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북한의 미사일 및 어뢰 전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
단거리 | 600㎜초대형방사포/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스커드/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 |
준중거리 |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 |
순항미사일 |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 |
중거리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 |
대륙간 |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 |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2009)[MS] · 은하 3호(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 |
SLBM |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 |
지대공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 |
공대공 |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함대함 | KN-01[2] · 금성-3[3] | |
지대함 |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 |
어뢰·수중드론 |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 |
대전차 미사일 |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 및 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8연장 대전차 미사일) | |
퇴역 · 프로토타입 |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 |
| ||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2024년 2월 14일, 1차 시험 발사 | |
북한 명칭 | 《바다수리-6》형 |
국방백서 표기 | 없음 |
사정거리 | 200~400km[1] |
발사차량 | 궤도형 TEL[2] |
[clearfix]
1. 개요
북한이 2020년 공개하고 2024년 첫 시험발사에 나선 신형 지대함 미사일. 금성-3에서 이어진다.2. 공개
2020년에 공개된 신형 TEL |
2020년 조선노동당 창당 75주년 열병식에서 신형 지대함 버전이 공개되었다. 기존의 지대함 버전은 4발이 탑재되었으나 신형은 무려 2배인 8발로 늘어 났다. 장갑화된 TEL은 화성-11나 및 신형 방사포의 궤도형 TEL과 동일하다. 지대함부터 방사포, ATACMS까지 같은 모듈화된 TEL에 무기와 발사관만 다르게 탑재하는 셈. 이 TEL은 《자위-2021》에도 미사일 탄과 함께 등장하였다.
3. 시험 발사와 제식명칭 공개
원산시에서의 1차 시험 발사 |
추가 사진 |
위 두번째 사진에서, 최소 두 발을 발사했음이 보인다. 발사관이 다르기 때문.
조선중앙TV를 통해 표적 함선에 명중하는 장면도 공개했다.
4. 분석
권용수 국방대 명예교수는 “금성-3형에서 바다수리-6형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에 비춰, 단순히 금성-3형 개량형이라기보다 임무와 기능 성능이 고도화된 ‘북한판 하푼’ 신형 단거리 순항미사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5. 명칭 관련
5.1. 어원
조선향토대백과에 '바다수리' 항목이 있다. 한국 학계가 '물수리'로 분류하는 새를 '바다수리'라고 하는 것인데, 북한에서는 이를 함경북도, 함경남도 남부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비록 한국 학계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생물로 분류하지만 한강 하구, 울산 태화강 등의 한반도 전역에서 볼 수 있는 새다. 무기 이름으로도 쓰이는 영어의 'osprey(오스프리)', 'seahawk(시호크)[3]'와 같다.5.1.1. 언어별 표기
조선중앙통신의 각 보도문 기준이다.영어, 스페인어 | Padasuri-6 |
중국어 | “鱼鹰-6”型 |
일본어 | 「パダスリ―6」型 |
러시아어 | «Падасури-6» класса |
일본어는 카타카나로 적은 반면, 중국어로 鱼鹰를 번역어로 채택하였다.[4] 이는 북한과 인연이 있는 실크웜 미사일을 포함한 중국 지대함 미사일의 제식 명칭이 海鹰(하이잉, 해응, HY)인 것과 비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