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2:43:25

정동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음악 듀오 멜로망스의 피아노 담당에 대한 내용은 정동환(멜로망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동환의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제28회
(1992년)
제29회
(1993년)
제30회
(1994년)
김재건
(사로잡힌 영혼, 물거품)
정동환
(오로라를 위하여)
오영수
(피고지고 피고지고)

{{{#!wiki style="margin: -6px -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파일:KBS 성우극회 로고.png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특기
(1948)
구민, 양일민, 윤진, 이춘사, 장민호†, 최무룡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 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안영주†, 임옥영
1957 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전계현
1960 맹관영, 정건우†, 황일청
김영옥, 오현주, 전원주, 황화자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 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김종성, 안종국†, 유강진, 이강룡, 이치우†, 조명남
김세원, 우소연, 이선영, 이영민, 장유진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정민희
1966 김병관†, 김봉근, 배한성, 안정훈†, 황원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김승경, 김정경, 남궁윤, 온영삼, 유민석, 윤병훈†, 이동주, 이종성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나수란†, 최수민
제12기
(1970)
김규식, 김세한, 송용태, 이근욱, 이인성, 한상덕
김정미, 손정아
제13기
(1971)
김도현, 김동희, 노민, 문영래, 박상규, 윤주상, 이인성, 이재명
강연숙, 박윤경, 이영주, 최은숙, 한혜숙
제14기
(1972)
김기섭, 김동수†, 김정호, 엄주환
남현경, 이민정
1973 김진태, 박찬, 송세윤, 신동훈, 정동환
김민, 박은숙, 서금옥, 성선녀, 유지영, 이숙, 이향숙, 최옥희
1975 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 설영범, 오세홍
권희덕†, 송연희
제15기
(1977)
김난일, 김새영, 김용백, 김환진, 백진, 서학, 송찬, 이윤선, 이정구, 이종구, 장정진†, 정동열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 나한일, 서지원†, 유해무, 이봉준, 임효택, 장광, 이병철
전기병, 홍경화
1979 박제길, 유영환, 윤기황
강희선, 이나진†, 임은정, 홍영란, 황정란
제16기
(1980)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서미옥, 이연희, 이주옥, 최문자
제17기
(1982)
김종환, 김준, 백순철†, 안종익, 윤병화, 이규화, 장세준†, 장승길
김수경, 김혜경, 문지현, 서혜정, 유남희, 임은영
제18기
(1983)
강구한, 김영민†, 김익태, 성창수†, 유동현, 임성표, 최병상†, 이경영
이선희, 윤인석†, 이다금, 정옥주
제19기
(1984)
김태웅, 손원일
류선, 박수옥, 이현선, 정미숙
제20기
(1986)
박규웅, 박상훈†, 박홍식, 홍시호, 김하균
강은영, 권현수, 김양희†, 김옥경, 김정주†, 김혜미, 박은경, 신상숙, 조미란, 차명화, 최아란, 함수정, 황재경, 한상영, 임원빈
제21기
(1988)
강수진, 경진호†, 김민석, 문관일, 서문석, 이재용, 이현걸, 홍승섭
문일옥, 송덕희, 안정실, 이덕, 임명주, 장혜선, 조현옥, 최덕희, 최윤정, 한경애
제22기
(1990)
김경응, 김수중, 김승준, 김일†, 김한희†, 남기원, 서광재, 한석규, 한택심, 한호웅, 홍성헌
김순영, 김은아, 문선희, 박미선, 이연승, 임란, 조유연, 조진숙
제23기
(1992)
구자형, 김관진†, 김소형, 서윤석, 성완경, 손선근, 오인성, 이승주, 장호비, 전인배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박성현, 배정미, 서민이, 송민경, 안소연, 양정애, 오세윤, 오수경, 이선, 정미경, 홍성희
제24기
(1994)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김수진, 김진주, 박형욱, 신영애, 신혜경, 이용순, 이윤수, 이윤정, 이태경, 임아영, 장우영, 전유정, 주유랑, 최윤아
제25기
(1995)
김경수†, 김승태, 김우정, 석원희, 이원준, 정훈석, 조영호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제26기
(1997)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정소희, 정현경, 한정미
제27기
(1999)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제28기
(2000)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김명주, 김민아, 김정아, 김혜주, 윤현정†, 이주연
제29기
(2002)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제30기
(2003)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제31기
(2005)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박지윤, 양현, 오인실, 윤승희, 이승주, 홍선영
제32기
(2006)
김석환, 남도형, 백승철, 이병용, 장민혁, 정형석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제33기
(2008)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제34기
(2009)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제35기
(2010)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제36기
(2011)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제37기
(2012)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제38기
(2013)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제39기
(2014)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안세미, 이슬
제40기
(2015)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제41기
(2016)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제42기
(2017)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제43기
(2018)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제44기
(2019)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제45기
(2020)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제46기
(2021)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제47기
(2022)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제48기
(2023)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제49기
(2024)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한다.}}}}}}}}}
}}} ||
정동환
鄭東煥 | Jung Dong-hwan
파일:배우정동환.jpg
<colbgcolor=#383b40><colcolor=#ffffff> 출생 1949년 8월 5일 ([age(1949-08-05)]세)
전라북도 김제군[1]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가족 아버지, 어머니, 배우자 정윤선, 아들, 딸 2명
데뷔 1965년 연극 <동이 틀 때>
1973년 DBS 성우극회 6기
학력 중동고등학교 (졸업)
서울연극학교 (연극과 / 졸업)
종교 개신교

1. 개요2. 생애3. 활동4. 출연작
4.1. 드라마/시트콤4.2. 영화4.3. 연극
5. 사건사고6.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탤런트, 연극 배우, 교수.

2. 생애

중동고등학교 재학시절 연극반 활동을 하며 대한민국학생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고, 서울예술대학교의 전신인 서울연극학교에 입학했다. 가정 형편상 연극만으론 학비와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어 자원입대하여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1969년 연극 <낯선 사나이>로 정식 데뷔했다.

1973년 1,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DBS 6기 성우에 합격했고, 거의 1년쯤 성우로 일하다 연극연기와 연극연출을 하기 위해 사직했다.

1974년 일본 오키나와에 있는 연극학교에 가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로 일하며 돈을 벌고 연극 무대에 섰다. #

1975년 한국으로 돌아와 <마의태자> 등의 연극에 출연하며 흥행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생활고에 시달려 다시 일본 사탕수수 농장에서 노동자로 일했다.

1982년 후술할 스캔들로 인해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낮에는 '리 스트라스버그 시어터 인스티튜트' 연기학교에서 공부하고, 밤에는 빌딩 청소 일을 했고, 1985년 출연정지가 풀린 후 귀국했다. #

3. 활동

또렷한 목소리와 중후한 외모를 강점으로 살려 높으신 분들 역할에 특화된 배우이다. 귀티나는 이미지의 소유자로 극중에서 주로 부유하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 캐릭터의 사회적 지위가 최소 중산층. 겉보기에는 상냥하고 교양있지만 알고보면 위선자, 하라구로 속성의 캐릭터를 연기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특유의 인자한 인상으로 선역, 소시민 역할도 많이 맡는다. 상대적으로 악역을 맡는 경우가 많을 뿐, 연기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배우이다. 선역 악역 연기 모두 소화 가능한 몇 안되는 배우다.

공교롭게도 많은 작품에서 본의는 아니었어도 결과적으로는 가족들, 특히 딸들을 힘들게 하는 나쁜 아버지 역할을 연기했다. 여담으로 성유리와는 두 번이나 아버지 관계로 나왔다. 딸에게 상처를 주는 나쁜 아빠 전문배우 정동환. 극 중 자식으로 나오는 배우들이 출생의 비밀이 있는 경우 또한 대다수라서 출생의 비밀 전문배우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 사망전대의 일원이기도 하다.

연극배우로도 유명하다.[2] 2009년 명동예술극장 재개관식에도 연극 배우 자격으로 참석한 바 있으며, 레이디 맥베스, 고곤의 선물, 단테신곡, 오이디푸스 등 다양한 연극에도 출연하여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기사 기사2 그것도 어쩌다 가끔 드라마 쉬면서 나오는 수준이 아니라, 아래에 나오는 수많은 드라마에 출연하면서도 매년 최소 1~2편의 굵직한 연극에 참여하는 다작 배우이기도 하다.[3]

2019년 KBS 연기대상에서 연작 단막극상을 수상했다. 수상 소감 때는 요즘 드라마계가 돈에 매몰된 경향을 안타까워 하면서 KBS의 드라마 정책을 칭찬하는 취지의 말을 남겼다. 영상

4. 출연작

가족을 힘들게 한 가장 역에는 ★표 표시.

4.1. 드라마/시트콤

4.2. 영화

4.3. 연극

5. 사건사고

1982년 동료 연예인이었던 김윤미와의 스캔들이 일어나서 아내에게 고소를 당하고 이혼당했다. 또한 '사회통념에 어긋난다'라는 이유로 무기한 출장정지를 당하고,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서 연기수업을 하던 흑역사도 있다. 이건 1985년 3월에야 해금된다.

6. 여담




[1]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2] 사실 웬만한 중견배우들은 거의 연극으로 데뷔한 경우가 많다.[3] 이게 대단한게 연극이란 장르는 공연 전에 단체로 모여서 연습하고 실제 공연하는 기간까지 따지고 보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특히나 대부분 연극은 주역급에 원캐스팅이다. 그나마 드라마는 출연 분량이 적으면 병행이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그 빡빡하기로 소문난 드라마 제작 환경에서 원로 배우가 연극 일정을 일일이 맞춰가며 드라마를 병행하려면 본인과 드라마 제작사 양 측의 입장에서 결코 보통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연극이나 드라마 출연을 꾸준히 병행단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일이다.[4] '이용무 상장의 직일군관'이다.[5] 해방후에도 일본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 귀화하여 다나카(田中)의 한국 발음인 전중호(田中呼) 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악역을 이어간다.[6] 사실 관계가 들통날까 두려워서가 아니고, 수석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 딸이 힘들고 비전없는 흉부외과에서 고생하기를 원치 않아 막은거였다. 먹고 살기 무난한데다 자신이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내과에 가길 원한 것. 더군다나 막았다기보다도 설득에 가깝다.[7] 원작 이글을 따르다보니 야당 경선에 대한 묘사가 전무하다가 갑툭튀하는게 같다. 이글에서는 미국 공화당의 강경보수 장군 출신 "그랜트" 후보로 주인공의 유도심문에 그대로 낚여 결정적인 인종차별 실언으로 패배하나, 여기서는 매우 깔끔 담뱍하고 문약한 정동환이 전혀 다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장일준이 이기는 방식도 결국 네거티브에 대한 동정표였다. 이러다보니 캐릭터의 위화감이 쩔어준다.[8] 한국에서는 2023년 11월에 개봉하였다.[9] 두번 모두 국립극장 연기이며 사실 정동환은 수십년간 햄릿에 4번 출연 했다. 클로디어스는 6년 전 햄릿역을 맡은 유인촌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