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20:38:11

M16A1(조선인민군)



M16A1 rifle
M16A1 소총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30416034501.jpg
국군에게 노획되어 전시된 북한제 M16A1의 사진.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원산지
[[북한|]][[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6년~현재
개발년도 1986년 추정
생산년도 1986년(추정)~현재
사용국
[[북한|]][[틀:국기|]][[틀:국기|]]
기종
원형 M16A1
제원
탄약 5.56×45mm
급탄 20/30발들이 박스탄창
총열길이 508mm }}}}}}}}}
1. 개요2. 역사3. 원본과 차이점4. 실전5. 대충매체에서 등장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에서 대한민국 국군으로 위장하기위해 자체적으로 생산한 M16A1 소총.

2. 역사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면서 M16으로 무장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고 면허생산까지 들어가자 기존의 화기[1]로는 위장하기가 힘들기에 복제를 지시한것으로 추정된다.

언제 처음 얻었는지는 알수없으나 라오스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까이쏜 폼위한이 1970년 6월 선물한 M16이 북한에 전시되어있기도하고 북베트남을 돕기위해 일부 도움을 주기도 하였기에 의외로 입수시점이 파월병력과 별 차이 없을수도 있다.[2]

한국에서는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서 노획된 이후 널리 알려졌다.
파일:1591589969.jpg
1986년 4월 김일성이 부대 순회중인 사진

2010년대에 중국 인터넷을 통해 밝혀진 북한 선전사진을 보면 이 사진은 김일성, 김정일에게 88식 보총을 선보이는 행사 사진인데 왼쪽 동그라미 쳐진곳을 보면 M16A1도 전시되어 있다. 최소 70년대 말 ~ 80년대 초부터 북한이 M16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까지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때문에 동시기에 제작된 중국의 CQ 5.56을 가져온게 아니냐는 추측[3]도 돌았지만 중국군의 CQ는 핸드가드와 권총 손잡이도 차이가나고 5.56 NATO보다 .223 레밍턴탄에 더 최적화 되어있는등 세부적으론 북한의 M16A1과는 다르다.[4] 다만 서로 기술공유나 결함등의 피드백을 했을수도 있다.
파일:NKFROKM16.jpg
북한 선전영화의 한장면

군사적 목적 이외에는 선전영화에서 한국군 배역들이 사용하는 총기로 출연한다.

복제할때 사용한 총기가 미국제라 그런지 아래의 차이점의 노리쇠 전진기를 제외하면 조정간까지 미국제와 똑같이 복제했다.

3. 원본과 차이점

파일:us_m16a1_forward_assist.webp 파일:korean_m16a1_forward_assist.jpg
미국산 원본 A1 노리쇠전진기 한국산 A1 노리쇠전진기

도색은 한국군과 똑같은 색상으로 도색하였으며 조정간은 미국제와 똑같으나 정작 노리쇠 전진기는 한국 생산 버전과 같은 원뿔형이며, 탄창 삽입구에 아무런 각인도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같이 노획된 탄도 로트번호가 없는걸 보아 탄까지 자체 생산했다는걸 알수있다.

4. 실전

파일:20110701020741.jpg
북한군 특작부대원이 남파시 입고 왔던 장비(북한제 M16A1 포함)와 군복을 한국군이 재현한 사진.

강릉에 침투한 공비가 사용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후로는 한국군의 대부분의 제식 소총이 K2로 바뀌어서인지 잘 나오지 않는다.

5. 대충매체에서 등장

6. 기타

이 총 이후로도 K2도 복제 생산했을거라고 강하게 추측되는 근거중 하나가 된다. 사진으로 찍힌게 없지만 무기 탈취사건탈북자의 증언, 이란에서 뜬금없이 K7이 복제되는것까지 겹치니 충분히 복제했었다고도 볼수있다.[6]

증언에 의하면 휴전선을 넘을때 졸고 있는 미군의 M16도 탈취한적 있는것으로 보인다.

7.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1948~현재'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식 보총R, 53식 보총R
반자동소총 63식 보총의장대/R
자동소총 58식 자동보총R, 68식 자동보총R, 88식 자동보총, 98식 자동보총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식 저격보총 3종류N?, SVD
권총 64식 권총R, 66/68식 권총N?/R, 70식 권총N?, 백두산 권총, CF-98 권총?
기관단총 PPSh-41R, 49식 기관단총R, PPS-43R, M56R
지원화기 기관총 62식 대대기관총R, 64식 대대기관총R,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88식 대대기관총, 98식 대대기관총, DShK, KPV, 무하람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GP-25, AGS-17, 신형 유탄발사기N?
대전차화기 2호 발사관R, 7호 발사관, 69식 화전통, 수성포, 불새-2/3/5, 9M113, 북한판 NLAWN?, 북한판 스파이크?, B-10, B-11, 56식 비반충포, 63식 비반충포, RPO-A, PF-97
박격포 60mm 박격포, 82mm 박격포, 120-PM-43
맨패즈 화승총(9K32/34 스트렐라), 화승총(9K310 이글라-1)
화염방사기 ROKS-2/3, LPO-50
수류탄 F-1, RGD-33, RG-42, RPG-43, RGD-5, RKG-3, 75식 수류탄, 총류탄
지뢰 목함지뢰, POMZ, 나뭇잎 지뢰
특수전화기 반자동소총 M1 카빈R
자동소총 M2 카빈R, 2020년식 98식, 불펍형 98식, M16A1, K2, 복합보총(2017, 2021)N?, 신형보총(2023, 2024)N?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반자동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 저격보총 3종류, DVL-10
기관단총 M3 기관단총R, Vz.61, 신형 기관단총N?
권총 M1911A1R, 잉글리스 하이파워, CZ70, CZ83, 베이비 브라우닝
R: 퇴역 및 준군사조직용
?:사용여부 불명
N?:제식명칭 불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스토너 계열 총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2a4e> AR-10 SR-25, Mk.11, M110, MARS-H, RSASS, HK417, OBR, MRGG, G28, M110A1, LR-308, FD338, ULR 338, ALR-338, SIG716, Mk.18 Mjolnir, DRD Kivaari, BT-6, Mk.47, MPT-76, REC10, M23
AR-15 <colbgcolor=#002a4e> 미군 <colbgcolor=#002a4e> 돌격소총 M16, M16A1, M16A2, M16A3, M16A4, M4, M27, M231, Mk.18, CAR-15, XM177, GAU-5, M733, Noveske N4
지정사수소총 M655/656, Mk.12, SAM-R, SDM-R, RECCE
미국 돌격소총 M6, 허니뱃저, M16A2E2, LR-300, CM901, IAR, MARS, REC7, ACR, SR-47, XM-15, SIG516, KAC PDW, KAC SR-15, KAC KS-1, FAXON ARAK, BCM RECCE, STR-15S, URG-I, Radian Model 1, MARS-L, M&P15, MOE Carbine
기관단총 M635, AR-57, Mk.57, CMMG FourSix, UDP-9
권총 OA-93
기관총 CMG-1, 아레스 슈라이크 5.56 시스템
캐나다군 돌격소총 C7, C8, IUR
지정사수소총 C7CT, C8CT, C20
캐나다 돌격소총 SA20, SA15.7
기관총 C7 LSW
유럽 HK416, NARP, STM556, WAC-47, STM-9, ADAR 2-15
동아시아 K13, DSAR-15PC, T65, T86, T91, CQ 5.56, CAR816, T112
그 외 G5, KH-2002, UTAS XTR-12, Safir Arms T-14, Gilboa DBR Snake
AR-16 AR-18, M17S, T2, 89식 소총, SA80, SAR-80, SR-88, SAR-21
기타 AR-5, AR-7, 스토너 63, KAC ChainSAW, 아레스 FMG
}}}}}}}}} ||

[1] 주로 M1/2 카빈그리스건등 2차대전당시 미군총기가 쓰였다.[2] 베트남전 이후에 북베트남은 도움을 준 공산권에게 남베트남의 미제장비를 제공하였는데 폴란드도 F-5 전투기를 선물로 받아간적이 있었기에 전쟁당시에 주워간게 없다면 이때 받아갔을수도 있다.[3] 이쪽은 69년도에 7.62mm로 컨버전된 프로토타입이 나올정도로 개발 시기가 빨랐다.[4] 거기다 알려진 자료들로 보면 중국이 원본과 똑같은 손잡이와 총열덮개를 만든건 한참 나중인 CQ-A카빈때로 그 이전에는 확실히 구분되는 부품만 생산했었다.[5] K2를 들지않고 M16을 들고있는것에 이상한 낌새를 느꼈다.[6] 북한은 1949년에 49식 기관단총부터 시작해서 보병화기를 직접 생산했으며,설사 성능이 시원찮아도 소총을 복제하는건 카이베르 고개 수준만 되어도 얼마든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