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47:55

불멸의 이순신/유튜브 스트리밍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불멸의 이순신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등장인물 (전라좌수영) · 평가 · 시대 구현 오류 · 유튜브 스트리밍
}}}}}}}}}}}} ||

파일:KBS Drama Classic 로고(테두리).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D7E1 0%, #CFD7E1 100%); color:#392B1E;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연속 무료 스트리밍
특징 · 드립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독립문서

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 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 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 파일:무인시대 로고.png ·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 파일:대조영 로고.png · 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 파일:징비록 로고.png
}}}}}}}}}}}} ||


1. 개요2. 특징3. 역사4. 별명5. 드립

1. 개요

2020년부터 유튜브 'KBS Drama Classic' 채널에서 진행하는 KBS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의 연속 무료 스트리밍에 대해서 다룬 문서.

2020년 9월 4일 1번째 스트리밍을 시작하여 2023년 12월까지 14회 스트리밍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태조 왕건'에 이어서 유튜브 스트리밍 방영 2위로 '대조영'과 동률[1]이다.

2. 특징

태조 왕건, 대조영과 더불어 KBS Drama Classic 채널 연속 무료 스트리밍 사극들 중 스트리밍 횟수와 평균 시청자 수가 TOP 3을 차지하고 있는 인기 사극이다. 특히 'KBS Drama Classic'의 연속 무료 스트리밍 시작을 알린 드라마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작품이다.[2]

이 작품이 가지는 대표적인 특징은 특정 장면 별로 시청자 수의 편차가 매우 심한 편이라는 것인데, 임진왜란의 주요 해전(한산대첩, 명량해전) 장면에서는 시청자 수 상승 폭도 굉장히 높고 높은 시청자 수를 기록하는 편이지만[3], 반대로 이순신의 어린 시절부터 곤양 수련 시기까지의 극 초반부와 이순신이 고난을 겪는 백의종군 에피소드에서는 시청자 수가 잘 나오지 않는 편이다. 백의종군 에피소드는 워낙 고구마 에피소드인데다가 이순신을 모함하는 선조, 윤두수, 원균 등의 행동이 너무나도 비호감이고 답답해서 도저히 못보겠다는 사람들이 많지만, 명량해전이 코 앞인데다 이미 주요 해전 등으로 시청자 수가 쌓인 상황이라 그렇게 티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순신의 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을 다룬 극 초반부는 시청자 수가 1,000명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할 정도로 시청자 수의 편차가 매우 큰 편이다.[4]

2024년 3월 KBS 사극 무한 스트리밍에서는 지난 2014년에 방영되었던 축약본인 '다시보는 불멸의 이순신'이 스트리밍되었는데, 반응은 그다지 좋지는 못하다. 풀버전이 아닌 축약본이라는 점, 특히 초반에 나오는 신병주 교수의 코멘터리 부분에서는 "역사 강의를 듣는건지 모르겠다", "역사스페셜이다" "지루하다" 등과 같은 반응이 많아 시청자 수가 그다지 많이 나오지는 못하는 편이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유튜브 스트리밍/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재까지 방영된 사극 중에서 몇 안 되는 장편[5]이며, 유튜브 스트리밍도 현 시점에서 태조 왕건을 이어서 많이 방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역사도 길어서 별도 문서에서 정리한다.

4. 별명

<태조 왕건>, <무인시대>, <야인시대> 등 타 유명작에 출연한 배우가 많아서 그 배역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3차 스트리밍 이후에는 <제국의 아침>, <대조영>에 출연한 사람들의 별명이 재유입 되기도 하였다.

5. 드립



[1] 특히 2023년 11월과 12월은 나란히 편성했다.[2] 2020년에 스트리밍을 시작하고 나서 초반 3달 동안은 현대극만 스트리밍 했었으나, 2020년 9월 최초로 사극 스트리밍을 시작한 첫 작품이 바로 본 작품이다.[3] 총 스트리밍 최고 시청자 수 2위의 기록도 바로 명량해전 상황에서 나왔으며, 당시 주말 새벽 시간이었음에도 가파른 시청자 수 상승폭을 보이며 기록했던 특징이 있다.[4] 이 파트에 경우 이순신, 류성룡, 원균이 어릴 때부터 형, 동생하던 사이라는 해괴한 창작 설정을 넣었는데, 그 이유는 하필 자문가랍시고 부른 사람이 원균을 신봉하는 사이비 광신도였기 때문에 원균이 이순신보다 우월한 것처럼 묘사한 것이 시청자들이 짜증나서 대부분 외면하기 때문이다. 물론 실제 이순신의 어린 시절과 무과 급제 이전 청년기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5] 2023년 현재까지 KBS 대하드라마 회차 최대는 '태조 왕건'(200회)이며, 그 뒤를 이어 '왕과 비'(186회), '용의 눈물'(159회), '무인시대'(158회), '대조영'(134회), '불멸의 이순신'(104회), '토지'(103회) '찬란한 여명'(100회)이 100회 이상 방영되었다. 주로 1990년대 중후반에서 2000년대 초중반의 대하드라마들이며 '대조영' 이후로는 100회를 넘은 작품이 없다.[6] 작중 청향과 시국을 논하는 장면이 종종 나오는데 하필 청향의 신분이 기생인지라 붙은 별명[7] 원균이 왜군의 조총에 맞아 전사하는 장면에서 이 드립이 흥했다.[8] 시도때도 없이 포로의 목을 베어 수급을 취한다는 모습을 보여 얻은 별명[9] 초반부 한정[바뀜] 1회 ~ 4회와 이후 회차의 배역이 다르다. 자세한 건 등장인물 문서 참조.[11] 특히 밥상을 뒤집거나 술을 마시면서 포악한 면모를 보일 때 이 드립이 폭발한다.[12] 최철호가 하던 개인사업이 망해서 택배 상하차를 하고 있다는 근황이 알려진 지 얼마되지 않아 불멸의 이순신 스트리밍이 시작되었다. 덕분에 한동안 택배, 쿠팡 드립이 넘쳐났다.[13] MBC 드라마 허준에서 선조를 맡았다.[14] 태조 왕건에서 견훤의 총애를 받는 태자 금강 역할을 맡았다.[15] 전작인 무인시대에서 이의방의 동생인 이린을 연기했다. 공교롭게도 이린은 조선을 세운 이성계의 선조이기 때문에 본작에서 전현이 연기한 '무의공 이순신'에게도 조상이 된다. 참고로 '무의공 이순신'은 인물 문서에도 나오지만, 이성계의 손자인 양녕대군의 후손이다.[16] 방송 이후 방영된 스페셜 방송에서도 예산 대사 모음집을 보여줄 정도로 예산이라는 말을 달고 살았다.[17] 가히 애드립 원툴이다. 그냥 말만 해도 ㅋㅋㅋㅋ가 나온다. 방송 이후 방영된 스페셜 방송에서도 배우 박철민의 애드리브에 NG가 많이 나와 난감하기 짝이 없었다.[18] 배우가 반기문과 매우 닮았다.[19] 마군관의 몬데그린.[20] '대만'이 타이완으로 불리기 때문에 붙어진 별명.[21] 칠천량 해전 당시 다리에 총상을 입은 상태에서 이순신에게 합류하면서 붙어진 별명들.[22]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 삼청교육대에 끌려간 조폭 역을 맡았는데, 당시 극 중 이름이 이종수였다[23] 푸른거탑 시즌 0에서 잠시 행보관 역을 맡았다.[24] SBS에서 방영한 연개소문에서 설인귀 역을 맡았다.[25] 극 중에서는 배설을 '패전지장'으로 묘사하지만, 시청자들은 그나마 '칠천량 해전 직전에 12척의 배를 가지고 도주했기에 명량 해전이 있을 수 있었다.'면서 배설의 행위를 옹호하는 채팅이 압도적이었다. 근데 사실이잖아[26] 같은 시기를 다룬 징비록에서도 권율을 연기하였다.[27] 이순신이 무군지죄로 압송될때 유일하게 이순신을 구명하면서 얻은 별명.[바뀜] [29] 본작 이후 난중일기에 나온 본명이다.[30] 배우가 기안84와 억울하게 외모가 닮아서[31] 간혹 이순신 팬클럽 일본 지부장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이 경우엔 명나라 지부장은 진린으로.[32] 이순신 잘 알[33] 와키자카야 또 속냐의 줄임말[34] 배우가 프링글스 로고에 나오는 모습과 닮았다는 이야기가 많다.[35] 같은 시기를 다룬 징비록에서도 가토를 연기하였다.[36] 전투 시에 이순신한테 처발려서 이성을 잃으면 '도도하지 못한 도도' 라고 불린다[37] 전우에서 북한군 수용소 장교 윤정임을 연기함.[38] 사천 해전 당시 일본 수군을 말아먹는 모습에서 나온 별명. 원균과 붙었을 때는 세기의 대결, K-원균과 J-원균의 미러전이라는 드립도 나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0
, 10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