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 1981 [[대명(드라마)| 대명 ]] | 1982 [[풍운(KBS)| 풍운 ]] | 1983 [[개국(드라마)| 개국 ]] | 1984 [[독립문(드라마)| 독립문 ]] |
1985 [[새벽(드라마)| 새벽 ]] | 1986~1987 [[노다지(드라마)| 노다지 ]] | 1987 [[이화(드라마)| 이화 ]]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 토지 ]] |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 역사는 흐른다 ]] | 1990 [[여명의 그날| 여명의 그날 ]] | 1991 [[왕도(드라마)| 왕도 ]]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 |
1992~1993 [[삼국기| 삼국기 ]] | 1993~1994 [[먼동| 먼동 ]] | 1995 [[김구(드라마)| 김구 ]] | 1995~1996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 ]] | |
1996~1998 [[용의 눈물| 용의 눈물 ]] | 1998~2000 [[왕과 비| 왕과 비 ]] | 2000~2002 [[태조 왕건| 태조 왕건 ]] | 2002~2003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 ]] | |
2003~2004 [[무인시대| 무인시대 ]]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 | 2006 [[서울 1945| 서울 1945 ]] | 2006~2007 [[대조영(드라마)| 대조영 ]] | |
2008 [[대왕 세종| 대왕 세종 ]] | 2009 [[천추태후(드라마)| 천추태후 ]]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 근초고왕 ]]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 광개토태왕 ]] | |
2012~2013 [[대왕의 꿈| 대왕의 꿈 ]] | 2014 [[정도전(드라마)| 정도전 ]] | 2015 [[징비록(드라마)| 징비록 ]] | 2016 [[장영실(드라마)| 장영실 ]] |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 태종 이방원 ]]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 고려 거란 전쟁 ]]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colbgcolor=#815123><colcolor=white>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
방송 시간 | 토요일 / 21:30 | |
방송 기간 | 1991년 10월 12일 ~ 1992년 3월 28일 | |
방송 횟수 | 25부작 | |
장르 | 대하사극 | |
제작 | KBS 자체제작 | |
채널 | KBS 1TV | |
제작진 | <colbgcolor=#815123><colcolor=white> 기획 | 이정훈 |
연출 | 염현섭 | |
조연출 | 김영진 | |
극본 | 이철향 | |
기술감독 | 강부형 | |
조명감독 | 이창근 | |
미술감독 | 오명현 | |
야외촬영 | 성재환 外 다수 | |
편집 | 신현무 | |
음악효과 | 서근식 | |
카메라 | 윤국노 外 다수 | |
원작 | 유안진 저, 소설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
출연 |
[clearfix]
1. 개요
1991년 10월 12일부터 1992년 3월 28일까지 방영된 12번째 KBS 대하드라마. 극본은 이철향, 연출은 염현섭 PD, 조연출은 김영진 PD, 그래픽디자인은 박한영, 편집은 신현무 등이 각각 맡았다.유안진 작가가 1990년에 지은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며, 1919년 8월부터 1990년대 초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잡아 윤석우 교수(정애리 분)를 통해 당대 여성들이 당한 인고의 수난사를 다뤘는데, 특히 일제강점기 때 경상북도 안동 용실마을 윤씨[1]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내침을 당한 심 부인(신혜수 분)[2]과 손녀 유석우의 고된 운명을 통해 역사에 순응하는 나약한 인간군상들의 애환을 다뤘다. 1부는 심씨 부인의 <솔씨절명기>, 2부는 유석우의 얘기로 각각 구성됐다.(동아일보 기사)
방영 당시 미국 조지아 대학교와 플로리다 주 올랜도[3] 등지까지 가서 현지로케 촬영을 하는 등 소소한 화제를 모았지만, 당대 드라마들이 거의 그렇듯 박화수(강석현 분)의 생모 민경숙 역으로 나왔던 최화정은 중년 부인 역에 맞지 않게 젊게 나온다거나, 심씨 부인 역의 신혜수가 노역에 맞게 얼굴은 특수분장했음에도 손이 고와서 무성의한 분장이 지적되기도 했다.
2. 등장인물
- 심씨: 신혜수
- 윤동수: 정동환
- 윤희훈: 나한일
- 윤석우: 정애리
- 윤서훈: 노영국 / 변영훈(청년기) / 이남혁(청소년기) / 정태우(아역)
- 윤달훈: 이병헌[4] / 이정(아역)
- 윤광훈의 아내 / 윤달훈의 아내: 안효진
- 홍씨: 최정원
윤희훈의 후처. - 윤희훈의 어머니: 한은진
- 용 할머니: 김을동
- 윤명훈: 이일웅
윤씨 집안의 집사. - 윤광훈: 최석구
- 후야(윤기후): 김희령 / 박인선(청소년기) / 김민정(어린 시절)
- 김씨: 이영수
후야의 신랑. - 박승: 송승환
- 민경숙: 최화정
박승의 부인. - 박진서: 임동진
윤석우의 남편. - 박진서의 내연녀: 하미혜
- 박미금: 김은진
- 박화수: 강석현 / 이진헌(아역)
박승의 아들. - 소영: 윤유선
박승의 며느리, 박화수의 부인. - 김동선: 송기윤
- 문자: 이미경
- 은숙: 강영아
- 민경숙의 어머니: 윤초희
- 박진서의 누나: 홍영자
- 엄규혁: 민욱
- 쑥 할머니: 최선자
- 의성마님: 안영주
심씨의 어머니. - 심진택: 장기용
심씨의 오빠. - 까치산 주막 아주머니: 문미봉
- 원탁: 안병경
- 윤희훈의 숙부: 양재성
- 윤씨 문중 어른들: 이대로, 이원종, 곽경환
- 의성마님댁 행랑아범: 윤덕용
- 의성마님댁 하녀: 나현희[5]
- 남사당패: 윤성국
- 후야의 유모: 최란
- 후야의 글방 선생: 정소녀
- 송이네: 곽정희
- 분이네: 권은아
- 바우: 이신재 / 이경영(청년기) / 강현종(청소년기) / 정장만(어린 시절)
- 바우네: 천수현
바우의 어머니. - 할아범: 최창호
윤씨 집안의 하인. - 달이: 서영진
바우의 아버지. - 수원댁: 홍여진
- 윤석우의 하숙집 주인: 김복희
- 김씨의 친척: 이기철
- 송이: 강민경
- 윤씨 문중 하인: 한연수
- 황찬규
- 운복: 신성문
- 공이: 문수인
- 장쇠: 권오현
- 농부들(5회): 손호균, 손현주, 양재원
- 의원: 김봉근
- 용실마을 할아버지: 이영
- 산판꾼: 안광진
- 경찰관: 신원균
- 공산당원: 윤진호
- 북한군 장교: 권오성
- 낸시 최: 이경표
- 형사: 장행섭
- 경찰관(16회): 이영재
- 유치원 교사: 주수정
- 김 조교: 김대환
- 문 조교: 이선용
- 용실마을 주민: 봉혜선
- 조교: 심훈보
3. 여담
- 주제가 작곡은 김영동, 연주는 KBS 국악관현악단이 각각 맡았으며, 대다수 사극들처럼 한국민속촌 내에서 주로 찍었다.
- 배우 이병헌의 데뷔작이자 유일하게 출연한 대하드라마이며, 공채 동기인 손현주, 손호균의 무명 시절 출연작들 중 하나였다.
- 현재도 KBS 영상자료실 내에 전편 보존 중이긴 하나, 한동안 재방영이 전무한 탓에 굳이 보려면 KBS 미디어를 통해 비싼 값을 내고 DVD나 USB로 복사 구매해야 했다. 2020년에 담당 연출자였던 염현섭 PD가 유튜브 채널 '염현섭 극장'을 차려 일부 회차 밎 제작 비화 영상을 올렸지만 KBS 측의 저작권 침해 신고 등으로 인해 채널이 내려갔고, 2022년 7월 1일부터 KBS Drama Classic 채널을 통해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했으나 2023년 6월 말 이후 전부 내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