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북한| 중국 | 일본(준군사조직)| 대만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연방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colbgcolor=#da291c><colcolor=#fff> Canadian Armed Forces Forces armées canadiennes 캐나다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Canadian Army L'Armée canadienne 캐나다 육군 | Royal Canadian Navy Le Marine royale canadienne 캐나다 왕립 해군 | Royal Canadian Air Force L'Aviation royale canadienne 캐나다 왕립 공군 | }}}}}}}}} |
캐나다 육군 Canadian Army L'Armée canadienne | |
창설 | 1855년 5월 19일 |
국가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소속 | 캐나다군 |
역할 | 지상전 |
표어 | Vigilamus pro te 우리는 그대를 수호하리라 |
전력 | 약 44,000명 |
링크 | | 영어 | 프랑스어 |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육군.2. 역사
캐나다 육군은 캐나다 통합군으로 통합되어 공식적으로 캐나다 지상군 사령부(Land Force Command, LFC)라고 한다.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캐나다는 대영제국의 식민지인 관계로 공식적으로 캐나다군이라는 명칭 대신에 '캐나다 민병대(Canadian Militia)'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1940년대 초반에 '캐나다군'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캐나다 육군(Canadian Army)'이라는 명칭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후 1966년 4월 1일 통합군 개편이 추진되면서 한시적으로 '기동군(Mobile Command)'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1968년 법적으로 캐나다 왕립 해군(Royal Canadian Navy: RCN), 캐나다 왕립 공군(Royal Canadian Air Force: RCAF)과 함께 캐나다 지상군(Land Force Command)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캐나다 통합군(Canadian Armed Forces)으로 통합되었다.
'기동군'이라는 명칭은 1993년까지 존재하다가 그후 지상군으로 완전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명칭 변경이 역사 단절, 정체성 모호 등 군내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고 여전히 군인들과 언론에서는 '캐나다 육군'이라는 명칭을 지속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2011년 8월, 해, 공군과 함께 1968년 이전 명칭인 '캐나다 육군'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
1867년 캐나다가 자치령이 되기 전까지는 영국 육군의 일원이었다. 그 후로도 현재까지 꾸준하게 세계 각지의 분쟁지역에 병력을 파병하고 있다. 1889년 남아프리카전쟁(2차 보어 전쟁), 1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한국 전쟁, 걸프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도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3. 편제
캐나다 육군은 총 5개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인 사단 개념과는 완전히 다르다.- 캐나다 제1사단(1st Canadian Division / La 1re Division du Canada)
우리나라로 치면 '육군본부'에 해당한다. 캐나다 통합군 체제 내에서 본부역할을 맡고 있으며, 북부지역[2] 경비도 맡고 있다.. 국내 방어 외에도 해외 파병에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캐나다 육군의 특성상 지상군 파병에 따른 여러 행정 지원 업무 또한 1사단의 몫이다. 사령부는 온타리오 주 킹스턴(CFB Kingston)에 위치해 있다.
- 캐나다 제2사단(2nd Canadian Division / La 2e Division du Canada: 前 퀘벡지역 지상군 Secteur du Québec de la Force terretre / Land Force Quebec Area)
퀘벡지역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퀘벡주 몬트리올(CFB Valcartier)에 위치해 있으며, 예하에 5기계화 보병여단, 34여단(예), 35여단(예)을 두고 있다.
- 캐나다 제3사단(3rd Canadian Division / La 3e Division du Canada: 前 서부지역 지상군 Land Force Western Area / Secteur du l'Ouest de la Force terrestre)
캐나다 서부지역[3]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앨버타주 에드먼턴(CFB Edmonton)에 위치해 있으며, 예하에 1기계화 보병여단, 38여단(예), 39여단(예), 41여단(예)을 두고 있다.
- 캐나다 제4사단(4th Canadian Division / La 4e Division du Canada: 前 중부지역 지상군 Land Force Central Area / Secteur du Centre de la Force terretre)
캐나다 중부지역[4]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령부는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 위치해 있지만 예하 대부분의 부대들은 온타리오 주 전역에 흩어져 있다. 예하에 2기계화 보병여단, 31여단(예), 32여단(예), 33여단(예)을 두고 있다.
- 캐나다 제5사단(5th Canadian Division / La 5e Division du Canada : 前 대서양지역 지상군 Land Force Atlantic Area / Secteur de l'Atlantique de la Force terretre)
캐나다 대서양 연안지역[5]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 특성상 기계화 보병사단은 없고 1개 방공연대와 2개 예비군 여단을 두고 있다. 사령부는 노바스코샤 주 핼리팩스에 위치해 있지만 예하 대부분의 부대들은 노바스코샤 주 전역에 흩어져 있다.
4. 장비
현대 캐나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C7(A1/A2/A3), C8(A1/A2/A3) | ||||
지정사수소총 | C7CT, C20 | ||||||
저격소총 | C3A1, C14 MRSWS, C19CR | ||||||
기관단총 | MP5N | ||||||
산탄총 | M870 | ||||||
권총 | Pistol No.2 Mk.1, P225, C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C6, C6A1, C9, C9A1, C9A2, M2HB-QCB, M134D | |||||
수류탄 | M67 | ||||||
유탄발사기 | M203A1, C16 CASW | ||||||
지뢰 | C19 | ||||||
대전차화기 | M2, M3 SRAAW(M), M72 SRAAW(L), ERYX SRAAW(H), TOW LRAAW(H) | ||||||
박격포 | L16 | ||||||
맨패즈 | Javelin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8(A3/A4/SFW/CQB/IUR) | ||||
지정사수소총 | C20, PSG1 | ||||||
저격소총 | M82, C15 LRSW, M110 SASS | ||||||
기관단총 | MP5A2, MP5A3, MP5SD, P90 | ||||||
산탄총 | M3 Super 90 | ||||||
권총 | P226, P228, P229, P320 | ||||||
유탄발사기 | HK69 | ||||||
대전차화기 | AT4 CS, SPIKE | ||||||
※ 윗첨자CR: 캐나다 레인저가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캐나다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레오파르트2A6M CAN | 주력전차 | 독일 | 20대 | - | - | |
레오파르트2A4M | 주력전차 | 독일 | 20대 | - | - | |
캐나다 육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LAV III | IFV | 캐나다 | 616대 | - | - | |
MTVL | APC | 미국 | 135대 | - | - | |
바이슨 | APC | 스위스 | 198대 | - | - | |
캐나다 육군의 포병장비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M777 | 견인곡사포 | 영국 | 37문 | - | -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북한| 중국 | 일본(준군사조직)| 대만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연방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1] 그러나 통합군 체제가 중단된 것은 아니다[2] 유콘준주, 노스웨스트준주, 누나부트준주[3] 매니토바주, 서스캐처원주, 앨버타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선더베이[4] 온타리오주[5] 뉴브런즈윅주, 노바스코샤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