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7:39:40

불새 미사일

1. 개요2. 종류
2.1. 최초의 불새 미사일(불새-1 추정)2.2. 불새-22.3. 2016년 공개 대전차 미사일
2.3.1. 위험성2.3.2. '불새-3' 설2.3.3. '불새-4' 설2.3.4. 소결
2.4. 불새-5
3. 관련 자료4. 둘러보기

1. 개요

북한에서 운용하는 대전차 미사일 시리즈의 제식 명칭.

2. 종류

2.1. 최초의 불새 미사일(불새-1 추정)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게 처음부터 공개된 미사일은 불새-2로, 불새-1은 어떤 미사일인지 공개하지 않았고, 어떤 미사일 기반인지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불새 미사일들이 전부 소련식 무기들을 복제했다는 점에서, 세대를 따져보았을 때 아마도 수성포를 개량한 무기일 것으로 추정된다.

2.2. 불새-2

불새-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대전차 미사일
파일:불새-2 발사 장면.jpg
일자 미상의 발사 훈련 장면
[clearfix]
북한은 1988년말에서 2010년도까지 9K111 파곳 대전차 미사일 4500대를 러시아로부터 수령받았다. 이후 어렵게 얻은 이 미사일을 역설계하였으며 이것이 불새-2 미사일이다. 북한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조달이 가능하며 북한의 주력 대전차 미사일이다.

근본은 소련제 파곳 미사일로, 후술할 다른 미사일과 다르게 와이어 유도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파곳과 비교하여 많은 부분이 개량되어 있다. 우선 조준경 부분이 가장 신경쓰인다. 파곳 미사일은 크게 보면 9P135 거치대, 9S451 유도장치, 9Sh119 광학 장비로 구성되어 있지만, 북한에서 자체 생산된 불새 미사일은 이들 부품이 다른 부품으로 교체되어 있다. 거치대와 유도장치는 기존의 물건보다 경량화되어 있고 광학장비는 2개의 작은 광학장비와 1개의 큰 조준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도방식이 변경된 것 같지만 현재 알려진 정보는 없다. 탄두 또한 개량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존 탄두가 작아 확장성을 기대하기 힘들고 물리적 한계 때문에 높은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원형이 원형인지라 전면이 CE 1000mm 대인 국군의 신형 K-2 같은 전차에게는 측면 혹은 후방을 노려야할 만큼 관통력이 낮지만 명중하면 외부 관측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M48 계열의 구식전차들이나 K200, K-21과 같은 장갑차들에게는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무기다. 작은 크기 때문에 매복 기습에 사용하기 용이하며 서부전선 포격 사건 당시 아군 진지에 위협적인 무기로 손꼽혔다.

보병은 물론 각종 APCIFV, 심지어 전차고속정에도 장착하고 있는데, 무기 수입이 힘들어도 자체 생산 조달이 가능하여 널리 쓰이는 듯 하다.

파일:external/444d4ab75f3aa6c10f3679392e976e98cdb0de3234f3358cfd899c572c08f2cc.jpg

정교한 밀수 로드를 통해서 중동으로 많이 유통된다.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으로 대량 밀수출된 것이 확인되었고, 이송도중 아랍에미리트와 방콕 등지에서 밀수 무기로 압수된 적이 있다. 하지만 루트를 변경해 가며 게속 불법적으로 무기 수출을 하고 있다. 최근 중동 내전중에도 목격담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들 물건은 시리아나 이란 등을 통하여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 내전에서도 사용될만큼 꽤 흔히 굴러다닌다고 한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DPRK4.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zocq0IXgAApWrE.jpg
하마스 휘하 병력이 운용중인 불새-2의 모습
불새-2를 운용하는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하마스.[1] 다만 이것이 불새-2가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발사하는 장면을 공개해주면 판명될 일이다.

2.3. 2016년 공개 대전차 미사일

2016년 공개 대전차 미사일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대전차 미사일
파일:2016 공개 북한 대전차 미사일 발사장면.jpg
2016년 발사 시험 장면
파일:2016년 공개 대전차 미사일 근접 사진.png
2021년, 자위-2021에서 공개된 모습
최대사거리 4,000m~5,500m
[clearfix]
2016년 2월 26일 김정은의 참관 하에 제식미상의 대전차 미사일이 공개되었다.(#) 제식명칭에 대해 두 가지 의견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2] 자위-2021에서 불새-5 옆에 전시된 것으로 보아, 불새 미사일 중 하나임은 확실시된다.

외관상으로는 기존의 불새-2와 동일하다. 조선중앙텔레비죤은 이 미사일이 사거리가 세계에서 가장 길고, 저격보총수가 쏜 것처럼 정확하며, 경량화가 실현되어 임의에 장소에서 기습이 가능하다고 발표하는 등 성능을 비현실적으로 부풀려 선전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천마 계열 전차나 고속정에도 장착하는 북한의 주력 대전차 화기로서 사거리가 증가하였고 유도 방식 변경을 통하여 명중률도 높아졌기 때문에 방심할 수는 없다. 여전히 장갑차 계열에게는 치명적이어서 기계화 보병에게 상당한 위협이고 전차 또한 타격당하면 충격 때문에 장비가 손상되어 정비소로 바로 직행해야 한다. 여기에 기존의 불새-2보다 더 경량화되었기 때문에 미사일 탐지장비가 되어 있지 않은 차량은 주의해야 한다. 건물을 타격하는 영상도 공개되었는데 대 보병용 열압력 버전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중동에서 러시아나 미군도 시가전에서 다목적 탄을 별도로 운영하여 효과를 보기에 보병 및 경량의 차륜 군용 차량들에겐 충분한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img.rt.com/56d6cf8ac3618843378b4590.jpg
격파되는 표적 전차
실사 영상에서 보기륜이 6개인 포탑의 형태로 봐선 폭풍호로 보이는 전차를 전면에서 격파하는걸 보면 국군 M48 패튼 계열 전차에게는 상당히 큰 위협이 될 것으로 보인다. 훈련 사진에서 폭발후 전차 내부 모습이 깨끗하게 비어있었다는 점과 타격 당시 장착되어 있던 주포는 어디로 갔는지 사라진 점 때문에 선전을 위해서 전차를 자폭시켰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원래 홍보 목적으로 폭약을 채워 넣는 일은 흔한 편에 속한다.

보병용 대전차미사일은 전차를 열로 폭파시키는 것이 아니라 성형작약과 주작약이 격발하면 라이너를 통한 메탈제트로 전차를 관통시킨다. 만약 전차가 대폭발했다면 내부에 폭약을 관통하여 유폭시킨 것이며 미사일 내의 폭약만으로 전차를 대파시키기 위해서는 AGM-65 같이 폭약량만 100kg이 넘어가는 것을 쏴야된다. 애초에 일개 보병용 대전차미사일로 전차를 날려버릴 수 있었으면 EFP를 쓸 이유가 없으며, FGM-148 재블린의 T-72 소멸 영상도 TNT를 충전시킨 채로 터뜨린 홍보성 선전 영상이다.

2.3.1. 위험성

파일:2016 공개 북한 대전차 미사일 발사장면(2).jpg
대전차 미사일의 발사 장면. 미사일의 후면에 와이어가 달려있지 않다.
사거리가 약 5.5km라고는 하는데 온갖 카더라를 남발하는 종북인사 한호석과 자주민보발의 정보이므로 사실여부는 불투명하다. 또한 이란에서 코넷을 카피하려고 시도했다는 정보가 나왔다. 북한과 이란은 서로 무기 기술을 자주 공유하는지라 우려가 많았지만 공개된 영상에서는 기존 불새-2의 모습 그대로였다. 즉 정면에서는 K1, K2, M1 에이브람스 등의 현대 전차에게 큰 타격을 주지 못한다.

그러나 서해 북방한계선 쪽은 이야기가 달라진다. 서해 NLL에선 이전부터 고속정 간 근접전이 수도 없이 벌어져 왔다. 그렇기에 두 차례에 걸쳐서 일어난 근접 함포전, 연평해전 이후로 신형 미사일 고속정 추가건조뿐만이 아니라 기존 200톤급 이상 고속정들에 한하여 전체적인 중장갑화와 중거리 대함미사일 장비가 불가한 건보트 타입 고속정들에게 불새 계열 대전차미사일을 장비하기 시작했다. 대함미사일까진 아니더라도, 당장 2함대 주력은 참수리 고속정들이라 제2연평해전 때 전차포에 150~450m 정도 근거리에서 당한 이후로 거리를 벌리는 중장거리 함포전이 주력인데다 참수리들의 포신 노후화로 사통장치 연계를 전제로 해도 여전히 교전거리가 겨우 3~5km 내외로 상당히 짧은 상태라 대전차미사일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 참수리들의 방호유리를 제외한 방호성능의 개수로 당장 37mm까진 견뎌낼 수 있을지 몰라도, 초계함 이하 함급의 고속정들에게는 껄끄러운 위협이다. 비록 검독수리급 고속정부터는 전차포와 대전차/대함미사일에 방어하기 위해 하드킬 APS 체계가 탑재되나, 통상적인 해상전을 통한 함대함 포격 도발 시에는 일제 전포발사를 통한 중근거리 순간 화력 투사를 주특기로 하는 북한 해군 특성상 함포 외에도 사용 가능한 무장이 더 추가된다는 의미로 여전히 마음을 놓기는 어렵다.

2.3.2. '불새-3' 설

재미 종북인사 한호석은 평양의 무장전시관을 방문한 후기를 2013년에 자주민보에 게시했다. 그는 해당 글에서 불새-2와 불새-3을 봤다고 주장했다.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 아니면 북한의 신형 미사일에 숫자를 하나 더해 우리 언론에서는 이 미사일을 '불새-3'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기사의 예시

2.3.3. '불새-4' 설

파일:영화 The Mole 무기목록표.png
다큐멘터리 영화 '잠복'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표
덴마크 영화감독이 만든 북한 무기상 다큐멘터리 영화인 '잠복(The Mole)'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표에 따르면 사거리 4,000m짜리, 레이저 유도 형태의 'Phoenix-4M'이 있다고 한다. Phoenix가 문화어 '불새'의 영문 번역어라면 이 미사일의 북한 제식명칭은 '불새-4'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카탈로그에는 사정거리가 4,000m로 등장한다.

이 무기목록표를 사실로 전제한 한 일본 매체는 하마스가 운용하는 미사일이 불새-2가 아니라 이 불새-4일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 한호석 역시 2021년 기고글에서 2016년 2월 26일 발사 미사일을 '불새-4'로 지칭했다. 또한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의 임철균 연구원도 유용원의 군사세계 기고글에서 하마스가 운영하는 것이 '불새-4M'이라고 분석했다.[A]

2.3.4. 소결

어느 입장이 사실이든, 제식 명칭 하나가 비어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후술할 '2021년 공개 대전차 미사일'이 불새-3이었다면 불새-4설로 귀결되고 아귀가 딱 맞았겠지만, 불새-5로 공개되었기에 미스터리는 여전하다. 북한이 혼란을 주기 위해 건너 뛰었을 가능성도 있다.[4] 본인이 눈으로 불새-3를 봤다는 한호석은 일찍이 2015년부터 2015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폭풍호에 탑재된 것이 불새-3이라고 하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그가 불새-3 탑재 폭풍호라고 주장하는 사진). 그러다가 후술할 로농적위군의 불새-5를 보고 불새-3이라고 주장하는 등, 자신도 앞뒤가 안 맞는 기고문을 올리는 상황이다.

2.4. 불새-5

파일:2021년 9월 불새-5.jpg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불새-5
2021년 9월 9일 열린 열병식에서 새로운 대전차 미사일이 포착되었다. 생김새를 봐서는 명백히 코넷의 카피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한 이것이 불새-3이라는 주장이 잠시 나왔다.

이후 2021년 10월 열린 북한 국방전람회 자위-2021에서 '불새-5'라는 명칭이 확인되었다. 받침대 형태도 동일하고, 발사관 옆면에 조준경 장치가 없다는 것도 동일하다.
파일:불새-5 명칭 확인.png
불새-5의 안내판
조중TV의 열악한 화질로 인해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나, 포토샵의 흐림 기능으로 처리를 하면 숫자 '5'의 형상이 비교적 잘 보인다.[5] '...크미싸일《불새-5》'가 식별되는데 잘린 글자는 '반땅크미싸일'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열상조준기의 형상이 9K135 코넷이 아닌 9M113 콘쿠르스와 유사하다는 분석이 조셉 뎀시[6]와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의 임철균 연구원[A]이 제기하였다.

3. 관련 자료

4.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1948~현재'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식 보총R, 53식 보총R
반자동소총 63식 보총의장대/R
자동소총 58식 자동보총R, 68식 자동보총R, 88식 자동보총, 98식 자동보총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식 저격보총 3종류N?, SVD
권총 64식 권총R, 66/68식 권총N?/R, 70식 권총N?, 백두산 권총, CF-98 권총?
기관단총 PPSh-41R, 49식 기관단총R, PPS-43R, M56R
지원화기 기관총 62식 대대기관총R, 64식 대대기관총R,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88식 대대기관총, 98식 대대기관총, DShK, KPV, 무하람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GP-25, AGS-17, 신형 유탄발사기N?
대전차화기 2호 발사관R, 7호 발사관, 69식 화전통, 수성포, 불새-2/3/5, 9M113, 북한판 NLAWN?, 북한판 스파이크?, B-10, B-11, 56식 비반충포, 63식 비반충포, RPO-A, PF-97
박격포 60mm 박격포, 82mm 박격포, 120-PM-43
맨패즈 화승총(9K32/34 스트렐라), 화승총(9K310 이글라-1)
화염방사기 ROKS-2/3, LPO-50
수류탄 F-1, RGD-33, RG-42, RPG-43, RGD-5, RKG-3, 75식 수류탄, 총류탄
지뢰 목함지뢰, POMZ, 나뭇잎 지뢰
특수전화기 반자동소총 M1 카빈R
자동소총 M2 카빈R, 2020년식 98식, 불펍형 98식, M16A1, K2, 복합보총(2017, 2021)N?, 신형보총(2023, 2024)N?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반자동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 저격보총 3종류, DVL-10
기관단총 M3 기관단총R, Vz.61, 신형 기관단총N?
권총 M1911A1R, 잉글리스 하이파워, CZ70, CZ83, 베이비 브라우닝
R: 퇴역 및 준군사조직용
?:사용여부 불명
N?:제식명칭 불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하마스 기.svg 현대 하마스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7A3D> 현대의 하마스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7A3D> 소총 <colbgcolor=#007A3D> 자동소총 AK-47, FN FAL, H&K G3, AKS-74U, 56식 자동소총, AKM, AKMS, AK-103, CAR-15, M4A1, F2000, 갈릴, M16A1, X95C, M14
저격소총 리-엔필드, M1A, SVD, PSL, 알 구울, AM-50, M99
기관단총 란체스터 기관단총, UZI, MP5K, P90
산탄총 베넬리 M4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베레타 92, 제리코 941, 베레타 M1951
지원화기 경기관총 RPK, PKM, 네게브C, RPD, FN MAG
중기관총 DShK, KPV, M2HB
유탄발사기 M203, GP-25, GL-1
대전차화기 불새 2, 알-야신, RPG-7, 69식 화전통, 9M133, 9M113, 9K11, 알-바나, 알-바타르, LAW
박격포 60mm 박격포
로켓포 카삼(1, 2, 3, 4) 로켓, 파지르(3, 5), M-75
맨패즈 9K338, 9K34
※ 윗첨자C: 노획 장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하마스 기.svg 하마스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단거리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순항미사일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중거리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SLBM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지대공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공대공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함대함 KN-01[2] · 금성-3[3]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어뢰·수중드론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대전차 미사일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퇴역 · 프로토타입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파일:2022 국방백서 미사일 평가(수정).svg
[ 각주 ]
[ND] 스커드, 화성-7 기반 발사체 | [MS] 화성-7, 화성-10 기반 발사체 | [PE] 백두산 엔진 발사체
[1] S-300, HQ-9 기반 | [2] 실크웜 기반 | [3] Kh-35 기반 | [4] 9M111 Fagot 기반 | [5] 9M113 콘쿠르스 기반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파일:missile_icon__.png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사일의 제식 명칭
<rowcolor=#fff> 지대지 미사일
화성
SLBM기반 미사일
북극성
순항 미사일
금성 · 화살 · 바다수리
지대공 미사일
화승총 · 번개· 별찌
대전차 미사일
수성포 · 불새



[1] 하마스의 알카삼 여단과 알나세르 여단에서 불새-2 미사일을 운용하는 모습이다. 시리아나 이란에서 밀수된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팔레스타인 가자에서 촬영되었다.[2] 북한 미사일의 제식 명칭에 대한 여러 혼란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 항목을 참조할 것.[A] 출처 - #[4] 예컨대 '화성-16'은 2022년 현재 결번이다.[5] '4'이거나 '6'으로는 결코 보이지 않는다.[6] 출처 - #[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