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6A1 rifle M16A1 소총 | |||
국군에게 노획되어 전시된 북한제 M16A1의 사진.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 ||
원산지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86년~현재 | ||
개발년도 | 1986년 추정 | ||
생산년도 | 1986년(추정)~현재 | ||
사용국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기종 | |||
원형 | M16A1 | ||
제원 | |||
탄약 | 5.56×45mm | ||
급탄 | 20/30발들이 박스탄창 | ||
총열길이 | 508mm | }}}}}}}}} |
[clearfix]
1. 개요
북한에서 대한민국 국군으로 위장하기위해 자체적으로 생산한 M16A1 소총.2. 역사
한국군이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면서 M16으로 무장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고 면허생산까지 들어가자 기존의 화기[1]로는 위장하기가 힘들기에 복제를 지시한것으로 추정된다.언제 처음 얻었는지는 알수없으나 라오스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까이쏜 폼위한이 1970년 6월 선물한 M16이 북한에 전시되어있기도하고 북베트남을 돕기위해 일부 도움을 주기도 하였기에 의외로 입수시점이 파월병력과 별 차이 없을수도 있다.[2]
한국에서는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서 노획된 이후 널리 알려졌다.
1986년 4월 김일성이 부대 순회중인 사진 |
2010년대에 중국 인터넷을 통해 밝혀진 북한 선전사진을 보면 이 사진은 김일성, 김정일에게 88식 보총을 선보이는 행사 사진인데 왼쪽 동그라미 쳐진곳을 보면 M16A1도 전시되어 있다. 최소 70년대 말 ~ 80년대 초부터 북한이 M16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까지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때문에 동시기에 제작된 중국의 CQ 5.56을 가져온게 아니냐는 추측[3]도 돌았지만 중국군의 CQ는 핸드가드와 권총 손잡이도 차이가나고 5.56 NATO보다 .223 레밍턴탄에 더 최적화 되어있는등 세부적으론 북한의 M16A1과는 다르다.[4] 다만 서로 기술공유나 결함등의 피드백을 했을수도 있다.
북한 선전영화의 한장면 |
군사적 목적 이외에는 선전영화에서 한국군 배역들이 사용하는 총기로 출연한다.
복제할때 사용한 총기가 미국제라 그런지 아래의 차이점의 노리쇠 전진기를 제외하면 조정간까지 미국제와 똑같이 복제했다.
3. 원본과 차이점
파일:us_m16a1_forward_assist.webp | |
미국산 원본 A1 노리쇠전진기 | 한국산 A1 노리쇠전진기 |
도색은 한국군과 똑같은 색상으로 도색하였으며 조정간은 미국제와 똑같으나 정작 노리쇠 전진기는 한국 생산 버전과 같은 원뿔형이며, 탄창 삽입구에 아무런 각인도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같이 노획된 탄도 로트번호가 없는걸 보아 탄까지 자체 생산했다는걸 알수있다.
4. 실전
북한군 특작부대원이 남파시 입고 왔던 장비(북한제 M16A1 포함)와 군복을 한국군이 재현한 사진. |
강릉에 침투한 공비가 사용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이후로는 한국군의 대부분의 제식 소총이 K2로 바뀌어서인지 잘 나오지 않는다.
5. 대충매체에서 등장
- 강철비에서 국군으로 위장한 다수의 인원에게 지급된걸 볼수있다. 다만 영화판에서는 남한에 침투하기전에 상황이 끝나서 직접 사용하는 장면은 없다.
- 헌트에서도 태국군으로 위장한 북측 인원이 사용한다.
6. 기타
이 총 이후로도 K2도 복제 생산했을거라고 강하게 추측되는 근거중 하나가 된다. 사진으로 찍힌게 없지만 무기 탈취사건과 탈북자의 증언, 이란에서 뜬금없이 K7이 복제되는것까지 겹치니 충분히 복제했었다고도 볼수있다.[6]증언에 의하면 휴전선을 넘을때 졸고 있는 미군의 M16도 탈취한적 있는것으로 보인다.
7. 둘러보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주로 M1/2 카빈과 그리스건등 2차대전당시 미군총기가 쓰였다.[2] 베트남전 이후에 북베트남은 도움을 준 공산권에게 남베트남의 미제장비를 제공하였는데 폴란드도 F-5 전투기를 선물로 받아간적이 있었기에 전쟁당시에 주워간게 없다면 이때 받아갔을수도 있다.[3] 이쪽은 69년도에 7.62mm로 컨버전된 프로토타입이 나올정도로 개발 시기가 빨랐다.[4] 거기다 알려진 자료들로 보면 중국이 원본과 똑같은 손잡이와 총열덮개를 만든건 한참 나중인 CQ-A카빈때로 그 이전에는 확실히 구분되는 부품만 생산했었다.[5] K2를 들지않고 M16을 들고있는것에 이상한 낌새를 느꼈다.[6] 북한은 1949년에 49식 기관단총부터 시작해서 보병화기를 직접 생산했으며,설사 성능이 시원찮아도 소총을 복제하는건 카이베르 고개 수준만 되어도 얼마든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