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6:52:38

KBS 연기대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colbgcolor=#ffffff,#1f2023> KBS 연기대상 <colbgcolor=#ffffff,#1f2023> MBC 연기대상 <colbgcolor=#ffffff,#1f2023> SBS 연기대상
연예대상 KBS 연예대상 MBC 방송연예대상 SBS 연예대상
가요제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MBC 가요대제전 SBS 가요대전
}}}}}}}}} ||

대한민국의 드라마 시상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백상예술대상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연기대상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연기대상
}}}
한국PD대상 | ※숨피어워즈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아시아태평양 어워즈 |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아시아 콘텐츠 어워즈 | 청룡시리즈어워즈 | 디렉터스컷 어워즈 | 벡델데이
일회성
tvN10 Awards |
폐지
더 서울 어워즈
* 국제 시상식, ※ 가요 시상식을 겸한다.
}}}}}}}}} ||
KBS 연기대상
파일:2023 KBS 연기대상 이미지.jpg
<colbgcolor=#2459a4><colcolor=#fff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최 KBS 드라마센터
첫 시상 1987년([age(1987-01-01)]주년)
대상 수상자 최수종 (고려 거란 전쟁 / 2023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수상자4. 역대 진행자5. 시청률6. 여담

[clearfix]

1. 개요


KBS에서 연말에 진행하는 연기대상. 매년 12월 31일[1]에 여의도 KBS홀에서 진행한다. 1972년 TV 개국 11주년을 맞아 KBS-TV 소속 연예인을 대상으로 시상하고 이후 라디오 성우부문까지 확대하여 1979년까지 시상한 KBS 연예대상과 이 시상식과 같이 매년 개최한 탤런트 송년대잔치, 이 제도를 이어온 1986년 12월 31일 송년큰잔치 KBS 탤런트 청백전 등이 전신이며, 이때[2]는 시상식 형태가 아닌 청백전 형식으로 노래와 춤 등 장기자랑, 게임 등의 형식으로 진행했다. 그러다 1987년[3]에 KBS 탤런트 연기대상이라는 이름으로 1회가 방송되었다. 당시에는 앞에 한시간 가량은 배우들이 팀을 나누어 나와서 노래와 춤, 짤막한 연극 등의 무대를 선보이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다가 남은 시간 동안 시상식을 하는 식이었다. KBS 연말 시상식의 메인, 즉 본좌로 손꼽히며 3사 연말 연기대상 중에서 가장 평가가 좋고 권위있는 연기대상이라는 평가가 많다.[4][5]

유튜브 KBS 예능 채널과 드라마 채널에서 2019년 11월 6일부터 12월 20일까지 1987~2018년까지 역대 연기대상 방송 영상을 업로드했다.[6]

2.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19 (이전 역사)
문서의 r2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 1987~200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1987~200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2001~201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2001~201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2011~2015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2011~201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2016~2020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2016~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2021~2025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2021~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수상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연기대상/수상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진행자
1987년 허참, 길은정
1988년 임동진, 채시라(탤런트 송년대잔치)
김동건, 구영희(연기대상)
1989년 김동건, 구영희
1990년
1991년 임성훈, 김현주
1992년 송승환, 김성령
1993년 한진희, 김성령
1994년 이상벽, 전혜진
1995년
1996년 김동건, 이금희
1997년 이상벽, 이금희
1998년 김병찬, 김희선
1999년 최수종, 이금희
2000년 최수종, 김혜리(1부), 설수진(2부), 염정아(3부)
2001년 송승환, 이승연
2002년 손범수, 김미화, 이태란
2003년 최수종, 이혁재, 한고은, 공효진
2004년 손범수, 탁재훈, 박선영
2005년 최수종, 탁재훈, 김아중
2006년 류시원, 탁재훈, 최정원
2007년 탁재훈, 이다해
2008년 이덕화, 김경란, 최정원
2009년 탁재훈, 이다해, 김소연
2010년 최수종, 이다해, 송중기
2011년 전현무, 한혜진, 주원
2012년 윤여정, 유준상, 이종석
2013년 신현준, 주상욱, 이미숙(1부), 윤아(2부)
2014년 김상경, 박민영, 서인국
2015년 전현무, 김소현, 박보검
2016년 전현무, 박보검, 김지원
2017년 남궁민, 이유리, 박수홍
2018년 전현무, 유이
2019년 전현무, 신혜선
2020년 도경완, 조보아, 김강훈(1부), 이상엽(2부)
2021년 성시경, 김소현, 이도현
2022년 전현무, 혜리, 정용화
2023년 장성규, 로운, 설인아

5. 시청률

<rowcolor=#ffffff> 연도 1부 2부 3부
2006년 13.5% 16.4% [2부]
2007년 9.5% 12.1% 10.9%
2008년 11.9% 14.8% 12.3%
2009년 13.4% 17.3% 14.1%
2010년 12.8% 15.1% 14.0%
2011년 11.2% 12.8% 11.4%
2012년 14.3% 13.9% [2부]
2013년 9.9% 10.4%
2014년 9.2% 11.6%
2015년 8.7% 9.9%
2016년 15.2% 14.8%
2017년 11.8% 11.9%
2018년 9.6% 10.8%
2019년 10.2% 10.7%
2020년 4.3% 3.0%
2021년 6.3% 6.5%
2022년 5.1% 5.9%
2023년 4.4% 6.3%

6. 여담



[1] 2022년까지는 SBS 연기대상과 날짜가 같았고, MBC 연기대상은 12월 30일에 진행한다. 2023 SBS 연기대상은 12월 29일에 진행되어 2023년에는 SBS, MBC, KBS가 29, 30, 31일에 순차적으로 방영되었다.[2] 1979년 연예대상 폐지 이후 86년까지 탤런트 송년대잔치만 개최[3] kbs 연예상이 끝난 79년 이후 약 10년만에 KBS가 탤런트 및 코미디 연기대상을 각각 제정함.[4] MBC는 원래부터 연기대상이 3사 중 최악이었고, SBS는 최근에 들어서 매년 논란만 많아지고 있고 MBC처럼 더 최악이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역대 대상 수상자를 보면 알겠지만 타사 연기대상에 비해 연기력을 많이 보는 편이다. 물론, 시청률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겠지만 적어도 연기력과 시청률을 종합하여 수여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이와 같은 KBS 연기대상의 전통에 따라 대상을 수상한 대표적인 경우가 2004년의 고두심, 2005년의 김명민, 2010년의 장혁, 2011년의 신하균, 2013년의 김혜수, 2014년의 유동근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배우의 길을 묵묵히 걸어온 중견 배우들에 대한 예우도 타 방송사 시상식에 비해 좋은 편이다.[5] 최근에는 KBS가 다시 근본과 최고의 평을 찾아가고 있고 MBC가 날이 갈수록 나름 평가가 좋아지는 반면, SBS는 반대로 연기대상뿐만 아니라 연말 시상식 및 가요제 모두 최악의 평가를 받고 있다.[6] 몇몇 시상 장면들(1998년 인기상, 2014년 우수연기상 중 장편 드라마를 제외한 나머지)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잘렸다. 그리고 2013년 영상도 갑자기 목록에서 빠졌다.[2부] [2부] [9] 최근에는 대체로 베스트 커플상 수상자들과의 인터뷰 중에 카운트다운에 들어간다.[10] 1997년 수상자는 최수종의 형을 연기했던 유동근이었고, 유동근은 수상자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동생 정태(최수종의 야망의 전설 극중 이름)가 상을 받았으면..."하고 운을 띄우더니, 객석에 앉은 최수종을 지목하며 "최수종!"이라고 외치는 폭풍간지를 보여줬다. 세월이 흘러 2002년에는 거꾸로 전년도 수상자 최수종이 "동생이 형을 진짜로 안아줍니다."하면서 수상자인 유동근의 이름을 호명하며 포옹했다. 가히 폭풍간지. 그리고 이 두 사람은 2024년 현재 KBS 내에서 4회 이상 연기대상을 수상한 단 둘뿐인 배우이기도 하다. 나머지 1인은 고두심. 심지어 2003년 연기대상 때 최우수연기상 시상을 맡은 대배우 이순재 옹이 후보들을 보면서 언급하시길 모두 좋은 연기이지만 최수종씨랑 유동근씨는 상을 너무 많이 타봐서 후보에서 빼야 될것 같습니다(...)고 농담으로 디스당했다. 두 사람 모두 당시 기준으로 이미 대상을 2번이나 수상한 상태였다.[11] 단, 유동근은 정도전 종영 2개월 후 가족끼리 왜 이래에도 출연했었고, 가족끼리 왜 이래도 대상 수상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 만약 가족끼리 왜 이래가 시청률이 높지 않았거나 유동근이 출연하지 않았다면 대상은 정도전의 조재현이 받았을 것이다. 그래서 유동근도 대상 수상 직후 조재현에게 미안함을 표현했다.[12] 사실 왕년에 대상 받아본 후 나이가 들어 중견 배우가 된 배우들 중에는 이런 배우들인 경우가 은근히 많다. 다만 스타급 배우들 중에 이런 사람이 적을 뿐.[13] 문근영은 2008년 SBS 연기대상 출신임에도 2015년에 우수상을 수상했다.[14] 단, 2003년은 예외. 2003년에는 힘찬 현대적인 느낌의 팡파레를 썼고, 심지어 신인상부터 대상까지 모든 수상 부문의 팡파레가 통일되어 있었다! '이 곳에서 들어볼 수 있다'.[15] 참석한 배우들이 객석이 아닌 테이블에 앉게 된 것도 이때부터다. (2002~2015) 그러다가 2016년부터는 지정 객석 착석 방식으로 환원되었다.[16] 다만 2010년 KBS 연예대상에는 연기대상 대상 수상 팡파레와 같은 음악을 썼다. 사실 KBS 연기대상도 2004년과 2006년에는 KBS 연예대상 대상 수상 팡파레와 같은 음악을 썼다. 2011년에는 일렉트로닉풍 음악으로 잠시 바꿨으나, 어색하다는 지적 때문에 2012년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17] 드라마 해신 촬영으로 불참.[18] 2012년에는 대왕의 꿈 촬영 도중 당한 낙상 사고로 인해 수술을 받아서 불참. 게다가 해당 드라마도 실패.[19] 허나 별도로 분리된 역사 문서에서 언급했듯이 이유리의 청소년 연기상 수상은 결코 정상적이라고 할 수 없었다.[20] 3사 연기대상을 포함하면 이미 MBC에서 대상을 수상했다.[21] 가요대축제는 안정적이지만 구성이 너무 지루하며, 연예대상은 딱히 KBS가 최근 들어서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창의력과 제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연기대상보다는 관심을 덜 두고 있다.[22] 유동근은 1997년 용의 눈물, 2002년 명성황후, 2014년 가족끼리 왜 이래 & 정도전, 2018년 같이 살래요로 받았고, 최수종은 1998년 야망의 전설, 2001년 태조 왕건, 2007년 대조영, 2023년 고려거란전쟁으로 받았다. 두 사람 다 넷 중 셋이 사극이다.[23] 2008년의 경우 딱 1명이 예외적으로 서지 않고 자리에 앉아서 김혜자의 수상을 지켜봤는데, 바로 이순재였다. 2018년에는 원로배우 유동근이 다시 수상했는데도 배우들이 앉아 있었고, 2020년 천호진이 다시 수상했을 때에는 코로나 사태 때문에 관객도 없었고 배우들은 대기실에서 각자 기다리다가 수상 호명시에만 나오는 식으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