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4:03

사미어

우랄어족
Ural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우랄조어†
사모예드어파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핀우그르어파 핀페름어파 발트핀어군 핀란드어 · 카렐어 · 루드어 · 크벤어 · 잉그리아어 · 벱스어
에스토니아어 · 버로어 · 세토어 · 리보니아어 · 보트어
사미어군 서남 사미어 (남부 사미어 · 우메 사미어)
서북 사미어 (북부 사미어 · 피테 사미어 · 룰루 사미어)
본토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케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반도 사미어 (킬딘 사미어 · 테르 사미어)
마리어군 산지 마리어 · 초지 마리어
모르드바어군 에르자어 · 목샤어
페름어군 코미어 (코미지랸어 · 코미페르먀크어 · 코미야즈바어) · 우드무르트어
우그르어파 헝가리어
오브우그르어군 한티어 · 만시어
미분류 메랴어† · 메쇼라어† · 무롬어}}}}}}}}}

사미어
Sámegiella
Sami language
<colcolor=#fff,#000><colbgcolor=#83dfbd> 유형 교착어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키릴 문자(러시아)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노르웨이|]][[틀:국기|]][[틀:국기|]]

[[스웨덴|]][[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콜라 반도, 무르만스크 주
원어민 약 3만 명
계통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사미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93edca> ISO 639-1 -
ISO 639-2 SMI
ISO 639-3 SME[1]

1. 개요2. 서부 사미어
2.1. 남부 사미어2.2. 우메 사미어2.3. 피테 사미어2.4. 룰레 사미어2.5. 북부 사미어
2.5.1. 알파벳
3. 동부 사미어
3.1. 이나리 사미어3.2. 케미 사미어3.3. 스콜트 사미어3.4. 아칼라 사미어3.5. 킬딘 사미어3.6. 테르 사미어
4. 핀우그르어파 기층설5.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clearfix]

1. 개요

우랄어족에 속하며, 스칸디나비아 북부와 러시아 무르만스크콜라 반도 일대에 사는 사미인들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 지역별로 말이 아예 안 통할 정도로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여러 개로 나누어지지만, 워낙 북부 사미어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다보니 이쪽을 그냥 사미어라고 하기도 한다.

노르웨이(네세뷔·라방엔·스노사·카라쇼크·카우토케이노·코피오르·타나·튀스피오르·포르상에르), 스웨덴(아리에플로그·옐리바레·요크모크·키루나), 핀란드(에논테키외·이나리·소단퀼래·우츠요키) 북부의 몇몇 지역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2. 서부 사미어

2.1. 남부 사미어

Åarjelsaemien gïele

노르웨이 중부의 스노사(Snåsa)와 하트피엘달(Hattfjelldal) 지역을 중심으로 쓰인다. 화자수는 600여 명. 사미어가 대부분 영어처럼 SVO 어순을 띄는 반면 남부 사미어는 SOV 어순을 띈다.


남부 사미어 소개 영상[2]

2.2. 우메 사미어

Ubmejensámien giella

스웨덴 북부의 우메 강 유역에서 쓰인다. 화자 수는 20명 정도로 매우 적은 편. 사미어 중에서는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된 언어이지만 지금은 언어 사용자 수도 매우 적고 표준화된 표기법도 없는 상황이다.

2.3. 피테 사미어

Bidumsámegiella

스웨덴 북부의 피테 강 유역에서 쓰인다. 화자 수는 우메 사미어처럼 역시 20명 정도로 역시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역시 공식적인 표기법도 없다.

2.4. 룰레 사미어

Julevsámegiella

스웨덴 북부의 룰레 강 유역과 노르웨이의 노를란드 지역에서 쓰이며, 노르웨이의 튀스피오르(Tysfjord)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사용자 수는 2,000명 정도로 사미어 중에서는 많은 편.


룰레 사미어로 읊은 슬로베니아 작가 클레멘 피스크(Klemen Pisk)의 시 《도사와 늑대》.

2.5. 북부 사미어

Davvisámegiella

노르웨이스웨덴, 핀란드 북부에서 쓰이며 사용자는 2만여 명으로 사미어 중에서 가장 많고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북부 사미어로 된 노래인 소피아 야녹의 <Áššogáttis>.


겨울왕국 2 북부 사미어 더빙판 예고편


2016년 2월 16일 방영 북부 사미어 뉴스 보도.

2.5.1. 알파벳

라틴 문자 IPA 이름
A a [ɑ] a
Á á [a] á
B b [b] be
C c [t͡s] ce
Č č [t͡ʃ] če
D d [d] de
Ð đ [ð] đe
E e [e] e
F f [f] eff
G g [g] ge
H h [h] ho
I i [i] i
J j [j] je
K k [k] ko
L l [l] ell
M m [m] emm
N n [n] enn
Ŋ ŋ [ŋ] eŋŋ
O o [o] o
P p [p] pe
R r [r] err
S s [s] ess
Š š [ʃ]
T t [t] te
Ŧ ŧ [θ] ŧe
U u [u] u
V v [v] ve
Z z [d͡z] ez
Ž ž [d͡ʒ]

3. 동부 사미어

3.1. 이나리 사미어

Anarâškielâ

핀란드 북부 이나리 호 주변에서 쓰이며 사용자는 300여 명이다.


이나리 사미어 소개 영상.

3.2. 케미 사미어

핀란드 동부 쿠사모(Kuusamo) 일대에서 쓰였던 사미어. 1900년경에 사멸했다.

3.3. 스콜트 사미어

Sääˊmǩiõll

핀란드 북부와 러시아 무르만스크 주 서부에서 쓰이며 사용자 수는 400명 정도이며 거의 핀란드에 분포하고 있다. 사용자 수는 사미어 중에선 많은 편이지만 꽤 넓은 지역에서 쓰이기 때문에 사멸 위기에 놓여 있는 언어이다. 철자법이 다른 사미어에 비해 복잡한 편이다.

파일:finland_border_winter.jpg

노르웨이 쪽에서 본 노르웨이-핀란드 국경. 위에서 아래 순으로 핀란드어, 스콜트 사미어, 노르웨이어, 영어다.


스콜트 사미어 소개 영상.

3.4. 아칼라 사미어

러시아 콜라 반도의 아켈(A´kkel)과 추크수알(Ču´kksuâl) 마을에서 쓰였던 사미어. 2003년 아칼라 사미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었던 마지막 사람인 마리야 세르기나가 사망하면서 사어가 되었다.

3.5. 킬딘 사미어

Кӣллт са̄мь кӣлл

러시아 콜라 반도의 로보제로(Ловозеро) 호수 일대에서 쓰이는 사미어로 사용자는 500여 명이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툰드라를 뜻하는 말이 킬딘 사미어로 나무가 없는 평지를 가리키는 '툰다르'(tūndâr)의 속격 형태인 '툰드라'(tūndra)에서 왔다.

키릴 문자 중 Ҍ ҍ는 이 언어에서만 쓰는 문자이다. 치경음구개음화를 나타낸다. Ѣ(yat, 야트)와 헷갈리지 말 것. 몇몇 산세리프 서체에서는 Ѣ(야트)가 킬딘 사미어 Ҍ보다 가로줄이 길며, 로만 서체의 경우 Ѣ(야트)는 가로획에 세리프가 달려 있지만 킬딘 사미어 Ҍ는 가로획에 세리프가 달려 있지 않다. 소문자 필기체의 경우, ѣ(야트)는 n과 ь를 합친 모습으로 쓰지만, 킬딘 사미어 ҍ는 단지 ь에 가로획을 그은 모습으로 쓴다.

3.6. 테르 사미어

Saa´mekiill

러시아 콜라 반도 동쪽에서 쓰이며 사미어 중에서는 가장 동쪽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19세기까지 수백여 명의 사용자가 있었으나 소련 때 군사 기지를 지으면서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사미어 사용을 금지시키는 등의 일을 거치면서 화자수는 2010년 기준으로 2명에 불과하다.

4. 핀우그르어파 기층설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늦어도 서기 11세기경까지는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계열 언어들의 기층언어가 된 비(非) 인도유럽어족 및 비 우랄어족 계통의 언어가 잔존했으리라고 추정하는데, 사미어의 각 방언들의 몇몇 어휘가 서로 유사성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이 미지의 기층언어를 재구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링크

고 라플란드어는 오늘날의 핀란드라플란드 지방[3]에서 서기 500년 경까지 쓰인 언어로, 이 지역에 사미인의 조상 민족이 도래하기 이전에 살았던 선주민들의 언어다. 인도유럽어족에도 우랄어족에도 속하지 않는 언어로 추정되며, 우랄어족 계통 언어를 제외하면, 북유럽 지역에서 쓰이던 최후의 비 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들 중 하나다. 본래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핀우그르어파 도래 이전의 언어를 밝혀내기 위한 여러 가설이 제안되고 있었는데, 고 라플란드어는 그런 언어의 존재가 입증된 최초의 경우라서 학계의 관심이 지대하다.[4] 하지만, 이 언어는 인도유럽어족이나 우랄어족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제3의 어족이고, 이 어족은 그동안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은 선사 시대 유럽 제어의 흔적이라서, 밝혀진 부분은 많지 않다. 일단 이 언어는 12900년 전에서 11700년 전까지 오늘날의 독일과 폴란드 일대에서 번성했던 후기 구석기 시대문화아렌스부르크 문화의 주민들 사이에서 쓰이던 언어가 역사 시대까지 남은 경우라고 추정된다.

5.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문서
1.7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북부 사미어 기준. 각 방언마다 코드가 다르다.[2] 출처: ILoveLanguages![3] 핀란드인의 형제뻘 민족인 사미인이 거주하는 지역이다.[4] 을 뜻하는 사미어 단어인 ája가 고 라플란드어에서 차용한 단어라고 추정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