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랄어족|우랄어족 Uralic Languages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사모예드어파 | 네네츠어 · 셀쿠프어 · 에네츠어 · 응가나산어 | |||
핀우그르어파 | 핀페름어파 | 발트핀어군 | 북 | 핀란드어 · 카렐어 · 루드어 · 크벤어 · 잉그리아어 · 벱스어 | |
남 | 에스토니아어 · 버로어 · 세토어 · 리보니아어 · 보트어 | ||||
사미어군 | 서 | 남부 사미어 · 우메 사미어 · 북부 사미어 · 피테 사미어 · 룰레 사미어 | |||
동 | 이나리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케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 킬딘 사미어 · 테르 사미어 | ||||
마리어군 | 마리어 (산지 마리어 · 초지 마리어) | ||||
모르드바어군 | 모르드바어 (에르자어 · 목샤어) | ||||
페름어군 |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 ||||
우그르어파 | 헝가리어 | ||||
오브우그르어군 | 한티어 · 만시어 | ||||
미분류 | 메랴어† · 메쇼라어† · 무롬어† | ||||
†: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핀우그르어파 Finno-Ugric languages | ||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지리적 분포 | 동유럽 북유럽 북아시아 | |
계통 |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 | |
하위 분류 | 발트핀어군 사미어군 마리어군 모르드바어군 페름어군 우그르어군 |
1. 개요
1. 개요
우랄어족에서 사모예드어파를 제외한 언어를 모두 묶은 전통적 분류.화자 수나 지위 면에서 우랄어족의 가장 큰 언어인 헝가리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가 모두 핀우그르어파에 속한다. 이 외에도 스칸디나비아반도나 러시아 연방 등지에 분포하는 소수 민족 언어들이 포함되지만, 이미 사멸했거나 사멸 위기에 처한 언어가 많다. 핀우그르어파 언어들은 주로 동유럽, 북유럽, 북아시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상술했듯 핀우그르어파는 사모예드어파를 제외한 우랄어족 언어들의 총칭 개념이므로 각 하위 분파 언어들끼리 매우 차이가 크다.[1] 이러한 이유 탓에 최신 언어학계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며 인도유럽어족의 게르만어파, 로망스어군, 슬라브어파와 같이 발트핀어군, 우그르어군, 사미어군 등으로 나누어 분류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이다.
[1] 우랄어족을 크게 핀우그르어파와 사모예드어파로 나누는 이유는 두 어파 사이의 공통점이 핀우그르어파의 각 하위 어군 언어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미약한 수준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