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0:08:58

주승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주승우의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주승우/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 박주성 · 8 김성민 · 13 정현우 · 18 장필준
· 19 김윤하 · 20 조영건 · 22 로젠버그 · 30 주승우
· 31 오석주 · 35 박윤성 · 37 이강준 · 40 이우현
· 42 박승주 · 43 조성훈 · 45 박범준 · 46 원종현
· 48 이종민 · 49 김선기 · 50 하영민 · 55 양지율
· 59 김서준 · 62 전준표 · 63 손현기 · 67 김인범
· 68 김연주 · 69 김주훈 · 77 정세영 · 80 박승호
· 82 임진묵 · 83 오혜성 · 84 백진수 · 85 정동준
· 94 박정훈 · 95 윤석원 · 96 윤현 · 99 김동규
· 00 오상원 · 100 손힘찬 · 101 이준우 · 102 이우석
최종 편집: 2025년 1월 14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주승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강윤구 임병욱 최원태 주효상 이정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안우진 박주성 박주홍 장재영 주승우
1차 지명 폐지
(1) 지명 후 미입단
}}}}}}}}} ||

주승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리얼글러브 어워드 로고.png 2022 마구마구 리얼글러브 어워드 리얼글러브 퓨처스리그(고양)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0번
차재용
(2021)
주승우
(2022~)
현역
}}} ||
}}} ||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파일:주승우.jpg
키움 히어로즈 No.30
주승우
Ju Seungwoo
출생 2000년 1월 30일 ([age(2000-01-30)]세)
경기도 의정부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목암초(의정부리틀) - 영동중 - 서울고 - 성균관대(스포츠과학 18)
신체 187cm | 82kg
포지션 투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2년 1차 지명 (키움)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2~)
연봉 2025 / 7,7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G-DRAGON - 《삐딱하게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가족 부모님, 여동생, 남동생 주승빈
MBTI ENTJ
}}}}}}}}} ||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주승우/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주승우152투심.gif
152km/h 투심
파일:주승우슬라.gif
137km/h 슬라이더
파일:주승우포크.gif
140km/h 포크볼

상당히 와일드한 투구폼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148km/h, 최고 152km/h의 투심 패스트볼과 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 포크볼로 승부하는 우완 정통파 투수이다. 커브도 장착하고 있으나, 사용 횟수 자체가 드물다. 위닝샷은 140km/h를 찍는 포크볼이다.

프로에 와서 선발 도전을 위해 간결하게 폼을 수정했었으나, 구속이 떨어지고 성적이 좋지 않자 24시즌 대학교 때의 폼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고, 구속과 제구 모두 좋은 모습을 보이며 히어로즈의 차기 마무리로 낙점 받았다.

부진할 때 사사구가 많다기 보단 피안타가 많은 유형의 투수이다. 특히나 포심이 구속은 빠르지만 회전효율이 좋지않아 무브먼트가 빈약한 편이었고, 이에 피안타율이 높아지며 2024시즌 중반에 난타당했다. 이후 2024년 7월부터 포심의 구사율을 낮추고 투심을 장착하며 변화를 도모했는데 투심의 구속이 포심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모습을 보이며 다시금 활약하고 있다.

마무리 투수로 보직을 변경한 후, “너무 쫄깃한 것 같다. 대학교 때도 해봤지만 확실히 보는 사람도 많고 긴장도도 올라가긴 하는데, 그걸 각성제 삼아 던지려고 한다"라고 밝히기도 하며 딱 마무리 스타일의 멘탈인걸 드러냈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2024년엔 마무리 투수를 맡았고 2025년에는 기존 마무리 조상우의 부상 복귀로 내 줄 예정이었으나, 조상우는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 되었고, 키움에서는 주승우와 이강준을 후보로 내정한 상태이다. 즉 2025년에도 마무리 투수를 맡게 될 지는 미정상태이다.[2] 거기다가 최원태는 본인의 롤모델인데다가 병역 혜택까지 받으면서 자리를 비울 일도 없어 보인다. 그런데 최원태가 트레이드되면서 달 가능성도 높아졌다.[3] 게다가 자신의 롤모델이니 더더욱 그렇다.[4] 현재 30번의 경우 차재용의 방출로 사용이 유력하지만, 61번의 경우 김정인이 사용 중이었으나 55번을 사용 중인 양기현과 번호를 맞바꿨다. 하지만 양기현도 15번으로 바꾸면서 61번의 주인이 장재영이 되었다.[5] 30번은 최원태가 2018년에 대표팀에서 달기도 했었다. 그 때의 20번은 이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