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20:19:19

문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종문의 유파라는 뜻의 '문파'에 대한 내용은 한국의 성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문재인 극렬 지지자에 대한 내용은 문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무협소설/용어
,
,
,
,
,

<keepall> {{{#!wiki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cdcdc, #fff 20% 80%, #dcdcdc); color: #000"
[[문파|
파일:20210614035618.png
무림의 세력
]]{{{#!wiki style="padding-top: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border-top: 1px solid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colbgcolor=#010101><colcolor=#fff,#e0e0e0>정파
(무림맹)
<colbgcolor=#808080,#43454d><colcolor=#fff,#e0e0e0>무림세가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구파일방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정교전진교
기타모산파 · 형산파
사파
(사도련)
흑도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사교마교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기타 세력황실동창 · 금군 (금의위)
새외무림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기타표국 · 신비세력 (암중세력)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파일:무림지도.jpg

1. 개요2. 용어3. 정파
3.1. 구파일방(九派一幇)3.2. 오악검파 (五岳劍派)3.3. 종교 및 교파에 따른 문파3.4. 무림세가(武林世家)
3.4.1. 오대세가(五大世家)3.4.2. 기타 세가 문파
4. 사파(邪派)
4.1. 흑도(黑道)
4.1.1. 정보조직4.1.2. 도적(盜賊)
4.2. 사교
5. 정사지간
5.1. 방회(幫會)
6. 새외무림(塞外武林)7. 황실 / 황궁8. 신비세력(神祕勢力)9. 관련 문서

1. 개요

門派. 무협물에서 무림에 속한 세력들을 이르는 용어. 좁은 의미로는 문하생을 받아 무공을 가르치는 도장에 가까운 단체를 말하며, 혈연으로 묶인 세가나 이익집단인 방회(방파)와는 구분된다.[1]

세가나 방파도 무공을 가르치긴 하나 집단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무력을 기르는 느낌이라면, 문파는 무공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최우선 목적이란 차이점이 있다. 물론 문파들도 현실적인 문제로 세속적인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흔하나, 문파라는 이름을 내거는 이상 어떤 문파든 대외적으론 무도의 수양을 가장 중시한다.

이 문서에서는 수많은 무림 세력을 한데 소개하고자 넓은 의미로서의 문파를 기술한다. 종교 집단에서 산적 같은 도적 집단까지 무림에 적을 둔 세력을 모두 뭉뚱그려 설명하지만, 사실 무림의 세력들이란 한데 묶기는 어려울 만큼 성격이 다양하다.

무협물의 문파, 무림 세력은 현실 중국사에서 권력의 공백기에 나타난 사적 폭력 조직이자 자경단유협 집단에서 유래되었다.

2. 용어

3. 정파

보통은 정파에게 위협적인 사파나 마교를 견제하기 위해 정파들의 연합체로써 상시 유지하거나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결집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실질적으로 정파를 대표하는 구파일방과 오대세가가 여기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중소 문파에서 불만을 가져 작품 속 흑막에게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작품마다 연합의 명칭이 조금씩 다른 경우는 있지만 무림맹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3.1. 구파일방(九派一幇)

3.2. 오악검파 (五岳劍派)

오악(五岳)에 있는 다섯검파를 일컫는다. 구파일방에 속할 때가 많으며 오대세가 다음가는 명문정파로 불린다. 단 화산파를 제외하면 구대문파에 속한 경우가 드물며 취급이 영 좋지않기도 하다. 최근에는 그냥 구파일방과 오대세가 중 특히 검을 잘다루는 문파로 설정을 바꾸기도 한다.[3]

3.3. 종교 및 교파에 따른 문파

중국에서 널리 퍼진 불교도교를 기반으로 산에서 욕구를 절제하며 수련하는 고상한 문파가 만들어졌다. 불교의 경우 소림사아미파가 대표적이며, 도교에서는 무당파화산파, 곤륜파 등이 파생되었다.

정파계 문파는 근간을 둔 종교적 가르침, 경전에 나오는 개념에 근거한 무공을 사용한다. 불교계 문파라면 금강(金剛), 도교계 문파라면 태극(太極)과 같은 것이 흔히 쓰인다. 종교적인 특성상 성향이 극도 정파던지 극도 사파, 드물게는 극도 중도로 가는 등 정체성이 분명한 경우가 많다.

종교 교리를 근간으로 하는 만큼 문파에서 사용하는 무공의 원리가 매우 심오하며, 무공의 수준도 대단히 높은 것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근본적으로 무협소설의 무공이란 종교와 떼어놓을 수가 없다. 소림사달마를 무학의 시조로 보는 건 그 때문이며, 무공의 갑작스러운 발전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깨달음이라는 개념 또한 다분히 종교적인 요소다. 일부에서는 이 깨달음에 대한 개념을 극대화시켜, 이런 종교적인 가르침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무공도 제 위력을 내지 못한다고 해설하기도 한다. 소림사 금강불괴를 예로 들면, 익히는 법만 알고 있으면 영약 먹고 닥치고 수련하면 익힐 수 있다는 파벌이 있고, 금강불괴는 비폭력을 중시하는 가장 불교적인 무공이며 불교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익힐 수 없다고 보는 파벌이 있다. 중간적인 입장으로는 익힐 수는 있지만 제 위력은 내지 못한다고 보는 파벌도 있다.

정파계 문파는 무림인으로서 천하제일인에 오르면서 동시에 종교적으로 승천하는 것이 목표다. 도교계열 문파라면 신선으로 우화등선하고 불교계 문파라면 부처로 해탈한다.

현실의 불교와 도교처럼 신도로부터 받은 기부금이 상당하며, 현실의 스님들이 채소밭을 일구듯 종단 소유의 토지를 경작하여 농산물을 자급자족하여 식량을 충당한다. 또, 대형 문파는 현실의 종교단체처럼 부자나 맹신도들의 부동산 기부가 상당하여, 그것을 빌려주고 소작료와 임대료를 받기도 한다. 상술했듯이 무술도장의 성격까지 포함하는 문파의 경우 속가제자가 세운 지파의 상납금이 추가된다.

3.4. 무림세가(武林世家)

무림세가란 무협지의 무인 가문이다. 다른 문파가 판타지로 치면 무술을 가르치는 길드나 마법을 가르치는 마탑에 가깝다면 무림세가는 귀족 기사 가문에 더 가깝다. 기사가문처럼 지방 일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호족이나 유지, 토호 정도의 역할을 한다.

세가의 앞에는 그 가문의 성씨를 넣는데 남궁, 제갈 등 복성일 경우 ○○세가(○○世家)라 하며, 단성일 경우 ○씨세가(○氏世家)라 할 수도 있지만 사천당가, 하북팽가 등 지역 + 가문 성씨로 표기하는 사례가 많다.

세력이 작을 경우 ○가장(○家莊)이라고 불린다. ○가장(○家莊) 종류는 한 개의 장원을 기반으로 하므로 세가 게열에 비해 문파의 세력은 별로 크지 않다.

문파의 수익원은 당연히 장원에서 나오는 생산품과 그 밖의 자체적으로 벌이는 사업수입이다. 지방 일대의 치안을 유지하며 세금 비슷한걸 걷기도 하고, 관아와 활실에 장군으로 급제하기도 한다.

무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공을 연구하며 혈족들에게 계승하려 노력한다. 가문에서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가전무공(家傳武功)이나 특별한 무구, 영약 제조법 등 다양한 비전을 가지고 있다. 이런 비전을 빼앗거나 알아내기 위해 벌어지는 갈등이 세가 계열 무협지의 주 플롯이다.

상술한 귀족 가문스러운 특성 때문에 해당 무협지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다면 세가는 정파로 분류된다. 세가 방계 출신이나 가주 승계 경쟁에서 밀린 인물이 가전무공 익히기를 포기하고 문파에 들어가기도 한다. 화산파, 무당파, 소림사처럼 종교 단체에 가까운 문파의 경우 무림세가에서 보시를 받기도 한다. 문파는 세가의 간판이 되어주고 세가는 문파의 자금줄이 되어 주는 등 동고동락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세가와 문파가 서로 갈라질 경우, 같은 지역에 위치한 세가와 문파가 알력다툼을 하는 식으로 묘사된다. 갈등이 심해지면 아예 구파일방이 주축이 되는 무램맹과 무림세가가 주축이 되는 세가연합이 같은 정파의 주도권을 경쟁하는 구도로 표현된다. 물론 이렇더라도 사파나 마교보다는 서로 가까운 편이다.

드물게 중도나 흑도 사파에 가까운 세가, 아니면 사파 딱지를 안 달았을 뿐이지 사파보다 더 사파같이 행동하며 고리대금업이나 인신매매, 밀수와 같은 불법적인 일을 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런 경우는 마교 소속의 가문이거나 사파 소속의 범죄자 가문 묘사된다.

중국의 복성씨 항목 참조.

3.4.1. 오대세가(五大世家)

세가 중에서도 가장 강한 것으로 평가되는 5개 세가. 작품에 따라서 수가 달라지거나 소속이 달라진다.

3.4.2. 기타 세가 문파

4. 사파(邪派)

4.1. 흑도(黑道)

이쪽은 사익을 추구하는 범죄자 집단에 가깝다.

4.1.1. 정보조직

정파에는 정보수집 목적만을 위해 세워진 문파는 개방 하나 정도고, 무림맹과 거대 세가의 하부조직으로 종종 등장하는 수준이다. 반면 사파에는 사회 하류층들이 모여 조직을 형성했는데 정보가 많이 모인다는 식으로 다수의 조직이 핍진성있게 등장한다. 정보를 판매하여 의뢰비도 받지나 원래 종사하던 생업(상단, 주루, 기루 등)에서 수익을 벌어들인다.

* 하오문(下汚門): 점소이 + 마부 + 뱃사공 + 짐꾼 + 인신매매 + 중개업자 + 도박 + 소매치기 등 도시의 하층민들. 일반 양민에 가깝지만 고객을 가리지 않으며 종종 범죄도 저지르기 때문에 사파로 분류된다.

4.1.2. 도적(盜賊)

4.2. 사교

이쪽은 사악한 신을 숭배하며 테러를 일삼는 종교 단체들. 하나로 묶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자기들 교리 차이 때문에 따로 노는 것처럼 묘사된다.

중국에서 비주류로 탄압받던 배화교(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백련교 등 비주류 종교를 기반으로 문파가 만들어졌는데 마교, 배교, 명교, 혈교 등 사악한 사교(邪敎) 집단으로 재탄생했다. 일부 비밀결사도 된다. 사파 계열 문파는 중국에서 탄압받던 종파인 만큼 정상적인 생산물이나 교도의 기부금은 거의 없고 불법적 범죄행위(약탈, 매춘, 인신매매, 밀염, 암거래, 고리대금 등)를 벌이며 수익을 얻는다.

드물게 회교, 기독교를 베이스로 문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5. 정사지간

작품에 따라 정파로도 등장하고 사파로도 등장하는 회색지대의 단체들.

5.1. 방회(幫會)

방회란 중국에서 동종업자들이 모인 사기업 집단이다. 돈이 많은 거대 상회는 신원이 확실한 정파 출신을 고용하고, 돈이 없는 양민은 사파 출신 시정잡배를 고용한다.

6. 새외무림(塞外武林)

중원을 벗어난 외지의 무림 세력.

7. 황실 / 황궁

황궁을 위시한 조정 관부. 금군, 동창이나 금의위, 추밀원등, 당대 국가의 정보기관 또한 무협지에서 무림의 세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다만 직접 개입하기 시작하면 아무래도 밸런스 붕괴가 오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무림과 정부는 상호 불간섭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무림은 정부와 황실의 권위를 인정하고 지역치안을 담당하는 대신, 정부는 무림이 반정부 행위와 범죄를 제외하고 무림단체간에는 무슨 짓을 하던 묵인한다는 설정.[30] 무림과 국가 사이의 파워 밸런스에 따라 양상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천하제일의 무림 고수가 무서워(...) 국가가 차마 간섭을 못하는 수준에서부터, 관군이 나서면 그깟 칼잡이 깡패들쯤이야 쥐잡듯이 족치지만 모든 무림인을 잡아족치기엔 너무 번거로워서 사고만 안치면 적당히 무시하는 수준까지 다양하다. 절충안으로 국가가 무림고수를 직접 죽이기는 힘들더라도 무림고수의 가족과 세력, 재산에는 충분히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좋게좋게 넘어간다고 설정하기도 한다.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 범위도 다양한데, 민간인에게 피해를 끼치면 관가에서 간섭하는 설정을 하는 경우도 있고, 연쇄살인이나 심지어 반역급이 아닌 이상 그냥 냅두는 경우도 있다.

어느쪽이 됐든 무림과 정부가 (가급적이면) 서로 간섭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 상황이라는 개념은 무협소설의 거의 대전제 수준이다. 무림고수가 창, 갑옷, 방패, 활 등을 쓰지 않는 이유를 설명할 때도 이걸 핑계삼는데, 맨몸에 검 정도야 호신용으로 봐준다지만 저렇게 본격적인 군사병기를 쓰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무림 문파가 아니라 군사반란을 준비하는 반란군으로 간주한다는 것.[31] 물론 실제 역사상으로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한쪽이 다른쪽에게 간섭하려는 이유도 대부분은 여기서 나오는데, 무림고수가 정말로 역성혁명을 하고 싶어졌다거나, 어느어느 고관대작과 원수를 졌다거나, 반대로 황제나 조정의 관리 장군들이 잠재적 위험분자들을 제거하고 싶어졌다는 식이다.

대부분 정부 소속 단체의 무술 수준은 무림의 쟁쟁한 단체에 비해 낮지만, 특성상 물량으로 밀어붙이는 단체전술 또는 속성양성에 알맞다고 양산형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작중 설정상 아닌 경우도 꽤 있다. 금의위나 동창쯤 출동하면 다 썰려나가는건 기본이고, 심한 경우 황궁 서고에는 소림사부터 마교까지 각종 무공이 쌓여 있다고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의 경우 정부기관의 강점으로는 관군의 물량이나 대규모전 능력, 갑주 등의 중장비, 활 등의 원거리 투사무기 및 화포와 같은 화기, 그리고 국가단위의 동원 등이 있다.

국가의 하부조직이므로 정파도 사파도 아닌 제삼세력이나, 특성상 종교단체 또는 지방 호족으로 구성된 정파와 상대적으로 친하고 범죄조직에 가까운 사파와는 사이가 멀다. 활동비용은 국세에서 충당된다. 조직의 최우선 목표는 당연히 황권 수호와 국가 안보. 여기에 가끔(?) 부패한 높으신 분들의 뒤를 닦는 게(...) 목표가 되기도 한다.

때론 문파나 세가의 일원이 군부에 투신하거나 황제에게 충성하기도 한다. 구파에서는 종남이나 공동이 군문에 많은 제자들을 배출한다는 설정이 있으며 세가, 그중에서도 하북팽가나 진주언가, 산동악가, 신창양가, 또 굳이 뽑자면 황보세가, 제갈세가는 가문 전체가 대대로 황제에게 충성하는 군신인 경우가 많다.

8. 신비세력(神祕勢力)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비세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존재가 알져지지 않은 비밀 세력.

8.1. 비밀결사

8.2. 암중세력(暗中勢力)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암중세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



[1] 문파별 장소 실제 모습[2] 정도맹(正道盟), 정의맹(正義盟), 백도맹(白道盟), 정천맹(正天盟) 등으로도 불리운다.[3] 그럴 경우 화산파, 무당파, 청성파, 곤륜파, 남궁세가가 주로 들어간다.[4] 안휘성 구화산에 위치. 중국 불교 사대명산 가운데 하나인 구화산에 자리잡은 문파로 지장보살의 성지. 다른 명산인 아미산의 아미파, 보타산의 보타암은 각자 개성을 확립하고 무협지에 즐겨 나오는 명문대파이고 오대산의 오대파도 대충 언급은 되나 구화파는 비중이 공기만도 못하다. 굳이 찾아보면 풍종호 월드의 구화산 지장문, 신주제파로 나오거나 남궁세가를 다시 위대하게에서 구화산 화성사가 문파로 나오기도 했다. 화산파가 자리한 화산(華山)과 한자가 비슷하여 헷갈릴 수도 있다. 실제로 모 인물이 중국 무협소설에 등장하는 곳을 찾아다닌다는 기획에서, 화산 대신에 구화산을 찾아가서는 도교 흔적도 없네요 드립을 치기까지 한다.[5] 문수보살의 성지. 이래 봬도 수호전노지심이 출가한 곳. 옛날 무협지 보면 오태산파(五台山派)라는 문파가 등장하는데 이게 오대파다. ''와 ''는 뜻이 같다. 풍종호 월드의 신주제파한백무림서의 산서성 일산오강(一山五江)중 일산으로 나오는 정도로 언급된다. 군림천하에서 오대검문(五臺劍門)이라고도 불리며 도가의 문파로 등장.불교의 성지인데[6] 사천성 무산에 위치. 검법과 도교 방술(方術)을 기반으로 모산파와 쌍벽을 이루는 여류문파로 무산파보단 신녀문의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무산은 염제 신농씨의 딸인 요희(瑤姬)가 묻히고 무산의 비구름을 관장하는 무산신녀(巫山神女)로써 환생한 곳으로 이 고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송옥(宋玉)의 선녀부(神女赋)에 영감을 받아 창작된 문파로 보인다.[7] 하남성 복우산에 위치. 김용천룡팔부에서 백승연편(百勝軟鞭)이란 무공에 조예가 있는 가백세(柯百歲)라는 인물이 장문인인 것으로 나오며 이 밖에 그의 사제인 금산반(金算盤) 최백천(崔白泉)과 장제자인 추혼편(追魂鞭) 과언지(過彦之)가 등장한다. 김용무협에선 순수 무파였으나 후대에는 도가의 문파로 주로 나온다.[8] 구파일방 소속으로도 자주 등장한다. 세외문파로 등장하기도 한다.[9] 감숙과 청해 경계 기련산맥의 주봉 기련산에 위치. 풍종호 월드에 등장하는 문파, 신주제파의 일원. 월영자 항목 참조[10] 삼신산(三神山) 가운데 하나로 동쪽 바다에 있다는 가상의 영산인 봉래도(蓬萊島)[34]에 위치. 풍종호 월드에 등장하는 문파, 신주제파의 일원. 봉래칠선자 항목 참조, 김용천룡팔부에서도 등장하였으며 암기(暗器)와 철괴술(鐵拐術)에 뛰어나다 표현된다.청성파와 적대했다.[11] 복건성 무이산에 위치. 김용녹정기의 등장인물, 정극상(鄭克爽)의 첫째 사부가 시(施)씨 성을 지닌 무이파의 고수라고 짧게 언급된다. 후대 무협지에서 자부(紫府)가 무이산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한다. 한백무림서에서 무당파에 쓸데없는 경쟁의식을 드러내는 것으로도 유명하며 구파이고 싶어하는 문파중 하나.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에서는 제1차 정사대전에 멸문했으며 '운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가 문파였다고 한다.[12] 구파일방의 기틀을 제시한 와룡생비연경룡에서 등장한 문파로 1년에 200일 가량 구름에 둘러싸여 운산이라고도 불리는 황산이나 도가 사대명산 가운데 하나인 안휘성 제운산(齊雲山)에 소재하지 않을까 싶다.[13] 광동성 나부산에 위치. 전통적인 명문정파로 꼽히며 한때 공동파, 종남파 등과 같은 취급을 받았으나 과거의 뒤안길로 사라진 문파. 나부파를 소재로 한 동명의 작품인 '나부파'에서 등장하는 무공이 무슨 사마외도 급이라 밑에 애매한 위치의 문파에 기재하였다.한백무림서에서 술법과 검술을 사용하는 문파로 등장.남궁세가를 다시 위대하게에서는 사중제일도라 불리며 강시를 다루고 시해선이 목적인 사파로 등장했다.[14] 사조영웅전의 등장인물인 서독(西毒) 구양봉의 영향인지 의약과 용독에 능하다는 설정[35]이 있었다. 다만 국내에서는 그냥 성만 같은 가문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요새는 사조삼부곡같은 중국작품 잘모르는 경우도 많아서[15] 한백무림서의 구양세가는 구양세가(한백무림서) 항목참조[16] 성씨가 간지나서인지 천마나 사파제일인의 성씨로도 독고만큼이나 자주 사용된다.[17] 이럴 때는 천하제일인이 소속되어 있거나 무당파 장문인급 이상의 고수가 가주인 경우가 많다.[18] 마교최강자 천마(天魔)의 성씨로 천(天)자, 마(魔)자 다음갈 정도로 자주 나오며 정파의 전대최고수나 사도제일인의 성씨로도 자주 나온다.[19] 일타강사 백사부 참조[20] 육립정, 육승풍 항목 참조[21] 화산전생[22] 총 자와 표 자는 모두 수장이란 뜻이며 파자는 시장, 울타리 즉 집단을 의미한다. 집단의 수장 중에 수장이란 거창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23] 수상비를 사용하지 않는 한엔 아무리 고수라 해도 수상, 해상, 선상전에선 약간의 디버프가 있다. 옛날엔 수상비나 등평도수 같은 기술이 고급기술이었기 때문이로고.[24] 이화접옥신공명옥공이 절기로 나온다.[25] 물을 사용하는 문파로 나오기도 하며 신수궁(神手宮)인 경우도 존재한다.[26] 무협지에서 자주 나오는 문파명. 묵향에선 정파의 정보문파로 나오고 사파의 살수문파나 정사지간의 대문파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그냥 신투의 문파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27] 무협지에서 자주 나오는 집단명.[28] 중국의 무협작품에서 한반도 세력은 대체로 고려조선이라고 직접 명시한다, '고려'라는 이름은 중국무협의 단골배경인 송나라때부터 줄곧 한반도를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됐고 역사적으로도 청나라가 들어선 이후에조차 간혹 고려라고 부른 기록이 있을 정도.[29] 북해빙궁과 반대로 열양기공을 다루는 문파.[30] 보통은 관무불가침이라는 말로 등장하는 설정이다.[31] 창을 든 무림고수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소설도 물론 있다. 하지만 단체로 창을 들고 다니는 무림문파가 나오는 소설은 드물고, 창술의 기원도 대부분은 순수한 무림 출신 고수가 만든 무술이 아니고 용맹했던 어느어느 장군의 가전무술이라는 식으로 설명한다.[32] 전대의 이름난 무인들이 득시글거리고 대마교전을 끝낸 분들이 모여있는데 성역이라 불릴만도 하다. 다른 무협지의 선계 정도로 생각해도 괜찮을 듯 하다.[33] 여담으로 신선림의 모든 고수들은 선도술(仙道術)을 익혔다고 하니 수십 년 전 활동하던 구 무림 고수들이 아직도 많이 살아있는 이유인것으로 보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