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1:17:21
박철호 관련 둘러보기 틀 |
-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연도 | 애니 | 워벅스 | 해니건 | 그레이스 | 2006 초연 | 이지민, 전예지 | 주성중, 김영호 | 전수경, 박선옥 | | 2007 재연 | 이지민, 박도연 | 주성중, 박철호 | 이연경 | 2010 삼연 | 김미랑, 손영혜 | 주성중, 이영하 | 박선옥, 김선경 | 왕은숙 | 2011 사연 | 문은수, 윤시영 | 주성중 | 박선옥, 윤복희 | 왕은숙, 홍은주 | 2018 오연 | 유시현, 전예진 | 주성중, 박광현 | 박선옥, 변정수 | 왕은숙, 이연경 | 2019 육연 | 황예영, 최연우 | 김석훈, 박성훈 | 황석정, 유미 | 이연경 | 2024 칠연 | 최은영, 곽보경 | 남경주, 송일국 | 신영숙, 김지선 | 박소연 | }}}}}}}}} | |
<colbgcolor=#373a3c><colcolor=#FFFFFF> 박철호 Park Chul ho |
|
출생 | 1960년 4월 22일 ([age(1960-04-22)]세)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
가족 | 아버지, 어머니 배우자 김영옥, 외동아들 박영원(1998년) |
종교 | 개신교(장로교) |
[clearfix]
대한민국의 배우.
<rowcolor=#fff>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98년 | 애니깽 | | |
드라큘라 | | |
1999년 | 바리 - 잊혀진 자장가 | | |
뜬쇠 | | |
2000년 | 뮤지컬 태풍 | | |
도솔가 | | |
대박 | | |
브로드웨이 42번가 | | |
2001년 | 바람의 나라 | 대무신왕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2004년 | 빠담 빠담 빠담 | | |
2005년 | 불의 검 | | |
2007년 | 애니 | 워벅스 | |
2008년 | JESUS JESUS | | |
2011년 ~ 2012년 | 화선 김홍도 |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2012년 ~ 2015년 | 황태자 루돌프 | 프란츠 요제프 황제 | 충무아트홀 대극장 |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모악당 |
대구 계명아트센터 |
광주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창원 성산아트홀 대극장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해돋이극장 |
대전예술의 전당 아트홀 |
천안예술의 전당 대공연장 |
디큐브아트센터 |
2013년 | 살짜기 옵서예 | 신임목사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몬테크리스토 | 파리아 신부 | 충무아트홀 대극장 |
부산시민회관 대극장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대구 계명아트센터 |
광주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
2014년 | 태양왕 | |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
대구 계명아트센터 |
광주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대전 예술의전당 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
모차르트! | 레오폴트 모차르트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광주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창원 성산아트홀 대극장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대구 계명아트센터 |
2015년 ~ 2018년 | 팬텀 | 제라드 카리에르 | 충무아트홀 대극장 |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 |
대전예술의 전당 아트홀 |
광주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계명아트센터 |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2019년 | 엑스칼리버 | 엑터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rowcolor=#fff> 상연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96년 | 하늘에서 땅에서 | | |
2011년 | 화선 김홍도 |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토스카 인 서울 | |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홍도야 우지마라 | | 안산문화예술의 전당 해돋이극장 |
연도 불명 | 지붕위의 바이올린 | | |
달빛 나그네 | | |
지하철 연가 | | |
나는야 호랑나비 | | |
양반전 | | |
3. 수상 경력
<rowcolor=#fff>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1995년 | 제1회 한국뮤지컬대상 | 남우주연상 | |
1996년 | 제1회 한국뮤지컬협회 | 연기상 | |
- 1983년 서울시립가무단 수석단원이기도 하였다.
- 1990년 서울예술단 뮤지컬감독, 수석배우였다.
- 동양극장에서 심영 역을 맡았다. 이 심영보다 1년 앞서 심영 역을 맡았고 조주연급이지만 드라마의 시청률도 낮아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심지어 심영물이 주목받을 때도 유튜브에 무료 스트리밍도 없고 유료 다시보기 서비스가 있어도 인기작이 아니어서인지 심영물에 출연하지 못했다.
- 경기도 고양시 덕이동에서 덕이동주막 이라는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