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페인어권의 춤이자 춤곡
Bolero스페인과 과거 스페인의 식민지 쿠바에서 유래한 춤이자 춤곡. 다만 스페인 볼레로와 쿠바 볼레로는 리듬과 박자가 아예 달라 별개로 취급한다. 원조 스페인식 볼레로는 18세기 후반에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3/4박자에 8분음표와 셋잇단 16분음표를 더한 리듬형으로 구성된다. 템포(빠르기)는 왈츠에 비하면 훨씬 느리고 같은 박자의 마주르카보다도 더 느리다.
쿠바식 볼레로는 홀수 박인 스페인 볼레로와 달리 2/4 혹은 4/4박자를 취하며, 장단도 판이하여 오히려 손(Son)에 가깝다. 쿠바 볼레로는 이후 카리브해의 주변 섬들과 멕시코를 비롯한 라틴아메리카 지역으로 퍼져 수많은 변종과 영향을 받은 곡을 낳았고, 쿠바 내에서도 이후 쿠바 대중음악의 뿌리를 이루는 트로바(Trova)의 밑바탕이 되었다.
2. 모리스 라벨의 관현악곡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takt op. 시리즈에 해당 곡의 악보를 모티브로 하는 음악의 정령}}}에 대한 내용은 [[볼레로(takt op.)]]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볼레로(takt op.)#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볼레로(takt op.)#|]]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takt op. 시리즈에 해당 곡의 악보를 모티브로 하는 음악의 정령: }}}[[볼레로(takt op.)]]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볼레로(takt op.)#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볼레로(takt op.)#|]]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안드레스 오로즈코-에스트라다가 지휘가 프랑크푸르트 방송 교향악단 연주로, 15분대의 가장 자주 연주되는 박자다.
.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지휘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
프랑스어로 Boléro[1]는 인상주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이 1928년 중순 러시아 출신의 안무가 이다 루빈시테인에게 위촉받아 작곡한 발레 음악으로, 현대에는 발레보다 연주회 레퍼토리로 많이 공연한다.
원래 루빈시테인은 이삭 알베니스의 걸작 피아노 모음곡 '이베리아'에서 여섯 곡을 골라 라벨에게 관현악 편곡을 부탁했으나, 이미 그 곡은 스페인 지휘자이자 작곡가 엔리케 페르난데스 아르보스가 편곡해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아르보스는 이 문제를 별로 신경 쓰지 않아 라벨이 편곡해도 괜찮다는 식의 입장이었으나, 라벨은 계획을 변경해 자신의 구작 피아노곡 중 몇 곡을 골라 관현악 편곡을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계획도 곧 수정되어, 아예 새로운 곡을 쓰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작곡 시기는 그 해 7월에서 10월까지 넉 달 남짓이었는데, 원래 제목은 판당고(Fandango)[2]였으나 최종적으로 볼레로로 바뀌었다.
2.1. 곡의 형태
곡의 구조는 매우 단순한데, 마지막 몇 마디를 제외하고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스네어드럼의 스페인 볼레로 리듬 위에서 두 가지 선율이 악기를 바꿔가며 계속 반복되고, 가장 작은 음량에서 가장 큰 음량까지 온갖 악기들이 추가되며 점진적으로 커진다. 첫 선율은 C장조의 전음계적인 것이고, 두 번째 선율은 스페인 민속 음악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는 프리기아 선법에 라벨의 후기 작품에 강하게 드러나는 재즈나 블루스의 블루 노트가 섞였다. 각 멜로디는 두 번씩 나오며, 막바지에 가서야 한 차례 조옮김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고작이다.하지만 덕분에 이 곡은 '단순한 재료로 최상의 효과를 구현하는' 곡의 대명사가 되었고, 훗날 미니멀리즘으로 불리는 사조에도 영향을 주었다. 다만 각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들의 솔로가 두드러지는 곡이라 관현악단원(특히 관악기)의 수준급 실력이 요구되며, 특히 호른과 트롬본에 주어지는 솔로는 해당 악기의 고음역 위주로만 구성되어 단순해 보이지만 연주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곡으로 악명이 자자하다. 그래서 뉴욕 필이나 베를린 필의 연주를 들어도 간혹 가다 숨이 차서 잠깐 쉬거나 소리가 깨지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다른 악기 파트들도 쉽지 않지만 가장 어려운 건 스네어드럼으로, 곡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도 쉬지 않고 계속 거의 똑같은 리듬을 연주해야 하기에[3] 엄청난 집중력이 요구되고, 이 리듬을 똑같이 따라 하는 악기들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엉성한 연주는 스네어드럼의 리듬이 삐뚤어지거나 리듬을 따라가는 악기들이 너무 빨리 혹은 뒤처지며 생기는 부조화가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이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알프스 교향곡과 함께 관현악단이 연주하기 꺼리는 난곡의 앞자리를 다툰다. 게다가 도입부에서는 굉장히 여리게 연주하고 진행에 따라서는 세세한 강도 조절이 필요하다. 이 곡을 연주한 일부 오케스트라들은 스네어드럼의 강도 조절을 잘못해 (원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강하게 치는 바람에 헤비메탈 드럼이라고 조롱받는 경우도 더러 있다.
주선율들이 나오는 순서와 악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 플루트 독주 (첫 번째 선율)
- 클라리넷 독주 (첫 번째 선율)
- 바순 독주 (두 번째 선율)
- 피콜로 클라리넷 독주 (두 번째 선율)
- 오보에 다모레 독주 (첫 번째 선율)
- 플루트와 약음기 끼운 트럼펫 (첫 번째 선율)
- 테너 색소폰 독주 (두 번째 선율)
- 소프라니노 색소폰 독주 (두 번째 선율)
- 호른, 피콜로 한 쌍, 첼레스타 (첫 번째 선율)
- 오보에, 오보에 다모레, 코랑글레, 클라리넷 한 쌍 (첫 번째 선율)
- 트롬본 독주 (두 번째 선율)
- 바순족을 제외한 모든 목관악기 (두 번째 선율)
- 피콜로, 플루트 한 쌍, 오보에 한 쌍, 클라리넷 한 쌍, 제1바이올린 (첫 번째 선율)
- 위의 악기들에 코랑글레, 테너 색소폰과 제2바이올린 추가 (첫 번째 선율)
- 클라리넷족과 바순족을 제외한 모든 목관악기, 트럼펫, 제1+2바이올린 (두 번째 선율)
- 바순족과 소프라니노 색소폰을 제외한 모든 목관악기, 트롬본, 콘트라베이스를 제외한 모든 찰현악기 (두 번째 선율)
- 피콜로, 플루트 한 쌍, 피콜로 트럼펫, 트럼펫 세 대, 소프라니노 색소폰과 테너 색소폰, 제1바이올린 (첫 번째 선율)
- 위의 악기들에 트롬본 추가 (두 번째 선율. 여기서 갑자기 E장조로 조옮김되었다 다시 본래 조성인 C장조로 돌아온다.)
관현악은 피콜로/플루트 2(2번 주자는 피콜로를 겸함)/오보에 2(2번 주자는 오보에 다모레를 겸함)/코랑글레/클라리넷 2(2번 주자는 피콜로클라리넷을 겸함)/베이스클라리넷/색소폰 2(1번 주자는 소프라니노색소폰을, 2번 주자는 테너색소폰과 소프라노색소폰을 연주)/바순 2/콘트라바순/호른 4/피콜로 트럼펫/트럼펫 3/트롬본 3/튜바/팀파니/스네어드럼 2(2번 주자는 17번째 반복에서 가세)[4]/베이스드럼/심벌즈/탐탐/하프/첼레스타/현 5부(제1바이올린/제2바이올린/비올라/첼로/콘트라베이스)로 편성한다.
소프라니노 색소폰은 악기 자체가 거의 도태되어 그냥 소프라노 색소폰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고, 피콜로 트럼펫도 악기가 없을 경우 고음을 잘 내는 트럼페터가 일반 트럼펫으로 연주한다. 스네어드럼의 경우 처음에는 거의 들리지 않을 듯이 작게 연주해 지휘자 바로 앞에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사례
그리고 악보에 지시되지는 않으나, 맨 마지막에 트롬본들이 글리산도를 연주하며 분위기를 광적으로 띄우는 대목에서 현악기 주자들에게 트롬본의 음을 환호 조로 노래하게 하는 지휘자도 종종 있다. 또, 초반에는 현악기가 피치카토만 연주해 대체로 기타를 잡을 때처럼 악기를 잡고 연주한다.
전체적인 형태로는 초반에는 악기를 하나씩 올려나가다 현악 파트를 기점으로 악기군을 계속 쌓아올려 결국 무너져 내리는 형태이다.
2.2. 초연과 출판
1928년 11월 22일에 파리 국립오페라극장에서 왈테르 스트라람의 지휘로 진행한 발레 초연은 이러한 음악의 특성에 맞게 진행했는데, 루빈시테인의 안무는 스페인의 한 술집에서 어느 여성이 갑자기 테이블 위에 올라가 볼레로를 추는 것으로 시작해 점차 사람들이 모여 마지막에는 모든 사람이 격정적으로 춤을 추며 막을 내리는 것으로 짜여졌다. 다만 라벨은 오히려 곡의 현대적인 특성 때문에 공장 같은 배경을 잡고 좀 더 기계적인 안무로 공연하기를 바랐다고 한다.당시로서는 상당히 도전적인 형태의 곡이라 '너무 기계적이고 건조한 구성'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나, 점층적인 곡의 구조 덕분에 초연은 대성공으로 끝났다. 관현악 총보와 파트보는 이듬해인 1929년에 파리의 듀랑 음악출판사에서 간행했고, 1930년에는 같은 출판사에서 피아노 독주와 연탄용 편곡, 라벨의 피아노 2중주용 편곡판을 출간했다. 이와 별도로 프랑스군 군악대인 공화국 근위대 취주악단장 피에르 듀퐁이 만든 취주악판 편곡도 있는데, 이 편곡의 초연은 라벨이 직접 지휘했다. 이외에도 여러 악기와 편성의 합주나 독주 편곡판이 있다.
2.3. 에피소드
라벨이 꽤 깐깐한 성격이라 이 곡의 템포에 대해서도 여러 말이 많았는데, 라벨은 자필보에 이탈리아어로 템포 지시를 Tempo di Bolero, moderato assai(볼레로의 템포로, 매우 보통인 빠르기로)로 적었고 추가로 메트로놈 기호도 ♩= 66으로 설정했다. 원래는 76이었으나 이것도 빠르다고 생각했는지 곧바로 X표 치고 저렇게 적었는데, 듀랑 출판보에는 66과 76 사이를 절충해 72로 맞춰 써넣었다.1930년 1월 8일에 영국 그라모폰(현 EMI)에서 이 곡을 세계 최초로 녹음한 지휘자 피에로 코폴라는 라벨이 녹음 현장을 직접 참관하며 제발 빨리 지휘하지 말아달라 신신당부했다고 하며, 바로 다음날인 9일에는 도이체 그라모폰의 프랑스 지사를 위해 라벨이 라무뢰 관현악단을 지휘해 남긴 녹음도 비슷한 템포를 취해 약 15분 40~50초 선에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라벨은 이것도 빠르다고 생각했는지, 1931년 7월에 영국 신문 데일리 텔레그래프와 가진 인터뷰에서는 17분이 적당한 연주 시간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연주는 15~16분대가 대세로, 라벨이 제시한 17분을 거의 정확하게 지킨 녹음은 예브게니 므라빈스키가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녹음(1952년, 17분 3초)과 샤를 뮌슈가 파리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녹음(1968년, 17분 8초), 리카르도 무티가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한 녹음(1990년, 17분 13초) 정도 뿐이다. 세르주 첼리비다케는 템포를 너무 느리게 잡아 18분이 넘어간다.
물론 같은 지휘자라도 템포는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레너드 번스타인의 연주를 보면 뉴욕 필하모닉과 연주한 음반은 14분대 초반으로 템포가 빠른 반면 파리 오케스트라와 연주한 음반은 거의 16분 정도 된다.
반대로 이탈리아의 거장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경우 13분 반 정도로 상당히 빠르게 지휘했는데, 1930년 5월에 토스카니니가 자신이 이끈 뉴욕 필하모닉과 유럽 순회공연을 했을 당시 파리에서 이들의 연주를 직접 들은 라벨은 '너무 빠르다. 좀 더 느리게 지휘해야 한다'며 충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토스카니니는 라벨이 지정한 템포 지시가 너무 느리다는 자신의 견해를 굽히지 않았고, 라벨도 자신보다 연배가 높고 세계적으로 소문난 거장 지휘자와 아웅다웅하기 싫었는지 더는 반박하지 않고 내버려뒀다.
리듬과 가락 하나를 잡아 기계적으로 반복하며 클라이맥스에 이르는 이 설정은 상당히 많은 후배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는 자신의 일곱 번째 교향곡 1악장에 이 아이디어를 빌렸다.[5]
스네어드럼(작은 북) 때문인지, 크리스마스 캐롤 북치는 소년(The Little Drummer Boy)의 주 멜로디를 볼레로의 리듬과 구성에 맞춰 연주하는 패러디 곡이 있다. #
2.4. 매체에서의 등장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 코스모스 11회 The Immortals(불멸을 꿈꾸다) 초반에 삽입되었다.
일본의 일렉트로닉 아티스트 토미타 이사오도 연주한 적이 있다. 영상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카이에 BGM으로 삽입됐다.
게임 마비노기의 NPC 자이언트 왕 크루크의 BGM으로 삽입되었다.
일본의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의 대표작 라쇼몽의 BGM이 이 곡을 차용해 만들었다. 같은 선율을 다른 악기가 계속 연주함으로써 같은 사건을 두고 서로 말이 다른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그대로 투영하여 영화의 주제의식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다 마사히토의 만화 스바루 1부 클라이맥스 대결의 주제곡이다. 주인공 미야모토 스바루가 프리실라 로버츠와 이 곡으로 맞대결한다.
영화 미쓰 홍당무에 이유리(황우슬혜 분)가 라이터를 뜻하는 러시아어 Зажигалка(Zazhigalka)를 발음하는 장면의 BGM으로 삽입됐다.
애니메이션 변신자동차 또봇 19기 후반부에서는 또봇들이 요새봇과 싸우기 전, 단체로 볼레로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춘다. 춤의 안무는 Maurice Bejart의 1961년도 작품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후 대도시의 영웅들 2기 7화에서도 쓰였다.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스오토메 아이가 처음 등장할 때 레드 카펫을 펼치고 쿠로이소가 라디오에서 튼 음악도 볼레로다.
일본 드라마 춤추는 대수사선의 스핀오프 영화 교섭인 마시타 마사요시에 주요 배경음악으로 쓰이고 유키노가 마시타에게 크리스마스 이브에 보자며 이 곡을 메인으로 하는 콘서트 티켓을 주는데 테러 사건이 발생해 참석하지 못한다.
걸그룹 소녀시대의 일본 활동곡 PAPARAZZI 뮤직비디오 인트로 배경음악으로 삽입됐다.
더들리 무어와 보 데릭 주연의 영화 10에는 라벨의 볼레로가 최고의 섹스 BGM이라는 대사가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에 등장하는 릿카고교가 선페스 행사에서 볼레로를 연주한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결승전이 열리기 전 이브 생 로랑이 기획한 경기장 패션쇼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10] # # #
2020 도쿄 올림픽 개회식에서 오 사다하루, 나가시마 시게오, 마쓰이 히데키가 성화를 봉송하는 과정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2024 파리 패럴림픽 개회식에도 이 곡이 사용되었다.
게임 메멘토 모리에는 암스트롱의 라멘토 곡으로 리메이크되었다.
1986년 비디오 게임 젤다의 전설도 원래 이 곡을 타이틀 BGM으로 사용하려 했으나 당시는 아직 이 곡이 공공 도메인으로 풀리지 않았을 때라 황급히 새 BGM을 제작해야 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이 곡이다.
3. 1항목에서 유래한 의상
| ||||
잉글랜드 탑햇 | 볼러 양복 | 스코틀랜드·아일랜드 킬트 | 프랑스 베레모 | 블루즈 | 이탈리아 토가 | 타란텔라 | |
스페인 트라헤 데 플라멩카 볼레로 | 러시아 우샨카 사라판 | 루바슈카 | 폴란드 콘투쉬 | 로가티프카 | 우크라이나 비쉬반카 | |
체코·슬로바키아 크로제 | 헝가리 네프비셸레트 | 노르웨이 뷰나드 | 스웨덴 펄크드라크 | 덴마크 폴케드라흐트 |
아이슬란드 로파페이사 | 핀란드 칸살리스푸쿠 | 사미인 각티 | 캅카스 초하 | 튀르키예 페즈 | 터번 카프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000>세트 | 정장 | 턱시도 · 연미복 · 프록 코트 · 워셔블 슈트 | |
유니폼 | 교복 · 군복 · 제복 · 방석복 · 기동복 · 민방위복 · 정복 · 근무복 · 법복 · 죄수복 · 학교 체육복 · 활동복체련복 | |||
수영복 | 비키니 · 래시가드 | |||
기타 | 원피스 · 운동복 · 아웃도어 · 츄리닝 · 잠옷 · 전통의상 · 바디슈트 · 작업복 · 커버올 · 점프슈트 · 수도복 · 수단 · 인민복 법 관련 의류(경찰복 · 구속복 · 법복 · 죄수복 · 갑주) | |||
상의 | 이너 | 티셔츠 · V넥 티셔츠 · 긴팔 티셔츠 · 폴로 셔츠 · 헨리넥 셔츠 · 민소매나시 · 스웨터니트 · 스웨트 셔츠맨투맨 · 후드티 · 셔츠와이셔츠 · 블라우스 · 터틀넥 · 배꼽티 · 핑거홀 · 오프숄더 | ||
외투 (아우터) | 코트: 트렌치 코트 · 피 코트 · 폴로 코트 · 프록 코트 · 인버네스 재킷: 가죽 재킷 · 라이딩 재킷 · 데님 자켓청자켓 · 테일러드 재킷블레이저 · 블루종 기타: 가디건 · 패딩 · 무스탕 · 플리스 · 후드집업 · 야전상의방한복 상의 외피 · 방한복 상의 내피 · 비옷우비 · 윈드브레이커바람막이 · 파카 · 점퍼잠바 · 조끼 · 니트조끼 · #s-3 | |||
하의 | 치마 | 미니스커트 · 테니스 치마 · 롱스커트 · 정장치마 · 치마바지 · 멜빵치마 · 청치마 | ||
바지 | 청바지 · 슬랙스 · 면바지(치노) · 반바지 · 핫팬츠 · 돌핀팬츠 · 조거 팬츠 · 스키니진 · 나팔바지 · 건빵바지카고바지 · 레깅스 · 몸뻬 | |||
양말류 | 틀:양말 및 스타킹 · 양말 · 스타킹 · 레깅스 | |||
속옷 | 틀:속옷 · 팬티 · 브래지어 · 내복 · 속바지 | |||
모자 | 틀:모자 | |||
신발 | 종류 | 운동화 · 캔버스화 · 스니커즈 · 구두(구둥화) · 로퍼 · 옥스퍼드 · 슬립온 · 하이힐 · 스틸레토 힐 · 메리 제인 · 부츠워커 · 슬리퍼 · 조리 · 샌들 · 뮬 · 어글리 슈즈 · 안전화 · 축구화 | ||
브랜드 | 나이키 · 뉴발란스 · 닥터마틴 · 아디다스 · 컨버스 · 프로스펙스 · 하루타 · crocs · FILA | |||
잡화 | 의류잡화 | 지갑 · 허리띠벨트 · 넥타이 · 장갑 · 목도리 · 마스크 · 귀도리 · 손수건 · 안경 | ||
가방 | 배낭(백팩) · 크로스백 · 메신저백 · 슬링백 · 핸드백 | |||
액세서리 | 귀걸이 · 목걸이 · 팔찌 | |||
부자재 | 단추 · 지퍼 · 패드 · 벨크로 · 어깨뽕 · 니플밴드 · 리본 · 깔창 | |||
브랜드 | SPA | SPAO · 에잇세컨즈 · 탑텐 · ZARA · H&M · COS · 유니클로 · GAP · 지오다노 | ||
기타 | 솔리드 옴므 · 우영미 · 폴로 랄프 로렌 · 빈폴 · 헤지스 · 컨템포러리 브랜드 | |||
쇼핑몰 | 온라인 | 무신사 · 룩핀 · 에이블리 · 힙합퍼 · 패션 by kakao · 브랜디 · 퀸잇 · W컨셉 · 소녀나라 · 무무즈 · | ||
오프라인 | 유니클로 · 백화점 · 동대문시장 | |||
재질 | 틀:섬유 · 섬유 · 옷감 · 다운(털) · 가죽 · 데님 · 코듀라 · 코듀로이 | |||
관리 | 세탁 | 빨래 · 드라이클리닝 · 웨트클리닝 | ||
기계 | 세탁기 · 의류건조기 · 의류관리기 | |||
수선 | 보풀제거기 · 바느질 · 다리미 · 다림질 | |||
용액 | 세제 · 섬유유연제 | |||
보관 | 옷장 · 옷걸이 · 행거 | |||
업소 | 세탁소 · 코인 세탁소 | |||
기타 | 패션·뷰티 관련 정보 · 옷차림 · 의류 수거함 | }}}}}}}}} |
1번 항목의 춤곡에 입는 민속 의상인 투우사들의 재킷(chaquetilla torera)에서 따온 것으로 허리 바로 위, 혹은 그보다 짧은 길이의 외투다. 원래는 남자가 입는 의상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여성복으로 더 많이 이용된다. 2000년대 초중반 한국에서는 볼레로+레이어 스커트+젤리 슈즈가 대유행했다.
여성의 골반은 위아래로 봐도, 좌우로 봐도 남자의 골반보다 크기에, 골반이 만들어내는 굴곡이 팔꿈치에서 출발한다. 볼레로, 크롭티 등의 여성 의류는 무척 짧다. 하이웨이스트류 하의는 팔꿈치까지 올라간다.
일부 여학생 교복의 상의는 볼레로처럼 위아래가 짧은 경향이 있다.
형태는 비슷하나 보다 부드러운 소재의 니트 가디건 류는 슈러그(shrug)라고 한다.
4. 창작물
- 미스터 칠드런의 앨범 Bolero
- 동방신기의 싱글 Bolero / Kiss The Baby Sky / 忘れないで의 타이틀곡
4.1. 영화
프랑스의 클래식 작곡가 모리스 라벨의 생애를 다룬 영화.
[1] 발음은 '볼레호'에 가깝다.[2]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이자 춤곡. 볼레로와 마찬가지로 3/4박자를 취하나, 템포가 좀 더 빠르고 장단도 약간 차이가 있다.[3] 쇼스타코비치도 교향곡 7번 1악장에서 스네어드럼에게 고통을 선사한다.[4] 다만 꼭 정해진 것은 아니라서 스네어드럼 1주자만으로 편성해 끝까지 가는 경우와 #, 반대로 스네어드럼을 대거 편성하기도 한다. #[5] 마찬가지로 스네어드럼 연주자는 고통을 받는다.[6] 조세핀 베이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글렌 밀러, 에디트 피아프, 루돌프 누레예프. 영화에는 전부 가명으로 등장한다.[7] 다만, 밀정의 경우 모티브가 된 황옥 경부 폭탄사건은 1923년이라 시기가 맞지 않는다.[8] 운명적인 만남, 01, 02, 03(트라이), 04(라스트 에볼루션: 인연) 등 어드벤처 시리즈 내 최소 한 번씩 꾸준히 나왔다.[9] OVA를 클래식으로 도배한 은영전에서도 볼레로에 그나마 근접할 곡은 요한 파헬벨의 카논 정도이다.[10] 이 패션쇼는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으로 재평가받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