많은 가수들의 롤 모델이며 머라이어 이후에 나온 모든 보컬리스트들은 머라이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나 무조건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9]

또한 알앤비, 힙합의 융합을 시도하여 대중화에 성공한 최초 격의 아티스트로, 여전히 대중음악 시장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팝 악곡에 래퍼 피처링‘을 기용한 모든 음악의 뿌리는 머라이어 캐리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20]

2. 생애 및 활동

14F - 살아있는 전설 머라이어 캐리
머라이어 캐리의 생애 및 활동
1990~1992, 혜성같은 데뷔
1993~2000, 찬란한 전성기
2001~2004, 최악의 암흑기
2005~2008, 화려한 부활
2009~2012, 전설로의 도약
2013~2017, 다시 찾아온 침체기
2018~2024, 정상에 오른 디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생애 및 활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디스코그래피

3.1. 기록

판매량 관련
차트 관련
스트리밍 관련

3.2.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음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음반 순위 및 판매량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b50302><color=#fff><bgcolor=#b50302> 머라이어 캐리 음반 순위 및 판매량 ||
<rowcolor=#fff> 발매일 제목 빌보드 차트 오리콘 차트 총 판매량
90.06.12. Mariah Carey 1위[73] 13위[74] 1500만 장
91.09.17. Emotions 4위[75] 3위[76] 900만 장
93.08.31. Music Box 1위[77] 2위[78] 3000만 장
94.10.28. Merry Christmas 3위[79] 1위[80] 1500만 장
95.10.03. Daydream 1위[81] 1위[82] 2100만 장
97.09.16. Butterfly 1위[83] 1위[84] 1100만 장
99.11.02. Rainbow 2위[85] 2위[86] 800만 장
01.09.11. Glitter 7위[87] 1위[88] 200만 장
02.12.03. Charmbracelet 3위[89] 4위[90] 300만 장
05.04.12. The Emancipation of Mimi 1위[91] 2위[92] 1000만 장
08.04.15. E=MC² 1위[93] 7위[94] 250만 장
09.09.29.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 3위[95] 9위[96] 200만 장
10.11.02. Merry Christmas II You 4위[97] 24위[98] 100만 장
14.05.06. Me. I Am Mariah... The Elusive Chanteuse 3위[99] 25위[100] 100만 장[101]
18.11.16. Caution 5위[102] 30위[103] 40만 장[104]
머라이어 캐리 컴필레이션 앨범 순위 및 판매량
<rowcolor=#fff> 발매일 제목 빌보드 차트 오리콘 차트 총 판매량
92.06.02. MTV Unplugged 3위[105] 13위[106] 700만 장
98.11.17. #1's 4위[107] 1위[108] 1700만 장
01.12.04. Greatest Hits 52위[109] 3위[110] 500만 장
08.10.17. The Ballads 10위[111] 19위[112] 120만 장
15.05.18. #1 to Infinity 29위 19위 40만 장
20.10.02. The Rarities 31위 24위 20만 장

3.3. 싱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싱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차트인 기록

||<-5><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2d2f34><tablebordercolor=#b50302><rowbgcolor=#b50302> 머라이어 캐리 빌보드 핫 100 및 오피셜 차트 기록 ||
<rowcolor=#fff> 연도 곡명 빌보드 차트 오피셜 차트 비고
1990 Vision of Love 1위4주 9위
Love Takes Time 1위3주 37위
1991 Someday 1위2주 38위
I Don't Wanna Cry 1위2주 -
There's Got to Be a Way - 54위
Emotions 1위3주 17위
Can't Let Go 2위 20위
1992 Make It Happen 5위 17위
I'll Be There 1위2주 2위
1993 Dreamlover 1위8주 9위
Hero 1위4주 7위
Without You 3위 1위4주
Never Forget You 3위 -
1994 Anytime You Need a Friend 12위 8위
Endless Love 2위 3위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위18주[113] 1위[114]
Christmas (Baby Please Come Home) - 58위
1995 Fantasy 1위8주 4위
One Sweet Day 1위16주[115] 6위 [116]
[117]
Open Arms - 4위
1996 Always Be My Baby 1위2주 3위
1997 Honey 1위3주 3위
Butterfly - 2위
1998 The Roof (Back in Time) 87위
Breakdown 98위 [118]
My All 1위1주 4위
Sweetheart -[119] - [120]
When You Believe 15위 4위 [121]
1999 I Still Believe 4위 16위
Heartbreaker 1위2주 5위 [122]
Thank God I Found You 1위1주 10위 [123]
2000 Crybaby 28위 - [124]
Against All Odds - 1위2주 [125]
2001 Loverboy 2위 12위 [126]
Never Too Far -[127] 32위
Don't Stop (Funkin' 4 Jamaica) -[128] 32위 [129]
Never Too Far/Hero Medley 81위 -
2002 Through the Rain 81위 8위
Boy (I Need You) - 17위 [130]
2003 I Know What You Want 3위 3위 [131]
2004 U Make Me Wanna 21위 - [132]
2005 It's Like That 16위 4위
We Belong Together 1위14주[133] 2위 [134]
Shake It Off 2위 9위 [135]
Get Your Number - 9위 [136]
Don't Forget About Us 1위2주 11위
2006 Fly Like a Bird -[137] -
Say Somethin' 79위 27위 [138]
So Lonely -[139] - [140]
2007 Lil' L.O.V.E. -[141] [142]
2008 Touch My Body 1위2주 5위
Bye Bye 19위 30위
Migrate 92위 -
I'll Be Lovin' U Long Time 58위 84위
I Stay in Love - 95위
2009 Obsessed 7위 52위
I Want to Know What Love Is 60위 19위
Betcha Gon' Know (The Prologue) -[143] -
My Love 82위
2010 Up Out My Face 100위 [144]
Angels Cry - 81위
Oh Santa! 100위 -
2011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uperFestive!) 86위 148위
2012 Triumphant (Get 'Em) -[145] 144위
2013 #Beautiful 15위 22위
The Art of Letting Go -[146] 90위
2014 You're Mine (Eternal) 88위 87위
2015 Infinity 82위 154위
2017 I Don't 89위 -
2020 Oh Santa! 76위 50위
2022 Big Energy - 21위

5. 창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창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또한 '천상의 보컬'로 불리는 목소리를 지녔으며 각종 매체에서 꼽는 역대 가창력 순위에 늘 이름이 올라간다. 음역대는 0옥타브 파(F2)에서 5옥타브 시(B7).[147]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19곡 중 〈I'll Be There[148] 리메이크를 제외한 18곡 모두를 본인이 작사/작곡한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이기도 하다.[149]

머라이어의 노래들은 〈Hero〉와 같은 몇몇 곡들을 제외하면 난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150][151] 옥타브를 낮춰 부르면 저음도 덩달아 낮아지고 그렇다고 올려버리면 고음이 덩달아 더 올라간다. 또한 특유의 다이나믹한 기교와 멜리즈마가 노래의 시작부터 끝까지 존재한다.[152] 이러한 기교는 따라 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성대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는 기교이다.

머라이어는 저음은 1옥타브 파(F3)까지,[153] 흉성은 3옥타브 레#(Eb5)까지,[154] 두성은 3옥타브 솔#(G#5)[155] 가능했다. 데뷔 초기와 2집 《Emotions》 활동 까지는 때때로 B4-C5 음역에서도 긴장하고 상단 벨트(Upper Belt, Eb5~) 음역에서는 거의 항상 긴장했지만, '92년 그래미 어워드 "If It's Over" 공연에서 훌륭한 F#5를 보여준 적이 있으며, 《Music Box》 활동 시기에는 좋은 중단 벨트(Mid-Belt, G4~D5)와 상단 벨트를 보여주었다. 《Daydream》시기에도 믹스보이스를 활용하여 상단 벨트에 놀라운 용이성을 보여주면서 F#5, G5까지도 지지가 가능했지만, 1997년 《Butterfly》부터는 Vocal crack이나 목소리 내에 raspiness(삐걱거림, 거침)가 발달하면서 음색이 거칠어지고 컨디션에 따라 달라졌다. 물론 컨디션을 회복하면 좋은 보컬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2003년이나 2010년의 보컬은 머라이어의 전성기 이후 보컬 중 가장 좋은 퀄리티를 가졌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위에도 서술했듯이, 보컬 민첩성(Agility)과 성구전환(Transition)에서 굉장한 숙련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머라이어가 '기교의 머라이어 캐리'라고 불릴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흉성(Chest Voice)에서 두성(Head Voice)/가성(Falsetto)로 전환하는 건 기본이다. 이를 잘 나타내는 또 하나의 공연은 '90년 "Vanishing" SNL Rehearsal 공연이다. 이 공연에서 대략 5초 간, C#5-D5-C#5-B4로 이어지는 고난도의 리프(Riff)를 흉성으로, 정확한 피치로 계속 끌다가 마지막에 주 특기인 휘슬 레지스터(Whistle Register)로 자연스럽게 두 옥타브를 올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공연 말고도, 전성기 시절('90년 ~ '96년)때는 공연에서 부르는 곡마다 성구전환(Transition) 애드립을 넣는 경우가 많았다.

6. 작사 및 작곡

6.1. 작곡

1993년 머라이어 캐리가 작곡하는 장면
머라이어 캐리는 데뷔 때부터 작사, 작곡을 해온 싱어송라이터이다.[156]

리메이크 곡을 제외한 모든 곡의 작사에 참여했으며 거의 모든 곡의 작곡진에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빌보드 핫 100에서 가장 많은 1위 곡을 배출한 여성 작곡가이다. 가수로서의 전설적인 커리어는 잘 알려져 있지만 송라이터로서도 엄청난 성공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머라이어는 역사상 가장 성공한 싱어송라이터 중 하나이며 동시에 가장 성공한 여성 작곡가이기도 하다.

가끔 아무것도 모르는, 혹은 음모론자들은 대부분이 공동 작곡인 것을 보고 '한두 마디만 만들고 이름 올려놓은 거 아니냐'라는 말을 할 수도 있겠지만 프로듀서가 계속해서 바뀌어도 음악 스타일과 멜로디 구성이 데뷔 때부터 현재까지 비슷한 점과 머라이어의 최고 명반으로 손꼽히는 데뷔 앨범의 곡들은 고등학교 때부터 작곡 파트너였던 벤 마굴리스와 같이 쓴 것이고 일부는 데모 테이프에 실려 있던 것들이었다.

컬럼비아같은 메이저 레이블의 전문가 수준에서 봐도 이미 손색없는 레벨이었다는 뜻이다. 벤 마굴리스도 대부분의 멜로디 라인은 머라이어가 쓴다고 증언한 바 있다. 비록 로열티 분배 문제와 벤 마굴리스의 편곡 실력을 탐탁지 않게 생각한 토미 모톨라의 의중이 개입해 콤비가 갈라지게 되지만 말이다. 이후 벤 마굴리스의 작곡가로서의 실적이 거의 전무한 것을 감안하면 머라이어의 송라이팅에서의 지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중간중간 방송에서 즉석 작곡을 흥얼거리기도 하며 2013년 팬미팅 때 〈Fly Like A Bird〉 반주로 즉석 작곡을 해 부르기도 했다. 또한 여러 곡의 멜로디를 보면 코드가 비슷하다.

머라이어 본인은 피아노를 칠 수는 있지만 자신을 '연주자'라 칭할 레벨은 전혀 되지 않으며, 작곡 중 코드 체인지 등을 일일이 계산하고 있으면 머릿속에 떠오른 멜로디며 아이디어가 사라져 버리기에 대개 능숙한 피아노 연주자와 함께 공동 작곡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밝혔다. 1993년 추수감사절 특집 중 월터 아파나시에프와 피아노 앞에 앉아 함께 작곡하는 장면을 본다면 그녀의 작곡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런 오해가 생기는 이유는 일반인들이 아는 작곡이 업계에서 통용되는 개념과 다른 데에 있다. 보통 작곡이라고 하면 단순히 악보에 음표를 그리는 것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업계에서는 '탑 라이너'와 '비트 메이커' 로 세분화하여 각각 노래의 멜로디와 반주를 만드는 것을 통칭하여 작곡으로 칭한다. 여기서 머라이어 캐리는 탑 라이너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157] 실제로 현역으로 활동하는 작곡가들 중에도 이런 케이스들은 은근 많고, 심지어 유명한 작곡가들조차도 악보를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은 매우 많다.[158]

하지만 머라이어의 경우 표절 의혹이 왕년에 종종 있었다. 특히 2집의 싱글 컷이 된 3곡[159]이 모두 표절 시비에 휘말렸으며 앨범도 전작만큼의 큰 성공은 못 하게 됐다. 물론 〈Can't Let Go〉 같은 경우 시비를 제기했던 아티스트가 표절이 아니었다며 사과하긴 했다. 한 번은 머라이어의 예전 경호원이 자신이 〈Hero〉 작사가라고 밝혀 법적 공방까지 갔지만 머라이어는 〈Hero〉가 자신의 일기장을 보다가 영감을 얻어 쓴 것이라고 밝히며 일기장을 증거로 제출해 가볍게 승소해 예전 경호원을 데꿀멍하게 만든다. 또한 7집 〈Rainbow〉의 싱글 〈Thank God I Found You〉도 Xscape의 작곡가들과 표절 시비가 붙은 적이 있었다. 국내 한정으로 이 곡이 이원진의 〈시작하는 연인들을 위해〉라는 곡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표절 판정을 받지는 않았다.

지금이야 힙합이 합쳐진 음악들이 많이 나오지만 90년대 초중반에는 이런 퓨전 음악을 거의 시도 조차 하지 않았는데, 머라이어가 〈Fantasy〉를 힙합 리믹스로 만든 것이 시초가 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힙합 아티스트들은 머라이어 캐리가 힙합을 대중적으로 끌어올린 아티스트라고 인정하고 있고, 2020년에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 되었다.

6.2. 작사

작사 또한 본인이 다 하는데, 특히 작사는 작곡과 달리 대필이라는 의심이 거의 없다. 그 이유는 작사 내용이 대부분 머라이어 캐리 자신의 상황을 토대로 썼기 때문이다. 머라이어의 주요 작사 내용은 어렸을 적 불우한 시절(왕따)에 대한 회상[160]이나 첫 번째 남편이었던 토미 모톨라와의 사랑 혹은 디스 이야기[161], 닉 캐논과의 사랑 혹은 디스 이야기[162] 또는 찬양(가스펠)[163] 등이 있다. 종종 무대에서 없는 노래를 즉흥(Improvisation)으로 부르는데 그녀의 순발력, 임기응변, 상황 대처 능력과 작사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머라이어를 Dictionary, Vacabulary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머라이어의 곡 대부분이 일반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영어 단어가 아닌 영어권 사람들 조차 사전을 찾아야 의미를 알 수 있는 어려운 단어나 문구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사가 전반적으로 시적으로 느껴진다고 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다만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가사에 딱히 어려운 표현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7. 뮤직비디오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들은 거의 대부분 머라이어의 비주얼을 내세웠다. 실제로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들을 보면 스토리보다는 머라이어 위주로 촬영된 것을 볼 수 있다. 머라이어의 청순하고 빼어난 비주얼과 전성기 시절 머라이어의 달달한 분위기의 싱글들하고 잘 어울렸기 때문에 그다지 스토리 있는 뮤직비디오를 만들 필요성이 없었다고 볼 수도 있다. 컬럼비아 레코드 정도 되는 대형 레이블에서 뮤직비디오에 돈을 쏟는다면 쏟을 수 있겠지만 필요성을 못 느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이렇게 평면적인 뮤직비디오만 만들다 보니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의 실적은 커리어 사상 딱 한 번 노미네이트된 게 끝이었다. 때문에 머라이어가 이 시상식에 참석한 것은 91년도 〈Emotions[164] 공연과 1996년에 상술한 한 번의 노미네이션과 락 비디오 부문 시상자로 나온 것 말고는 전무하다. 메이저 시상식 중에서 유일하게 머라이어랑 인연이 거의 없는 시상식인 듯하다.[165]

하지만 인기가 절정일 때였던 만큼 뮤직비디오에 입고 나온 패션들은 화제가 되었고 〈Fantasy〉의 뮤직비디오가 나왔을 당시에 뮤비 속 머라이어가 입은 핫팬츠가 엄청난 유행을 타 매진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Honey〉에서 꽤 많은 공을 들여서 첩보영화 같은 뮤직비디오를 만들었고 〈Heartbreaker〉에서는 팝 역사상 통틀어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예산을 들여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166] 대부분의 팬들이 말하는 최고의 뮤직비디오는 바로 〈It's Like That〉와 〈We Belong Together〉인데 두 뮤비는 스토리가 연결되어 있다.[167]Honey〉 때부터 뮤직비디오에 나름 신경 썼지만 상술했듯이 VMA에서의 수상은커녕 후보에 든 것도 전무하다.[168]

반대로 팬들이 꼽는 최악의 뮤비[169]는 <Auld Lang Syne>이다. 폭죽이 끊임없이 터지는 합성 같은 배경에 4분 내내 춤추는 부한 머라이어의 모습[170]만 나온다.

당연히 머라이어 본인이 옛날 가수이기도 하고 머라이어의 대부분의 뮤직비디오가 90년대의 것이라서 유튜브에서의 조회 수가 저조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머라이어는 현재 8억 뷰 1개[171], 6억 뷰 2개[172], 5억 뷰 1개[173], 4억 뷰 2개[174], 3억 뷰 3개[175], 2억 뷰 5개[176], 1억 뷰 4개[177]의 뮤직비디오를 보유하여 1억 뷰 이상의 뮤직비디오를 18개나 보유한 셈이다.[178] [179]이 외에도 조회 수들이 상당히 높은데 90년대에 데뷔한 가수들 중에서 이 이상의 조회 수를 낸 아티스트는 브리트니 스피어스비욘세, 에미넴 셋뿐이다.[180]

8. 평가

8.1. 주요 실적

팝 음악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그녀는 미국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여가수[181]라는 타이틀을 보유 중이며 현재까지 전 세계 2억 20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182]

또한 역사상 가장 많은 빌보드 핫 100 1위 곡[183]을 보유한 솔로 가수이자 여가수로, 이는 모든 가수들을 통틀어봐도 비틀즈[184]를 잇는 역대 2위 기록이다.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가수이기도 한데 총 1위 주간이 무려 93주로, 2위 기록[185]과는 큰 격차를 두고 있다.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인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를 탄생시킨, 크리스마스의 여왕으로도 불리는 그녀는 이 곡을 포함, 데뷔 이후 거의 모든 곡을 직접 작사/작곡/프로듀싱 하고 있는 싱어송라이터이자 역사상 가장 많은 빌보드 1위 곡을 만들어 낸 여성 작곡가로, 총 19개의 빌보드 핫 100 1위 곡 중 18곡[186]을 모두 직접 작사/작곡했다. -저작권 끝판왕-

4연대 연속[187]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배출한 최초이자 유일한 아티스트라는 대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여가수로서 유례없는 롱런을 보여주고 있는 케이스이기도 하다.[188]

실제로 그녀의 음악은 시대를 타지 않고 현재까지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데, 디지털 판매량이 8100만 장을 넘어 다운로드 시장이라는 게 생기기 한참 전에 데뷔한 원로 가수로서는 역대 최고 수준의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스트리밍 시대로 넘어온 현재까지도 온갖 기록[189]을 세우는 등 동년배 가수들 중 단연 선두를 달리고 있다.[190]

8.2. 영향력

파일:mariah4.jpg
지난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보컬 스타일리스트.
― Slate[191]
그녀는 이후 수많은 여성 보컬리스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32살의 그녀는 이미 살아있는 전설이다.
― PopMatters[192]

머라이어 캐리의 보컬 스타일과 가창력은 대중음악과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가수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언급되어 왔다. 마돈나와 더불어 현재 내로라하는 여가수들은 십중팔구 머라이어에게 존경을 표하며 수많은 머라이어 키즈를 거느리고 있다.

덴버 포스트의 음악평론가 지 브라운은 "머라이어 캐리의 5옥타브 음역대와 멜리스마틱 스타일은 머라이어 이후 팝 가수 세대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평가 했으며[193]

롤링 스톤은 "그녀가 마스터한 멜리스마 스타일은 'Vision of Love'와 같은 노래들이 장식하는 설레는 음의 라인들은 좋든 나쁘든 90년대 이후 사실상 모든 여성 R&B 가수들과 아메리칸 아이돌 보컬 스쿨에 영감을 주었다."라고 평했다.[194]

뉴욕 매거진의 로저 데커 편집장은 또 "휘트니 휴스턴이 멜리스마(한 마디를 추가로 20음절이나 20음절 정도 빌려주는 통통 튀는 곡예 스타일)를 차트에 선보였을 수도 있지만 입이 딱 벌어질 정도의 음역대는 머라이어였다"고 평했다. 또한 "아메리칸 아이돌을 켤 때마다 그녀(머라이어)의 아이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티비 원더는 "사람들이 위대한 영향력 있는 가수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아레사, 휘트니, 머라이어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것은 머라이어의 재능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녀의 음역대는 그만큼 놀랍다"고 말했다.

머라이어 캐리는 R&B와 힙합을 주류 대중문화에 도입하고 1995년 이후의 노래를 통해 랩을 피처링으로 대중화한 공로[195]를 인정받고 있다. 더 뉴요커의 사샤 프레-존스 편집장은 "그녀에 의해 미시 엘리엇, 비욘세 같은 R&B/힙합 스타들이 멜로디와 랩 구절을 결합하는 것이 표준이 됐다. 그리고 그녀 덕분에 브리트니 스피어스, 제시카 심슨,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그리고 N Sync를 포함한 젊은 백인 팝 스타들은 지난 10년 동안 틀림없이 R&B를 대중음악으로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라고 평했다.

9. 인간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인간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라이어 캐리/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출연 작품

11.1. 영화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b50302><bgcolor=#b50302> 머라이어 캐리 출연 영화 ||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98 The Bachelor Ilana 배우 데뷔
2001 Glitter Billie Frank
2002 WiseGirls Raychel
2003 Death of a Dynasty Mariah Carey 카메오
2005 State Property 2 Dame's Wifey
2008 Tennessee Krystal 카메오
You Don't Mess with the Zohan Mariah Carey
2009 Precious Mrs. Weiss
2013 버틀러: 대통령의 집사 Hattie Pearl [196]
2015 A Christmas Melody Melissa 감독
2016 Popstar: Never Stop Never Stopping Mariah Carey 카메오
The Keys of Christmas Mariah Carey 카메오
2017 레고 배트맨 무비 Mayor McCaskill 목소리 출연
Girls Trip Mariah Carey 카메오
The Star Rebecca the hen 목소리 출연
Mariah Carey's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riah Carey / 나레이터 목소리 출연, 제작
2020 Mariah Carey's Magical Christmas Special Mariah Carey 제작

11.2. 방송

||<-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b50302><bgcolor=#b50302> 머라이어 캐리 출연 방송 ||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90 Saturday Night Live 시즌 16 4회 게스트 with 패트릭 스웨이지
1991 Saturday Night Live 시즌 17 6회 게스트 with 린다 해밀턴
1997 Saturday Night Live 시즌 23 6회 게스트 with 클레어 데인즈
2002 앨리 맥빌 시즌 5 8회 Candy Cushnip
2003 Amici di Maria De Filippi Mariah Carey
2004 더 프라우드 패밀리 시즌 3 1회 Mariah Carey (목소리)
2008 Saturday Night Live 시즌 33 8회 게스트 with 조나 힐
2013 아메리칸 아이돌 시즌 12 심사위원
아메리칸 대드 시즌 9 11회 Gina's Replacement Waitress (목소리)
아메리칸 대드 시즌 10 5회 Laura (목소리)
2016 엠파이어 키티
Mariah's World Mariah Carey
2018 더 보이스 시즌 15 Key Advisor

12. 수상 내역

===# 그래미 어워드[197] #===
파일:Grammy.svg
트로피 5개 보유
1991 Best New Artist
Best Female Pop Vocal Performance
Vision of Love
2006 Best R&B Song
We Belong Together
Best Female R&B Vocal Performance
We Belong Together
Best Contemporary R&B Album
The Emancipation of Mimi

===#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
파일:dwerw22.jpg
트로피 10개 보유
1992 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1993 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Favorite Adult Contemporary Album
〈MTV Unplugged〉
1995 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1996 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1998 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2000 Lifetime Achievement Award
2005 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2008 Honorary Award

===# 빌보드 뮤직 어워드 #===
파일:BBMAs_logo_01.jpg
트로피 15개 보유
1991 #1 Hot 100 Singles Artist
#1 Pop Artist
#1 Adult Contemporary Artist
#1 Album
Mariah Carey
1994 #1 Female Artist
1996 Special Award – 16 weeks at #1
One Sweet Day
Top Hot 100 Singles Artist
1998 Special Award – Female Artist 13 #1 Singles
1999 Artist of the Decade
2005 Female Billboard 200 Album Artist of the Year
Female R&B/Hip-Hop Artist of the Year
Hot 100 Song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Hot 100 Airplay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Rhythmic Top 40 Title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2019 Icon Award

===# 주요 수상 둘러보기 #===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20년 출처 참조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2015년 8월 5일
위치 6270 Hollywood Blvd.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밥 딜런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프린스엘비스 프레슬리제임스 브라운스티비 원더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밥 말리데이비드 보위더 후너바나비치 보이스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돈나핑크 플로이드U2마빈 게이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더 클래시AC/DC벨벳 언더그라운드척 베리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닐 영아레사 프랭클린엘튼 존라디오헤드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존 레논블랙 사바스건즈 앤 로지스티나 터너조니 캐시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폴 매카트니플리트우드 맥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킹크스폴리스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밴 헤일런메탈리카레이 찰스조니 미첼알 그린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라몬즈JAY-Z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팔리아멘트-펑카델릭샤데이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빌리 조엘비욘세리틀 리처드퍼블릭 에너미피터 가브리엘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키스스투지스칩 트릭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림제네시스노토리어스 B.I.G.토킹 헤즈도어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콜드플레이오티스 레딩투팍 샤커데프 레파드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R.E.M.재니스 조플린밴 모리슨더 큐어러시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Run-D.M.C.레너드 스키너드주다스 프리스트에미넴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ABBA스틸리 댄어스 윈드 & 파이어커티스 메이필드더 밴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N.W.A.조지 마이클비 지스비스티 보이즈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그린 데이LL Cool J펄 잼머라이어 캐리아웃캐스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저니프리텐더스디페시 모드홀 앤 오츠앨리샤 키스
출처}}}}}}}}}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23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000,#ddd ※ 롤링 스톤2023년 새해를 맞아 2008년에 발표됐던 위대한 가수 리스트를 리뉴얼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휘트니 휴스턴 샘 쿡 빌리 홀리데이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레이 찰스 스티비 원더 비욘세 오티스 레딩 알 그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리틀 리처드 존 레논 팻시 클라인 프레디 머큐리 밥 딜런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프린스 엘비스 프레슬리 셀리아 크루즈 프랭크 시나트라 마빈 게이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니나 시몬 아델 스모키 로빈슨 조지 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 매카트니 돌리 파튼 마할리아 잭슨 샤카 칸 행크 윌리엄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루서 밴드로스 데이비드 보위 베시 스미스 톰 요크 더스티 스프링필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커트 코베인 밴 모리슨 커티스 메이필드 루이 암스트롱 알리야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에타 제임스 테디 펜더그래스 아리아나 그란데 제임스 브라운 엘라 피츠제럴드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마비스 스테이플스 린다 론스태드 토니 브랙스턴 로드 스튜어트 조니 미첼
5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년 9월 18일 MTV의 David Thomas가 팝 음악 사상 가장 위대한 디바 10명을 선정했다. 선정 대상이 '디바'인 만큼 여성 가수들만이 선정되었다. 해당 리스트에서는 '디바'의 기준으로 목소리, 상업적 성공, 유명도 3가지를 제시한다.
1위2위3위4위5위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다이애나 로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6위7위8위9위10위
마돈나 비욘세 비요크 도나 서머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자세한 내용은 출처 참조. }}}}}}}}}

파일:images_essence.png 선정 가장 위대한 R&B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11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Top 5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아레사 프랭클린마이클 잭슨스티비 원더마빈 게이프린스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휘트니 휴스턴루서 밴드로스커티스 메이필드아이즐리 브라더스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다이애나 로스머라이어 캐리비욘세제임스 브라운샘 쿡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퀸시 존스글래디스 나이트샤카 칸패티 라벨R. 켈리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라이오넬 리치맥스웰로린 힐갬블 앤 허프레이 찰스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어셔디안젤로디안젤로질 스콧알리야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팀발랜드애쉬포드 앤 심슨자넷 잭슨샤데이프랭키 비벌리 앤 메이즈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앨리샤 키스티나 마리도니 해서웨이뉴 에디션에타 제임스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아니타 베이커에리카 바두테디 펜더그래스TLC리아나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어스 윈드 앤 파이어토니 브랙스턴보이즈 투 멘배리 화이트베이비페이스
출처 }}}}}}}}}

파일:images_essence.png 선정 역대 최고의 R&B 솔로 가수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22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상징적 앨범/싱글 및 보컬을 기준으로, R&B 장르를 정의하고 발전시키며 유산을 공고히 한 '역대 최고의 R&B 솔로 가수'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휘트니 휴스턴마이클 잭슨비욘세머라이어 캐리루서 밴드로스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아니타 베이커아레사 프랭클린어셔메리 제이 블라이즈알 그린
출처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List of best-selling music artis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억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순수 음반 판매량이 아닌, 뮤직비디오 스트리밍, 싱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정규, EP, 컴필레이션 앨범 등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포함된 국가별 앨범 인증단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1] 출처는 위키백과이다. 위키백과 자료 설명 글에 "글로벌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는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없습니다."라고 언급되었다.[2]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엘튼 존
최대 600,000,000장[3] 500,000,000장 최대 400,000,000장[4] 최대 300,000,000장[5] 최대 300,000,000장[6]
<rowcolor=#FFD700> 레드 제플린 리아나 핑크 플로이드 비 지스 에미넴
최대 300,000,000장[7] 250,000,000장 최대 250,000,000장[8] 220,000,000장 220,000,000장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D700> 테일러 스위프트 휘트니 휴스턴 이글스
22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롤링 스톤스 <rowcolor=#FFD700> 셀린 디옹 AC/DC
200,000,000장 최대 200,000,000장[9] 최대 200,000,000장[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억 5천만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D700> 드레이크 가스 브룩스 칸예 웨스트 빌리 조엘 저스틴 비버
170,000,000장 170,000,000장 160,000,000장 16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에드 시런 브루노 마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U2 에어로스미스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필 콜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ABBA 프랭크 시나트라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 각주 ]

[1] 그러나 미국의 인증은 소속사에서 수동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는 더 정확성을 잃게 된다.[2] #[3] 최소 500,000,000장 –[4] 최소 350,000,000장 –[5] 최소 275,000,000장 –[6] 최소 250,000,000장 –[7] 최소 200,000,000장 –[8] 최소 200,000,000장 –[9] 최소 175,000,000장 –[10] 최소 150,000,000장 –
1억 5천만 미만부터는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같이보기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 ||

파일:미국 국기.svg
음악가별 미국 내 총 음반 판매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위 – 9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위 비틀즈 <colcolor=#333,#fff>183,000,000+장
2위 가스 브룩스 157,000,000+장
3위 엘비스 프레슬리 139,000,000+장
4위 이글스 120,000,000+장
5위 레드 제플린 112,500,000+장
6위 마이클 잭슨 89,000,000+장
7위 빌리 조엘 86,500,000+장
8위 엘튼 존 79,000,000+장
9위 AC/DC 75,000,000+장
9위 핑크 플로이드 75,000,000+장
9위 머라이어 캐리 75,000,000+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2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2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colcolor=#333,#fff>71,000,000+장
13위 에어로스미스 69,500,000+장
13위 조지 스트레이트 69,500,000+장
15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68,500,000+장
16위 롤링 스톤스 66,500,000+장
17위 마돈나 64,500,000+장
18위 메탈리카 63,000,000+장
19위 에미넴 61,500,000+장
20위 휘트니 휴스턴 61,000,000+장
21위 밴 헤일런 56,500,000+장
22위 플리트우드 맥 54,500,000+장
23위 셀린 디옹 53,000,000+장
24위 저니 52,500,000+장
25위 U2 52,000,000+장
26위 이하로는 출처를 참고하십시오.
}}}}}}}}}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내 앨범 판매량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FPI오리콘 차트 기준.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external/4.bp.blogspot.com/coverbd3.jpg
파일:3b3fac583e98083e710924681a36a10f.webp
파일:2f731607d4c1ce291bf3c99546b62e54.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tadaHikaruDistance.jpg
파일:8b1b2b1d63a565ae70766d45ca32a406.webp
우타다 히카루 B'z GLAY 우타다 히카루 B'z
First Love B'z The Best "Pleasure" REVIEW~BEST OF GLAY Distance B'z The Best "Treasure"
7,672,120장 5,136,000장 4,875,980장 4,472,353장 4,439,000장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ABEST.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lFreqE22L._SL500_AA300_.jpg
파일:external/jpopcdcovers.files.wordpress.com/610px-deep_river.jpg
파일:mcnumberones.jpg
파일:海のYeah!!.jpg
하마사키 아유미 globe 우타다 히카루 머라이어 캐리 사잔 올 스타즈
A BEST globe DEEP RIVER #1's 海のYeah!!
4,293,843장 4,136,000장 3,605,000장 3,600,000장 3,592,000장
같이보기 : 일본 내 실물 싱글 판매량 순위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99><#fff,#191919>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파일:libraryofcongress_dark.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200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Be My Baby” (1963)
샘 쿡,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Dear Mama" (1995)
}}}}}}}}} ||
201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바비 다린,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 (1992)
}}}}}}}}} ||
202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0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1938)
패티 라벨, "Lady Marmalade" (1974)
개구리 커밋(짐 헨슨), "Rainbow Connection" (1979)
Kool & the Gang, "Celebration" (1980)
이즈라엘 카마카위올레, "Somewhere Over the Rainbow/What a Wonderful World" (1993)
2022년 등재
어니스트 터브, "Walking the Floor Over You" (1941)
냇 킹 콜, "The Christmas Song" (1961)
앤디 윌리엄스, "Moon River" (1962)
디즈니랜드 보이즈 콰이어, "It's a Small World" (1964)
포 탑스, "Reach Out I'll Be There" (1966)
, "Bohemian Rhapsody" (1975)
저니, "Don't Stop Believin'" (1981)
리키 마틴, "Livin' la Vida Loca" (1999)
2023년 등재
포 시즌스, "Sherry" (1962)
바비 젠트리, "Ode to Billie Joe" (1967)
존 레논, "Imagine" (1971)
레드 제플린, "Stairway to Heaven" (1971)
존 덴버, "Take Me Home, Country Roads" (1971)
지미 버핏, "Margaritaville" (1977)
아이린 카라, "Flashdance... What a Feeling" (1983)
유리드믹스,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1983)
콘도 코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지상 BGM (1985)
머라이어 캐리,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994)
칼 세이건, "Pale Blue Dot" (1994)
대디 양키, "Gasolina" (2004)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1960년~1999년)|Grammy Awards for Best New Artist]]'''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601961196219631964
바비 다린 밥 뉴하트 피터 네로 로버트 굴렛 스윙글 싱어즈
<rowcolor=#b69858>19651966196719681969
비틀즈 톰 존스 - 바비 젠트리 호세 펠리치아노
<rowcolor=#b69858>19701971197219731974
크로스비, 스티븐 스틸스 앤 내쉬 카펜터즈 칼리 사이먼 아메리카 베트 미들러
<rowcolor=#b69858>19751976197719781979
마빈 햄리시 나탈리 콜 스타랜드 보컬 밴드 데비 분 테이스트 오브 허니
<rowcolor=#b69858>19801981198219831984
리키 리 존스 크리스토퍼 크로스 시나 이스턴 맨 앳 워크 컬처 클럽
<rowcolor=#b69858>19851986198719881989
신디 로퍼 샤데이 브루스 혼스비 앤 더 레인지 조디 와틀리 트레이시 채프먼
<rowcolor=#b69858>19901991199219931994
밀리 바닐리 머라이어 캐리 마크 콘 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 토니 브랙스턴
<rowcolor=#b69858>19951996199719981999
셰릴 크로우 후티 앤 더 블로우피쉬 리앤 라임즈 폴라 콜 로린 힐
''
''
''''
''''
1990년, 밀리 바닐리 멤버들이 앨범 Girl You Know It's True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고 노래를 녹음한 사람은 전혀 다른 사람들이라는 것이 밝혀진 후 상이 취소되었다.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Top Female Artist
<rowcolor=#000> 제1회
(1990년)
제2회
(1991년)
제4회
(1993년)
자넷 잭슨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 휴스턴
<rowcolor=#000> 제4회
(1993년)
제5회
(1994년)
제6회
(1995년)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TLC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Icon Award
<rowcolor=#000> 2018년 2019년 2020년
자넷 잭슨 머라이어 캐리 가스 브룩스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06년 빌보드에서 판매량과 차트 성적 등 상업성을 기준으로 1955년부터 2006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하여 각 시대를 관통한 탑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2006년 선정 당시 2000년대 탑 아티스트는 넬리였으나 2009년 재집계하여 에미넴으로 최종 확정됐다. 출처1 출처2
<rowcolor=#fede58>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엘튼 존 마이클 잭슨
<rowcolor=#fede58>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머라이어 캐리 에미넴 드레이크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칸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 롤링 스톤스 폴 매카트니 비 지스 어셔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 슈프림즈 프린스 홀 앤 오츠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마룬 5 마빈 게이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브루노 마스 다이애나 로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 템테이션스 도나 서머 비치 보이스 라이오넬 리치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잭슨 파이브 보이즈 투 멘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 브렌다 리 더 위켄드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브라이언 아담스 셰어 블랙 아이드 피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 핑크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레이디 가가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본 조비 처비 체커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 포리너 쿨 & 더 갱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리키 넬슨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 저스틴 팀버레이크 코모도스 이글스 TLC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 에미넴 배리 매닐로 디안 워윅 넬리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 포스트 말론 아리아나 그란데 에벌리 브라더스 칸예 웨스트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 R. 켈리 제임스 브라운 폴라 압둘 켈리 클락슨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 에드 시런 린다 론스태드 리처드 막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 JAY-Z 미라클스 디온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닐 세다카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포인터 시스터스 존 덴버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출처}}}}}}}}}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돈나 머라이어 캐리 자넷 잭슨 휘트니 휴스턴 리아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슈프림즈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케이티 페리 테일러 스위프트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다이애나 로스 도나 서머 카펜터즈 코니 프랜시스 비욘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브렌다 리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셰어 핑크 글로리아 에스테판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레이디 가가 TLC 디안 워윅 하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라 압둘 앨리샤 키스 켈리 클락슨 린다 론스태드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셀린 디옹 포인터 시스터스 캡틴 앤 테닐 브리트니 스피어스 토니 브랙스턴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제니퍼 로페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아델 모니카 헬렌 레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신디 로퍼 로버타 플랙 테일러 데인 니키 미나즈 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티나 터너 데비 깁슨 시나 이스턴 케샤 칼리 사이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브랜디 마일리 사이러스 페툴라 클라크 퍼기 나탈리 콜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알리야 베트 미들러 아샨티 앤 머레이 팻 베네타
출처 }}}}}}}}}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북 세계 기록
Most US No.1 singles by a solo artist
미국에서 가장 많은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솔로 아티스트
아티스트 수치
머라이어 캐리 19개
등재 날짜 출처
2019년 12월 21일 #
Most US No.1 singles by a female artist
미국에서 가장 많은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여성 아티스트
아티스트 수치
머라이어 캐리 19개
등재 날짜 출처
2019년 12월 21일 #
Longest span between No.1s on the US singles chart
가장 긴 기간동안 미국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아티스트
아티스트 기간
머라이어 캐리 29년 139일
등재 날짜 출처
2019년 12월 21일 #
Most cumulative weeks at No.1 on US singles chart
미국 싱글 차트 1위의 가장 긴 누적 주 수를 기록한 아티스트
아티스트 기간
머라이어 캐리 82주
등재 날짜 출처
2020년 1월 4일 #
Most streamed track on Spotify in 24 hours (female)
24시간 동안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노래 (여성)
노래 수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0,819,009
등재 날짜 출처
2018년 12월 24일 #
First artist to achieve US No.1 singles in four decades
4년대 동안 미국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최초의 아티스트
아티스트 기간
머라이어 캐리 1990년대 ~ 2020년대
등재 날짜 출처
2020년 1월 4일 #


13. 여담


[1] "Mariah"라는 이름은 1951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1969년 영화로 제작된 <Paint Your Wagon>의 삽입곡 <The Call The Wind Maria>에서 가져와 모친이 지어준 이름이다. 모친 패트리샤 캐리는 <They Call The Wind Maria>에서 "머라이어"라고 발음한 것을 유지하기 위해 "마리아"로 발음되는 "Maria" 대신 "h"를 붙여 "머라이어"로 발음하는 "Mariah"를 딸의 이름으로 정했다. 어린 시절 머라이어는 흔하지 않은 본인의 이름이 콤플렉스였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Mariah"라는 이름의 신생아가 미국 전역에서 매년 50명 이하일 정도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름이었지만 머라이어 캐리가 데뷔한 1990년 이후 2018년까지 약 98,000명의 신생아에게 붙여져 뮤지션의 성공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 이름 중 1위라고 한다. #[2] 원래 부계쪽 성은 Nuñez였지만 친조부가 베네수엘라에서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미국식으로 Carey라는 새로운 성을 채택했다.[3] 2005년 4월 30일 CNN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미들네임이 없다. "She named me Mariah Carey. I don't have a middle name because she was like, this is your stage name."#[4] 머라이어는 몇 년, 몇 십 년을 세지 말고 더 매력적인 "기념일"을 챙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같은 날에 사망했다고 머라이어 본인이 밝혔다.#[6] 스컬이 미국 진출을 하던 당시 그의 매니저였다고 한다.[#] [8] 이름 모로칸은 전 남편 닉 캐넌이 자신에게 청혼한 방의 이름, 미들네임 스콧은 닉 캐넌의 미들네임에서 가져왔다.[9] 이름 먼로는 마릴린 먼로로부터 가져왔으며 미들네임이 없는 머라이어 캐리를 따라 미들네임을 지어주지 않았다.[10] 이란성 쌍둥이이다.[11] 뉴욕 서폭 카운티에 위치함.[12] 출처. 후술하겠지만, 가사에 기독교적인 메세지가 담긴 노래들도 꽤 있다.[13] 브렌다 K. 스타의 백업싱어로 커리어를 시작했다.[14] 이전 소속사는 에픽 레코드(2015년~2020년대 초반), 컬럼비아 레코드, 버진 레코드, 아일랜드 데프 잼이 있다. 에픽 레코드에서 독립한 시점은 명확하지 않으나 2024년 현재 에픽 레코드 아티스트 목록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허나 머라이어는 현재 팀 머라이어를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5] 팬덤명은 'Lamb'이지만, 'Lambily'라고도 부른다. 직역하면 양이지만, 애정연민을 담아 사람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기도 하는 단어이다. 꿀이라는 뜻의 Honey가 연인 간의 애칭으로도 쓰이는 예를 생각하면 된다.[16] = 천상의 목소리. 머라이어 캐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현 중 하나.[17]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18] 실제로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이 한 곡의 누적 저작권료는 한화 기준 약 1000억 원을 넘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역대 단일 곡 저작권료 1위에 해당한다.[19] 머라이어의 노래들은 보컬리스트들의 가창력 측정 기준으로 쓰이며 현대의 알앤비, 팝 창법은 대부분 머라이어의 창법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멜리즈마나 휘슬 레지스터 등의 창법에서 머라이어가 끼친 영향력은 엄청난 수준. 또한 보컬 측면뿐만 아니라 송라이팅 측면에서도 머라이어는 많은 영향을 끼쳤다.[20] 대표적인 곡으로 〈Fantasy Remix〉등이 있다. 요즘이야 팝송에 래퍼가 피처링을 하는 건 너무나도 흔히 일어나는 일이지만 당시에는 신선한 시도였다.[21] 동시기 활동한 마돈나, 휘트니 휴스턴, 셀린 디옹 등의 라이벌들과 비교했을 때 무려 2~4배나 많은 판매량이며, 다운로드 시장이라는게 생기기 한참 전에 데뷔한 모든 가수들을 통틀어서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대표적인 스테디셀러인 비틀즈, 마이클 잭슨, 보다도 많은 판매량. [22] 1위가 마돈나 임은 확실한데 머라이어와 셀린 디옹의 순위는 매체마다 의견이 갈리는 편이다. 다만 이는 피지컬 음반 판매량만을 따졌을 때의 경우고 디지털 판매량을 합산 시 머라이어가 꽤나 큰 격차로 2위를 확정 짓는다.[23] 월드 와이드 판매량의 경우 6위 정도부터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탑텐 안에 드는 것은 확실하다.[24] 싱글 판매량 제외 아메리카 - 약 8500만 장, 유럽 - 약 3200만 장, 아시아 - 최소 3400만 장 이상 / 비틀즈와 함께 유이한 기록.[25] RIAA 기준 7500만 장 / 2위는 6850만 장을 판매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26] RIAA 기준 7500만 장 [27] 약 1850만 장 / 아시아 전역으로 넓혀봐도 34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여 영미권 가수 통틀어 역대 1위이다.[28] 약 1850만 장 / 위로는 모두 자국 여가수들이다.[29]#1's〉,약 380만 장 / 이외에도 〈Music Box〉, 〈Merry Christmas〉, 〈Daydream〉 등의 앨범들이 역대 Top 10 안에 들어간다.[30] 〈#1's〉 , 약 100만 장 / 누적 판매량은 약 380만 장으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해외 가수 앨범이다.[31] 약 500~600만 장 / 수십년째 지켜오던 기록이었으나 2010년대 말부터 시작된 아이돌 중심의 음반 인플레 현상으로 인해 TWICE가 갱신해버렸다. 참고로 아이돌을 제외하면 여전히 유효한 기록.[32] 약 500~600만 장[33]Music Box〉, 약 105만 장 참고[34]Music Box〉, 약 105만 장 / 14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한 BLACKPINK의 〈THE ALBUM〉, 130만 장 판매량을 기록한 휘트니 휴스턴의 〈The Bodyguard OST〉에 이어 3위이다.[35]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최소 2000만 장 ~ 2800만 장 / 현재까지도 매년 수백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리고 있어, 머지 않아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싱글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36]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최소 2000만 장 ~ 2800만 장 / 현재까지도 매년 수백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리고 있다.[37]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6 플래티넘 인증 / 영국에서 36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6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위 기록은 아델Hello (4 플래티넘 인증)[38]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30만 장 / 디지털 판매량에서 2 플래티넘 인증을 받아 총합 180만 장이 팔렸다.[39] 순서대로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엘튼 존, 마이클 잭슨, 머라이어 캐리, 에미넴, 드레이크 / 195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0년간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7명을 선정.[40] 1990년대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41]One Sweet Day〉 / 1990년대 가장 성공한 노래.[42]We Belong Together〉 / 2000년대 가장 성공한 노래.[43] 총 19곡 1위 / 그룹을 합쳐도 비틀즈 다음으로 역대 2위이다.[44] 총 19곡 1위 / 남자 가수를 합쳐도 비틀즈 다음으로 역대 2위이다.[45] 총 19곡 1위 / 1위는 20곡의 비틀즈.[46] 총합 96주 1위[47] 총합 25주 2위[48] 1990년~2024 / 총 34년[49] 1990, 2000, 2010, 2020년대 연속 1위 곡 배출[50] 1990~2000년 / 11년 동안 한 해도 빠짐없이 1위를 차지했다.[51]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년 연속 1위[52] 1990년대 Artist of the Decade, 1990년대 Song of the Decade[53] 1990년대 Artist of the Decade, 1990년대 Song of the Decade, 2000년대 Song of the Decade[54] 총 18곡 1위 / 남녀 통합 4위.[55] 총 15곡 1위 / 남녀 통합 6위.[56] 12곡 / 순서대로 〈We Belong Together〉, 〈One Sweet Day〉, 〈Love Takes Time〉, 〈Vision of Love〉, 〈Fantasy〉, 〈Emotions〉, 〈Dreamlover〉, 〈Someday〉, 〈Hero〉, 〈Always Be My Baby〉, 〈I Don't Wanna Cry〉,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57]We Belong Together[58]One Sweet Day[59]Mariah Carey[60]The Emancipation of Mimi[61]Music Box〉 / 이 차트들은 단순히 앨범이나 싱글의 절대적인 판매량이 아니라 빌보드 차트 내에서의 흥행 여부를 따진 것으로 보인다. 만약 판매량만으로 집계를 했다면 당연히 앨범 호황기였던 90년대 가수들이 차트를 정복해버릴 것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인듯 하다.[62] 1990, 2000, 2020년대 1위 곡 보유 / 각각 〈Without You〉, 〈Against All Odds〉,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63]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1990, 2000, 2010, 2020년대 모두 Top 10에 진입했다.[64]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15주~ing[65]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2371만 회[66] 2023년까지 유효한 기록이였으나, 2024년 테일러 스위프트Fortnight가 2520만 회로 기록을 갱신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추세로 스포티파이 이용자 수가 증가한다면 2025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재탈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67]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8억 회[68] 역대 8번째[69]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9억 회[70]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8억 회[71]Merry Christmas〉 약 26억 회[72] 스포티파이에서 약 89억 회, 판도라 (미국에서만 쓸 수 있는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약 60억 회와 나머지 플랫폼을 합산.[73] 미국 내 923만 장[74] 일본 내 92만 장[75] 447만 장[76] 106만 장[77] 1063만 장[78] 일본 내 240만 장[79] 800만 장[80] 280만 장[81] 1030만 장[82] 263만 장[83] 535만 장[84] 158만 장[85] 347만 장[86] 87만 장[87] 67만 장[88] 40만 장[89] 125만 장[90] 37만 장[91] 641만 장[92] 33만 장[93] 135만 장[94] 17만 장[95] 57만 장[96] 10만 장[97] 61만 장[98] 35,000장[99] 15만 장[100] 4만 장[101] 디지털/스트리밍 합산[102] 12만 장[103] 1만 장[104] 디지털/스트리밍 합산[105] 미국 내 313만 장[106] 일본 내 52만 장[107] 580만 장[108] 381만 장[109] 136만 장[110] 40만 장[111] 47만 장[112] 7만 장[113] 2019년, 발매 25년만에 1위[114] 2020년, 발매 26년만에 첫 1위.[115] 16주 1위로 최장기간 1위 곡에 등극하였으나, 2019년에 Old Town Road가 19주 1위를 차지하면서 기록을 넘겨주면서 해당 부문 공동 2위. 빌보드 핫 100 참조.[116] with Boyz II Men[117] 빌보드 선정 1990년대 최고의 노래[118] feat Krayzie Bone, Wish Bone[119] 버블링 언더 25위[120] with Jermaine Dupri[121] with Whitney Houston[122] feat. JAY-Z[123] feat. Joe, 98 Degrees[124] feat. Snoop Dogg[125] feat. Westlife[126] feat. Cameo[127] 버블링 언더 5위[128] 버블링 언더 23위[129] (feat. Mystikal[130] (feat. Cam'ron[131] with Busta Rhymes feat. The Flipmode Squad[132] Jadakiss의 곡을 피처링[133] 빌보드 핫 100 2000년대 최장 기간 1위곡 / 역대 최장 기간 1위곡 공동 4위[134] 빌보드 선정 2000년대 최고의 노래[135] 'We Belong Together'가 이 곡의 1위를 막았다.[136] feat. Jermaine Dupri[137] 버블링 언더 4위[138] feat. Snoop Dogg[139] 버블링 언더 14위[140] Twista의 곡을 피처링[141] 버블링 언더 17위[142] Bone Thugs-n-Harmony의 곡을 Bow Wow와 함께 피처링[143] 버블링 언더 1위[144] feat. Nicki Minaj[145] 버블링 언더 15위[146] 버블링 언더 19위[147] 최고음 B7까지 올라가는 팝 가수나 소프라노들은 아주 드물긴 하지만 종종 있긴 한데 핵심은 최저음이 F2라는 것이다. 이는 웬만한 남자가 내는 중저음을 내는 것이다. 따라서 머라이어의 음역대는 엄밀하게 따지자면 콘트랄토이지만, 보이스 타입은 콜로라투라 라이트 리릭 소프라노이다. 중음역대도 비지 않는 데다가 거의 전 음역대를 완벽한 발성으로 구사한다는 것이 더욱 놀라운 점이다.[148] 잭슨 파이브의 곡[149] 가장 많은 빌보드 1위 곡을 보유한 작곡가 기록에서 역대 4위, 여성 1위에 위치해있다. 1~3위는 순서대로 폴 메카트니, 존 레논, 맥스 마틴.[150] 그렇다고 Hero의 곡 난이도가 낮다고 보기는 힘들다. 머라이어 노래 특유의 기교는 물론, 브릿지 구간에는 E5(3옥타브 미) 구간이 몇 번씩 나오며 후반에는 B4를 5~6초간 끌어야 해서 전혀 쉽지만은 않다. 그나마 중간 정도 쉬운 노래를 꼽자면 〈I Still Believe〉정도가 있을 것이다. 이마저도 후반부에 4옥타브 레의 가성이 있지만 진성 부분은 무난한 편이다.[151] 특히 팬들이 꼽는 미친 난이도 노래는 〈Butterfly〉, 〈Forever〉, 〈Outside〉, 〈Lead the Way〉, 〈Fly Like A Bird〉, 〈Anytime You Need a Friend〉, 〈There's Got to Be a Way〉, 〈Whenever You Call〉, 〈If It's Over〉, 〈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 〈Heavenly (No Ways Tired/Can't Give Up Now)〉, 〈Emotions〉, 〈The One〉 등이 있다. 엄청나게 넓은 음역대, 머라이어 특유의 미친 기교, 완급조절 등 차원을 달리하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152] Lead the way의 경우에는 3초에 F5~E♭4 구간의 20개가 넘는 음을 오가고, Can't take that away도 F#5~G4 정도의 구간을 5초에 30개 정도의 음을 오간다. 라이브에서는 이거보다 더 한다. 최전성기였던 Daydream 투어 당시 Vision of Love 공연에서 10초에 C#5~D3 구간에 60개가 넘는 음을 오간 적이 있었다. 더 놀라운 점은 이런 걸 휘슬 레지스터로도 (한 옥타브 높은 구간에서) 한다는 것.[153] 컨디션이 가장 좋을 때는 Eb3까지 지지가 된다. 그렇지만 머라이어의 저음은 사실 공기 반 소리 반이어서 지지(Support)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이후 성종이 메조 소프라노로 바뀐 현재는 B2까지 지지할 수 있다.[154] 일반적으로 머라이어는 상부 벨트(Upper Belt, Eb5~)의 여왕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런 인식과는 다르게 머라이어는 이 음들을 잘 지지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성대 안에 결절이 있기 때문이다.[155] 머라이어의 두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음원이든 라이브든 잘 두성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대신 휘슬과 가성을 활용했다. "Fantasy", ''Dreamlover" 같은 일부 곡의 음원이나 라이브에서 머라이어의 두성을 들을 수 있다.[156] 물론 그 이전 부터 여성 작곡가 및 여성 싱어송라이터들은 많았다. 자넷 잭슨도 단독 작사작곡으로 이미 빌보드 1위를 경험한 적 있으며, 돌리 파튼의 "I will always love you"도 그녀가 직접 만든 것이다.[157] 우리나라로 치면 작곡가(탑라이너),편곡가(비트 메이커) 중에서 작곡가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158] 예로 용감한 형제윤종신 같은 나름 거물급 작곡가들조차도 악보를 보는 게 어렵다고 고백한 바 있다. 애초에 실용음악 범위에서 다루는 화음, 반주 등은 한계가 있는데다가, 이쪽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전문적으로 화성학을 배웠다기보다는 어깨 너머 곁눈질로 보거나 노하우를 전수받아가며 배운 이들의 비율이 훨씬 많다.[159]Emotions〉, 〈Can't Let Go〉, 〈Make It Happen〉[160] Make It Happen, Close My Eyes, Outside, Petals, Can't Take That Away 등.[161] Dreamlover,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Did I Do That, Slipping Away, Side Effect 등.[162]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의 모든 곡, Cry, Faded, Camouflage, Infinity[163] Make It Happen, Hero, Jesus Born On This Day, My Saving Grace, Fly Like A Bird, I Wish You Well, One Child 등.[164] 이 공연이 머라이어가 감기로 인해 컨디션이 안 좋을 때였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라이브와 그녀의 라이브 사상 최고의 고음인 5옥타브 라#을 냈다.[165] 당연하지만 그래미와의 관계랑은 다르다.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가 딱히 작품성이 없었기 때문에 VMA에서의 수상이 없는 것일뿐이다. 그러나 그래미에서는 역대급 명반을 여러번 내놓았음에도 노미네이트만 주구장창 시켜놓고는 상을 거의 안 주었다.[166] 이 비디오를 본 사람들은 대체 어디에 돈을 썼냐고 물을 수 있는데 비디오 속에 나온 머라이어의 얼터 이고(Alter ego)인 비앙카를 구현하는 데에 상당수 돈이 들어갔다. 그 당시에는 CG 기술이 아직 발달이 크게 안되었기 때문에 엄청난 돈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167]It's Like That〉에서 약혼자(정략결혼인 듯한 느낌을 물씬 풍김.)의 파티에서 우연히 한 남자를 보고 반하게 되고 〈We Belong Together〉에서 약혼자와 남자를 두고 갈등하지만 결국 돈 대신 사랑을 선택하는 스토리다.[168] VMA 측이 머라이어와 사이가 나쁜 것인지는 모른다. 원래 이 시상식이 옛날부터 퍼포먼스형 가수 위주로 시상되던 시상식이다 보니 마돈나, 자넷 잭슨 같은 댄스 가수들과 락가수들이 상을 많이 타갔다. 현재에도 비욘세케이티 페리, 리아나, 레이디 가가 등 댄스와 퍼포먼스 위주 가수들에게 준다. 유튜브의 발달과 보는 음악의 확대에 따라 뮤직비디오 자체의 작품성에 신경을 많이 쓰기 시작한 것도 있다. 이렇다 보니 디바형 가수들이 상대적으로 수상실적이 적다. 예외도 있는데 휘트니 휴스턴의 경우 대상 다음가는 본상격인 최고 여자 비디오 상을 탄 전적이 있다. 후배 디바인(락 색채가 있지만) 켈리 클락슨도 2년 연속으로 최고 여자 비디오상을 가져갔다. 유독 머라이어에 대해서만 수상은 둘째치고 후보 전적도 1번 외에는 없다는 것이 팬들 사이에서도 의문이다.[169] 사실 웃긴 뮤비라고 하는 팬들이 많다.[170] 당시 임신 중이었다.[171]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172] We Belong Together,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ke My Wish Come True Edition)[173] When You Believe[174] Without You, I Know What You Want[175] Hero, Always Be My Baby, One Sweet Day[176]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uperFestive!), Touch My Body, My All, Obsessed, I Want To Know What Love Is[177] Angels Cry, Bye Bye, Fantasy, O Holy Night[178] 특히 HeroWithout You는 90년대 초반의 노래인데다가 뮤직비디오를 가장한 라이브 영상이다. 또한 One Sweet Day 같은 경우는 90년대 중반 노래인데다가 녹음하는 영상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녹음하는 장면만 나온다.[179] 가장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는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같은 경우에는 매년 겨울이 되면 조회 수가 급등한다.[180] 그러나 이 셋은 90년대 후반에 데뷔했으며 유튜브가 발달하기 시작한 2000년대 후반에도 여전히 활발히 활동한 현역 가수들이다. 머라이어는 유튜브의 발달 즈음으로 이미 중견가수였다는 점에서 어찌 보면 대단한 것이다.[181] RIAA 기준 7500만 장 / 남녀 통합 10위[182] 역대 여가수 2위, 남녀 통합 10위[183] 총 19곡.[184] 총 20곡.[185] 리아나, 60주.[186] <I'll Be There> 리메이크를 제외한 모든 곡을 본인이 작사/작곡[187]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그룹 활동은 제외한다.[188] 명실상부 1990년대 최고의 가수였지만 2000년대 들어서부터는 큰 슬럼프를 겪기도 하였다. 이후 꿋꿋이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해나감으로서 화려한 재기에 성공, 2000년대에도 전성기를 이어나갔다.[189]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는 스포티파이에서 하루동안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된 곡이다. 2위는 아델Easy On Me[190] 스포티파이에서의 누적 스트리밍이 90억 회를 넘어서는 등 동시기 활동한 가수들 중 가장 높은 스트리밍 세일즈를 기록하고 있다.[191] 출처[192] 출처[193] 출처[194] 출처[195] 그냥 부드러운 팝 노래였던 Fantasy에 래퍼를 기용하여 리믹스 곡을 낸 적이 있는데, 현재에는 이게 너무나도 당연한 레퍼토리지만 당시에는 신선한 시도였다.[196] 여러 사람들이 도대체 어디서 머라이어 캐리가 등장한거냐고 의문을 갖는다. 영화 극초반에 주인공의 어머니로 출연하며, 대사도 거의 없다. 백인 주인이 창고로 끌고간 이후로 출연이 없다가, 노년의 모습으로 다시 나오나, 실어증이라는 이유로 또 대사가 없다.[197] 팝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지만 유독 그래미가 차별을 심하게 한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전성기 1995년에는 올해의 앨범 및 다양한 상 노미네이트를 받았으나 하나도 수상받지 못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에 화가 난 머라이어도 10년동안은 그래미를 손절했다가 2006년 다시 수상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올해의 앨범이 없는 것에는 말이 많다.[198] 흑인의 외모적 특성은 유전적으로 우성이라서 흑백혼혈들은 흑인에 더 가까운 외모로 태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99] 미국에는 한 방울 원칙이라는 문화가 정서적으로 아직도 남아있다. 외모 및 문화적인 이유로 흑백혼혈 미국인들은 흑인으로서의 인종적 정체성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00] 1990년대 빌보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다운로드의 개념이 없던지라 라디오가 순위를 좌우했다. 대형 소속사의 가수인 데다가 엄청난 프로모션을 뛰는 머라이어 캐리가 순위가 높은 것도 생각해보면 당연한 일.[201] 'I was malnourished at that point, pretty much, for real. When I look back, I’d been through a lot already. I had a very difficult childhood.' / '나는 그 때 영양실조였다, 거의, 진짜로. 돌이켜보면 이미 많은 일을 겪었었다. 나는 매우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202] 멀캐는 PC통신 시절 머라이어 캐리 팬들이 부른 별명이긴 하지만 이상하게 안티들이 머라이어+암캐 라는 뜻으로 사용하면서 팬들이 싫어하는 별명이 되었다.[203] 8,90년대엔 바비인형과 유사하지만 얼굴은 좀 더 한국 취향 순정만화 스타일인 '미미' 인형이 한국에서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었고, 공주 시리즈가 특히나 인기를 끌었기에 예쁜 여자아이를 보고 '미미공주'에 비유하는 일이 잦았다. 미미인형의 유행이 지난 다음에도 '미미공주'란 말은 꽤 오래 살아남았는데, 캐리의 애칭이 미미이기에 자연스럽게 붙은 것으로 보인다.[204] 그 이유는 학교 수업에 잘 들어오지 않아서이다.[205] 또한, 마돈나, 레이디 가가,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과 함께 게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여가수중 한명이다. 그녀 본인의 공주병, 디바 기질도 인기를 끄는 요인중 하나다.[206] 한쪽 귀를 막는 동작, 한 바퀴 도는 동작, 마라카스를 흔드는 동작, 손가락을 팔랑거리는 동작, 손으로 동그라미를 만드는 동작, 팔을 벌리는 동작, 하늘로 팔을 뻗는 동작, 얼굴을 가리는 동작 등 다양하다.[207] Always Be My Baby 또는 Forever(4집의 곡들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의 후렴구 가사에서도 엿볼 수가 있다.[208] 2019년 말에 빌보드 인터뷰에서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나올 때 볼 수 있다.[209] 난 그녀를 몰라요.[210] 팬들 사이에서 Meme로 유행한다.[211] 그 예가 2008년 E=MC² 활동 당시이다.[212] 2020년 3월.[213] 2020년 3월 기준 한화로 약 116억 원.[214] 이는 필리핀의 엔터테인먼트 문화에서 기인하는데, 필리핀은 현지 엔터테인먼트 시장보다 팝 이나 케이팝 등 해외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영향력이 더욱 크기 때문이다. 이는 필리핀이 영어 문화권인 점도 한 몫했다. 또한 팝 시장에도 니콜 셰르징거, 켈라니, 올리비아 로드리고, 브루노 마스 등 필리핀계 혈통을 지닌 팝스타가 다수 존재한다.[215] 일본, 한국, 대만에 비하면 많은 판매량은 아니지만, 필리핀 앨범 시장이 작기도 하고, 통계치가 비공식적인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다.[216] 2022년 기준으로 25주년 앨범.[217] The Emancipation Of MiMi 앨범을 기념하는 공연이기도 하며 당시, 라이브로 공연하지 못한 곡들도 선보일 것이라는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