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延 (늘일 연)
조선 좌명공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 |||||||||||||||||||||||||||||||||||||||||||||||||||||||||||
진충좌명공신 (1등) | ||||||||||||||||||||||||||||||||||||||||||||||||||||||||||||
| | 신극례 | | 이무3 | ||||||||||||||||||||||||||||||||||||||||||||||||||||||||
| 이애 | 조영무 | 하륜 | |||||||||||||||||||||||||||||||||||||||||||||||||||||||||
익대좌명공신 (2등) | ||||||||||||||||||||||||||||||||||||||||||||||||||||||||||||
이래 | 이천우 | 이화 | ||||||||||||||||||||||||||||||||||||||||||||||||||||||||||
익대좌명공신 (3등) | ||||||||||||||||||||||||||||||||||||||||||||||||||||||||||||
김영렬 | 류기 | 마천목 | 박석명 | |||||||||||||||||||||||||||||||||||||||||||||||||||||||||
박은 | 성석린 | 윤곤 | 윤저 | |||||||||||||||||||||||||||||||||||||||||||||||||||||||||
이숙 | 이지란 | 조희민 | | |||||||||||||||||||||||||||||||||||||||||||||||||||||||||
익대좌명공신 (4등) | ||||||||||||||||||||||||||||||||||||||||||||||||||||||||||||
권근 | 김승주 | 김우 | 김정경 | |||||||||||||||||||||||||||||||||||||||||||||||||||||||||
류량 | 문빈 | 서유 | 서익 | |||||||||||||||||||||||||||||||||||||||||||||||||||||||||
송거신 | 심구령 | 연사종 | 윤목 | |||||||||||||||||||||||||||||||||||||||||||||||||||||||||
윤자당 | 이승상 | 이원6 | 이응 | |||||||||||||||||||||||||||||||||||||||||||||||||||||||||
이종무 | 이직7 | 조경 | | |||||||||||||||||||||||||||||||||||||||||||||||||||||||||
조온 | 한규 | 홍서 | ||||||||||||||||||||||||||||||||||||||||||||||||||||||||||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4년 태종의 왕자들을 죽이고 상왕 정종을 섬기려 한 혐의로 제명 3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4 1416년 불충, 불경죄로 인한 제명 5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6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7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8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 }}}}}}}}} |
谷山 延氏 곡산 연씨 | |
<colbgcolor=#000> 관향 | 황해도 곡산군 |
시조 | 연사종(延嗣宗) |
집성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평안남도 평양시 강동군 |
인구 | 34,766명(2015년) |
웹사이트 | 곡산연씨대동종친회(谷山延氏大同宗親會) |
[clearfix]
1.1. 개요
황해도 곡산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성씨를 쓰는 유명인 중에는 배우 연정훈이 있다. 2015년 기준 인구 34,766명으로 희성에 속한다.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Yeon이다. Yeun, Yon등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1.2. 역사
실질 시조는 조선의 장군 연사종(延嗣宗)이다. 그는 함경도 함흥에서 출생하였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사종의 조부 곡산 연씨는 황해도 곡산 출신으로 고려 말에 함흥으로 이주하였다.연사종은 조선 태조와 동향인으로 위화도 회군에서 장군 진무로 활약하며 조선 건국 후 회군공신 3등 및 개국원종공신에 녹봉되었다. 뒤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하는데 기여해 왕실로부터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그 후에 조정의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고 호조 전서를 거쳐 곡성군(谷城君)에 봉해졌다. 동북면에서의 경험을 인정받아 태종과 세종하에서 군 최고 직위인 동북면병마도절제사[1][2]와 판중군도총제부사 등을 역임해 동북면을 방어하는 장군으로 활약했다. 후일 태종에 의해 조정은 그를 한성부로 소환하고 판한성부사[3]를 역임하며[4] 따라서 집안도 한성부로 다시 옮겼다. 후일 세종에 의해 다시 삼군 도진무[5] 및 중군 도총제[6]로 소환되었고 임금의 명으로 환조의 정릉을 정비하고 사자비를 세우는 중임을 도맡기도 하였다. 후일 자녀로 연경, 연비, 연음(延廕) 세 아들을 득남하였다. 現 황해도 이남의 모든 곡산 연씨는 연사종 장군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문중은 그를 실질적인 시조로 여긴다. 후일 곡산 연씨들은 선대가 조정의 좌명공신이었던 이유 때문에 따라서 보은인사로 대거 발탁되거나 혹은 중죄가 아닌 죄라면 모두 면책의 대상으로 보는등의 수혜를 입었다. 사종의 아들 연경(延慶)은 1438년 판안주목사에 임명되었고[7] 후일 1450년 조선을 대표하여 사은사로 명나라의 수도 베이징에 파견되었다.[8] 둘째 아들 연비(延庇) 또한 세조 6년 당상관에 임명되었고 셋째 아들 연음의 아들 연정렬(延井冽)은 옥천군수를 역임한 뒤 20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연안부사로 승진해 사헌부대사 이서장(李恕長) 등이 부당함을 아뢰었으며 정렬의 아들 연보(延保)는 내력이 없음에도 성종 15년 1명만을 뽑는 당상관 사재감 정에 임명되었고 심지어 중종 20년 연정(延侹)은 사종의 증손이라는 이유로 입거를 면책해주었다.
이번의 연정(延侹)은 그의 증조가 곧 좌명공신인데, 내사조와 외사조에 모두 현관이 있는 사람이 아니기는 합니다. 그러나 좌명공신의 후손은 사족임이 분명하니 응당 면제되어야 할 듯한데, 이는 특별한 은전(恩典)이어서 감히 함부로 할 수 없기에 이렇게 아룁니다."
《중종실록》 56권, 중종 20년 윤12월 17일 신미 3번째기사
연사종 사후 곡산 연씨는 1547년 명종 2년에 발생한 정미사화에 연정렬과 동서 관계였던 광주 이씨와 함께 연루되어 연애·연백재·연의등이 능지처사 당하였다.[9] 따라서 문중 일부는 한성부를 떠나 청안군 및 영남지방으로 낙향하였다. 따라서 1621년 광해군 13년 다시 연섭이 문과에 급제하기 그 전까지 문과 급제자는 나오지 않았다. 1682년 숙종 8년 치당 연최적이 병과 4등에 급제하며 인현왕후와 연을 맺으며 도승지등을 역임하였으나 인현왕후가 정적 희빈 장씨에게 밀려나 폐위되었고 최적은 인현왕후 폐위의 부당성과 당시 화를 입은 자들의 용서를 상소하다가 형장에서 옥사하였다.숙종실록보궐정오 25권, 숙종 19년 8월 6일 정축 1번째기사 《중종실록》 56권, 중종 20년 윤12월 17일 신미 3번째기사
후일 영조 14년 송인명의 청으로 연최적을 증 이조판서로 추존하며 동시에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리고[10] 영조 51년 연동헌이 곡산 연씨로는 93년만에 문과에 합격하였다. 정조 8년 조정은 최적을 재평하여 의민(毅愍)으로 증시하였으며[11] 고종 10년 가문이 몰락하여 관직없이 생업을 이어가는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렸다.고종실록 10권, 고종 10년 9월 12일 정사 2번째기사
곡산 연씨들은 그 후 중국 간도 지역으로 넘어가 활동하기도 하였다. 증평 출신인 연병환은 간도로 넘어가 1907년 중국인으로 귀화한 뒤, 영어 능력과 세무직 경험에 대한 영국인 친구의 추천을 통해 1908년 7월부터 간도 용정 해관에서 일하게 되었다. 그의 딸인 연미당은 용정에서 태어나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녀의 삼촌 연병호도 1913년 용정으로 넘어가 북간도 창동학원에서 공부하였다.
1.3. 집성촌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58길 87[B]
前 양주군(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은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위치했었으며 조선 왕실이 하사한 사패지(賜牌地)였다. 주요 문종으로는 첨지사 연학서(延鶴瑞)와 어모장군 연정일(延精一)등이고 무과 급제자 3명[13]을 배출하였다.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58길 87(하계동 168-2)에 이뤘었으며 후일 하계역 방면 집성촌 자리는 곡산 연씨 대종회 사무실과 종친회 아파트가 들어섰다.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C]
연사종 장군의 아들 연음(延廕)의 장남 연정렬(延井冽)이 낳은 아들 연보(延保)와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3명[15], 문과 급제자 1명[16], 생원시 1명[17]·진사시 2명[18]·의과 1명[19]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이뤘다. 現 신림역 주변은 곡산 연씨 기업 삼모흥업 일가가 삼모더프라임타워 및 삼모스프렉스·스파등의 랜드마크 건물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D]
前 광주군(現 경기도 광주시) 지역은 연정렬(延井冽)과 동서인 광주 이씨의 영향으로 곡산 연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주요인물은 선략장군 연승천(延承天)등이며 무과 급제자 5명[21]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에 이뤘다.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E]
前 포천군(現 경기도 포천시)를 연고로 하는 충의위 연재명(延再鳴)과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1명[23]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에 이뤘다.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G]
前 청주군(現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의 곡산 연씨는 문인 치당 연최적(延最績)외 생원시 연인로(延寅老)·어모장군 연재희(延再熙)등의 인물을 배출하였다. 現 충북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에 집성촌을 이뤘으며 연최적을 기리는 연최적충효양전문(延最績忠孝兩全門)이 조성되어 있다.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H]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I]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前 청안군 지역의 주요 집성촌 4곳은 충북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와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아울러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과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등이며 무과 급제자 4명[27], 생원시 7명[28], 진사시 3명[29]을 배출하였다. -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現 충북 증평군 도안면 지역은 화성리에 중시조 곡산부원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이장돼 있고 더욱이 전체 인구의 48%가 곡산 연씨이며 따라서 문중이 기초의원 선거를 좌우하고 있다.[30] 연병호(延秉昊), 연철흠(延哲欽), 연종석(延宗錫) 등의 정치인을 배출하였다. - 평안남도 평양시 강동군[J]
1.4. 분파
- 상주공파(尙州公派)
- 연안공파(延安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감역공파(監役公派)
- 지평공파(砥平公派)
- 정랑공파(正郞公派)
- 사과공파(正郞公派)
- 충위공파(忠衛公派)
- 충사공파(忠司公派)
- 교위공파(校尉公派)
- 장영공파(掌令公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 호군공파(護軍公派)
- 첨정공파(僉正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옥천공파(沃川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안음공파(安陰公派)
- 작달파(爵達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눌문파(訥文派)
- 금당파(金塘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1.5. 인물
- 연경흠 - 야구선수
- 연경흠 - 육군 준장
- 연광철 - 성악가
- 연규성 - 가수
- 연규진 - 배우 , 연정훈의 父
- 연규홍 - 한신대학교 제 18대 총장
- 연규횡 - 충북대학교 제6·제9·제10대 총장
- 연기우 - 독립운동가
- 연덕춘 - 골프선수. 한국프로골프협회이사장
- 연미정 - 대성마이맥 수능 한국사 강사
- 연미주 - 배우
- 연병해 - 언론인, 前 대한배구협회 부회장
- 연병호 - 정치인
- 연보흠 - 언론인, MBC 기자
- 연빛나 - 아나운서, 前 YTN 여자 앵커
- 연사종 - 조선의 장군·부원군·
- 연상엽[32] - 한국계 미국인 배우. 제93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
- 연상은 - 아나운서, 前 XTM 아나운서
- 연상호 - 애니메이션/영화 감독 《부산행》(2016) 감독
- 연서영 - 배우. 미스코리아 진
- 연세련 - 유튜버 딩동댕댕
- 연송하 - 배우
- 연승빈 - 배우
- 연승주 - 걸그룹
- 연아루 - 모델 겸 인터넷 방송인
- 연운경 - 배우
- 연윤근 - Cherry Filter 기타리스트
- 연정 - 켈로부대 유격대장·조선국군준비대 외교관
- 연정훈 - 배우, 한가인의 남편
- 연정흠 - 인터넷 방송인
- 연제민 - 축구선수
- 연제민 - 유튜버 Jaykeeout
- 연제승 - 인테리어 디자이너, 방송인 제이쓴
- 연제영 - 대한민국 해군 대령
- 연제욱 - 배우
- 연제운 - 축구선수
- 연제원 - 기업인
- 연제형 - 배우
- 연제훈 - 운동선수
- 연종석 - 정치인
- 연준모 - 맨즈헬스 표지모델
- 연준석 - 배우
- 연준희 - 댄서
- 연지수- 트위치 스트리머, 유튜버 포도네
- 연지예 - 가수 겸 유투버
- 연지은 - 레이싱 모델
- 연철호 -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노건평의 사위
- 연철흠 - 정치인
- 연태준 - 유통기업 홈플러스 대표이사 부사장
- 연태희 - 서도밴드 기타리스트
- 연형모 - 프로게이머
1.6. 연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1.7. 가상인물
어감이 좋아 가상인물이 꽤 있는 편이다.- 광기 - 연자심
- 귀곡의 문 - 연나랑
- 나우 - 연아란, 연아린
- 내 ID는 강남미인! - 연우영
- 다시쓰는 연애사 - 연주홍
- 동생친구 - 연가은
- 레코닝 - 연우연
- 리멤버 - 아들의 전쟁 - 연보미
- 베리베리 뮤우뮤우 뉴~♡ - 연그린 [36]
- 마기(만화) - 연홍염, 연백룡, 연옥염, 연홍옥, 연홍명, 연홍패, 연백영
- 맘마미안 - 연금옥
- 미르모 퐁퐁퐁 - 연우진
- 소녀의 세계 - 연수진
- 소문난 칠공주 - 연하남
- 솔트앤페퍼 - 연두부
- 수호전 - 연청
- 스카드 잼 정령석의 구애 - 연가을
- 신데렐라 일레븐 - 연유란, 연유아
- 신석기녀 - 연소연
- 신의 탑 - 연 한아, 연 이화, 연 운
- 약한영웅 - 연시은
- 연록흔 - 연록흔
- 연우의 순정 - 연우
- 왔다! 장보리 - 연민정
- 위험한 약속 - 연두심
- 은사 - 연민희
- 일간 알바 - 연태서
- 짱구는 못말려 - 연모만
- 존잘주의 - 연하늘
- 좀비고등학교 - 연선우
- 주몽 - 연타발, 연채령
- 천뢰무한 - 연자심
- 퀘스트지상주의 - 연서희
- 클로젯 - 연상원, 연이나
- 클라우드 - 연하늘
- 테러맨 - 연하연
-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연채신
- 한백무림서 - 연선하
- 홍시는 날 좋아해! - 연가을
- 흥부전 - 연흥부, 연놀부[37]
- Fate 시리즈 - 연청
2. 連 (이을 연, 련)
한국의 성씨.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연주(連珠)이며 본관은 전주 단본이다. 2015년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9명으로 조사되어 매우 흔치 않은 성이다.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나주 6가구와 본관 불명 등 전국에 7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평안남도 성천군에 나주 연씨 6가구가 모두 살고 있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에 살던 1가구는 본관 불명으로 나타났다. 이 때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유동에 살던 나주 본관의 연상섭(連相燮)씨는 전설에 의하면 延씨를 잘못 기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증언한 바 있고,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갈전리에 살던 본관 불명의 연국분(連國分)씨는 당시로부터 2, 300년 전에 자신들의 선조가 중국에서 귀화해와서 살기 시작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2.1. 외국계 인물
3. 燕 (제비 연)
본관은 정평, 영평, 전주, 평주, 곡산 등 이 문헌에 전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성팔족의 하나였다. 2015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는 2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16명이 전주 연씨에 속한다.백제에서 연씨는 연비(燕比)라는 복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며[38] 중국에서는 연나라의 성씨이다.
참고로 흥부전의 흥부, 놀부 형제가 바로 이 성씨다.[39]
Paradox Live의 연하준, 연동하 형제도 이 한자를 사용한다.
4. 淵 (못 연)
고구려의 권신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이다. 한국에서는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 한국의 성씨/사라진 성씨 참고.일본 측 기록에서는 연씨가 '이리(伊梨)'씨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이리거세사, 이리가수미(=연개소문)가 나온다.
4.1. 연개소문과 그의 가족
연개소문의 성씨인 淵씨이다. 자세한 사항은 연개소문 문서 참조.5. 그 외 인물
- 연갱요: 연개소문하고는 상관없는 청나라 인물로 年씨이다.
[1] 現 국군 중장급.[2] 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1월 16일 계미 3번째기사[3] 現 서울시장.[4]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 1월 15일 을해 2번째기사[5] 도총관(都摠管), 現 수도방위사령관.[6] 도총제사(都摠制使).[7] 세종실록 88권, 세종 22년 2월 22일 을미 2번째기사[8] 문종실록 3권, 문종 즉위년 9월 1일 임인 7번째기사[9] 명종실록 9권, 명종 4년 5월 6일 을해 4번째기사[10] 영조실록 47권, 영조 14년 11월 14일 임술 1번째기사[11] 정조실록 8권, 정조 3년 8월 15일 병인 2번째기사[B] 연 해피빌 아파트[13] 겸사복(兼司僕) 연대징(延大澄)
부사과(副司果) 연제민(延濟民)
어모장군(禦侮將軍) 연탁립(延卓立)[C] “신림동 터줏대감”, 삼모빌딩 2채 시세 750억 ‘훌쩍’[15] 포도군관(捕盗軍官) 연신흠(延愼欽)
별대마병(別隊馬兵) 연용서(延龍瑞)
수문장(守門將) 연응룡(延應龍)[16] 연구령(延九齡)[17] 연사의(延士義)[18] 연창령(延昌齡) 연충보(延忠輔)[19] 연수담(延壽聃)[D] 광주문화원 노곡리[21] 부사과(副司果) 연덕항(延德恒)
무관 연도원(延道源)
부사과(副司果) 연만성(延萬成)
부사맹(副司猛) 연봉령(延鳳齡)
한량(閑良) 연오징(延五徵)[E]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23] 충의위(忠義衛) 연후설(延後卨)[G] 우리동네 모충동에 오면...[H]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陣岩里) 진동(陣洞)마을[I] 디지털음성문화대전[27] 충의위(忠義衛) 연윤(延潤)
충의위(忠義衛) 연진길(延震吉)
한량(閑良) 연태훈(延泰勲)
전력부위(展力副尉) 연집(延㠎)[28] 연명좌(延命佐) 연명회(延明會) 연섭(延涉) 연세관(延世觀) 연주운(延周運) 연형(延瀅) 연혜증(延惠增)[29] 연기회(延耆會) 연세화(延世華) 연진경(延震卿)[30] 기초의원 1석에 갈린 연씨 종친회[J] 前 평안남도 성천군 삼흥면 광탄리[32] 미국명 스티븐 연(Steven Yeun)[33] 본명은 이민지.[34] 본명은 김봉회.[35] 본명은 이예림.[36] 구작에서는 배레티로 나왔음[37] 초기 판본인 홍보만보록에서는 장씨로 나온다. 연씨라는 설정은 이후의 판본에서 처음 나온다.[38] 제비를 표기한 것이란 가설이 있다. 앞 글자는 훈을 나타내고 뒷 글자는 음차를 나타낸 거라면 딱 맞기 때문.[39] 그리고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흥보만보록에서는 두 형제의 성씨가 장씨, 그것도 덕수 장씨로 나온다. 아마도 이후에 내용이 구전되면서 제비(燕)가 나오는 이야기라는 뜻에서 연씨라는 설정이 붙었다고 추정된다. 그런가 하면 제비가 흥부, 놀부 형제에게 박씨를 가져다 줬다고 해서 박씨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부사과(副司果) 연제민(延濟民)
어모장군(禦侮將軍) 연탁립(延卓立)[C] “신림동 터줏대감”, 삼모빌딩 2채 시세 750억 ‘훌쩍’[15] 포도군관(捕盗軍官) 연신흠(延愼欽)
별대마병(別隊馬兵) 연용서(延龍瑞)
수문장(守門將) 연응룡(延應龍)[16] 연구령(延九齡)[17] 연사의(延士義)[18] 연창령(延昌齡) 연충보(延忠輔)[19] 연수담(延壽聃)[D] 광주문화원 노곡리[21] 부사과(副司果) 연덕항(延德恒)
무관 연도원(延道源)
부사과(副司果) 연만성(延萬成)
부사맹(副司猛) 연봉령(延鳳齡)
한량(閑良) 연오징(延五徵)[E]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23] 충의위(忠義衛) 연후설(延後卨)[G] 우리동네 모충동에 오면...[H]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陣岩里) 진동(陣洞)마을[I] 디지털음성문화대전[27] 충의위(忠義衛) 연윤(延潤)
충의위(忠義衛) 연진길(延震吉)
한량(閑良) 연태훈(延泰勲)
전력부위(展力副尉) 연집(延㠎)[28] 연명좌(延命佐) 연명회(延明會) 연섭(延涉) 연세관(延世觀) 연주운(延周運) 연형(延瀅) 연혜증(延惠增)[29] 연기회(延耆會) 연세화(延世華) 연진경(延震卿)[30] 기초의원 1석에 갈린 연씨 종친회[J] 前 평안남도 성천군 삼흥면 광탄리[32] 미국명 스티븐 연(Steven Yeun)[33] 본명은 이민지.[34] 본명은 김봉회.[35] 본명은 이예림.[36] 구작에서는 배레티로 나왔음[37] 초기 판본인 홍보만보록에서는 장씨로 나온다. 연씨라는 설정은 이후의 판본에서 처음 나온다.[38] 제비를 표기한 것이란 가설이 있다. 앞 글자는 훈을 나타내고 뒷 글자는 음차를 나타낸 거라면 딱 맞기 때문.[39] 그리고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흥보만보록에서는 두 형제의 성씨가 장씨, 그것도 덕수 장씨로 나온다. 아마도 이후에 내용이 구전되면서 제비(燕)가 나오는 이야기라는 뜻에서 연씨라는 설정이 붙었다고 추정된다. 그런가 하면 제비가 흥부, 놀부 형제에게 박씨를 가져다 줬다고 해서 박씨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