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춘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賈(성 가)
1.1. 개요
1.1.1. 소주 가씨
대한민국과 중국의 성씨로 시조는 가유약(賈維鑰)이며, 본관은 가유약의 출신지인 중국 장쑤성 쑤저우(蘇州, 소주) 단본이다. 가유약은 명나라의 장군으로 아들 가상(賈祥)과 손자 가침(賈琛)과 함께 조선으로 들어와 정유재란 때 활약하다가 부산에서 아들 가상과 함께 전사하였다. 가침은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모두 전사하자 울산의 서생진(西生鎭) 도독동(道督洞)에서 장사를 지낸 후 귀화하였다. 이 후 안동부사 권순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으며, 가침이 죽자 네 아들은 충청도 서산으로 자리를 옮겨 한국 가씨의 터전을 이루었다. 현재는 충청남도 서산, 태안에 압도적으로 많으며, 집성촌은 충청남도 태안군에 있다.[1][2]희귀 성씨 치고는 역사가 상당히 짧은 편이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빙씨나 화씨의 시조는 그 후손이 1,000명도 안 되는 것과 대조된다.
1.2. 인구
인구는 2015년 통계청 조사 결과 9,936명. 당시 대한민국 인구수가 49,705,663명이었으므로 (외국인 포함시 약 5,100만 여명) 대략 5,000명 중 한 명 꼴이다.1.2.1. 역사적 인물
1.2.2. 현대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가갑손 - 기업인. 전 한양유통 부회장, 현 메트로패밀리 회장.
- 가기산 - 前 대전광역시 서구청장
- 가내영 - 기아 타이거즈 투수
- 가득염 - 두산 베이스 코칭스태프
- 가득희 - 배우
- 가민준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가삼현 - 현대중공업그룹 前회장
- 가세로 - 現 태안군수, 前 경찰
- 가솔현 - 축구선수. 강원 FC 수비수
- 가애란 - KBS 아나운서
- 가재연 - 독립운동가
- 가재춘
- 가혜수 - 빙그레사장 김동환의 아내
- 가건우 - O.O.O의 보컬
2. 여담
한국의 성씨중 가나다순으로 나열하면 맨 앞에 오는 성씨로, 따라서 학교 등지에서 가나다순으로 출석번호를 매기면 이 성씨를 가진 사람은 쌍둥이가 아닌 이상 거의 100%의 확률로 1번을 받게 된다. 물론 태안군은 가씨가 제법 있기 때문에, 쌍둥이가 아닌 가씨라고 해도 이곳에선 꼭 1번이 아닐 확률도 있다.서울특별시 인명별 전화번호부에서 1973년부터 1978년까지는 가갑손, 1979년부터 1982년까지는 가갑선이 맨 앞 자리를 차지했었다.#
배우 채시라의 외가도 해당 성씨 가문이며,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조카며느리이자 김동환의 아내도 가씨다.
3. 관련 문서
[1] 가씨의 1/3이 충청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성씨 집약도가 타 성씨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충청남도 사람들이 많이 이주하는 인천광역시와 대전광역시 부근에도 일부 있다. 태안 일부 지역의 학교는 가씨 비율이 김씨를 능가한다. 특히 인천광역시는 특히 내포지역 출신이 많기로 유명하다.[2] 얼마나 편중되어 있으면 일제강점기 시절 성씨 가구조사 당시 북한지역에 거주한 가씨의 가구 수는 단 한가구도 없었을 정도이다. 다만 북한인명사전에는 '가창수'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아마 월북자 혹은 그 후손이거나 북한이 통치하는 경기/강원 일부 거주자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