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0:59:41

명성황후/대중매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성황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3ba62><tablebgcolor=#e3ba62> 파일:대한제국 국장.svg명성황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3ba62,#2d2f34><colcolor=#b22222> 일생 <colbgcolor=#fff,#1f2023>생애
관련 문서 홍릉 · 어진
사건 · 사고 을미사변
평가 평가
기타 초상화와 사진 · 책봉 · 사치설 · 대중매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세종
2
신덕왕후
1
정안왕후
1
원경왕후
1
소헌왕후
단종 세조 예종 성종
1
[ruby(정순왕후, ruby=定順王后)]
1
정희왕후
2
안순왕후
1
공혜왕후
폐비 윤씨
2
정현왕후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거창군부인
1
단경왕후
2
장경왕후
3
문정왕후
1
인성왕후
1
인순왕후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1
의인왕후
2
인목왕후
문성군부인
1
인열왕후
2
장렬왕후
1
인선왕후
현종 숙종 경종 영조
1
[ruby(명성왕후, ruby=明聖王后)]
1
인경왕후
2
인현왕후
폐비 장씨
3
인원왕후
2
선의왕후
1
정성왕후
2
[ruby(정순왕후, ruby=貞純王后)]
정조 순조 헌종 철종
1
효의왕후
1
순원왕후
1
효현왕후
2
효정왕후
1
철인왕후
고종 순종
1
[ruby(명성태황후, ruby=明成太皇后)]
2
순정효황후
}}}}}}}}}

1. 개요2. 영화3. 드라마4. 연극5. 뮤직비디오6. 뮤지컬7. tv 프로그램8. 소설9. 만화10. 게임

[clearfix]

1. 개요

명성황후를 다룬 대중매체에 관한 문서.

2. 영화

3. 드라마

4. 연극

5. 뮤직비디오

6. 뮤지컬

7. tv 프로그램

* 천개의 비밀 어메이징 스토리에선 흥선대원군과 다투는데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은 군인들이 널 잡으려 한다고 빈정대고 명성황후는 나는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말한다. 이후 명성황후가 돌아오며 권력을 다시 잡자 흥선대원군에게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말을 듣고, 이후는 역사대로 을미사변으로 살해당하는데 자객이 네년이 우리 대일본제국을 무시하고도 살아남을 것 같았냐고 으르렁대자 네가 이깟 죽음 따위를 두려워할 것 같냐, 내 후손들이 이 일을 절대로 잊지 않을 것이며, 난 조선의 국모다.라는 말과 함께 칼이 가슴을 관통하는 게 그림자로 비춰지며 숨을 거둔다. 참고로 마지막엔 흥선대원군이 욕심이 너무 과했다고 끌끌대는데 어째 명성황후와 본인 모두를 자조하는 듯한 연출이 볼거리.

8. 소설

9. 만화

파일:attachment/명성황후 민씨/f0043889_4fd359fc2e133.png
파일:external/www.kjclub.com/kougou.jpg

10. 게임



[1] 1982년 KBS 대하드라마 <풍운>에서는 명성황후 아역.[2] 말 그대로 락희화학공업사가 스폰서를 맡았다.[3] 아역은 강수연.[4] 원래 박지선지 멋대로 연기하려다 교장이 박하선에게 연기하라고 명을 내렸다.[5] 사실상 뮤지컬로 분류된다.[6] 이후 뮤지컬 명성황후에서도 명성황후를 연기한다.[7] 작중 여주인공이 유별나게 별종이자 적극적인 여자이긴 하다. 오죽하면 남자들도 여주인공을 보고는 말괄량이 길들이기를 떠올릴 정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19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