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4:15:42

겐지(오버워치)/대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겐지(오버워치)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ExcitedAndLoudMiddle, 합의사항1=영웅-갤러리-대사 틀을 영웅 틀로 합함,
토론주소2=PumpedTacitLonelyBean, 합의사항2=현상의 '영웅/갤러리/대사/스토리' 틀 형태를 유지하되\, 가변형 레이아웃을 이용하고 영웅의 고유 시그니처 컬러를 제거,
토론주소3=GreedyBusyGrandioseSpring, 합의사항3=틀의 폭은 가로 100%로 하며\, 역할군 표시 칸 - 영웅 나열 칸은 서로 가로로 배치)]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영웅 목록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영웅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대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갤러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협동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
}}}}}}

1. 개요2. 플레이 관련 대사3. 전장 관련 대사4. 기술 관련 대사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6. 의사소통 및 핑 대사7. 캐릭터 음성 대사8. 그외 상황 대사 및 미확인 대사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 시리즈영웅, 겐지의 대사 목록을 정리한 문서.

과 달리 일본어 대사가 매우 많다. 이는 사이보그 닌자라는 콘셉트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한국 성우인 김혜성은 일본어를 전공했기에 외부의 도움 없이 일본어 대사를 자연스럽게 녹음했다. 그리고 높임말을 사용할 때는 주로 젠야타메르시에게 자주 쓴다.

2. 플레이 관련 대사

3. 전장 관련 대사

4. 기술 관련 대사

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


}}}
}}}

6. 의사소통 및 핑 대사

7. 캐릭터 음성 대사

8. 그외 상황 대사 및 미확인 대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겐지모노가타리의 주인공 히카루 겐지의 대사. 직역하면 "남모르게 신의 용서를 기다리는 사이, 오랜 세월 힘들게 보내왔소이다".[2] 1월 4일 오아시스 패치와 함께 추가된 영웅별 새해맞이 특수 대사 중 하나이다. 게임 시작 시 팀원에 아나와 같은 연장자 영웅이나 젠야타 또는 메르시가 있을 경우 나오는 대사.[3] 영어 원판은 일본어 대사다. "我が刀は研ぎ澄まされ、心に微塵の迷いなし。(와가 카타나와 토기스마사레 코코로니 미진노 마요이 나시 / 내 칼은 갈고닦여 마음에 한점 망설임 없도다.)"[4] 영어 원판은 일본어 대사다. "(俺をなめてもらっては困る。 / 오레오 나메테 모랏테와 코마루)"[5] 데이터 상으로는 "大したことではない。"로 적혀있다.[6] 영어 원판은 일본어 대사다. " 光になれ。(히카리니 나레)"[7] '정신일도 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か成らざらん)'의 줄임말이다.[8] 영어 원판은 일본어 대사다. " 七転び八起き。(나나코로비 야오키)"[9] 한조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이후 앙겔라 치글러가 죽어가던 겐지를 살려낸 것에서 비롯되었다. 옴닉의 반란 난투에서 메르시가 아닌 다른 영웅이 겐지를 부활시켜도 이 대사가 출력되었는데 패치로 수정되었다.[10] '남을 저주하면 무덤이 두 개'라는 일본의 속담으로, 남을 저주하면 결국 자신도 피해를 입기에 무덤이 두 개(저주한 상대와 자신) 생긴다는 뜻이다.[11] 염신전대 고온쟈죠 한토의 변신 이후 대사이다.[12] 수권전대 게키레인저칸도 쟝의 캐치프레이즈. 한국어 버전은 일본 전대물 느낌을 내기 위해 일부러 일본식 영어 발음을 썼고, 영어 원문은 제대로 된 영어 발음으로 말한다.[13] 얼핏 들으면 "쓰!"라고 들려서 여기저기 밈으로 쓰였다.[14] 다른 스킨을 착용했을 때와 다른 기합 소리를 낸다.[15] 정확히는 반사하는 건 아니지만, 윈스턴이 일으키는 넉백을 방어할 수 있어서인지 대사가 존재한다.[16] 이 대사의 몬더그린이 잘 알려진"류승룡 기모찌!"다.[17] 2016년 2월 10일 패치 전 베타 시절에 사용된 대사였다.(영상) 이 대사는 일본판 오버워치에서는 그대로 사용하며, 한국판에서는 히오스에서 궁극기 '폭렬참'을 사용하면 들을 수 있다. 또한 2020년 10월 16일 업로드된 영상 패치노트 마지막에 겐지 성우가 오랜만에 외쳤다.(영상)[18] 키리코의 어머니를 가리키는 말이다.[19] 침공 임무에서 메르시와 겐지가 대화한 내용에서 이어진다.
메르시: (한숨) 우리 서로에게 편지 쓰는 거 어쩌다 그만뒀죠, 겐지?
겐지: 아주 아름다운 그림을 그려 주셨지요. 어떻게 답해야 할지 몰랐다고 할까요.
메르시: 아, 형편없는 예술가인가 보군요. 나쁜 친구이기도 하고.
겐지: 거짓말쟁이기도 합니다. 그림 참 못 그리시더군요.
[20] 메르시의 활동 근거지가 스위스이다.[21] 겐지와는 다르게 소전은 어릴 적 희귀 질환 때문에 병상에서 지내야 했다. 어찌보면 소전이 사이보그가 되길 원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는 것.[22] 맞춤법상 틀린 표현으로, '맞히기'가 옳은 표현이다.[23] 초기에는 비유적 표현인지 정말로 심장은 기계로 대체되지 않은 건지 불분명했으나, 블랙워치 스킨을 통해 심폐기능은 인간의 것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24] 겐지는 한조를 용서했으므로 좋은 뜻이 맞다.[A] 라인하르트, 토르비욘, 아나와 같이 겐지를 기준으로 연장자이거나 겐지 자체가 존칭하는 메르시나 젠야타에게 사용하는 대사. 그러나 겐지보다 나이차가 별로 없거나, 리퍼, 로드호그, 둠피스트, 모이라와 같은 악인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26] 네팔에 있는 겐지의 방에서의 상호대사다.[27] 류우이치몬지는 일본의 명도 중 하나인 키쿠이치몬지(菊一文字)의 패러디.[28] 눔바니는 인간과 옴닉이 함께 세운 도시인데, 겐지는 반은 인간이요, 반은 기계인 사이보그이므로 어느 종족에도 속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29] 직역하면 "복수가 바라는 건 복수를 갈망하는 자뿐이다".[30] 겐지모노가타리의 한 구절.[31] 항상 앙겔라 씨, 치글러 박사님 등 호칭을 꼬박꼬박 쓰다가 유일하게 이름만 부르는 순간이 메르시가 위기에 처했을 때다.[32] 자막에서는 "겐지"가 "몰랐는데" 뒤에 이어진다.[개명] [34] 메르시, 젠야타, 응징의 날 스토리 모드 레예스 등 겐지가 존댓말을 쓰는 영웅.[35] 영어로는 I need Healing! 인데, pro genji 밈 중 하나로 많이 쓰인다.[36] "내 영혼은 균형을 추구한다" 대사를 선택할 때마다 두 음성이 번갈아서 나온다. 오리사의 "현재 상황" 대사처럼 랜덤은 아니다.[37] 영문판 대사는 "You need healing."[38] 오리사 상호작용 대사로 추정.[39] 한조와의 상호작용 대사로 추정.[40] 아군 사망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