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柒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萬 일만 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万 | |||||||
일본어 음독 | マン, バン | ||||||
일본어 훈독 | よろず | ||||||
万 | |||||||
표준 중국어 | w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萬은 '일만 만'이라는 한자로, '일만(一萬)'을 뜻한다.숫자 만(10000)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모든', '매우', '상당히', '전부', '많다', '오래 가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성씨인 만(萬)씨도 이 한자를 쓴다.
꼴이 상당히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어문회급수는 8급밖에 안 된다. 이보다 더 작은 수인 千(일천 천)은 7급으로 분류되는데, 아예 둘이 서로 급수가 바뀐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심지어 이 한자의 부수인 艸는 무려 준특급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廿田中月(TWLB)로 입력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일만 |
음 | 만 | |
중국어 | 표준어 | wàn |
광동어 | maan6 | |
객가어 | van | |
민북어 | uāing | |
민동어 | uâng | |
민남어 | bān | |
오어 | ve (T3)[文] / me (T3)[白] | |
일본어 | 음독 | マン, バン |
훈독 | よろず | |
베트남어 | vạn |
갑골문 | 금문 | 소전체 |
갑골문에서 萬은 전갈의 형상으로 전갈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가차되어 현재의 뜻이 되었다. 본래의 의미인 전갈은 蠆(전갈 채) 자가 맡는다. 본래 두 글자의 상고한어 음가는 비슷했으나, 蠆의 경우에는 동물을 뜻하는 보통명사 앞에 붙는 접두사 *s-가 첨가되면서 초성이 萬과 달라졌다.
이체자로 万이 있는데, 이는 불교가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함께 전파된 기호인 卍(卐)을 간략화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 설에 의하면 위 이미지에서 萬의 이체자인 万의 예서 이전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예서가 유행한 한나라 이전에는 중국에 불교가 전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万은 오랑캐의 성씨인 万俟에 쓰이는데 이 경우 간체자가 아니고 묵기라고 읽어야 한다. 반절이 万은 광운에서 '莫北切막북절'(ㅁㅏㄱ+ㅂㅜㄱ), 집운에서 '密北切밀북절'(ㅁㅣㄹ+ㅂㅜㄱ)이고 俟는 집운에서 '渠之切거지절'(ㄱㅓ+ㅈㅣ)이다.
전통적으로 한자문화권에서는 10,000이 현실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수였기 때문에 '정도가 엄청나다', '많다' 등을 의미하는 말로 萬을 주로 활용하고 그 이상의 수인 억(億), 조(兆) 등은 잘 활용하지 않았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滿을 써야 하는 자리에 萬을 쓴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3] 다만 일부 단어와 고사성어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하여도 혼동할 여지가 있는데, "만무(萬無)하다"나 "만전(萬全)을 기하다"와 같이 滿을 사용할 법한 단어에도 萬을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그저 일일이 외우는 수밖에 없다.
3. 용례
3.1. 단어
- 구만리(九萬里)
- 만감(萬感)
- 만고(萬苦)
- 만국(萬國)
- 만권당(萬卷堂)
- 만년(萬年)
- 만능(萬能)
- 만력(萬曆): 명 세종 만력제의 연호
- 만리수(萬里愁)
- 만무(萬無): '○○가 있을 리 만무하다'의 그 '만무'이다.
- 만물(萬物)
- 만반(萬般): '만반의 준비를 하다' 의 그 '만반'이다.
- 만방(萬邦)
- 만병통치약(萬病通治藥)
- 만보기(萬步機): 만보계 (萬步計)라고도 칭한다.
- 만부당(萬不當)
- 만사(萬事)
- 만세(萬歲)
- 만수(萬壽)
- 만약(萬若)
- 만우절(萬愚節)
- 만유인력(萬有引力)
- 만인(萬人)
- 만일(萬一)
- 만전(萬全): '만전을 가하다'의 그 '만전'이다.
- 만파식적(萬波息笛)
- 만패불청(萬覇不聽)
- 만행(萬行/萬幸)
- 만화(萬花)
- 만화경(萬華鏡)
- 백만(百萬)
- 억만장자(億萬長者)
-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3.2. 고사성어/숙어
- 가서만금(家書萬金)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만수무강(萬壽無疆)
- 삼라만상(森羅萬象)
- 야오요로즈(八百万): 신토에서 모시는 신들을 이르는 관용어.
- 이역만리(異域萬里)
- 천길만길(千길萬길)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어림없이 사리에 맞지 않는다는 뜻의 고사성어.
- 천신만고(千辛萬苦)
- 천차만별(千差萬别)
3.3. 창작물
3.4. 인명
- 강만수(배구)(姜萬守)
- 고이만년(古爾萬年)
- 근육 만타로(キン肉 万太郎)
- 김만수(金萬樹)
- 김만명(金萬明)
- 김만중(金萬重)
- 김용만(金容萬)
- 만(萬)씨(중국어에서는 wàn이라고 읽음) 성을 가진 모든 한국인, 중국인 또는 한국계, 중국계들
- 만적(萬積)
- 만조(萬Z, manzo)
- 만죠메 쥰(万丈目 準)
- 만지(卍/万次)
- 묵기보(万俟普)
- 송만(宋萬)
- 안우만(安又萬)
- 야오요로즈 모모(八百万 百)
- 완시통(萬知堂)
- 요로즈(万)
- 요보 반카(誉望 万化)
- 이만기(李萬基)
- 장성만(張聖萬)
- 존 만지로(ジョン 万次郎)
- 채만식(蔡萬植)
- 최만리(崔萬理)
- 카에데하라 카즈하(楓原 万葉)
- 한용운: 법호(승려가 열반에 들고 얻는 이름)가 만해(萬海)이다.
3.5. 지명
- 만경강(萬頃江): 전라북도 북부의 강.
- 만경봉(萬景峰) 혹은 만경대(萬景臺). 북한산의 봉우리 중 하나. / 북한 김일성의 생가의 이칭(만경대; 만경대구역).
- 만안구(萬安區)
- 만덕대로(萬德大路)
- 만덕동(萬德洞)
- 만덕역(萬德驛)
- 만보산(萬寶山): 중국 지린 성의 산으로, 만보산 사건이 발생한 산.
- 만수산(萬壽山): 송악산의 또 다른 이름.
- 타이베이시 완화구(萬華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 개그맨 김병만은 '달인' 코너의 '한자의 달인 토익 김병만' 편에서 자신의 이름을 직접 한자로 쓴 바 있다. 이때 一(한 일), 二(두 이), 三(석 삼)의 모양에 착안하여 萬(일만 만)을 쓸 때 가로 선 10000개를 그으려 하는 개그를 선보였다. 실제로 김병만의 '만'은 萬이다. 즉 실제로는 다른 한자를 쓰면서 개그를 위해 萬을 가져다 쓴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름에 萬을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