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3:52

로마 가도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파일:투명.png파일:로마 제국 깃발.svg파일:투명.png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알타바 왕국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테오도로 공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프라이펙투스 우르비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쿠르수스 호노룸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푸블리카니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라티푼디움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리미타네이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 타그마 · 불사 부대 · 바르다리오타이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투르코폴레스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문화 라틴어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경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명상록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군사학 논고 · 수다 · 제국의 통치에 관하여 · 알렉시아스
건축 경기장 (아레나 \[베로나 아레나] · 콜로세움 · 키르쿠스 막시무스) · 궁전 (팔라티노 황궁 · 펠릭스 로물리아나) · 동상 (바를레타의 거상) · 로마 가도 (아피아 가도 · 플라미니아 가도) · 무덤 (아우구스투스 영묘) · 성벽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 하드리아누스 방벽 · 안토니누스 방벽) · 성채 (산탄젤로 성) · 수도교 · 인술라 · 종교 시설 (성묘교회 · 아야 소피아 · 판테온) · 포룸 (포로 로마노)
도시 유적: 다라 · 두가 · 두라 에우로포스 · 렙티스 마그나 · 마다우로스 · 마크타르 · 메리다 · 베트셰안 · 부스라 · 불라 레기아 · 사브라타 · 샤흐바 · 셀축 · 셰르셸 · 수사 · 수페툴라 · 시데 · 아스펜도스 · 아파메아 · 아프로디시아스 · 안티오키아 · 엘젬 · 엘케프 · 우티카 · 움카이스 · 제라시 · 제밀라 · 카나와트 · 카이사레아 · 크산투스 · 테베사 · 티파자 · 팀가드 · 폼페이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창작물 동로마 제국/창작물 }}}}}}}}}


viae Romanae[1]

1. 개요2. 건설 목적과 건설 주체3. 가도의 건설4. 튼튼한 내구도를 가진 편리한 교통의 중추5. 주요 가도
5.1. 이탈리아의 주요 로마 가도5.2. 이탈리아 이외 지방의 주요 로마 가도
6. 함께 보기

1. 개요

파일:Ancient_Roman_road_of_Tall_Aqibrin.jpg 파일:3b52604db4b4b66ef56c27765913a2f8.jpg
<rowcolor=#fbe673> 터키안타키아(안티오크)의 로마 가도 레바논의 유서 깊은 도시 수르(티레)에 남아 있는 로마 가도
로마 가도는 로마 제국군단의 빠른 이동을 위해 만든 길로 길의 대부분이 마름돌로 만들어져 있다. 고대 로마의 도로는 로마가 가진 건축 문화의 정수로 평가 받는다. 자세한 부분은 로마의 건축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가도는 고대 로마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차이점은 로마 가도는 사람도 다닐 수 있다는 것과 통행료를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기원전 300년 무렵부터 로마 공화국로마 제국이 확장, 통합되는 과정에서 건설되었다.

2. 건설 목적과 건설 주체

가도를 놓은 첫 번째 목적은 '군대를 원활하고 빠르게 파견하기 위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도의 여왕이라 불리는 아피아 가도는 처음에는 카푸아까지였으나, 이후 로마가 이탈리아 반도 전체를 장악하게 되면서 브린디시까지 연장되었다.

두 번째는 '물류 이동'이다. 대표적인 예가 일명 아예 가도 이름이 '소금 길'인 살라리아 가도.

보통 이런 도로 계획을 짜는 사람은 재무관인데, 이를 기리기 위해 초기 가도의 명칭은 보통 해당 가도를 계획한 사람의 이름을 따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가도는 주로 로마 군단병들이 만드는데, 이 또한 명예로운 일로 여겼다. 어떤 군단병들이 이 가도를 만들거나 수리했는지 등을 기념하는 비석을 옆에 세웠을 정도. 그리고 이 특성을 따, 문명 5 로마의 전용 유닛인 군단병은 가도 제작 기능이 있다.

3. 가도의 건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0214c89151ae646c5fc1317f3594deaf.jpg
파일:external/book.interpark.com/jpseo71_3758953910.jpg
로마 가도의 건설방법


로마 가도는 단단한 돌과 각종 건축 재료를 동원해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졌다는 게 특징이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탈리아의 로마 가도에 대한 설명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로마 제국의 도로에 대한 기록은 3세기 말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당시의 것으로 당대의 가장 큰 도로는 29개로, 제국의 113개 속주에서 국영도로(간선도로)는 총 372개로 도로 길이를 합치면 8만 5천㎞에 달했다. 또, 로마제국의 포장된 간선도로 총 길이는 8만 5천 ㎞지만[2] 지선도로(支線道路)까지 합치면 40만 ㎞ 이상에 달했다. 물론 도로건설 기술이나 경제력에서 각 지역마다 차이는 있었다. 주요 도로나 보조 도로는 둘 다 포장되거나 북아프리카의 경우처럼 자갈이 깔린 비포장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런 비포장 도로는 자갈 도로(viae glareae 또는 sternendae)라고 하였다. 보조 도로 다음으로는 흙길(viae terrenae)도 있었다. 로마의 도로에는 말 두 마리 마차를 기준으로 해서 마차의 수레에 맞는 홈을 파기도 했는데, 이를 두고 훗날 철도의 표준궤의 기준이 되었다고 하나 여기에는 설이 분분하다. 표준궤 문서 참고.

로마 도로의 최소 폭은 직선 구간에서 2.45 m, 굽은 구간에서는 4.9 m였다. 포장도로에는 잡석을 깐 노반을 깔았으며, 밑에 여러 층을 두어 기반을 단단히 다지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며 돌과 잡석 사이로 물이 빠져나가 진창길이 되지 않도록 막았다. 사람이 다니는 보도는 양 옆에 깔고 우마차가 다니는 차도를 중간에 두어 경계석까지 깔았다. 또한 경계석 옆으로 배수로 파놓고 도로도 정 중앙을 살짝 높여서 배수로로 배수가 잘 되도록 설계했다.
1990년 기준 미국의 총 도로망은 8만 8천㎞에 달했는데 로마제국이 가장 넓은 국토를 지니고 있을 당시의 총면적은 약 500만 ㎢로 현대 미국의 영토 절반보다 좀 큰 정도 였다. 다시 말하면 로마제국의 영토는 미국보다 작았음에도 총 공도 연장길이는 1990년 당시 미국과 거의 비슷했다. 로마제국 당시 인구는 많이 추산해서 8천만~1억에 불과했으나, 미국 인구는 3억 정도인데, 3세기 당시 로마제국의 총 도로 연장길이가 20세기의 미국과 거의 동일했다는 점이야말로 로마제국의 도로가 얼마나 광대하게 정비되었던가를 잘 보여주는 비교라고 할 수 있다.

4. 튼튼한 내구도를 가진 편리한 교통의 중추

파일:external/www.ablogabouthistory.com/1147270_68411634.jpg

로마의 가도들은 진짜로 틈 따윈 존재하지 않았다. 중세를 거치면서 사람들이 마구잡이로 돌을 빼갔음에도 아직도 모양새가 상당히 그럴싸하다. 처음부터 수리를 자주 하지 않아도 도로가 오래 기능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기나긴 세월을 거처 남은 돌덩이도 풍화되었을 터임에도 비교적 돌 도둑이 적었던 가도들은 옛날 모습이 지금 모습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꽤 멀쩡하게 생겼다. 대부분 이탈리아의 간선 국도는 물론 예전 로마 제국 땅이던 곳 역시 로마의 가도에 아스팔트나 철도만 깔고 쓸 정도이다.

가도는 군대, 관리, 민간인, 제국 내 연락망, 무역 상품의 효율적인 육로 수송을 제공하였다. 로마의 길은 작은 지방 도로에서부터 도시, 주요 도시, 군사 기지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광범위하고 장거리 고속도로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가 있었다. 이 주요 가도는 종종 돌로 포장되고 금속으로 처리되었고, 배수를 위해 경사가 있으며 보행자 길, 교각, 배수 도랑이 측면에 있었다. 가도는 정확하게 조사된 코스를 따라 놓였고, 일부는 언덕을 관통하거나, 강과 계곡에서 교량으로 통과했다. 부분적으로 뗏목이나 습한 땅 위에 기초를 쌓아 지지했다. 당대 로마의 가도는 전세계 어느 지역을 둘러봐도 비길만한 곳이 없을 정도로 매우 선진적인 도로 체계에 속했으며 이용객들에게 쾌적함을 제공했다.[3]

때문에 2세기 이레네오는 "로마인들은 세계평화를 이룩했고, 우리는 도로를 따라 바다를 건너 우리가 가고 싶은 곳은 어디나 두려움 없이 갈 수 있다."라고 했다. 17세기 프랑스 시인 라 퐁테뉴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잘 정비된 로마 가도는 로마 제국이 다른 국가보다 물류와 사람이 원활하게 이동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로마 가도는 수천 년 동안 로마의 영토였던 곳에서 주요 도로망으로 기능했고 지금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전술했듯이 현재의 이탈리아 도로 가운데서도 로마 가도를 이용한 부분이 꽤 있다.

고대 로마에서 구축한 로마 가도의 전체 지도를 알고 싶다면 이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기타 현대 로마가도들의 모습들과 지도들

5. 주요 가도

5.1. 이탈리아의 주요 로마 가도

파일:apia via.png
아피아 가도

  1. 살라리아 가도: 로마→아스콜리피체노→포르코다스콜리
  2. 라티나 가도: 로마→카푸아
  3. 아피아 가도: 로마→브린디시
  4. 발레리아 가도: 티볼리→코르피니오→아트리 페스카라
  5. 클로디아 가도: 로마→사트루니아
  6. 카이킬리아 가도: 라킬라→줄리아노바
  7. 옛 아우렐리아 가도: 로마→안세도니아(코사)
  8. 미누키아 가도: 베네벤토→브린디시
    이 가도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때 전면 개조가 되어 이름이 아피아-트라야나 가도로 바뀐다.
  9. 플라미니아 가도: 로마→리미니
  10. 아이밀리아 가도: 리미니→피아첸차
  11. 플라미니아 가도: 아레초→피렌체→볼로냐
  12. 카시아 가도: 로마→아레초
  13. 안니아 가도: 볼로냐→아퀼레이아
  14. 포스투미아 가도: 제노바→베로나→아퀼레이아
  15. 포필리아 가도: 리미니→아르티눔
  16. 안니아 가도: 카푸아→레조칼라브리아
  17. 새 아우렐리아 가도: 안세도니아(코사)→포플로니아
  18. 에밀리아 스카울리 가도: 포플로니아→제노바
  19. 발레리아 가도: 메시나→팔레르모
    이 가도는 시칠리아 섬에 있다.

5.2. 이탈리아 이외 지방의 주요 로마 가도

  1. 도미티아 가도: 제노바[4]→나르본
    남프랑스를 가로지르는 가도다.
  2. 에그나티아 가도: 디라키움→마케도니아 지방
    아피아 가도의 종점인 브린디시에서 배를 타면 디라키움에 도착한다. 에그나티아 가도는 그 디라키움에서 시작된다.

6. 함께 보기


[1] 고전 라틴어로 '비아이 로마나이', 단수로는 비아 로마나(via Romana)[2] 예컨데 갈리아에서만 21,000 ㎞ 이상의 도로가 개선되었고, 브리타니아에서는 최소 4천 ㎞ 도로가 개선되었다고 한다.[3] 비슷한 시기 강대국인 중국 한나라에는 비포장도로만 3만 5천 km가 있었고, 포장도로는 전무했다.[4] 제노바가 확실한지는 모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