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외래어 |
1. 유럽
1.1. 스웨덴어계1.2. 덴마크어계1.3. 노르웨이어계1.4. 고대 노르드어계1.5. 핀란드어계1.6. 바스크어계1.7. 사미어계1.8. 튀르키예어계1.9. 헝가리어계1.10. 체코어·슬로바키아어계1.11. 폴란드어계1.12. 세르보크로아트어계1.13. 아일랜드어계
2. 아시아2.1. 베트남어계2.2. 태국어계2.3. 타갈로그어계2.4. 마인어계2.5. 자바어계2.6. 힌디어계2.7. 타밀어계2.8. 만주어계2.9. 몽골어계2.10. 티베트어계2.11. 기타
3. 아프리카4. 북아메리카5. 남아메리카6. 오세아니아7. 인공어8. 관련 문서1. 유럽
1.1. 스웨덴어계
- 시버트 Sievert
- 옴부즈맨 ombudsman(대리인, 대표자)
- 옹스트롬 Ångström
- 에릭슨 Ericsson[1]
- 원소명: Ytterby(위테르뷔, 지명)에서 유래
- 텅스텐 tungsten
- 포레나 Forena
- 플로깅
1.2. 덴마크어계
1.3. 노르웨이어계
1.4. 고대 노르드어계
1.5. 핀란드어계
1.6. 바스크어[5]계
1.7. 사미어[7]계
1.8. 튀르키예어계
1.9. 헝가리어계
1.10. 체코어·슬로바키아어계
1.11. 폴란드어계
1.12. 세르보크로아트어계
1.13. 아일랜드어계[10]
2. 아시아
2.1. 베트남어계
2.2. 태국어계
- 무에타이[13] มวยไทย(มวย([무아이], 무술, 복싱)+ไทย(타이))
- 팟타이 ผัดไทย(ผัด([팟], 볶음)+ไทย(타이))
- 샴/시암 สยาม(sà-yǎam) → 변형
- 세팍타크로 sepak(차기(蹴)(마인어))+ตะกร้อ([타크로], 공(球))
2.3. 타갈로그어계
2.4. 마인어[14]계
- 오랑우탄 orangutan(orang(사람)+hutan(숲), '숲의 사람')
- 두리안 durian(druri(가시)+an(접미사)
- 람부탄 rambutan(rambut(머리카락)+접미사 an(~ 것), 머리카락 (난) 것)
- 베타 betah(끈질긴)[15]
- 세팍타크로 sepak(차기(蹴))+ตะกร้อ(공(球)(태국어))
- 일랑일랑 ylang(꽃)+ylang = 꽃 중의 꽃
2.5. 자바어계
- 라하르 ꦮ꧀ꦭꦲꦂ(흐르는 용암)
2.6. 힌디어계
- 가사 काषाय(탁한 붉은색)
- 반다나 बान्दाना(홀치기 염색)
- 방갈로 बंगला
- 보리 बोधि(깨달음)
- 샴푸 चाँपो(씻다)
- 쿨리 क़ुली(머슴, 일꾼)
- 카바디 कबड्डी(숨을 참다)
- 탄두리 तन्दूरी[16](화덕)
- 파자마 पाजामा(바지)[17]
2.7. 타밀어계
2.8. 만주어계
- 두만강 ᡨᡠᠮᡝᠨ ᡠᠯᠠ(tumen, 만(萬)) → 변형
- 사할린 ᠰᠠᡥᠠᠯᡳᠶᠠᠨ ᡠᠯᠠ(sahaliyan ula, 아무르 강)[18] → 변형
- 선지 ᠰᡝᠩᡤᡳ(senggi, 피) → ㄱ 구개음화
- 순대 ᠰᡝᠩᡤᡳ ᡩᡠᡥᠠ(senggi duha, 피+창자) → 변형
- 엉터리 ᠣᠩᡨ᠋ᠣᡵᡳ(Ongtori, 둔한 사람, 도리를 모르는 사람) → ɔ발음 ㅓ로 인식
2.9. 몽골어계
- 수라 siüla(요리, 밥)
- 오랑캐 Uriankhai(삼림민)[19] → 변형
- 타락죽 тараг(요구르트)+죽
- 보라 boro[20] → 변형
- 송골매 songhol → šongkoro(만주어) → 송골매ᠰᠠᡩᡠᠨ
- 업진살 ebči'ün+살
- 제주 방언의 일부 어휘들 : 약 200개 이상의 제주 방언 어휘가 몽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제주는 원 간섭기에 몽골의 지배를 받았고 제주에 이주해 온 몽골인들인 '목호'들이 제주인들과 공존하며 살아갔기에 제주어에 몽골어의 영향이 있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특히 말과 관련된 어휘에 몽골어의 영향이 깊게 들어간 경우가 많다. 예컨대, 검은 색을 뜻하는 몽골어 'QARA'가 제주어에서는 '가라'가 되어 말의 검은 털빛을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고 말의 황색 털빛을 뜻하는 몽골어 'QULA'가 제주어에서는 '고라'로 변화했다. 이외에 말의 이마에서 코끝까지 내려오는 흰줄을 뜻하는 몽골어 'QALJAN'이 제주어에서 '간전이', '코간전이'로 변화했다.
2.10. 티베트어계
2.11. 기타
- 샤먼 шаман ☜ 어웡키어(에벤키어)(퉁구스어족)
- 요요 yo-yo ☜ 일로카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파카 парка ☜ 네네츠어(우랄어족)
- 타이거 𒁇𒄘𒃼 (빠르게 흐르는 강) ☜ 수메르어
3. 아프리카
3.1.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계
3.1.1. 베르베르어계
3.1.2. 이집트어군계
- 나트륨 𓊺(nṯrj, 미라용 소다)
- 수잔 𓆸(sšn, 연꽃이라는 뜻)
- 스핑크스 𓊐𓊪𓀭(šzp, 형상이라는 뜻)
- 아이보리 𓃰(âb, âbu, 코끼리라는 뜻)
- 아민, 아마이드, 아미노산, 아미노기, 암모나이트, 암모니아, 암모늄 𓇋𓏠𓈖𓁩(jaˈmaːnuw)
- 오아시스 ⲟⲩⲁϩⲉ(거주지라는 뜻)
- 이집트, 콥트 𓉗𓏏𓉐𓂓𓏤𓊪𓏏𓎛(ḥwt-kȝ-ptḥ, 프타의 영혼의 집이라는 뜻)
- 파라오 𓀲, 𓀵(ˌpaɾuwˈʕaʀ, 큰 집이라는 뜻)
3.1.3. 기타
3.2. 반투어군계
3.2.1. 줄루어계
3.2.2. 스와힐리어계
3.2.3. 그 외
- 마림바 marimba(ma(많은)+rimba(건반)) ☜ 킴분두어
- 야마카시 Yamakasi(강인한 사람) ☜ 링갈라어
- 좀비 nzambi[23] ☜ 콩고어
- 체제비 tsessebe ☜ 츠와나어
- 체체파리 tsêtsê(파리)
파리파리☜ 츠와나어 - 침팬지 ci-mpenzi ☜ 빌리어
- 틸라피아 tlhapi(물고기) ☜ 츠와나어
3.3. 기타
- 누 !nu ☜ 코이산 제어
- 바나나 banaana ☜ 월로프어(니제르콩고어족)
- 봉고 boungu ☜ 켈레어 (니제르콩고어족)
- 부두 vodũ(우상, 숭배) ☜ 콰어(니제르콩고어족)
- 아파르트헤이트 Apartheid(분리, 격리) ☜ 아프리칸스어
- 얌 nyami(먹다) ☜ 풀라어(니제르콩고어족)
- 젬베 jembe ☜ 만딩카어(니제르콩고어족)
- 콜라 kola ☜ 템네어, kolo ☜ 만딩카어(니제르콩고어족)
- 쿠두 iqhude ☜ 코사어(니제르콩고어족)
4. 북아메리카
4.1. 나와틀어계
- 칠리 chīlli
- 초콜릿 xocolātl(쓴 물) → 변형
- 카카오, 코코아 cacahuatl → 변형
- 치클 tzictli(끈적거리는 것) → 변형
- 코요테 coyotl(짖는 개) → 변형
- 아보카도 āhuacatl → 변형
- 토마토 tomatl → 변형
- 멕시코 Mexicatl → 변형
- 치와와 xicuahua → 변형
- 아홀로틀 Axolotl → 변형
4.2. 아라와크어[24]계
4.2.1. 타이노어계
- 파파야 papaya
- 구아바 wayaba → 변형
- 사바나 zabana → 변형
- 이구아나 iwana → 변형
- 카누 kanowa → 변형
- 카사바 caçabi → 변형
- 해먹 hamaka → 변형
- 허리케인 hurakán → 변형
4.3. 이누이트어계
4.4. 북미 원주민 언어계
5. 남아메리카
5.1. 케추아어[26]계
5.2. 아이마라어[28]계
- 알파카 allpaqa
5.3. 투피-과라니어족[29]계
5.3.1. 과라니어계
5.4. 마푸체어[30]계
- 판초 pontho
6. 오세아니아
6.1. 하와이어계
6.2. 피지어계
- 터부 tabu(금기)
6.3. 호주 원주민 언어계
6.3.1. 다룩어계
6.4. 마오리어계
7. 인공어
7.1. 에스페란토계
8. 관련 문서
- 스웨덴어
- 덴마크어
- 노르웨이어
- 핀란드어
- 헝가리어
- 체코어
- 폴란드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바스크어
- 사미어
- 아일랜드어
- 베트남어
- 태국어
- 타갈로그어
- 마인어
- 자바어
- 힌디어
- 타밀어
- 튀르키예어
- 만주어
- 몽골어
- 티베트어
- 줄루어
- 스와힐리어
- 나와틀어
- 케추아어
- 아이마라어
- 과라니어
- 마푸체어
- 피지어
- 마오리어
- 에스페란토
- 하우사어
[1] 창립자 이름. 물론 스웨덴식 인명이다.[2] 영어를 거쳐서 들어온 말로 노르웨이어 발음은 '시'에 가깝다.[3] 과거에 바이킹들이 가축의 엉덩이를 불로 지져서 자신의 것임을 표했다는 데서 유래.[4] 現 노키아의 전신인 제지공장이 위치했던 동명의 도시명에서 유래.[5] 프랑스와 스페인에 걸친 바스크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다.[6] 바스크어 지명이 멕시코의 지명으로 차용됨.[7]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 동북부 사미인들의 언어이다.[8] 현대 아슬란은 중간에 r이 빠진 ASLAN이며 현대 튀르키예어로도 사자는 aslan으로 r이 빠진다.[9] '부역', '요역'(robota) → 카렐 차페크가 로봇이란 단어를 창조. 근데 의외로 로봇이 영어라고 아는 사람들이 많다.[10] 대부분은 영어를 거쳐 들어온 말들이다.[11] 쯔놈으로 쓰면 𬖾.[12] 반미라고도 하나, 당연히 미국과 무관하며 餠麵(병면)의 베트남식 독음일 뿐이다.[13] 태국어의 한국어 표기법에 따른 명칭은 '무아이타이'다.[14]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라고 부른다.[15] ikan betah(끈질긴 물고기)에서 따옴.[16] tandūrī[17] 엄밀히 말하면 이 단어도 페르시아어에서 힌디어로 차용된 단어다.[18] 정확히는 sahaliyan ula angga hada(아무르 강 하구에 있는 험준한 돌덩어리)[19] 중세 몽골어[20] 보라매는 앞가슴에 난 털이 이 색이라서 붙은 이름[21] Argan[22] "스와힐리어에 없는 잘못된 표현"이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문법적으로 분명히 말이 된다. 문서 참조.[23] 부두교에서 뱀처럼 생긴 신을 일컫는 말.[24] 카리브 해 일대에서 널리 쓰이던 언어이다.[25] 포르투갈어 → 일본어 → 한국어로 거친 것.[26]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등 안데스산맥 등지에서 주로 쓰였으며 과거 잉카의 공용어였다.[27] '라마'는 영어식 표현이다.[28] 페루, 볼리비아, 에콰도르 등 안데스산맥 등지에서 주로 쓰였으며 아이마라인의 언어이다.[29] 브라질, 볼리비아,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지의 원주민이 사용하던 언어이다.[30] 칠레, 아르헨티나 등지의 마푸체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다.[31] 원주민 언어에서 온 것이 확실해 보이나 비슷한 단어가 몇몇 있어서 정확히 어느 단어에서 유래됐는지 알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