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7:31:01

김병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김병국(독립운동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병국(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김병국(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214대

심환지
제215대

이시수
제216대

이병모
제217대

서매수
제218대

이병모
제219대

김재찬
제220대

서용보
제221대

한용구
제222대

김재찬
제223대

남공철
제224대

이상황
제225대

심상규
제226대

이상황
제227대

조인영
제228대

권돈인
제229대

정원용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29대

정원용
제230대

조인영
제231대

권돈인
제232대

김흥근
제233대

김좌근
제234대

정원용
제235대

김좌근
제236대

정원용
제237대

김좌근
}}}
제237대

김좌근
제238대

조두순
제239대

이경재
제240대

김병학
제241대

정원용
제242대

김병학
제243대

홍순목
제244대

이유원
제245대

이최응
제246대

서당보
제247대

홍순목
제248대

김병국
제249대

심순택
제250대

김병시
제251대

김홍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순조 ~ 고종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06대

이시수
제307대

서용보
제308대

이시수
제309대

서매수
제310대

이경일
제311대

한용구
제312대

서용보
제313대

이시수
제314대

김재찬
제315대

한용구
제316대

김재찬
제317대

김사목
제318대

남공철
제319·320대

이상황
제321대

이존수
제322·323·324대

이상황
제325대

심상규
제326대

홍석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26대

홍석주
제327대

박종훈
제328대

김홍근
제329대

정원용
제330대

권돈인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1·332대

김도희
제333대

박종훈
제334대

김홍근
제335대

김홍근
제336대

이헌구
제337대

조두순
제338대

박회수
제339대

조두순
제340대

이유원
제341대

김병학
제342대

강로
제343대

이최응
제344·345대

김병국
제346대

송근수
제347대

김병국
제348대

김홍집
제349대

김병시
제350대

김홍집
제351대

김병시
제352대

김홍집
제353대

조병세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340대

서용보
제341대

김관주
제342대

이경일
제343대

김달순
제344대

서용보
제345대

김재찬
제346대

김사목
제347대

남공철
제348대

임한호
제349대

이서구
제350대

심상규
제351대

이존수
제352대

정만석
제353대

김이교
제354·355대

박종훈
제354·355대

박종훈
제356대

이지연
제357대

조인영
제358대

정원용
제359대

권돈인
제360대

김도희
제361대

박회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2대

박영원
제363대

김좌근
제364·365·366대

조두순
}}}
제367대

이경재
제368대

임백경
제369대

류후조
제370대

홍순목
제371대

한계원
제372대

박규수
제373대

김병국
제374대

김병덕
제375대

심순택
제376대

김병시
제377대

김유연
제378대

조병세
제379·380·381·382대

정범조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충문공(忠文公)
김병국
金炳國
<nopad> 파일:金炳國.jpg
출생 1825년
사망 1905년 (향년 79 ~ 80세)
시호 충문(忠文)
본관 신 안동 김씨
경용(景用)
영어(穎漁)
부모 부친 - 김수근(金洙根, 1798 ~ 1854)
모친 - 풍양 조씨 조진택(趙鎭宅, 1746 ~ 1795)의 딸
자녀 (양자) - 김정규(金貞圭, 1866 ~ 1895)[1]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2. 생애

고조부는 김조순의 작은할아버지이자 노론 시파의 재야 학자인 김원행으로, 철종의 장인 김문근이 그의 숙부다. 형으로 김병학이 있다.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일원이었다. 그러한 세도가의 자제답게 1850년 문과 급제 이후 1853년 대사성에 특진되었고, 1857년에는 예조 판서, 1858년에는 병조 판서와 호조 판서를 맡았고, 1860년에는 훈련대장에 이르렀다.

1863년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 정치의 세가 꺾였으나 김병국은 흥선대원군과의 친분이 두터운 편이어서 1864년에 이조 판서가 되었다. 형인 김병학이 철종 실록이나 대전회통 같은 편찬 사업에 힘을 썼던 것과 같이 김병국은 흥선대원군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던 경복궁 중건이라는 중책을 맡았었다. 1874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뒤에도 계속 집권하여 우의정이 되어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때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1878년 좌의정이 되었고, 1880년 김홍집이 가져온 조선책략에 따라 연미국론을 주장하며 미국과의 수교에 찬성했다.

1882년 임오군란의 수습을 계기로 집권한 흥선대원군이 통리 기무 아문을 혁파하고 설치한 삼군부의 영삼군부사가 되었고, 흥선대원군 실각 이후에도 계속 살아남아서 호조 판서와 총리 통리 내무 아문 사무를 거쳐 12월 총리 군국 사무가 되었다. 1884년 영의정 세자사 총리 군국 사무가 되었고, 1885년 영돈녕부사가 되었다가 벼슬 자리에서 물러났다.

한마디로 평가하자면 안동 김씨 세도 정치로 정치에 입문했지만 김병국의 행적 상당수는 오히려 근대사에 집중되어 있었다. 형 김병학도 마찬가지로 흥선대원군과의 친분으로 인해 안동 김씨 세도 정치 이후에도 살아남았고 형제 모두 최고 관직인 영의정에 올랐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보기 드문 처세를 보인 인물들이다. 다만 형제의 성향이 달라 형 김병학은 위정척사에 가까웠으나, 김병국은 개화에 중립적이거나 우호적인 입장이었다.

그의 손자로 일제시기의 유명한 서화가인 영운 김용진이 있고 현재 그 후손들은 김병국의 묘를 파묘하고 화장해버리고 브라질로 이민을 떠났다고 한다.

3. 기타

흥선군이 젊은 시절 파락호의 삶을 자처해 사대부 집을 돌며 돈이나 뜯고 술이나 마시면서 놀 적에, 김병국은 흥선군의 기품을 눈썰미 좋게 알아차려 많은 도움을 줬다. 그 예로 흥선군이 설날 차례 지낼 돈이 없다며 찾아왔을 때에도 1만 냥이나 하는 거금을 아무도 모르게 전달했고, 흥선군의 아들들에게도 많은 용돈을 챙겨주었다. 이러한 눈썰미 덕분에 흥선군이 집권하고 조대비에게 찍혀 생사의 갈림길에 서있을 때 대원군이 살려주었다

4. 대중매체



[1] 김병국의 양손자인 서화가 김용진(金容鎭, 1878 ~ 1968)은 본래 철종의 장인 김문근[6]의 증손자이다.[2]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 윤필용으로 출연한 바 있고, 《태조 왕건》에서 고려의 시중 김행선으로 출연한 바 있다.[3] 드라마상에서 김좌근이 '왕재'라고 직접 지칭한다.[4] 이 장면에서 김병국의 형인 김병학(임동진 분)은 이하전을 차기 왕재로 추천한다.[5] 2000년대부터 KBS 사극에서 맹활약 중이다. 《징비록》에서는 학봉 김성일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