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1 00:40:34

비블리오테케

비블리오테카에서 넘어옴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카타프락토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마니아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아스 · 두폰디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데나리우스 · 안토니니아누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Βιβλιοθήκη [Bibliothēkē][1]
Bibliotheca라틴어[2]

1. 개요2. 저자3. 특징4. 본문

1. 개요

그리스 신화의 고대 모음집. 1세기2세기 사이에 쓰여졌다고 추측된다.

한국에서 그리스어 원전 번역으로는 천병희 번역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와 강대진 번역 『그리스 신화』가 있다.

2. 저자

흔히 아폴로도로스의 《도서관》이라고 불리지만, 저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오랫동안 호메로스 서사시를 연구했던 고대의 권위자인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밑에서 수학한 제자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기원전 2세기)를 저자라고 여겼다. 그러나 도서관 원문 안에는 기원전 1세기 사람 로도스카스트로가 쓴 내용이 인용되었으므로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는 결코 저자일 리가 없다.

따라서 저자가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고, 보통 아폴로도로스나 위(僞)Pseudo-아폴로도로스라고 언급한다.

3. 특징

히기누스의 《이야기[3]처럼 하나의 사건을 주제로 집필된 서사시비극이 아닌 그리스 신화 전체를 기록한 자료집이다.

방대한 전승을 문학적 수식 없이 매우 압축적으로 무미건조하게 설명하는 게 특징이다. 때문에 일리아스오뒷세이아 같은 '읽는 재미'는 떨어지지만,[4] 이 압축된 설명 속에서도 신기하게 있을 내용은 다 있다.

이러한 특성들 때문에 그리스 신화의 중요한 원전 문헌으로 취급되고[5] 백과사전 같은 자료집으로서는 최고의 선택이다.

4. 본문

현전하는 본문은 제3권에서 테세우스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끝나버리고, 본문의 뒤쪽은 소실되었다. 그런데 19세기 말에 비블리오테케의 요약본 사본이 두 개 발견되었다. 이 때문에 비블리오테케 3권 뒤에 요약본의 해당 본문을 「요약집」Epitomē이라는 이름으로 마치 비블리오테케 제4권처럼 붙여 출판하기도 한다.

강대진 번역과 천병희 번역엔 둘 다 「요약집」Epitomē이 제4권처럼 붙어 있다.

[1] 도서관이라는 의미다. 이 책의 문맥에선 '이야기 보따리' 정도의 의미이다.[2] 강대진 번역에선 원서 이름을 '비블리오테카'로 표기한다. "그리스어 고전에 웬 라틴어냐?"란 의문이 들법도 하지만, 라틴어 제목이 서구권에서 통용되는 이름이기도 하고, 사실 고대 그리스에서도 "어미가 a냐 ē냐" 같은 문제는 그냥 방언 차이로 봤다. 가령 라케다이몬은 앗티케에선 '스파르테'로 불렸고, 당사자들에겐 '스파르타'로 불렸다.[3] 히기누스가 기원전 64년에 태어나서 17년에 죽었기에 집필 시기는 이야기 쪽이 확실히 더 먼저이다.[4] 심지어 원문엔 접속사가 거의 δέ(그리고, 그런데)와 καί(그리고)뿐이다. 한국어판 번역자들도 이것만큼은 도저히 참을 수 없었는지, 강대진과 천병희 둘 다 접속사는 읽을 만하게 수정해서 번역했다.[5] 다만 서사시 시대도 고전기 시대도 아닌 헬레니즘 시대의 문헌이니, 유사하지만 다른 내용이 더 오래된 문헌에 나올 경우엔 비블리오테케의 권위가 밀린다. 비블리오테케는 어디까지나 '전대의 전승을 충실히 모인 자료집'로 봐야지, 원천 그 자체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