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20:24:27

로드호그/대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로드호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nExcitedAndLoudMiddle, 합의사항1=영웅-갤러리-대사 틀을 영웅 틀로 합함,
토론주소2=PumpedTacitLonelyBean, 합의사항2=현상의 '영웅/갤러리/대사/스토리' 틀 형태를 유지하되\, 가변형 레이아웃을 이용하고 영웅의 고유 시그니처 컬러를 제거,
토론주소3=GreedyBusyGrandioseSpring, 합의사항3=틀의 폭은 가로 100%로 하며\, 역할군 표시 칸 - 영웅 나열 칸은 서로 가로로 배치)]
파일:오버워치 2 아이콘 화이트.svg
오버워치 2 영웅 목록
역할군 내 가나다순 정렬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영웅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대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갤러리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5%; min-height:2em"
{{{#!folding ⠀[  협동  ]⠀
{{{#!wiki style="margin:-5px 0 -4px;letter-spacing:-.05em;font-size:0.7rem;"
[[오버워치 2/영웅#돌격군|
파일:옵치2웹_돌격.svg
]]
[[오버워치 2/영웅#공격군|
파일:옵치2웹_공격.svg
]]
[[오버워치 2/영웅#지원군|
파일:옵치2웹_지원.svg
]]
}}}}}}}}}
}}}}}}

1. 개요2. 플레이 관련 대사3. 전장 관련 대사4. 기술 관련 대사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6. 의사소통 및 핑 대사7. 캐릭터 음성 대사8. 그외 상황 미확인 대사

1. 개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사의 FPS 게임 오버워치 시리즈영웅, 로드호그의 대사 목록을 정리한 문서.

다른 영웅들에 비해서 비속어가 많은 편이다.

2. 플레이 관련 대사

3. 전장 관련 대사

4. 기술 관련 대사

5. 특정 영웅 및 전장 상호작용


}}}
}}}

6. 의사소통 및 핑 대사

7. 캐릭터 음성 대사

8. 그외 상황 미확인 대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D.Va, 루시우, 브리기테, 일리아리, 정크랫, 키리코, 트레이서 등.[2] 라인하르트, 토르비욘, 솔저: 76, 아나 등.[3] 라이프위버, 메르시, 메이, 윈스턴, 모이라, 시그마 등.[4] 겐지, 라인하르트, 메르시, 메이, 소전, 솔저: 76, 아나, 에코, 윈스턴, 캐서디, 토르비욘, 트레이서.[5] 적 깃발에 핑을 입력할 때 출력되는 대사. 얼핏 들으면 아군 깃발을 원위치하라는 의미로 들릴 수도 있지만, '팀 깃발도 내 것, 적 깃발도 내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해보면 역시 말이 된다. 다만 이렇게 해석하더라도 워낙 중의적.[6] (고철 튀기는 소리) 읗핳핳핳핳핳하! 읗핳! 흫핳! 흫핳! (고철 튀기는 소리) 이야아아아-!이예에헤엘-! 읗핳핳핳하! 읗핳! 흫핳! 흫-하! 하는 식의 소리 파일이 여러 개 존재한다.[7] 둠피스트는 로드호그를 진심으로 탈론에 영입하려고 계획 중인 것 같다.[8] 오버워치 세계관에서의 호주는 옴니움의 핵폭발로 인해 생물이 거의 살 수 없는 방사능 황무지로 변했다. 쓰레기촌에서 오버워치 세계관 속 호주 내륙의 모습이 공개되었는데 66번 국도 분위기와 비슷하단 평가도 존재한다.[9] 동료인 정크랫의 경우 옴닉이 많은 네팔맵에선 '여기 토나올 것 같다며' 부정적인 대사를 내뱉는다. 제작진이 말한 예전 아름다웠던 고향을 기억하고 있는 로드호그와 황폐화 된 고향밖에 알고있지 않은 정크랫의 가치관 차이를 깨알같이 보여주는 대사들이다. 물론 오아시스, 일리오스의 경우 정크랫도 우아한 곳이라며 감탄한다.[10] 엘도라도의 그 "도라도"로, 스페인어로는 "도금된", 나우아틀어로는 "황금"을 뜻한다.[11] 정크랫과 로드호그는 이전 도라도의 은행에서 금고를 털었던 전적이 있었다. 도라도 수비 시의 처음 시작 지점이 그 도라도 은행의 금고가 있는 장소이고, 그 사건이 터진 이후로 금고에서 사라진 돈들을 다시 메꿔야 되니 이런 대사가 나오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또 은행은 그들에게 털리고...[12] 사실 키클롭스는 포세이돈의 자식이 아니다. 키클롭스 중 폴리페무스가 아들이지만.[13] 영어 원문은 "Don't like your voice"로 정크랫의 대사 "I'm tired of hearing your voice"와 다르다.[14] 방독면 속에서 굵고 둔탁하게 울리는 소리가 마치 돼지의 "꿀"하는 울음소리와 같다. 노린 부분.[15] 같은 대사로 "잘"을 장음으로 발음한 버전과 단음으로 발음한 버전이 있다.[16] 영어 속담. "누워서 떡 먹기"와 비슷한 의미로 "매우 쉬운 일" 이란 뜻으로 쓰인다.[17] 영문판은 "You Chicken?"으로 라인하르트의 "혹시, 닭띠 있는가?"의 영문판 대사의 의미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