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5:59:16

장재영(야구선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장재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8 김성민 · 11 조상우 · 19 김윤하 · 21 문성현
· 28 김재웅 · 30 주승우 · 38 이명종 · 49 김선기
· 50 하영민 · 54 헤이수스 · 62 전준표 · 67 김인범
· 75 후라도 · 95 윤석원
2군
20 조영건파일:부상 아이콘.svg · 31 오석주 · 39 오상원 · 42 박승주
· 43 김동규 · 46 원종현파일:부상 아이콘.svg · 55 양지율 · 58 정찬헌파일:부상 아이콘.svg
· 59 노운현 · 60 김동혁 · 61 장재영파일:부상 아이콘.svg · 63 손현기
· 65 김동욱 · 66 이종민 · 68 김연주 · 91 주승빈
· 93 김준형 · 99 윤정현 · 00 박윤성 · 01 이우현
· 02 김주훈 · 04 박범준 · 05 박승호 · 100 조성훈파일:부상 아이콘.svg
2024년 4월 23일 경기 기준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입대선수등록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장재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2010년(1) 2011년(1) 2012년(1) 2013년(1)
강윤구 김건태(1) 윤지웅(1) 한현희(1) 조상우(1)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임병욱 최원태 주효상 이정후 안우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1)
박주성 박주홍 장재영 주승우 김건희(1)
2024년(1)
전준표(1)
김윤하(1)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포수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내야수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외야수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투타겸업 16 장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병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강'''
# 중도 귀국 선수 }}}}}}}}}

장재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svg
{{{#FFFFFF 2020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s-4|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강태경
(배명고등학교)
장재영
(덕수고등학교)
권우재
(마산고등학교)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59번
신효승
(2019~2020)
<colbgcolor=#B07F4A><colcolor=#FFFFFF> 장재영
(2021~2022.4.4)
주효상
(2022.10.7~2022)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61번
양기현
(2022~2022.4.4.)
장재영
(2022.4.5.~)
현역
질롱 코리아 등번호 16번
김주형
(2019-20)
장재영
(2022-23)
팀 해체
}}} ||
}}} ||
파일:장재영.jpg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61
장재영
張裁榮 | Jang Jaeyoung
출생 2002년 6월 20일 ([age(2002-06-20)]세)[1]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갈산초 - 서울신월중 - 덕수고
신체 188cm | 83kg | O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1년 1차 지명 (키움)
소속팀 키움 히어로즈 (2021~)
질롱 코리아 (2022/23)
연봉 2024 / 4,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위대한 쇼맨 OST - 《The Greatest Show》 (2023~)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가족 <colcolor=#373a3c,#ddd>아버지 장정석(1973년생), 어머니 유승아(1972년생), 누나, 남동생 장재혁
MBTI ESFP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후원사 나이키
}}}}}}}}} ||
파일:키움 히어로즈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완 투수. 무려 9억원의 계약금[2]을 받고 입단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장재영(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피칭 스타일

파일:62565678-E845-4765-A30B-5329DDAD19B4.gif
포심 패스트볼
파일:C902EEB5-EFBA-42F0-A509-1F3A4092CA11.gif
슬라이더
최고 157km/h[3], 평균 140km/h 후반의 포심 패스트볼과 빠르면서도 변화 폭이 큰 평균 130km/h 후반의 종슬라이더와 너클 커브를 결정구로 사용하는 3피치 정통파 강속구 투수.
파일:개아섭삼진.gif
슬라이더-커브-포크
패스트볼은 말할 것도 없고 변화구의 구질도 높게 평가받는데 슬라이더는 커브 같은 낙차를 보이며 존 바깥으로 휘게 던질 수 있다. 결정구인 너클 커브는 낙폭도 큰 데다가 휘는 속도도 빨라, 타자들이 상대하기에 매우 까다롭다. 또한 189cm의 준수한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한 군더더기 없는 폼에 장착된 디셉션은 빠른 구속을 뒷받침해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제구력은 고교 시절부터 문제로 지적됐었다. 고교야구는 프로에 비해 넓은 스트라이크 존임에도 이닝 당 볼넷 갯수가 상당히 많았었다.[4] 당장 팀 선배인 조상우도 고교 시절 제구 문제가 있었으나 프로에서 성공적으로 제구를 잡은 케이스이니 팀내에서는 조상우처럼 제구 되는 투수로서 가급적이면 선발로 뛰어주길 바라는 중이다.[5]

문제는 드래프트 이후 성장세가 기대치에 비해 매우 더디다는 것. 고교 시절 최고 157km/h를 던졌기에 얼마 안 가 160km/h를 손쉽게 던질 것이라 예상됐었지만[6] 막상 고교 시절에 비하면 구속 상승폭도 그리 크지 않고 프로에 와서 제구를 잡는답시고 구속을 줄였으나 제구 불안은 여전한데 공의 위력만 떨어져서 그의 몇 안되는 장점인 구위마저 사라진 심각한 상황이다. 향후 고교 시절의 기대치에 걸맞는 활약을 하기 위해선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이사항으로 타격에서도 재능이 뛰어나다. 국가대표로 승선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는 투수가 아닌 야수로 승선을 했다. 당시의 포지션은 1루수. 내야수로 승선을 했다고 한다.# 야수로 승선을 했다는 것은 그만큼 타격으로서도 뛰어나다는 것이다. 일단은 투수 장재영으로 지명을 했으나, 선수의 의지에 따라서 야수로 뛸 가능성도 있다. 애초에 아버지 장정석은 타자 쪽 재능을 더 높이보고 프로에서 타자 전향을 권했으나 본인이 투수를 강하게 원했다고 한다. 덕분에 가끔 처참한 투구를 할 때면 어깨 하나는 보장됐으므로 야수전향을 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팬들 사이에 분분하다.

결국 2022/23시즌 질롱 코리아에서 투타 겸업에 도전했다. 키움 구단과 협의하여 결정한 것으로, 등판이 없는 날은 타자로 출장할 예정이다. 하지만 6타석에서 안타 하나 못치고 투타 겸업은 마무리했고, ABL 6R 최고투수로 선정되면서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음력으로 5월 10일 네이버 프로필에도 2021년 3월 30일 본인 참여로 출생일이 음력 5월 10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양력 5월 10일을 생일로 생각하는 것 같다. 2021년 5월 9일에 인스타로 생일 카운트다운을 하고 5월 10일에 생일 케이크를 들고 찍은 스토리가 올라왔기 때문이다.[2] 신인 계약금 역대 2위. 참고로 1위는 아직도 깨지지 않은 10억을 받은 한기주인데, 사실 한기주 지명 당시와 장재영 지명 당시의 물가를 비교한다면 현재 물가로 한기주는 무려 20억원 이상 받은 셈이다.[3] 현재 프로에서의 최고구속은 156km/h.[4] 43BB 71K.[5]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기대치일 뿐으로, 사실 장재영이 고교 3년 동안 선발투수로 뛴 적은 고작 5번 뿐이다. 고교야구에서 투구 수 제한이 강화되면서 선발투수가 사실상 경기에 가장 먼저 나오는 투수 정도가 되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하지만. 다만, 이런 경우는 의외로 흔한데, 추신수, 채태인, 이승엽, 이대호 또한 본래는 투수였다가 야수로 전향한 케이스이다. 포수였다가 투수로 전향한 케이스는 김재윤, 나균안이 있고, 외야수로 뛰다가 강견 때문에 투수로 포변한 알렉시 오간도가 있다.[6] 이후 고교 시절 최고 구속이 154km/h였던 한 살 밑의 문동주한화 이글스 입단 후 구속이 부쩍 늘어 160km/h를 갱신했다.[7] 여담으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1살 연상이라고 한다. 즉 어머니가 아버지의 학교 1년 선배.[8] 김재현의 말에 의하면 장재영이 본인을 깨우러 왔을때 장정석 감독님이 깨우는 줄 알고 화들짝 놀라 일어났다고 한다.[9] 야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장정석 前 키움 히어로즈 감독의 별명 '바지'를 귀여운 애칭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은데, 사실은 조롱의 의미가 담긴 별명이다. 물론 장정석이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조롱의 의미는 어느 정도 사라졌다.[10] 오재영(오주원), 신재영의 사례 참조. 실제로 오재영은 2004년 신인왕을 탄 후 한동안 고생을 해서 결국 2016시즌 도중에 오주원으로 개명을 했다.[11] 워터마크로 미루어 페이스앱으로 나이 조작을 한 듯. 장 전 감독의 히어로즈 프로필 홈페이지 캡처가 남아 있어 쉽게 비교할 수 있다.[12] 부문 별로 한 시즌 가장 실망스러운 선수를 선정(정작 본인도 실망을 안겨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