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23:29:13

장필준

장필패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8 김성민 · 11 이강준 · 13 정현우 · 19 김윤하
· 20 조영건 · 22 로젠버그 · 30 주승우 · 31 오석주
· 35 박윤성 · 46 원종현 · 49 김선기 · 50 하영민
· 96 윤현
2군
0 박주성 · 18 장필준 · 40 이우현 · 42 박승주
· 43 조성훈 · 45 박범준 · 48 이종민 · 55 양지율
· 59 김서준 · 62 전준표 · 63 손현기 · 67 김인범
· 68 김연주 · 69 김주훈 · 77 정세영 · 80 박승호
· 82 임진묵 · 83 오혜성 · 84 백진수 · 85 정동준
· 94 박정훈 · 95 윤석원 · 99 김동규 · 00 오상원
· 100 손힘찬 · 101 이준우 · 102 이우석
최종 편집: 2025년 4월 2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 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장필준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퍼스 히트 등번호 45번
맷 에릭슨
(2011-2012)
장필준
(2013-14)
알렉스 버카드
(2014-1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7번
이영욱
(2014)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장필준
(2015)
박제윤
(2016)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6번
윤영수
(2015.9.30.~2015)
장필준
(2016~2020)
이성규
(2021)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3번
이수민
(2020)
장필준
(2021)
이병헌
(2022~)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6번
이성규
(2021)
장필준
(2022~2024)
이재익
(2025~)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18번
지석훈
(2013)
장필준
(2025~)
현역
}}} ||
<nopad> 파일:2025 장필준.jpg
<colbgcolor=#570514><colcolor=#fff> 키움 히어로즈 No.18
장필준
張必峻|Jang Pil-Joon
출생 1988년 4월 8일 ([age(1988-04-08)]세)
충청남도 아산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온양온천초 - 온양중 - 북일고
신체 190cm|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7년 1차 지명 (한화)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LAA)
2015년 2차 1라운드 (전체 9번, 삼성)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산하 마이너 (2009~2011)
[ 펼치기 · 접기 ]
AZL 에인절스 (2009) / Rk
렌초쿠카몽가 퀘이크스 (2010) / A+
오렘 아울스 (2010~2011) / Rk
시더 래피드 커널스 (2011) / A
라스 크루시스 바케로스 (2012)
삼성 라이온즈 (2015~2024)
키움 히어로즈 (2025~)
퍼스 히트 (2013/14)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6년 11월 27일~2008년 11월 10일)
연봉 2025 / 4,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Titanium(Feat. Sia) - 《David Guetta[1]
Voices - 《Jim Johnston》[2]
CCM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3]
종교 개신교
가족 배우자 장하리(2024년 12월 7일 결혼)[4][5]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완 정통파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장필준/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
2017년 2018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장필준 150.gif
150km/h 포심 패스트볼[6]
강력한 패스트볼을 지닌 우완 강속구 투수이다. 포심 패스트볼은 평균 140km 중후반대, 최고 155km/h까지 나오며 약간 솟아오르는 느낌이 있는 수직 무브먼트가 특징으로, 구위는 KBO 리그 기준으로 우수한 축에 들어가며 구속에 비해 확실히 치기도 어렵고, 친다고 해도 정타가 잘 나오지 않는다. 포심 패스트볼의 비중이 약 70%에 육박할 정도로 높고 2017 시즌 K/9이 10.9개일만큼 탈삼진 능력도 뛰어나다. 변화구로는 슬라이더가 약 7.6%, 커브 약 7.8%, 체인지업을 5% 정도 던진다. 2018년에는 슬라이더 비율을 많이 줄이고 70%대의 포심에 15%대의 스플리터와 10% 정도의 커브를 던진다. 다만 아직까지는 패스트볼에 비해 변화구의 구사 능력은 떨어진다는 평.

김한수 시기에는 마무리였으나, 그 이후로 오승환에게 마무리 자리를 넘겨줌과 동시에 제구가 심하게 무너져 에이징 커브를 겪고 있다. 2022년부터 패스트볼 평균구속이 상승해서 150km를 꾸준히 던졌으나 성적은 아쉬웠다.

2017 시즌부터 불펜의 핵심을 차지한 후 두드러지는 점은 첫 이닝, 첫 타자에게는 강하나 다음 이닝에는 약하다는 점.이다. 장필준의 보직은 셋업맨 내지 마무리 투수이지만, 김한수 감독은 자꾸 멀티이닝 세이브[7]로 올리는 것이 보이니 안타까울 따름. 즉, 1이닝을 목표로 삼고 전력투구를 하면서 던지는 타입이다.

4. 여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0000>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1)
민문식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1)
(3명)
김대중
이중화
안성수
(3명)
송진우
장정순
조양근
(3명)
강석천
황대연
진정필
<rowcolor=#000000>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지화동
김성한
양용모 지연규 구대성 길배진
<rowcolor=#ffffff>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rowcolor=#f7000d> 신재웅 홍원기
(고졸)
심광호
이상열
조성희
이성갑
(고졸)
고상천
오주상
지승민
김민규
(고졸)
김재현
임광규
조현수
박정진
(고졸)
문용민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조규수 김태균 신주영 안영명 김창훈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윤근영 유원상 장필준(1)
최진호
박상규 김회성
<rowcolor=#ffffff>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황영국 김범수 김주현 김병현 성시헌
<rowcolor=#ffffff>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차 지명 폐지
변우혁 신지후 정민규(2) 문동주(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국 단위 지명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장태수 구영석(1) 김운영(1) 미지명 강대호(1)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이현택 고장량(1) 박용준 김우현 윤용하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동봉철 박충식 김한수 김영진 박태순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변대수 김수관 권오준 김주찬 김덕윤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조동찬 강명구 윤성환 오승환 차우찬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백정현 최원제 박민규 임진우 심창민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이현동 정현 안규현 장필준 김승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최지광 양창섭 이학주 허윤동 이재희
2022년
김영웅 이호성 육선엽 배찬승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장필준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18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8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2017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7 APBC
선동열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eee> 투수 10 김대현 · 21 박세웅 · 26 장필준 · 27 장현식
28 김윤동 · 29 이민호 · 34 심재민 · 38 임기영
40 박진형 · 46 김명신 · 59 구창모 · 61 함덕주
포수 22 장승현 · 42 한승택
내야수 1 김하성 · 2 박민우 · 6 최원준
7 정현 · 8 류지혁 · 16 하주석
외야수 15 안익훈 · 23 나경민 · 31 김성욱
36 구자욱 · 4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정민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이종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tablebg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2018 아시안 게임
선동열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임찬규 · 30 최원태 · 38 임기영 · 42 장필준
45 이용찬 · 50 박종훈 · 51 최충연 · 54 양현종
57 정우람 · 61 함덕주 · 66 박치국
포수 20 이재원 · 25 양의지
내야수 2 오지환 · 7 김하성 · 8 안치홍
10 황재균 · 13 박민우 · 52 박병호
외야수 17 이정후 · 22 김현수
C
· 31 손아섭
32 김재환 · 58 박해민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정민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이종범
}}}}}}}}} ||

[1] 2021년부터 다시 사용중이다.[2] WWE 레슬러 랜디 오턴의 테마곡이다.[3] 장필준 본인이 구단 측에 CCM을 틀어줄 것을 요청했고, 구단 측에서 후보군 중에서 추린 것이라고 한다.[4] #[5] 삼성 라이온즈 시절 팀 동료였던 최하늘, 양현도 같은 날에 결혼식을 올렸다.[6] 2019년 3월 24일 NC전 장면.[7] 1⅓이닝 마무리로 쓰는 것은 물론이고, 2이닝까지도 맡겨버린다. 이런 김성근식 투수운용으로 스탯이 억울하게 내려간 감도 없지 않아 있다.[8] 장필준의 유니폼 마킹은 17년에서 19년도 사이 쯤에 삼성 라이온즈의 팬들 사이에서 꽤 판매량이 좋았다고 한다. 그래서 마킹킷을 구하지 못하는 팬들이 부지기수였다고.[9] 여담으로 그의 등번호 26번은 오승환이 메이저리그에서 뛰었을 때 달았던 등번호이기도 하다.[10] 부진할 때는 장 피해를 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