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의 디즈니랜드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애너하임 외의 다른 디즈니 파크}}}에 대한 내용은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즈니 익스피리언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의 디즈니랜드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애너하임 외의 다른 디즈니 파크: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즈니 익스피리언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디즈니랜드 리조트의 테마구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메인 스트리트. U.S.A. | 뉴올리언스 스퀘어 | 프론티어랜드 | 어드벤처랜드 | 투모로우랜드 | 판타지랜드 | 미키의 툰타운 | 크리터 컨트리 | 스타워즈: 갤럭시스 엣지 |
브에나 비스타 스트리트 | 할리우드 랜드 | 카 랜드 | 어벤져스 캠퍼스 | 그리즐리 피크 에어필드 | 픽사 피어 & 파라다이스 |
- [ 시설 · 공연 ]
- ||<|9><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7BB7><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187BB7><colcolor=#fff><width=20%><keepall> 어트랙션 ||<colcolor=#373a3c,#ddd>메인 스트리트, U.S.A.
디즈니랜드 레일로드 · 메인 스트리트 비클 · 디즈니 갤러리 · The Disneyland ® Story presenting Great Moments with Mr. Lincoln · 메인 스트리트 시네마 · 월트 디즈니 - 마법같은 삶 ||어드벤처랜드
월트 디즈니의 인챈티드 티키 룸 · 정글 크루즈 · 인디아나 존스™ 어드벤처 · 스위스 패밀리 트리하우스뉴올리언스 스퀘어
캐리비안의 해적 · 디즈니랜드 레일로드 · 헌티드 맨션바유 컨트리
티아나의 바유 어드벤처 · 곰돌이 푸의 수많은 모험들 · 데이비 크로켓의 탐험가 카누스타워즈: 갤럭시스 엣지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더 레지스턴스 · 밀레니엄 팔콘: 스머글러스 런프론티어랜드
톰 소여 아일랜드의 해적 소굴 · 마크 트웨인 리버보트 · 세일링 쉽 콜럼비아 · 빅 선더 마운틴 레일로드판타지랜드
피노키오의 모험여행 · 백설공주의 마법에 걸린 소원 · 잠자는 숲속의 공주 성 · 킹 아서 캐로셀 · 케이시 주니어 서커스 기차 · 하늘을 나는 덤보 · 미스터 토드 와일드 라이드 · 피터팬의 하늘여행 · 앨리스의 티파티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스토리북 랜드 캐널 보트 · 마테호른 봅슬레이 ·잇츠 어 스몰 월드· 판타지랜드 시어터미키의 툰타운
디즈니랜드 레일로드 · 구피의 어떻게-놀이터 · 도날드의 오리 연못 · 칩과 데일의 가젯코스터 · 미키의 집 · 미니의 집 · 미키와 미니의 런어웨이 레일웨이 · 로저 래빗의 카 툰 스핀 · 센'툰'이얼 파크투모로우랜드
니모를 찾아서 잠수함 항해 · 디즈니랜드 모노레일 · 오토피아 · 디즈니랜드 레일로드 · 스페이스 마운틴 · 스타 투어즈: 어드벤처스 컨티뉴 · 아스트로 오비터 · 버즈 라이트이어 아스트로 블래스터엔터테인먼트 판타즈믹! · 매직 해픈스 · 미키의 믹스 매직 · 셀러브레이트 해피 카벌케이드 · 판타지 페어 · 페인트 더 나이트 · 투게더 포에버 - 픽사 나이트타임 스펙타큘러 · 원더러스 저니 · 할로윈 스크림스 · 픽사 팔 플레이타임 파티 · 대퍼 댄 · 크리스마스 판타지 퍼레이드 · 파이어 오브 라이징 문 · 빌리브 인 홀리데이 매직
- [ 운영 종료 · 무산 ]
- ||<|8><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7BB7><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colbgcolor=#187BB7><colcolor=#fff><width=12%><colkeepall> 운영 종료 ||<|8><width=18%><colbgcolor=#187BB7><colcolor=#fff><keepall> 어트랙션 ||<colcolor=#373a3c,#ddd>메인 스트리트, U.S.A.
메인 스트리트 사격장 · 메인 스트리트 꽃집 · 장난감나라 전시관 · 레거시 오브 월트 디즈니 · 월트 디즈니 스토리 · 디즈니랜드: 퍼스트 50 매지컬 이어스 ||어드벤처랜드
빅게임 사파리 사격장 · 스위스 가족 트리하우스 · 타잔의 트리하우스뉴올리언스 스퀘어
디즈니 갤러리바유 컨트리 (前 크리터 컨트리)
컨트리 베어 잼보리 · 테디 바라의 스윙잉 아케이드 · 스플래쉬 마운틴프론티어랜드
데이비 크로켓 박물관 · 노새 타기 · 레인보우 마운틴 역마차 · 코네스토가 왜건 · 레인보우 캐번스 마인 트레인 · 마인 트레인 스루 네이처 원더랜드 · 인디언 전쟁 카누 · 인디언 빌리지 · 빅 선더 랜치 · 마인 핀크 킬 보트판타지랜드
미키 마우스 클럽 시어터 · 미키 마우스 클럽 서커스 · 스카이웨이 · 주니어 오토피아 · 청소년 오토피아 · 판타지랜드 오토피아 · 모터 보트 크루즈 · 비디오폴리스미키의 툰타운
졸리 트롤리 · 칩과 데일의 트리하우스투모로우랜드
서커라마, U.S.A. · 세계의 시계 · 몬스탄토 홀 오브 케미스트리 · 몬스탄토의 시대별 패션과 섬유 · 우주정거장 X-1 · 미션 투 마스 · 투모로우랜드 보트 · 우리 아래의 세계 · 해저 2만리 전시 · 플라이트 서클 · 하비랜드 · 아트 코너 · 알루미늄 명예의 전당 · 스타케이드 · 로켓 제트 · 스카이웨이 · 몬스탄토 미래의 집 · 플라잉 소서 · 제너럴 일렉트릭 캐로셀 오브 프로그레스 · 피플무버 · 어드벤처 스루 이너 스페이스 · 아메리카 싱 · 매직 아이 시어터 · 투모로우랜드 오토피아 · 로켓 로즈 · 아메리칸 스페이스 익스피리언스 · 스타 투어즈 · 이노베이션스 · 제다이 트레이닝 아카데미 · 스타워즈: 런치 베이무산 테마구역
소인국 · 미티카 · 투모로우랜드 2055 · "빅타운 U.S.A." · 에디슨 스퀘어 · 할리우드 랜드 · 디스커버리 베이 · 랜드 오브 레전즈 · 리버티 스트리트 · 덤보의 서커스 랜드어트랙션
인디아나 존스와 잃어버린 탐험 · 이상한 박물관 · 마법의 설궁 · 게이저 마운틴 · 파이어워크 팩토리 · 라이트키퍼 · 덕 범퍼 · 서커스 열기구 · 덤보의 서커스 · 미키의 매드하우스 · 러핏 아일랜드 · 크리터 컨트리 500 · 파파라치 추격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856ffa><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도쿄 디즈니랜드 ||<width=33.3%> 도쿄 디즈니씨 ||<width=33.3%><keepall> 상하이 디즈니랜드 ||
파리 디즈니랜드 홍콩 디즈니랜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애니멀 킹덤 엡콧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디즈니랜드 리조트 애너하임, 캘리포니아 디즈니랜드 파크 |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 |
월트 디즈니 월드 올랜도, 플로리다 매직 킹덤 | 엡콧 | 할리우드 스튜디오 | 애니멀 킹덤 타이푼 라군 | 블리자드 비치 | 디즈니 스프링스 | ||
도쿄 디즈니 리조트 우라야스시, 치바현 도쿄 디즈니랜드 | 도쿄 디즈니씨 | ||
디즈니랜드 파리 센에마른, 일드프랑스 디즈니랜드 파크(파리)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 | ||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레이더우구, 신계 홍콩 디즈니랜드 |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푸둥신구, 상하이시 상하이 디즈니랜드 | ||
디즈니랜드 아부다비 야스섬, 아부다비 |
<colbgcolor=#187BB7><colcolor=#fff> 디즈니랜드 리조트 Disneyland Resort | |
| |
종류 | 종합 리조트 |
개장 | 1955년 7월 17일 ([age(1955-07-17)]주년) |
면적 | 약 2,063,900㎡ |
소유 및 운영 |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
약칭 | <colbgcolor=#ffffff,#1c1d1f>DLR |
국가 |
|
사장 | 토마스 마즐룸 (2025~) |
소재지 |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애너하임 92802 | |
웹사이트 |
1. 개요
|
The happiest place on earth
지구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
지구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
지구상에서 가장 행복한 장소. 디즈니랜드는 영원히 완성되지 않을 것이다. 이 세상에 상상력이 존재하는 한, 계속해서 성장을 거듭할 것이다.
월트 디즈니
어린이들의 꿈을 이뤄주는 장소로, 특히 디즈니 공주 캐릭터를 좋아하는 어린 여자아이들에게는 가보는 게 소원일 정도이며, 생일 기념으로 디즈니랜드에 가게 된 소녀의 반응이 담긴 동영상이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얼마나 좋으면 눈물까지… 영상 1분 56초부터. 그야말로 아이들의 로망.월트 디즈니
디즈니랜드의 성공으로 디즈니사는 올랜도와 도쿄[1], 파리, 홍콩, 상하이[2] 등지에도 디즈니랜드 리조트를 건설하였다. 전 세계 각지에 디즈니랜드가 건설된 지금은 이곳이 디즈니랜드의 본점 격으로 취급된다.
이 문서는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의 원조 디즈니랜드만 다루고 있으므로, 이외의 다른 디즈니 파크에 대한 설명은 디즈니 익스피리언스 문서 참고.
플로리다의 매직 킹덤에 밀려서 그렇지, 여기도 전세계 테마파크 방문객수 2위를 자랑할 만큼 엄청난 숫자의 사람들이 방문한다. 코로나19 전인 2019년에 약 1,866만 명이 이 곳을 다녀갔고, 2022년에도 팬데믹의 여파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1,688만 명이 방문한 한큼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곳이다. 2023년에도 1,725만 명이 방문하며 세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면적은 396,592㎡.
유일하게 월트 디즈니의 생전에 기획되고 착공되고 개장한 첫 디즈니랜드이다.
2. 역사
디즈니랜드~디즈니월드 건설 역사와 관련한 글지금의 성공을 보면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디즈니랜드가 처음 계획될 당시에는 그다지 매력적인 아이디어로 여겨지지 않았다.
월트 디즈니는 우연히 아이들의 기차놀이를 보고 영감을 받은 뒤에 LA의 그리피스 공원에서 딸들과 회전목마를 타다가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아이들을 위한 꿈과 환상의 공간이자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공원을 세워 건설하여 설립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였다고 한다.
당시 미국의 놀이공원들은 뉴욕의 코니 아일랜드처럼 시끌벅적하고 성인들을 위한 오락거리 위주였다. 월트 디즈니가 디즈니랜드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은 곳은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유명 놀이공원인 티볼리 파크로, 직원들의 서비스, 다양한 테마, 외부와 격리된 환경, 공원 전체에 흘러 나오는 음악들로 그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월트 디즈니는 당시 디즈니랜드의 건설을 위해 투자자들을 찾아다녔지만 모두 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고 있었고 결국 원하는 투자를 받아내지 못 했다. 이런 상황에서 그의 형이자 디즈니의 CEO였던 로이 디즈니는 방송국 쪽으로 눈길을 돌려, 독점으로 TV 시리즈[3]를 비롯한 디즈니의 콘텐츠를 방송국에 제공하고, 대신 방송국 측은 디즈니랜드의 일정 지분을 취득해 최대 투자자로서 디즈니랜드의 건설에 협조한다는 내용의 거래를 메이저 방송국들에게 제안했다.
그러나 디즈니랜드에 대한 투자를 탐탁지 않게 여긴 NBC와 CBS는 이 제안을 거절했고, 마지막으로 찾아간 ABC가 결국 이 제안을 승낙했다. 당시 ABC는 지상파 시청률 1위에 오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고, 디즈니의 콘텐츠를 독점으로 방영할 수 있다는 건 큰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4]
|
건설 중인 당시 디즈니랜드 |
|
건설 당시 디즈니랜드 예상도 |
1955년 7월 17일, ABC에서 중계한 디즈니랜드 개장식 |
1956년 만들어진 디즈니랜드 다큐멘터리 |
To all who comes to this happy place, welcome. Disneyland is your land. Here age relives fond memories of the past and here youth may savor the challenge and promise of the future. Disneyland is dedicated to the ideals, the dreams and the hard facts that have created America with the hope that it will be a source of joy and inspiration to all the world.
이 행복한 곳에 오신 모든 분들, 환영합니다. 디즈니랜드는 당신의 땅입니다. 여기서 연장자들은 과거의 즐거운 추억을 되새기며, 젊은이들은 미래에 대한 도전과 약속을 맛볼 수 있습니다. 디즈니랜드는 전 세계에 기쁨과 영감의 원천이 되기를 바라며 미국을 탄생시킨 이상, 꿈, 확실한 사실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1955년 7월 17일 (현지시각), 개장식 때 월트 디즈니의 개장 연설 中 #
1955년 7월 17일에 개장한, 세계 최초의 테마파크이자 최초의 디즈니랜드다.이 행복한 곳에 오신 모든 분들, 환영합니다. 디즈니랜드는 당신의 땅입니다. 여기서 연장자들은 과거의 즐거운 추억을 되새기며, 젊은이들은 미래에 대한 도전과 약속을 맛볼 수 있습니다. 디즈니랜드는 전 세계에 기쁨과 영감의 원천이 되기를 바라며 미국을 탄생시킨 이상, 꿈, 확실한 사실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1955년 7월 17일 (현지시각), 개장식 때 월트 디즈니의 개장 연설 中 #
이렇듯 쉽지 않은 건설 과정을 거쳐 1955년 7월 17일 언론 매체에 예비적으로 공개한 후 다음 날 공식적으로 개장했다. 개장식 사회자 중 후에 미국 대통령이 된 로널드 레이건이 있던 것은 꽤 알려진 일이다. 이후 대통령에서 퇴임한 다음 해인 1990년에 있었던 디즈니랜드 개장 35주년 행사에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동영상 미국 인구가 1억 6500만명이던 시절 7000만 명이 개장식을 시청했다.
개장식은 디즈니랜드에게 재앙에 가까운 날이었다. 섭씨 37도가 넘는 폭염에 아스팔트가 녹아 하이힐이 푹푹 빠졌고, 배관공들의 파업으로 식수대가 작동을 멈췄다. 많은 놀이기구들은 작동을 하지 않거나 정원을 한참 초과해 운영했다. 사람이 너무 몰릴걸 우려해 15,000명에게만 입장권을 팔았지만 위조 표들이 시중에 풀리면서 그 2배에 달하는 인파가 몰려들었다. 애너하임 주민들 중 일부는 공원 외벽에 사다리를 세워놓고 무단침입을 도와주는 대가로 2달러씩 챙겼다. 이날은 후에 '검은 일요일'로 알려졌지만 디즈니랜드가 세계적인 관광지가 되는 것은 막지 못했다.
월트 디즈니는 디즈니랜드 고유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건물들을 설계하고 건축했으며, 개장 후에도 특별한 운영을 지도했다. 그는 "디즈니랜드는 절대 완공되지 않는다"라는 말을 할 정도로 디즈니랜드의 끊임없는 혁신을 강조했다. 건설비로는 1700만 달러, 2025년 가치로 약 2억 달러가 들어갔고, 개장 당시에는 35개의 어트랙션이 있었다.
그로부터 5년 후인 1960년에 디즈니는 공동 투자자였던 ABC가 보유한 디즈니랜드의 지분을 전부 매입함으로써 디즈니랜드를 100% 완전히 소유하게 되었으며, 디즈니랜드가 처음 개장한 이후 5년 동안 회사의 매출은 2,700만 달러에서 7,000만 달러로 상승하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1955~2015년 디즈니랜드 지도 다른 지도
3. 디즈니랜드 파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즈니랜드 파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즈니랜드 파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즈니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여담
- 동요처럼 불리는 노래인 "작은 세상 - It's a Small World"은 원래 이 곳에 있는 어트랙션인 It's a Small World의 주제가이자 디즈니랜드 테마의 주제가다. 캐리비안의 해적도 테마의 하나였고, Baroque Hoedown 역시 디즈니랜드의 Main Street Electrical Parade의 오프닝으로 유명하다.[5]
- 개장 당시 어린이 입장료는 0.5달러였으며, 성인 입장료는 1달러였다. 어트랙션 이용 비용은 어린이 10센트, 성인 23센트였다. 1955년 1달러는 2025년 가치로 약 11.8달러다. 1955년 이후 디즈니랜드 입장료 변화 추이
- 테마파크의 주 고객층은 어린이지만 공원 어딘가에 술을 마실 수 있는 장소가 존재한다.[6][7] 2019년부터 술을 판매하기로 하였다. #[8] 다만 술을 마실 수 있는 장소인 만큼 진상들의 민폐 짓으로 인한 안전 우려로 인해 호불호가 갈린다.
- 맞은 편에는 애너하임 컨벤션센터가 있다. 디즈니랜드의 주주총회 및 이사회는 여기서 한다.
- 월트 디즈니와 미키 마우스가 서로 손을 맞잡은 모습의 동상은 디즈니랜드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상징들 중 하나인데, 이 동상의 공식 이름은 'Partners'라고 하며 1993년에 처음으로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 월트 디즈니 역시 디즈니랜드에 가끔 방문했었다. 물론 선글라스 등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게 미리 준비를 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큰 생각 없이 맨얼굴로 디즈니랜드에 가거나, 기타 이유로 정체가 탄로나서 엄청난 인파가 몰리고 사람들에게 사인을 해 주느라 진땀깨나 뺀 일도 있었다고 한다.
- 디즈니랜드가 있는 애너하임에서 블리즈컨도 열린다. 이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본사가 어바인에 있기 때문이다.[10] 블리즈컨은 매해 자사의 게임으로 토너먼트를 여는데 이때마다 상대를 이기면 디즈니랜드로 보내버렸다는 말은 일종의 관용어가 되었다. 스타1 때부터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비테이셔널 등에서 부진하거나 한다면 디즈니랜드 갔다왔냐며 비꼬기도 했으나, 이제는 매년 그랜드 파이널이 블리즈컨에서 열리기 때문에 디즈니랜드를 다녀올 게이머들이 상당히 많아질지도 모른다. 어쨌건 여길 간다는 건 세계 톱이기 때문이기도 하니 '디즈니 파이널'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블리자드 본사와 가깝다는 이점을 활용해서 디즈니랜드의 분수쇼인 <World of Color>의 블리자드 버전이 2011년 블리자드 크리스마스 행사 때 시연되기도 했다. #
- 어린이 입장객의 동심 파괴 방지 차원에서 전세계에 있는 디즈니랜드에서 특정한 한 캐릭터가 동시에 나타나는 일은 없다는 루머가 있다. 즉, 디즈니랜드에서 미키 마우스가 활동하고 있으면, 다른 디즈니 파크에서는 그 시간 동안 미키 마우스를 볼 수 없다는 뜻. 디즈니 코리아 대표가 긍정하기까지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애초에 다른 구역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이어서 보기도 힘든데, 아이들이 아예 다른 나라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일까지 알고서 동심이 깨지는 일이 있을 리가 없다. 직접 확인해본 용자가 존재한다. 미키는 정말 전 세계에 1명밖에 존재하는건지 궁금해서 직접 알아봤다. 다만, 같은 파크 안에서 한 캐릭터가 특정 구역에서 활동하고 있을 땐 다른 구역에서 볼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위의 루머는 이 사실이 와전된 것이다.
- 결혼식도 할 수 있다. 물론 비용은 일반 결혼식에 비하여 상당히 비싸며 파크 내에서 결혼식을 하면 엄청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파크에 부속된 호텔에서 할 경우에는 비용이 꽤 내려가지만 그래도 일반 5성급 호텔 결혼식보다는 비싸다. 그러나 디즈니 작품에 나오는 분위기와 비슷하게 결혼식을 할 수 있고[11], 디즈니 캐릭터들이 웨딩 사진을 같이 찍어주는 등 디즈니 팬들을 위한 팬서비스를 결혼식 당사자들 한정으로 해 준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디즈니 팬들에게는 거의 꿈 같은 결혼식이다. 좀 저렴한 호텔 결혼식은 1~2년 정도는 예약이 꽉 차 있는 경우가 많다.
- 새만금 간척지 조성 계획 발표 당시, 간척지 일부에 디즈니랜드를 유치하는 방안이 제기되어 정부와 디즈니사가 실제 교섭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가고 말았다.
- 대규모 인원이 한정된 공간에 모이게 되는 거대 테마파크인만큼 보안이 굉장히 철저하다. 정문에서 공항과 맞먹는 강도의 보안검색을 거쳐야 하며, 공원 내에서도 수많은 경비원들이 순찰을 돌고 있다.[12] 눈에 보이는 건 빙산의 일각이라는 것을 알아두자. 아이들의 동심을 지켜주고 고객들이 최대한 공원을 편안하게 느끼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눈에 띄지 않게 운용하고 있을 뿐이다. 확인되지 않는 수의 경비원들이 사복 차림을 하고 고객으로 위장한 채 히히덕거리는 고객들 속에서 함께 웃으며 주변을 매의 눈으로 살펴보다가, 음주를 했거나 소매치기 등 공원과 고객을 위협하는 행동을 하는 자가 발견되면 고객들 속에서 튀어나와 순식간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연행한다. 이후 명백한 불법행위를 한 것이 확인되면 공원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애너하임 경찰에 인계하고, 체포될 정도는 아니지만 다른 고객에게 피해를 끼친다면 바로 퇴장. 경비원의 장비와 인력 수준도 상당해서 퇴역 군인이나 경찰 출신이 꽤 있고, 총기 휴대와 자체 순찰차는 기본이고[13] 자체 탐지견 부대까지 운용하고 있다. *
- 미국 성우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가 정글 리조트 요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었다.
- 1959년 미소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서기장이 안전상의 이유로 디즈니랜드 방문이 무산되자 방송에서 왜 디즈니랜드에 못 가냐고 떼를 쓴 적이 있다. # 어쨌든 이후 흐루쇼프는 소련에서도 디즈니랜드에 버금가는 놀이공원을 만들 계획을 세웠고, 계획에 의하면 모스크바 근교에 260헥타르의 면적으로 준공될 예정이었지만 1964년 흐루쇼프가 실각된 후에 계획은 취소되었다.
- MSEP(Main Street Electrical Parade나 PTNP(Paint The Night Parade)같은 야간퍼레이드가 개최될때 나레이션이 울리는데 이 나레이션에 맞춰서 퍼레이드 루트에 있는 조명과 건물의 조명까지 연동된다. 디즈니월드와 매직킹덤도 동일하다. #
- 4월 22일에 '판타즈믹' 공연 도중 약 45피트의 거대한 드래곤 조형물이 불에 휩싸이는 사고가 발생해 대피 소동이 벌어졌다. 링크 보고에 따르면 부상자는 없었고 전원 무사히 대피했으나, 최소 직원 6명이 가스를 흡입한 바람에 치료중이라고 밝혀졌고 정확한 원인은 조사중이라고 한다. 그 다음 날에 다 타버리고 뼈대만 남은 드래곤은 철거 준비에 들어갔다. 링크 이후 사태 방지를 위해 판타즈믹 공연은 한동안 중단되고 동시에 불 같은 특수효과 사용 또한 잠시 중단한다고 밝혔다.[14]
- 영상을 보면 공연 도중에 사고와 불을 진압하는 상황을 볼수 있는데, 불길이 너무 번진 탓에 공연 진행이 불가능하다 판단해 중단하고 마지막엔 공연때 사용한 광역 스프링클러를 사용해 간신히 불을 끄는걸 볼수 있다. 당시에 공연을 본 사람들의 반응도 제각각인데 클라이맥스로 갈때 쇼가 업그레이드된 줄 알고 감탄했지만 불이 온몸에 번지게 되어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 사태를 뉴스로 알게 된 사람들은 진짜 마녀사냥이 일어났다는 반응을 보였다.
- 참고로 디즈니 랜드에서 사용된 용의 모델은 두 가지라고 하는데 극초기땐 체리 피커라는 기계로 이용한 메케닉 퍼핏의 용 모델로 코드 네임은 '버키'였다. 그러나 당시 기술로는 문제가 많아서 후에 2009년 중후반 시즌때 두번째 모델인 45피트가 되는 거대 애니매트로닉스로 만들어진 코드 네임 '스냅스 맥기'(팬들은 '머피'로 알려져있다.)가 데뷔하여 화재가 발생하기 전까지 사용되었었다. 링크
- 이 사건 이후 한동안 안전 문제로 재개장 되지 않았다가 2024년 5월 24일에 다시 재개장 되었으며, 새 드래곤은 제외된 대신 마법사 미키 마우스와 말레피센트(인간형) 버전과의 싸우는 장면을 새로 만들었다.[15] 현재까지도 드래곤 조형물은 새로 만들어지지 않은 채 유지 되어서 어찌 보면 전체적인 퀄리티가 판데믹 시절 보다 너프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드래곤 조형물을 다시 만들지 않는 공식적인 입장은 아직 없는 상태이지만, 아무래도 위에 일어난 3일 연속의 사고로 인해 금전적인 피해를 입었다는 점과 안전상 문제로 리스크를 더 만들지 않기 위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나날이 높아지는 티켓 값 때문에 팬들은 이 부분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는데,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드래곤을 더 이상 볼 수 없는 점이 큰 타격이였으며, 특히 월트 디즈니 월드 버전에선 (구)버전 드래곤을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심지어 미키 마우스의 슈트 액터들(증기선 윌리 버전을 제외한 신사 복장, 마법사, 모험가)이 계속 사용되는 등 퀄리티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디즈니 랜드의 현 재개장 버전에선 미키 마우스 또한 신사 복장은 초반에만 등장하고, 그 이후엔 전부 마법사 버전이 모든 공연을 담당할 정도로 너프 되었다.[16]
- 2014년 기사 기준으로는 200여 마리의 길고양이가 살고 있다고 한다. 한때는 고양이를 없애려고 했으나, 지금은 공존을 택한 듯하다. 링크 하지만 부지 내의 쥐를 잡아주기 때문에 진작에 공존을 했다는 기사도 오래 전부터 떠돌아다닌다.
- 매년마다 입장권 가격이 인상되는 문제를 겪고 있지만, 2023년 기준으로 방문객이 감소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또 입장료의 가격을 갑자기 올린다고 공지했다. 링크 입장료 뿐만 아니라 주차료, 일일 고속 패스권(지니 플러스), 마법 열쇠 시즌 패스까지 가격을 인상하여 논란이 크게 번지고 있다. 안 그래도 입장권의 가격을 낮춰도 모자랄 판에 어린이용 입장권만 낮게 받는다는 입장을 취하여 모든 방문객을 어이 없게 만들었다.[17] 입장료 인상의 원인은 디즈니플러스를 포함한 스트리밍 사업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상쇄하고 향후 투자를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당연히 방문객들 입장에선 또 선을 넘긴 디즈니는 물론 밥 아이거가 또 약속을 어겼다며 크게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갈 사람들은 가고, 여전히 엄청난 인파가 매일 몰린다. 현재까지도 디즈니 랜드의 전체적인 퀄리티 너프, 직원들의 불친절, 꼭 한번씩 있는 진상들의 민폐로 인해 부정적인 평이 있음에도 그 장소에 가는거 자체를 좋아하거나 긍지로 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비싼 입장료인데도 빚이 생겨서라도 온다고 한다. 때문에 문제가 많은 입장료 가격임에도 이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 될 예정이라 그나마 유튜버 스트리머들의 생방으로 위안을 얻는게 최선인 상황이다.[18] 가끔 시즈널로 3~4일권 입장료 이벤트를 열곤 하며[19] 일반 입장료를 생각하자면 이득이지만 그 가격 또한 만만치 않다.
- 2025년 1월 디즈니랜드 공식 인스타그램에 설날 기념 영상이 올라왔는데, 영상의 한 부분 중 'Happy lunar new year'라는 문구와 함께 한복을 입은 미키 마우스와 미니 마우스가 손을 흔드는 장면이 있었고 이 때문에 중국 네티즌들이 'Chinese New Year'라며 항의하는 사건이 있었다. # 중국 네티즌들은 'lunar new year' 문구에 항의한 것이었지만 한국에서는 한복 때문에 항의한 것이라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20]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쥬라기 공원에서 존 해먼드가 쥬라기 공원의 사고와 그로 인한 여러 문제들을 별 거 아니라고 치부하며 이곳을 예시로 든다. 디즈니랜드도 최초 개장했을 땐 멀쩡한 게 없었다고. 이에 이안 말콤은 "캐리비안의 해적은 오작동해도 사람을 잡아먹진 않는다"고 해먼드를 깐다. 올랜도의 월트 디즈니 월드도 잠깐 언급되는데 쥬라기 공원을 올랜도에 지었어야 했다라고 해먼드가 한탄한다.
-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주인공 노구가 가고 싶어하는 곳이었으며 끝내 그 소원을 성취하게 된다.
- 인디고 파크의 모티브가 디즈니랜드에서 따왔다. 렘블리의 제트스트림 정션은 미키와 미니의 런어웨이 레일웨이와 판박이이며 포스터도 전시되어있는데 찾아보면 스팀보트 윌리나 미친 비행기등을 비튼 포스터가 존재한다.
7. 둘러보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디즈니랜드 리조트 애너하임, 캘리포니아 디즈니랜드 파크 | 캘리포니아 어드벤처 | |
월트 디즈니 월드 올랜도, 플로리다 매직 킹덤 | 엡콧 | 할리우드 스튜디오 | 애니멀 킹덤 타이푼 라군 | 블리자드 비치 | 디즈니 스프링스 | ||
도쿄 디즈니 리조트 우라야스시, 치바현 도쿄 디즈니랜드 | 도쿄 디즈니씨 | ||
디즈니랜드 파리 센에마른, 일드프랑스 디즈니랜드 파크(파리)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파크 | ||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레이더우구, 신계 홍콩 디즈니랜드 |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푸둥신구, 상하이시 상하이 디즈니랜드 | ||
디즈니랜드 아부다비 야스섬, 아부다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Disney Entertainment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마블 스튜디오 | 루카스필름 | 디즈니 시어트리컬 그룹 20세기 스튜디오 | 서치라이트 픽처스 ABC entertainment | ABC News | ABC signature | ABC owned television station Disney Branded Television(디즈니채널, 디즈니주니어, 디즈니 XD,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Freeform | FX | 내셔널 지오그래픽 디즈니+(디즈니+ 핫스타) | Hulu | 디즈니 뮤직 그룹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
ESPN ESPN | ESPN+ | |
Disney Experiences 디즈니랜드 리조트 | 월트 디즈니 월드 | 도쿄 디즈니 리조트 디즈니랜드 파리 |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디즈니랜드 아부다비 | 디즈니 크루즈 라인 | 디즈니 베케이션 클럽 아울라니, 어 디즈니 리조트 앤 스파 | 어드벤처스 바이 디즈니 월트 디즈니 이매지니어링 | 디즈니 퍼블리싱 월드 와이드 디즈니 스토어 | |
기타 D23 | 마블 엔터테인먼트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A&E Networks | 디즈니 모바일 | 21세기 폭스 인수전 | 디즈니 네이처 디즈니 르네상스 | 디즈니 리바이벌 | 디즈니 레전드 | 미디어 프랜차이즈 | |
해산 할리우드 픽처스 | 내셔널 지오그래픽 코리아 네트워크 | 터치스톤 픽처스 | 디즈니툰 스튜디오 |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 디즈니 디지털 네트워크 |
{{{#!wiki style="margin:-10px -10px"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4a1a1,#d4a1a1><colcolor=#fff,#000> 이름 | 디즈니랜드 DISNEYLAND | |
분야 |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 ||
입성날짜 | 1960년 2월 8일 | ||
위치 | 6834 Hollywood Blvd. | }}}}}}}}} |
[1] 라이센스만 주고 운영은 OLC라는 케이세이 전철의 자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한 '도쿄'가 들어간 명칭과는 다르게 도쿄도 인근의 치바현 우라야스시에 위치하고 있다.[2] 아시아 최대 규모의 테마 파크이다.[3] 디즈니랜드 TV 시리즈가 이에 포함되었다.[4] 공교롭게도 세월이 흘러 1995년에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ABC를 인수하게 된다.[5] 참고로 Main Street Electrical Parade는 놀이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퍼레이드의 원조로 유명하다. 도쿄 디즈니랜드에서는 일렉트리컬 퍼레이드 드림라이츠라고 이름과 플로트카를 바꿔서 한다.[6] 디즈니 본사와 별도로 운영 중인 도쿄 디즈니 리조트 같은 경우는 술을 별도로 판매한다.[7] 여담으로 롯데월드 어드벤처 매직아일랜드의 한 식당은 7,000원으로 300ml 정도의 클라우드 맥주를 마실 수 있다. 애초에 롯데월드는 테마파크에서 공식적으로 주구장창 술을 마실 수 있는 행사인 옥토버페스트를 벌였던 적이 있다. 에버랜드는 초창기부터 술을 팔았고 지금도 팔고있다.[8] 스타워즈 갤럭시스 엣지의 오가의 칸티나에서도 술을 마실 수 있다.[9] 여담으로, 이 사진은 디즈니랜드에서 찍힌 것이 아니다. 올랜도 디즈니월드의 매직 킹덤에서 찍힌 사진이다.[10] 길이 막히지않으면 고속도로로 2-30분 정도의 거리다.[11] 예를 들면 신데렐라 컨셉으로 결혼식을 하면 신부가 신데렐라풍의 드레스를 입고 호박마차를 타고 결혼식장에 입장하면 왕자 예복을 입은 신랑이 신부를 맞이해 주는 식이다.[12] 자체 의장대까지 보유하고 있을 정도였다.[13] 단 일반 경비원도 고객 눈에 띄는 걸 최대한 피하는 상황이라서 공원 내에서 무장경비원을 찾아보기는 정말 힘들다. 보통 공원 외곽에서 대기하다가 문제가 생기면 달려가는 방식이다.[14] 사실 이 사고가 터지기 2일 전에도 사고가 연속으로 발생했었다. 목요일 아침부터 시스템 셧 다운으로 인해 주차장 및 파크 진입에 큰 지연이 생겼고(이 날은 저녁 8시에 문 닫았다.), 그 다음 날 금요일엔 곳곳에서 정전이 일어나 일부 놀이 기구 이용에 문제가 생겼고, 토요일엔 이 사고가 발생했다.[15] 그 외는 새 특수 효과와 캐리비안의 해적 대신 피터팬이 다시 복귀했다.[16] 이는 현재진행형인 미국의 대규모 정리 해고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드래곤 조형물을 새로 만들 여력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17] 그나마 다행히도 월~목요일의 입장권은 가격이 변동 되지 않았다고 한다.[18] 특히 일부 주년 행사에선 입장료 값을 최저로 파는 이벤트를 에너하임에 사는 주민들만 열고 있어서 범위 외에 사는 주민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19] 주로 미국 코스트코에서 보다 좀 낮은 가격으로 구할 수 있다.[20] 사실 중국 네티즌들이 한복이 아닌 다른 이유로 비난을 한 일에도 한국에서 한복 때문으로 잘못 알려진 사건이 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