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3 "Grease Gun" United States Submachine Gun, Cal. .45, M3. M3 기관단총 | |||
M3 | |||
간소화 개량형 M3A1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기관단총 | ||
원산지 | 미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 역사 | 1943년~현재 | ||
개발 | 조지 J. 하이드 | ||
개발년도 | 1942년 | ||
생산 | 제너럴 모터스 그 외 다수의 총기회사들 | ||
생산년도 | 1943년~1945년 | ||
생산수 | 606,694정 (M3) 48,669정 (M3A1) | ||
단가 | $15[1] | ||
사용국 | 미국 대한민국 그 외 다수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6.25 전쟁 피그만 침공 베트남 전쟁 포클랜드 전쟁 걸프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M3A1 PAM1 PAM2 | ||
제원 | |||
탄약 | .45 ACP 9×19mm 파라벨룸 | ||
급탄 | 30발짜리 막대탄창 | ||
작동방식 | 블로우백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203.2mm | ||
전장 | 740mm (개머리판 연장) 556.3mm (개머리판 수축) | ||
중량 | M3: 3.7kg (탄창 없이) M3A1: 3.61kg (탄창 없이) | ||
발사속도 | 450RPM | ||
탄속 | 280m/s | ||
유효사거리 | 91m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M3 & M3A1 리뷰 영상 |
래리 빅커스의 M3 기관단총 소개 및 사격 영상 | 1943년에 제작된 M3 기관단총 교육용 동영상 |
2. 역사
M3는 생산성을 위해 프레스 가공과 용접만으로 가공된 통짜 쇳덩어리 총이었고, 겉모양이 투박한데다가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 안전장치, 부실한 장전 손잡이, 너무 단순한 조준기 등 보기에는 탐탁지 않은 곳 투성이라서 보급 초기에는 평가가 좋지 않았다. 당장 다른 기관단총이 있으면 아무도 M3 그리스 건을 선택하지 않을 정도였다.
2020년 존 F. 케네디 특수전학교에서의 훈련 중에 M3A1 사격 중인 육군 병사# |
이처럼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제작된 M3/M3A1은 발사 제어성은 높은 편이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은 거의 고려되지 않은 터라, 종전 후 미군 내에서 점차 일선 제식의 자리에서 퇴출을 기다리는 분위기였다. 또한 단순한 구조와 높은 생산성을 무기로 1943년부터 줄기차게 뽑아낸 이 기관단총의 수량은 충분히 미군의 향후 수요를 충족할 양이었기 때문에, 1945년 이후부터 사실상 GM의 Guidelamp 부서에서의 생산은 종결되었으나 6.25 전쟁 참전을 계기로 M3A1 기종에 한정, 약 40,000여 정이 1951-3년 사이 미국의 이사카 사에서 추가 생산되었다.
이 결과 6.25 전쟁 정전 후 미국에서 생산된 M3/M3A1은 일본과 대한민국, 대만 등 여러 우방국에 대량 공여되었음에도 미군 내 재고수량은 충분할 수준이었으며, 워낙 단순한 구조로 크게 고장날 건덕지도 없었기에 쉽게 재고가 소모되지 않았다. 결국 살아남은 재고 수량은 베트남 전쟁을 포함한 냉전 시기를 거쳐 1990년에 일어났던 걸프 전쟁까지도 총 쏠 일이 없는 전차 승무원들의 개인화기로 사용될 정도로 오래 운용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하이 스탠다드 사의 소음기 부착형 M3을 소지한 MACV-SOG 대원# |
Forgotten Weapons의 OSS용 M3 기관단총 리뷰 영상 |
6.25 전쟁 당시 M3를 사용 중인 중공군 |
여수·순천 10.19 사건 당시 M3를 들고 반란군 포로를 경계하는 국군. | 6.25 전쟁 당시 M3를 들고 있는 한국군. 뒤에 있는 병사가 장비한 물건은 M20 슈퍼 바주카. |
일부 물량은 90년대까지도 남아있었으며,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때 경찰이 운용하는 모습이 TV 카메라에 찍히기도 했다.#[7] 상세한 것은 군사 기밀이나, 2020년대 현재 기준으로도 아직 상당한 물량이 치장물자로 보존중에 있다. 탄이야 뭐 한국군에 넘쳐나는게 45구경 탄이다.
K1 기관단총의 개머리판이 그리스 건의 것을 참조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실제로 구조나 형태가 매우 유사한 편이며, XB-6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제작된 K1의 초기 목업 또한 M3/M3A1용 와이어 스톡을 그대로 유용하였다. 사실 K1 기관단총의 개발이 당시 한국에서 사용되던 그리스 건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8]도 어느 정도 있었음을 생각해보면 가능성이 높다. 그리스 건의 철사 개머리판은 견착감이 영 나쁘고 잘 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런데 그리스 건의 개머리판은 총기 분해용 도구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될 경우 총기손질 및 수리/정비에 곤란을 겪게 된다.
2013년 7월 27일 북한 열병식에서 6.25 전쟁당시 '소년빨치산'[9] 재현 열병 부대의 사진 |
또한, 북한에서 제작하는 영화 중에서 남파간첩에 대한 영화들도 나오는데, 여기서 대한민국 국군은 높은 확률로 M1 카빈, M1 개런드나 이 그리스 건을 들고 등장한다.
필리핀 해군 특수검문부대처럼 최근까지도 일부 개발도상국가들의 특수전 세력에서는 아직도 쓰이는 모습이 간간이 보인다.링크[11]
일본의 경우에는 자위대에서 11.4mm 기관단총(11.4mm短機関銃M3A1)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는데 대부분 89식 소총이나 미네베아 PM-9나 접이식 개머리판이 달린 89식 소총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 쓰고 있다. 특히 자위대에서는 히타치공업에 의뢰, 그리스 건을 가지고 곡사총열을 만들어 테스트하기도 했는데 곡사총열이 다 그렇듯 뭔가 영 어정쩡했기에 1정 개조해서 실험해보고 때려치우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 경찰의 대테러 훈련 때도 용의자 역을 맡는 경찰관들이 심심하면 무기로 그리스 건을 들고 나오기도 하는데 #, # 미군정 시절에 경찰 혹은 경찰예비대 무장용으로 공여받은 물량을 훈련용으로 재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특징
야전 분해 상태의 M3 |
M3A1의 먼지 덮개 |
그러나 스텐 기관단총 같은 물건조차 아무렇지도 않게 쓰이던 시절, 실전에서 보여준 성능은 그래도 스텐보다는 한 수 위였다. 워낙 간단한 구조를 채택해서 생산성이 좋았고, 톰슨 기관단총보다 야전의 오염에도 강했다. 강력한 .45 ACP탄을 사용하면서도 무거운 노리쇠 덕분에 발사속도가 느린 탓으로 반동억제가 쉬운 편이라 집탄성도 나쁘지 않았다.[12] 그리고 동시기 다른 기관단총은 왼손을 둘 곳이 마땅치 않았던 데 비해서 탄창 삽입구 쪽에 손을 잡을 수 있는 곳을 마련해 두기도 했다. 무엇보다 다른 기관단총들을 점점 구하기 힘들어지자 어쩔 수 없이 M3가 미국 기관단총의 대표로 떠오르게 된다.
단일 급탄식(Single-feed) 탄창 |
그래서인지는 분당 발사속도가 느린 걸로 악명이 자자하다. 분당 450발로 다른 기관단총들의 절반 정도. 유튜브 시험발사 영상을 보면 다른 기관단총들은 "드르르르륵" 하는 느낌이면 이건 "타타타다당" 이라고 몇 발 쐈는지 셀 수 있을 정도로 발사속도가 느리다. 대신 상당히 강력한 45구경 탄을 연발로 쏘면서도 반동이 적어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제어할 수 있고 집탄성도 좋다. 탄 소모 또한 적다.
단순하고 깡통처럼 비어 보이는 형태와 컴팩트한 크기에 비해서는 꽤 무겁다. 특수전 부대, 전차병용 직속 대체 무기인 K1 기관단총, 일반 보병용인 K2 소총보다 무겁다. 톰슨이나 그리스건이나 기관단총 주제에 소총보다 무거워서 여러모로 원성을 샀다.
특이한 점이, 그리스 건의 개인 방어화기로서의 한국 후속작인 K1 기관단총이나 미국에서의 후속작인 M231 FPW의 프로토타입 XM231 모두 그리스 건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신축형 개머리판을 갖고 있다. XM231의 경우 특히 그리스 건의 개머리판을 거의 떼다 붙인 것처럼 닮았다. X자를 떼버린 양산형, M231로 넘어가면서 원가절감한답시고 제조사인 콜트 사에서 그 조악한 개머리판도 제거했다.
4. 등장 매체
4.1. 실사 매체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는 대부분 톰슨 기관단총에 밀려서 자주 나오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 간간히 등장한다.
1970-80년대 대한민국에서 자주 만들었던 반공 영화/드라마에서 한국군 간부가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전우(드라마), 배달의 기수, 3840 유격대 등등.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는 한국군 무장으로는 잘 보이지 않고, 드물게 등장한 사례로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평양 전투에서 허 중사가 사용하는게 나온다.#
대한민국보다는 북한 영화에서 더 자주 나온다. 주로 남한의 군인들이 쓰는 총으로 등장한다. 남한에 침투하여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의 손에는 항상 이것이 빠짐없이 들려있다.[15] 그 뿐만이 아닌 미군과 한국군의 3명중 1꼴로 들려있다. 나머지는 M1 개런드, M1 카빈, M1918 브라우닝. 아니면 어떨 때는 한국군이나 미군 보초병들이 다 이걸 들고 있다. 한국에서도 반대로 북한군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때문인지, 80년대 까지도 북한군이 한국전때나 쓰이던 PPSh-41을 들고 나오는 것으로 왕왕 묘사되곤 했다.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미군이 M3A1을 사용한다. #
- 라스트 액션 히어로
악당이 M3A1을 사용한다.#
- 서울 1945
대한민국 국군이 사용하는 총으로 나온다. 주로 6.25 전쟁을 다룬 장면에서 일부 한국군들이 사용한다. 66화에선 주인공 이동우가 중공군과의 교전에서 M1911 권총과 함께 사용한다.
- 세일러복과 기관총(セーラー服と機関銃)
세일러복과 기관총(1981) | 세일러복과 기관총(2006) | 세일러복과 기관총 - 졸업 |
- 야인시대
전쟁 등 대규모 총격전마다 꼬박꼬박 등장한다. 조폭, 전위대, 조선국군준비대, 대한민국 국군 등 사용자들도 매우 다양하다. 그런데 이것도 모델건이라 전부 노리쇠 덮개가 닫혀있는데 발사가 된다.
- 웰컴 투 동막골
미군들이 들고 나온다. 영화 마지막에서 한국군과 조선인민군이 미군 전투기를 상대할 때 M2 브라우닝 중기관총과 M1919 브라우닝과 함께 쓰인다.
- 전우(드라마)
배우 강민호의 주무기가 바로 M3이다. - 전우(2010년 드라마)
선임하사의 상관인 소위가 사용한다.
Grady 'Coon-Ass' Travis: Sit up. See that cover?
Norman "Machine" Ellison: Yeah.
Grady 'Coon-Ass' Travis: Open it.
(Norman opens the cover)
Grady 'Coon-Ass' Travis: Now you killin. Close it up.
(Norman closes the cover)
Grady 'Coon-Ass' Travis: Now you ain't.
그레이디 : 똑바로 앉아봐. 그 덮개 보이냐?
노먼 : 예.
그레이디 : 열어봐.
(노먼이 노리쇠 덮개를 연다.)
그레이디 : 이제 죽일 수 있어. 닫아봐.
(노먼이 덮개를 닫는다.)
그레이디 : 이제 못 죽여.
그레이디 상병이 신참인 노먼 일병에게 M3A1 그리스 건 조작법을 알려주면서 한 말.#
M3A1형이 등장. 조종수 고르도와 부조종수겸 차체 기관총수 노먼이 사용한다.Norman "Machine" Ellison: Yeah.
Grady 'Coon-Ass' Travis: Open it.
(Norman opens the cover)
Grady 'Coon-Ass' Travis: Now you killin. Close it up.
(Norman closes the cover)
Grady 'Coon-Ass' Travis: Now you ain't.
그레이디 : 똑바로 앉아봐. 그 덮개 보이냐?
노먼 : 예.
그레이디 : 열어봐.
(노먼이 노리쇠 덮개를 연다.)
그레이디 : 이제 죽일 수 있어. 닫아봐.
(노먼이 덮개를 닫는다.)
그레이디 : 이제 못 죽여.
그레이디 상병이 신참인 노먼 일병에게 M3A1 그리스 건 조작법을 알려주면서 한 말.#
4.2. 소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유진 킴의 미래 지식 덕에 원 역사보다 몇십년 빠른 1차 대전 때 등장하게 된다. 1차 대전 때는 BAR와 함께 참호전을 뒤집어 놓았고[16], 휴대성 덕에 전간기에도 호신용으로 애용된다.[17] 심지어 발터 모델의 부관이 이걸로 무장하는 등, 2차 대전 시기에는 이걸 안 쓰는 군대를 찾기 어려울 지경이 되었다. 유진 킴 왈, 하도 데드카피가 되어서 라이센스 비용 청구는 애진작에 포기했다고.
4.3. 게임
- 2WAR - 미군의 기본장비로 등장했다. 기본총답게 구린 성능. 그런데 독일군 측 기본장비는 MP18이다. 1차 대전 때의 총기와 동급으로 취급받은 것.
- Phantom Forces - M3A1으로 등장한다. 연사력이 자동화기 중 2번째로 느린 연사력을 가졌지만 근거리에서 몸샷 2방으로 적을 처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중거리용 총이다.[18]
- 레드 오케스트라/라이징 스톰 시리즈
- 레드 오케스트라 2/히어로즈 오브 더 웨스트 - 성능은 화력덕후 미군의 명성에 먹칠하는 수준. 화력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가늠자가 거의 바늘구멍 수준이라 영 못 써먹을 수준이다. 그나마 원래 존재하던 미군의 대체 무기들의 성능이 좋은 것이 위안.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 미국 포인트맨/컴뱃 엔지니어의 무장중 하나로 나온다. 느린 연사속도와 보기 힘든 가늠좌, 그리고 훨씬 좋은 성능의 샷건에 밀리지만 중거리 커버가 된다는 점 때문인지 어느정도 인기는 있는 편이다. 그러나 이후 4월 26자 패치로 가늠자의 개선과 맞바꿔 탄 명중률이 하향되었고 더해서 이 패치로 M2 카빈이 등장해 그냥 묻혔다.
- 소녀전선 - 가장 등급이 낮은 2성의 기관단총으로 등장한다. 맷집은 있는 편에다가 스킬 수류탄의 화력이 게임 내 3위에 버프에 회피가 있지만 명중률 40퍼 향상이라 명중률이 떨어지는 야전이나 회피가 높은 적을 상대로 AR의 효율을 많이 높여준다. 그런데 아트북 공식 설정으로 보면 성격이 이카리 신지와 비슷하다. 자세한 건 M3(소녀전선)으로.
- 솔저 오브 포춘 2 - 초반 무기로 등장한다. 90년대의 비교적 현대 배경인데 그리스 건이 나오니 좀 어색한 느낌.
- 월드워 히어로즈 - 기본 총기로 등장한다.
- 인리스티드 - 미군의 저레벨 기관단총으로 등장한다. 느린 연사속도 때문에 초근접 순간화력은 낮지만 중단거리에서 연사 정확도가 높다. 그러나 근접전투력 부족 문제로 톰슨보다 인기는 없다.
- 인서전시: 샌드스톰 - 총기 액세서리 맛집 답게 피카티니 레일을 떡칠해서 마개조가 가능하다.
- 코만도스 시리즈 - 코만도스: 사선에서에서 운전병의 무기로 등장한다. 다수의 적을 짧은 사거리에서 살상할 수 있기에 무장순찰대 처리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2 - 멀티플레이에서 미군 측 기관단총으로 나온다. 손맛이 독일군의 MP40과 비슷한 편.
- 콜 오브 듀티: WWII - 근거리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은 총이긴 한데, 근거리와 중거리 다 커버 가능한 StG44가 나오면 버려질 운명.
- 히어로즈 앤 제너럴스 - 미군 1티어 기관단총으로 등장.
미 육군 보병이 사용하는 최초의 기관단총. 사거리가 25~55m라는 아주 반대의 의미로 절륜한 총이다. 권총탄을 사용하니 당연하지만 이 총이 그나마 다 평범한 수준이라 사용할 만한 정도이긴 한데, 60m 이상부터는 사람보다 커지는 기묘한 가늠쇠 때문에 다른 국가 PPD-43나 MP34보다 중거리 커버 능력이 영 좋지 않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1-3까지 미군의 엔지니어 기본무장으로 등장하여 꾸준히 개근하였다.
5. 토이 건
- 에어소프트건
당연히 중국에서 만든 에어 코킹 건이 존재하며, 이걸 전동화한 블로거도 있다. - ICS[19]에서 전동건을 출시했다. 기어박스는 7형식을 기초로 만들어진 물건으로 추정된다. 실총처럼 볼트 캐치가 가능하다.
- ARES사는 EBB로 출시했다. 하지만 배터리를 탄창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나왔기 때문에 사격 중간에 본체와 탄창의 이격으로 총이 발사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 S&T사에서는 M3A1을 냈으며, 배터리는 그립에 넣는 방식이다.
- 에어소프트건으로 가장 오래된 제품은 일본 허드슨에서 나온 가스 블로백 방식의 M3A1이다. 헤비웨이트 본체로 나왔으며 종류는 기본형과 소음기 장착형 2가지가 나왔다. 지금은 메이커가 사라지고 제품은 단종이라 일본 현지에서도 구하기 쉽지 않지만 간간히 중고제품이 보이기는 한다. 내구성은 가스 탱크가 잘 새고 왕복하는 볼트 덩어리의 파손이 자주 발생해 영 좋지 못한 편이다.
각 제품 간의 부품 호환은 되지 않는다.
- 모델건-더미건
- 과거 60년대 일본 MGC에서 M3초기형 제품을 무려 스틸본체로 제작했다. 방식은 장전핸들이 태엽 스프링식으로 돌려서 감아 준 뒤에 방아쇠를 당기면 물리적으로 태엽에 의해 블로백이 되면서 더미탄이 배출되는 방식이었다. 문제는 사이즈가 1:1이 아니라 좀 많이 작은 사이즈의 퀄러티는 완구틱했다. 하지만 지금도 일본에서는 야후 옥션 등에 나오면 20만엔이 넘는 무시무시한 가격으로 거래되는 초고가의 레어템으로 손 꼽힌다.
- 위의 가스 블로백을 제작한 허드슨에서 원래 발화식(캡화약을 넣은 탄피를 터트려 블로백시켜 탄피를 배출하는 시스템) 모델건을 에어소프트건보다 먼저 제작했다. 지금도 아주 간간히 일본내 건샵에서 구경할 수 있다. 허드슨이 도산한 뒤, 금형을 그대로 일본의 메이커인 CAW사가 인수해 다시 리뉴얼 제작했다.
- 일본 CAW사가 허드슨 금형을 갖고 좀 더 디테일 업을 실시해 리뉴얼한 M3A1 발화식 모델건이 존재한다. 지금도 CAW사가 간간히 분기별로 재 생산해 유통시키고 있지만 수량이 많지 않아 시중에서 품절되면 간간히 웃돈이 붙어서 거래되기도 한다.
- 순수 더미건으로는 스페인의 레플리카 클래식건 메이커인 데닉스(DENIX - denix.es)에서 레플리카 건으로 M3초기형을 생산해 판매중이다. 허드슨처럼 더미탄이 장전 및 배출되지는 않는다. 말 그대로 장식용 제품이라 장전손잡이를 돌려서 장전하고 그로인해 볼트가 코킹되어 방아쇠를 당기면 볼트가 전진하면서 공격발 정도 가능한 수준이다. 전체적인 모양이나 분위기, 무게감은 상당히 수준급이지만 대량생산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디테일한 부분들은 약간 어설픈 부분이 있다. 최근 국내업체에서 데닉스 제품을 일부 수입해 정식으로 판매중인데 그중 M3 그리스 건 초기형이 포함돼있어 국내에서 정식 구입이 가능하다.
6. 둘러보기
브루투스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브루투스 작전 2506여단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903A1, M1903A4 | |||
M1 Garand, M1941, M1 Carbine, M1A1 Carbine |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A1, M3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41, M1919A4, M1919A6, M2HB | |||
대전차화기 | M9A1, M18, M20 | ||||
화염방사기 | M2 | ||||
박격포 | M2, M29, M30 | ||||
수류탄 | Mk.2 | ||||
냉병기 | 총검 | OSS Stilett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긴급 분노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긴급 분노 작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40, M40A1, M500 | |||
M21 SWS, G3SG/1 | |||||
M16A1, M16A2 | |||||
기관단총 | M3A1, MAC-10, HK54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73, M60, Mk.23, M2HB, M134, M85 | |||
유탄발사기 | M203 | ||||
대전차화기 | M72, M47, BGM-71, M67 | ||||
박격포 | M224, M29 | ||||
수류탄 | M61, M67 | ||||
냉병기 | 총검 |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그리스 왕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d5eaf> 2차 세계대전 그리스 왕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d5eaf> 볼트액션 소총 | FN M1930, M1903, Mle 1874, M1886, Mle 1907/15, Mle 1892/M16, 리-엔필드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 ||||
권총 | 루비 권총, 나강 M1895,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10, FN M1910/22, 콜트 오피셜 폴리스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d5eaf> 경기관총 | M1909, 쇼샤, M1922, M1926, M30,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le 1907, M1914, MG M.07/12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브랑 M27/3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 ||||
산탄총 | M1897, Auto-5, M37 | ||||
권총 |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 ||
중기관총 | MG08, M1914,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M1, M18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2차 세계대전 멕시코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95, Gew98, Vz.24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반자동소총 | 몬드라곤 M1908 | |||
기관단총 | EMP35, M1A1, M3 | |||
권총 | M1911, 오브레곤 권총, S&W M&P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C-1934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1914, M1919A4 | |||
대전차화기 | M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42, M3 | ||||
산탄총 | M1897, M1912, Auto-5 |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 ||
중기관총 |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바주카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 ||||
박격포 | M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독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 |||
권총 |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Kar98k, SSG 69, M1903, Gewehr Lee-enfield, G44 | |||
반자동소총 | Gewehr M1, Karabiner M1 | |||||
자동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A1, PPSh-41 | |||||
산탄총 |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M40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그리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C98>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만리허-쇠나우어 M1903,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FN FAL, G3A3, M16A1 | ||||
기관단총 | 스텐 Mk.II, M1928A1, M1A1, M3A1, MP5 | ||||
권총 | M1911A1, P7M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브렌 Mk.III, M1918A2, FN FALO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HK11, FN MAG, M60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M203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1, E44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 ||||
산탄총 | M1912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M60 | ||||
중기관총 | MG08,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HK79,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2, M19, M29, M30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14, M18 | ||||
지뢰 | M14, M16, M18A1, M1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파나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나마 방위군(1952~1989) Fuerzas de Defensa de Panamá | ||||
개인화기 | 권총 | M10-2, 콜트 오피셜 폴리스, M1911A1, 하이파워, TEC-9 | |||
기관단총 | M1928A1, M3A1, M50, UZI, MAC-10 | ||||
산탄총 | M870 | ||||
소총 | 자동소총 | M2 카빈, AK-47, AKM, M16A1, T65, FAL, MPi-KMS-72 | |||
반자동소총 | 브레다 PG,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SVD | ||||
볼트액션 소총 | M1893, M1903, M1917 엔필드, M24 | ||||
지원화기 | <colbgcolor=#072357> 기관총 | <colbgcolor=#072357> 경기관총 | M1918A2, MG42, MAG,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1919A4, M2 브라우닝, ZB-53 | ||||
유탄 발사기 | M79, M203, HK69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52식 무반동포, M67 | |||
대전차 로켓 | RPG-2, RPG-7, RPG-18, M20A1B1, LRAC F1 | ||||
박격포 | M2, M29, M30, MO-120-RT | ||||
유탄 | Mk.2,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나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De Lisle Carbine,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M1A1, L1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M50, M55, M3, M3A1, M/50 | ||||
산탄총 | L32A1 | ||||
권총 | Webley Mk.IV, S&W M&P, Browning Hi-Power, M1903,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Gun, Bren Gun, Vickers Mk.I, Browning M1917A1 | |||
대전차화기 | Boys Mk.II | ||||
유탄 | Mills No.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11A1, M1917,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소총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 |||||
화염방사기 | M9A1-7, XM202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 |||||
냉병기 | 총검 | M1905, M1, M6,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히론 전투 당시의 쿠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히론 전투 쿠바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 <colbgcolor=#CE1126> 소총 |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1896,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Vz.57 | ||||
자동소총 | FAL, AK-47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PPS-43, Vz.23, Vz.25 | ||||
권총 | 아스트라 60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DP-28, RP-46,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AG-58 | ||||
중기관총 | M1917A1, ZB-53, DShK | ||||
대전차화기 | M1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쿠바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엘살바도르 내전 당시의 FMLN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엘살바도르 내전 FMLN의 보병장비 | ||||
<colbgcolor=#FF0000>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 개런드, SKS, SVD | ||
자동소총 | FN FAL, G3, AK-47, 56식 자동소총, 58식 보총, AKM, 68식 보총, AK-63, MPi-KM-72, PM.md.63, M16A1 | ||||
기관단총 | M3A1, 포트사이드 기관단총, Vz.23, UZI, ML-60, Z62, MPi 69 | ||||
권총 | M1911A1, TT-33, PM, CZ52, PA-63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PM Md.64, M72 | ||
다목적기관총 | PKM | ||||
중기관총 | M2HB | ||||
유탄발사기 | M79 | ||||
대전차화기 | RKG-3, RPG-2, RPG-7, RPG-18, SPG-9, M67 | ||||
맨패즈 | FIM-43, 9K32, 9K34, 9K38 | ||||
유탄 | F-1, RGD-33, RG-42, RGD-5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FMLN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Vz.98/29, M1310, M1317, Kar98k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SVD | ||||
자동소총 | G3, AK-47, AKM, 56식 자동소총, CQ 5.56 | ||||
기관단총 | MP40, 스털링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MP5, M12, Z-84 | ||||
권총 | M1911A1, M1314,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G3, MAG, DP-28, SGM, RPK, PK, M2HB, DShK | |||
대전차화기 | M18, M40, BGM-71, M47, RPG-7, 69식 화전통, RKG-3, 9M14 | ||||
맨패즈 | FIM-92, 9K32, 9K34, 9K38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박격포 | M1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말비나스 전쟁 당시의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373a3c> 말비나스 전쟁 아르헨티나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SG 69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AFN | ||||
자동소총 | FAL, M16A1, BM-59E | ||||
기관단총 | PAM-1, PAM-2, FMK-3, ML-63, L34A1, UZI | ||||
권총 | M1911A1, Mod.192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FAP, MAG, M2HB | |||
로켓발사기 | M65 | ||||
미사일발사기 | 블로우파이프 지대공미사일, 9K32 | ||||
무반동총 | M67, M1968 | ||||
박격포 | 60mm 박격포, 81mm 박격포, 120mm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냉전기·그레나다 침공 당시 그레나다 인민혁명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ce1126>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그레나다 인민혁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7a5e>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리-엔필드, M44 | ||
폴링블록 소총 | 마티니-헨리 | ||||
반자동소총 | Vz.52 | ||||
자동소총 | AK-47, AKS-47, AKM, 58식, M16A1 | ||||
기관단총 | M3, 스텐, PPS-43, Vz.23, UZI | ||||
권총 | P08, TT-33, PM, CZ52 | ||||
지원화기 | 기관총 | 브렌, Vz.52, PKM, SGM, DShK, KPV | |||
대전차화기 | 56식 화전통, 56식 무반동포, RPG-7, SPG-9 | ||||
박격포 | PM-37 | ||||
<colbgcolor=#ce1126> 대공포 | ZU-23-2 | ||||
수류탄 | F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필리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colbgcolor=#FFF> 개 인 화 기 | <colbgcolor=#FFF> '''[[소총| 소총 ]]''' | <colbgcolor=#FFF> '''[[돌격소총| 돌격소총 ]]''' | R4A3 | SIG M400 | 타우러스 T4 | M733 | M653P | GA 16" MLC | M16A1 | M16A2 | GA SOCOM-16 | SR 88A■/D | AKMD | M-311-1, CQ-A5D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SIG716 G2 | MSSR Gen.(4/5)■ | M14 EBR | M14 DMR | M21 SWS■■ | 85식D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CS/LR4AD | M40(A3/A5)■ | |||
기관단총 | 퍼프랜스 SCW 7 | MP5(A3/A5) | 우지 | |||
권총 | 글록17 Gen.4■■ | BUL 체로키 FS | M1911A1■■ | RIA TAC 울트라 FS HC■■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2| 경기관총 ]]''' | K3 | FN 미니미■■ | {MFR56}■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240(B/L) | M134D■■ | MG-M2 | M60(E3/E4)■■ | M1919(A1/A4/A6)■■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A1)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STK 40 AGL | XRGL-40 | M32A1■ | LMP300L360■■ | M203 EXPIC■ | M203(A1)■■ | M7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암브루스트 AT■■ | M67■■ | M40■■ | ||
로켓 | RPG-7V2 | 69식 화전통D | ATGL-L2■■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필리핀 유도무기 | |||
박격포 | M224 | M60MA | M75■■ | M81MA | M69B | M29■■ | EXPAL M-98■ | |||
견인포 | 쏠탐 M-71■■ | M114A1 | Mod 56■■ | M102 | M101■■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HK416■■ | LMT CQB■ | LMT Mk.18 Mod.0■ | M4A1 | F88D | AR-M52F | PVAR■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Mk.11 Mod.0 | SDMR-16 | NFWS■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해리스 M-87R | M107 | M95■ | M82A1 | 자스타바 M93■■ | M24 SWS | |||
산탄총 | 레밍턴 870 TAC-14 | |||
권총 | 글록 21SF■ | |||
기관총 | M60E6■ | |||
유탄발사기 | M320 GLM■■ | |||
대전차 화기 | M72 LAW | |||
박격포 | M60CMA | |||
의장용 화기 | M1(C/D) 개런드 | M3 105mm 예포 | |||
※ 윗첨자D: 공여받은 화기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육군 |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과테말라군 보병장비 Armed Forces of Guatemala | |||
개인화기 | 소총 | 자동소총 | AKM, CAR-15, Vz.58, 갈릴, AR-10, M4A1, TAR-21, T65 소총 | |
저격소총 | M82 | |||
기관단총 | 우지, 미니 우지, FMK-3, MAC-10, M3 기관단총, 베레타 M12 | |||
산탄총 | 베넬리 M4 | |||
권총 |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 발터 P38, 글록, P226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K3 경기관총, FN MAG | ||
중기관총 | M1919A4, M1919A6, M2HB | |||
유탄발사기 | M203, M79 | |||
대전차화기 | M20 슈퍼 바주카, M72 LAW | |||
박격포 | M224 | |||
무반동포 | M40 무반동포 | |||
곡사포 | M101 | |||
※둘러보기 : 과테말라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의 모로코 왕립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모로코 왕립군(1956~)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لكية المغربية | |||
<colbgcolor=#c1272d> 권총 | TT-33T, 베레타 92, PA-15, 하이파워 | |||
기관단총 | M3T, MAT-49T, H&K MP5 | |||
산탄총 | 모스버그 500 | |||
소총 | <colbgcolor=#c1272d> 볼트액션 소총 | MAS-36T | ||
반자동소총 | MAS-49/56T | |||
자동소총 | FAL, CAL, SAR-21, AR70/90, M4 카빈, M16A2, M76, M1963/1965, 56식 | |||
저격소총 | 울티마 레이쇼, M14NM | |||
기관총 | 경기관총 | 울티맥스 100 | ||
다목적 기관총 | AA-52, MAG, M240, PK | |||
중기관총 | NSV, M2HB, M134 | |||
유탄 발사기 | Mk.47 스트라이커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B-10, M40A1 | ||
대전차 로켓 | 69식 화전통, RPG-7V, APILAS, LRAC-89, M72 LAW | |||
대전차 미사일 | HJ-8, 밀란, M47, 말륫카, 메티스-M, BGM-71 TOW | |||
※ 윗첨자T: 훈련용 화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모로코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Frente Sandinista de Liberación Nacional | |||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6A1, FN FAL, AKM, 갈릴, FN CAL, M2 카빈, M14 소총 | |||
저격소총 | SVD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UZI, M45 기관단총, M953, S&W M76 | |||
산탄총 | M870, Auto-5 | |||
권총 | M1917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918 브라우닝, FN MAG, MG42, M1941 존슨 경기관총, RPD, DP-28, PKM | ||
중기관총 | M1919 브라우닝,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HK69 | |||
대전차화기 | RPG-7 | |||
※둘러보기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1943년 기준. 2018년 기준으로 217달러이며, 한화로 약 24만원이다.[2] 이런 애칭은 생긴 것이 자동차의 윤활유 주입기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재미있게도 이 총기의 제작사는 자동차 제작으로 유명한 제너럴 모터스다. 그 외에도 "케이크 데코레이터" 같은 별칭도 붙었다. 이 역시 케이크 주변에 장식용 크림 바르는 도구와 주둥이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6.25 전쟁 당시 사용된 인연으로 한국 한정 구리스 건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80년대에 R/C나 플라모델 조립을 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방수, 윤활 목적으로 칠하는 설명서에 "그리스"가 아니라 "구리스"라고 적혀 있었다.)[3] FP45 리버레이터도 램프 디비전에서 만들었다. 이것도 프레스 생산된 총기.[4] 현대의 자동차 램프 부품은 LED와 약간의 전기회로를 빼면 전부 플라스틱 사출물이라 프레스와 무관하지만 당시에는 크롬 도금된 반사판, 램프 하우징, 전구 고정부, 렌즈 테두리 등 많은 부품을 철판 프레스로 찍어 만들었다.[5] 이는 사실 이건 M3 기관단총만의 특징이라기보단 .45 ACP 자체가 아음속탄이라 생기는 부가적인 것으로, .45 ACP를 사용하는 총기는 대부분 별도의 탄 변경 없이 소음기만 달면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6] 머지않아 2차 국공내전이 발발하면서 공산당이 대부분의 기관단총들을 대량으로 입수하여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이나 북한군이 사용하게 되었다.[7] 상대적으로 자동소총이 부족했던 경찰 측에서 연발사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무기고에서 꺼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작전 중반부터는 경찰들에게 K2 소총이 긴급 지급됐다.[8] 과거 공수특전단(특전사) 등에서 그리스 건을 사용했고, 심지어는 향토예비군에서도 사용했다.(대한뉴스 제 874호-내 고장은 내힘으로 중. 그리스 건을 들고 경계훈련중인 예비군) 그 당시에는 예비군을 실전부대처럼 굴리다시피 했다. 영화 전우나 3840 유격대에서도 이런 실정을 반영해서 자주 등장한다.[9] 2015년 조선로동당 70주년 열병식에서는 같은 복장을 한 부대가 6.25 전쟁 당시의 '소년근위대'의 명칭으로 행진한다.[10] 원래 북한군에서는 일본군처럼 적군 무기를 발견하면 무조건 폐기처분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미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때 위장용으로 복제한 M16 소총을 무장한 것처럼 특수부대에서는 한국군 위장용으로 미국제 총기, 군장류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일본군조차 중일전쟁 등에서도 Vz.26같은 적군 무기들을 주저없이 사용했다.[11] 해당 사진에 미 해군 검문검색부대와 함께 고속단정에 탄 필리핀 특수검문대원의 모습을 잘 살펴보면 M3 기관단총으로 무장했음을 알 수 있다.[12] 같은 탄을 쓰면서도 연사 속도가 1200 RPM에 달하는 KRISS Vector는 반동 제어 메커니즘에도 불구하고 자동 사격시 집탄률이 그리스 건보다 나쁜 편이다. 제리 밋출럭은 자신이 권총으로 사격하는 속도와 연사 속도가 똑같다면서 신기해하면서도 편하게 쐈다.[13] 주로 자동권총에서 볼 수 있는 탄창 설계 방식이다.[14] 반대로 M3보다 야전 오염에 약한 톰슨 기관단총의 경우 탄창 만큼은 내구성이 높았다는 호평이 있었는데 톰슨 탄창은 M3와 다르게 더블 피드로 설계되었다. #[15] 북한군 특수부대는 북한에서 훈련할 때에도 남한의 군복을 입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16] 원가 절감을 위해 스텐 기관단총의 디자인을 일부 도입했단 설정이라, 이를 목격한 독일군들은 자기네 MP18보다 허접하다며 비웃다가 쓸려나간다.[17] 이 때문에 보너스 군대 사건 당시, 하딩 행정부가 "저들 중, 대다수는 그리스건을 품에 차고 있을 것이다"라고 지레짐작해 진압이 속전속결로 끝날 뻔 했다.[18] 제일 낮은 게 샷건인 AA-12라 사실상 제일 느린 총기이다.[19] 기어박스 상하가 분리되는 방식을 통해 테이크 다운되는 M4A1 전동건이나 H&K MP5 전동건을 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