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23:14:24

골리아트 지뢰

골리아트(지뢰)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기갑 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colbgcolor=#484848>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무장친위대기갑차량
장갑차 Sd.Kfz. 3 | Sd.Kfz. 4 | Sd.Kfz. 6 | Sd.Kfz. 7 | Sd.Kfz. 8 | Sd.Kfz. 9 | Sd.Kfz. 10 | Sd.Kfz. 11 | Sd.Kfz. 250 | Sd.Kfz. 251 | sWS
Kfz. 13 | Sd.Kfz.221 | Sd.Kfz.222 | Sd.Kfz.223 | Sd.Kfz.231 | Sd.Kfz.232 | Sd.Kfz.233 | Sd.Kfz. 234/1 | Sd.Kfz. 234/2 푸마 | Sd.Kfz. 234/3 슈툼멜 | Sd.Kfz. 234/4 | Sd.Kfz. 247 | Sd.Kfz. 263
전차 Pz.Kpfw. I (Ausf.A/B/C/D/F) | Pz.Kpfw. II (Ausf.a/b/c/A/B/C/D/E/F/G/H/J/L/M)
Pz.Kpfw. III (Ausf.A/B/C/D/E/F/G/H/J/L/M/N) | Pz.Kpfw. IV (Ausf.A/B/C/D/E/F1/F2/G/H/J) | Pz.Kpfw. V 판터 (Ausf.D/A/G/F)
Pz.Kpfw. VI (Ausf.H/H1/E) | Pz.Kpfw. 티거 Ausf.B
구축전차 헤처 | 야크트판처 IV | 야크트판터 | 야크트티거
대전차 자주포 Sd.kfz. 6/3Diana | 판처예거 I | 마르더 I | 마르더 II | 마르더 III | 마르더 III (Ausf.H/M) | 판처예거 나스호른/호르니세 | 판처예거 티거 (P) 페르디난트/엘레판트 | 5cm PaK 38 auf 브루큰리거 IVc
구난전차 베르게판처 III | 베르게판처 IV | 베르게판터 (Ausf.D/A/G) | 베르게티거 | 베르게티거 (P) | 베르게헤처 38
돌격포 StuG III (Ausf.A/B/C/D/E/F/G) | StuG IV | 슈투름판처 IV | 38cm 슈투름뫼르저 | StuH 42 | StuIG 33B
자주포 슈투름판처 I | 슈투름판처 II | 슈투름판처 III | 베스페 | 그릴레 (Ausf.H/K) | 훔멜 | 뫼르저 칼 | 105mm leFH18(Sf) LrS | 150mm sFH13/1(Sf) LrS | Sd.Kfz. 4/1 | 15cm 판처베르퍼 42 auf sWS | Sd.Kfz 251/1-II
자주대공포 Sd.Kfz. 6/2 | Sd.kfz. 7/1 | Sd.kfz. 7/2 | Sd.kfz 10/4 | Sd.Kfz. 10/5 | 플락판처 IV (뫼벨바겐/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오스트빈트 II/쿠겔블리츠) | 플락판처 38(t) 게파트 | 플락판처 III (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 | 플락판처 I
노획차량 및 개조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체코 국기.svg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Pz.Kpfw. 32 (j) | 르노 FT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파일:덴마크 국기.svg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파일:프랑스 국기.svg Pz.Sp.Wg. Wh 201(f) | Pz.Sp.Wg. Laf 202(f) | Pz.Sp.Wg. 203(f) | Pz.Sp.Wg. P204(f) | 5cm KwK38 L/42 아우프 Pz.Sp.Wg. P204(f) | Pz.Sp.Wg. 178 P204(f) 쉬넨판처 | 라이히터 슈츤판처바겐 U304(f) | 2 cm Flak 38 leSPW U304(f) | 3,7 cm PaK 36 아우프 leSPW U304 (f) | Le.Zgkw. S307(f) | 미틀레러 게판처터 주크카프트바겐 S307/303(f) | 미틀레러 슈츤판처바겐 S307/303(f) | SPW S307/303(f) mit 라이헨베르퍼 | 7.5 cm Pak 40 아우프 m SPW S307/303(f) | 8 cm R-비파흐베르퍼 아우프 m.gep.Zgkw. S307/303(f) | 판처예거 mit 7,5 cm Pak40 아우프 파크슈텔 S307(f) | 15 cm 판처베르버 42 아우프 m.gep Zgkw. S307/303(f) 네벨베르퍼 41 | 로렌 슐레퍼(f) | 판처예거 로렌 슐레퍼 mit 47 mm Pak 181(f) | 베오바흐퉁스바겐 아우프 로렌 슐레퍼 | 판처 I turm 아우프 로렌 슐레퍼(f) | 12.2 cm FK (r) 아우프 게슈츠바겐 로렌 슐레퍼(f) | 19.4 cm 카노네 485 (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19,4 cm 카노네 485/585 (f) | 28 cm 뫼르저 602(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3.7 cm Pak 36(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28/32 cm 부르프라멘(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무니티온-슐레퍼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지히훙스파초이크 UE(f) | Pz.Sp.Wg. VM 701(f) | Pz.Sp.Wg. ZT 702(f) | 8cm 슈위허 그라나트베르퍼 34 아우프 Pz.Sp.Wg. AMR35(f) | Pz.kpfw. 17R 730c(f) | Pz.Kpfw.17R 730m(f) | Pz.Kpfw. 18R 730(f) | Pz.Kpfw. 35R 731(f) | Pz.Kpfw 35R 731(f) mit MG34 | Pz.Kpfw. 35R 731(f) mit T-26 Turm | 4.7 cm PaK(t) (Sfl.) 아우프 Fgst.Pz.Kpfw. 35R 731(f) | Pz.Kpfw 40R 736(f) | Pz.Kpfw. D-1 732(f) | Pz.Kpfw. D-2 733(f) | Pz.Kpfw. 35H 734(f) | Pz.Kpfw.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8H 735(f) | 아틸러리-판처-베오바흐퉁 38H 735(f) | 운 그호서 풍크 운트 베페츠바겐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9H 735(f) | 10.5cm leFH18(Sf) 아우프 게슈츠바겐 38H(f) | 부르프라멘 35H (f) | Pz.Kpfw. FCM 737(f) | 7.5 cm Pak 40 아우프 게슈츠바겐 FCM 36(f) | 7.5 cm Pak 40/1 아우프 Lorraine 슐레퍼(f) | Pz.Kpfw. 35-S 739(f) | Pz.Kpfw. B-2 740(f) | 105mm leFH 18/3 아우프 Gw B-1/B-2 740(f) | Pz.Kpfw B-1 Flamm | Pz.Kpfw. 770(f) | Pz.Kpfw. 612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Pz.Sp.Wg. BA 202(r) | Pz.Sp.Wg. BA 203(r) | 게판처트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3,7 cm PaK 35-36 아우프 게판처터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슈윔 Pz.Kpfw. T-37 731(r) | 슈윔 Pz.Kpfw. T-38 732(r) | 슈윔 Pz.Kpfw. T-40 733(r) | Pz.Kpfw. T-26A 737(r) | Pz.Kpfw T-26A 737(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B 738(r) | Pz.Kpfw. T-26B 738(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C 740(r) | 7,5 cm Pak 97/38(f) 아우프 740(r)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S 739(r) | Brücke Pz.Kpfw. T-26 741(r) | T-26T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B 739(r) | Pz.Kpfw.BT 742(r) | Pz.Kpfw. T-60 743(r) | Pz.Kpfw. T-70 743(r) | Pz.Kpfw. T-34/85 747(r) | Pz.Kpfw. T-28 746(r) | Pz.Kpfw. T-34/76 Ausf.A 747(r) | Pz.Kpfw. T-34/76 Ausf.B 747(r) | Pz.Kpfw. T-34/76 Ausf.C 747(r) | Pz.Kpfw. T-34/76 Ausf.D 747(r) | 플락판처 T-34 747(r) | 베르게판처 T-34 | Pz.Kpfw. T-28V(T-28B) 748(r) | Pz.Kpfw. T-35A 751(r) | Pz.Kpfw. T-35C 752(r) | Pz.Kpfw. KV-IA 753(r) | Pz.Kpfw. KV-IB 755(r) | Pz.Kpfw. KV-IB 755(r) mit 7.5cm KwK 40 L/43 | Pz.Kpfw. KV-IC 756(r) | 베르게판처 KV-I | (슈투름)Pz.Kpfw. KV-II 754(r) | 야크트판처 SU-76(r) | 야크트판처 SU-76M(r) | 야크트판처 SU-85(r) | 야크트판처 SU-100(r) | 슈투름게쉬츠 SU-122(r) | 슈투름 Pz.Kpfw. SU-152(r) | 슈투름 Pz.Kpfw. ISU-152(r) «도젠외프너» | 야크트판처 SU-76I(r) | Mk.V | Pz.Kpfw. 처칠 | Pz.Kpfw. M3 747(a) | Pz.Kpfw. M4A2 748(a) | Pz.Kpfw. IS-2(r)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Panzerspähwagen Marmon-Herrington(e) gep.M.Trsp.Wg Bedford(e) | "Mammuth" | Pz.Sp.Wg. Mk l 202(e) | Pz.Sp.Wg. Mk.I bis III 202(e) | gep.M.Trsp.Wg Bedford(e) | Gepanzerter Maschinengewehrträger Bren 731(e) | 판처예거 Bren 731(e) | Gep. MG-Träger Br 731(e) mit 3,7cm Pak35/36 | 4.7cm PaK 188(h) auf Sfl. Bren 731(e) | 25mm Pak 112/113 auf Sfl. Bren 731(e) | 2.8cm sPzB.41 auf Sfl. Bren 731(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3(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4(e), 라이히터 Pz.Kpfw Mk.II 735(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6(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7(e) | 크로이처 Pz.Kpfw Mk.I 741(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2(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3(e) | 크로이처 Pz.Kpfw. Mk IV 744 (e) | Kruizer Pz.Kpfw Mk.V 745(e) | 크로이처 Pz.Kpfw Mk.VI 746(e) | 인판터리 Pz.Kpfw Mk.I 747(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mit 5cm KwK 38 L/42 Oswald | Pz.Kpfw. Mk.III 749(e) | 인판터리 Pz.Kpfw. Mk.IV(e) Churchill | 셔먼 VC | 판처예거 M10 (e) Achille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Pz.Sp.Wg. Ford M8/M20 (a),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M3 401(a), Gep.M.Trsp.Wg. M3 401(a) mit 부르프라멘40, Pz.kpfw. M3 740(a), Pz.Kpfw. M5A1 (a), Pz.Kpfw. M3 747(a), Pz.Kpfw. M4 748(a), BPz 748(a), Pz.Kpfw. M4 748(a), BPz 748(a), 판처예거 M10 (a)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Pz.Sp.Wg. AB41 202(i), Pz.Sp.Wg. AB43 203(i), Pz.Sp.Wg. 란치아 1ZM (i), Pz.Sp.Wg. Lince 202(i),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S 37 250(i), Pz.Kpfw L3/33(Flamm), Pz.Kpfw CV 35 731(i)/ Pz.Kpfw L3/35 731(i), Pz.Kpfw L3/33(Flamm) / L3/35 (Flamm) 732(i), Pz.kpfw. L6/40 733(i), Pz.kpfw. M11/39 734(i), Pz.kpfw. M13/40 735(i), Pz.kpfw M14/41 736(i), Pz.Kpfw. P40 737(i), Pz.Kpfw. M15/42 738(i), 슈투름게쉬츠 L6 mit 47/32 770(i), 판처베펠츠바겐 M41 771(i), 게판처트 젤브스트파라페트 90/53 831(i), 슈투름게쉬츠 M40 mit 75/18(i), 슈투름게쉬츠 M42 mit 75/18 (i)/Pz.bef.Wg M42 850(i), 슈투름게쉬츠 M42M mit 75/34 852(i), 슈투름게쉬츠 M42L mit 105/25 853(i), 슈투름게쉬츠 M42T mit 75/46 (i),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34 851(i) ,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46 852(i), 슈투름게쉬츠 M43 mit 105/25 853(i), Gepanzerte 젤브스트파라페트 M43 149/40 854(i) }}}}}}}}}
프로토타입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캣첸 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페이퍼 플랜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차량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모터사이클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그 외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기타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dkfz302elektr.jpg
Leichter Ladungstrãger Goliath Sd.Kfz.302/303(a/b)

1. 개요2. 제원3. 역사4. 용도5. 한계6. 운용 양상7. 유사 무기8. 미디어
8.1. 영화/드라마8.2. 게임8.3. 만화8.4.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

골리아트 지뢰의 역사
골리아트 구동 영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유/무선조종식 지뢰. 폭발물이지만 무한궤도가 장착되어 Mk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초소형 전차모형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정식 명칭은 Sd.Kfz.302/303(a/b)이다. '골리아트'라는 이름의 유래는 성경의 인물 골리앗이다. 총 생산수는 302 모델이 7,564대, 303 모델이 a/b형 합쳐 4,929대.

2. 제원

파일:external/www.the-blueprints.com/sd_kfz_303_ausf_b_goliath-14734.jpg
골리아트 원격조종 지뢰 제원

3. 역사

프랑스군마지노선 안에서 독일군들을 폭사시킬 목적으로 개발했지만 되려 프랑스 침공으로 프랑스 본토가 점령당하며 노획물로 독일군 손에 넘어간다. 다만 프랑스에서 만든 것은 유선 방식이었고, 무선으로 만든 것은 독일이 최초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46-1980-053-53,_Sprengpanzer_%22Goliath%22.jpg
Sd.Kfz.302
60kg 정도의 폭약을 싣는 Sd.Kfz.302가 1942년부터 전선에 등장, 주로 공병이 운용하여 지뢰밭이나 토치카 등을 돌파하는데 사용되었지만 가격이 비싸고 추진기인 전기 모터의 신뢰성이 낮았으며 장갑 두께는 겨우 5mm라 소총탄에도 관통당하므로 적에게 너무도 손쉽게 파괴되어 불평이 많았다.

그래서 추진기를 오토바이 엔진으로 바꾸고 장갑을 10mm로 강화하여 기본적인 소총 사격에 대한 대항능력을 확보하고 폭약적재량(303a 85kg/303b 100kg)과 항속거리를 늘린 Sd.Kfz.303이 등장했다. 전체적인 디자인도 개선하여 초호능력도 크게 향상되었다. 위 동영상에 나오는 것도 Sd.Kfz.303.

4. 용도

본래 용도는 공병대에서 폭파용으로 쓰거나 시가전시 적의 건물을 원격으로 파괴하는 것이었다. 골리아트 지뢰 전기형은 TNT 60kg, 후기형은 TNT 100kg 을 탑재하여 귀여운 외형에 비해 파괴적인 위력을 가졌다. 하지만 갈수록 참호벙커등 축성 진지를 폭파시킬 때 쓰는 등 많은 용도로 쓰이게 됐으며, 자주 실패했지만 전차를 파괴할 목적으로 골리아트를 돌격시키기도 했다.

이는 전차의 하단 부위 장갑이 약하기 때문이다. 전차의 하단은 사실상 공격받을 일이 거의 없으므로 나머지 부위에 비해 방호력이 매우 낮게 설계된다. 전차의 전면, 후면, 측면 장갑이야 온갖 대전차 화기의 공격을 막아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두꺼우며 얇은 지점도 어느 정도의 장갑은 유지한다. 상부장갑도 포격의 파편은 방호할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엔진 슬릿같은 일부 약점 부위를 제외하고는 보통은 공군이 와서 뚜껑 따야 할 정도로는 방호력을 가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하단 장갑은 일부러 경사진 곳으로 가지 않는 이상에는 노출될 일이 없기 때문에 그때나 지금이나 전체적으로 전차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적당히 만든다. 지뢰같은 것에 대비해서 하단까지 두껍게 설계하면 전차 총중량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당시의 기술력으로는 엔진과 연료 소비량 문제가 생기기 딱 좋아진다. 무게로 인한 엔진과 서스펜션 부품의 부담은 증가하고, 중량에 비해 엔진 성능이 받쳐주질 못하니 기동성은 당연히 떨어진다. 오죽 했으면 독일 티거 전차도 엔진이 티거 중량을 못이긴다고 하이브리브로 설계하는 지경 이였다. 골리아트는 이러한 전차의 약점을 이용해 전차 하단에서 폭발하는 방식으로 전차를 공격했다.

지뢰밭으로 돌격시켜 진격로를 열 수도 있기에 공세적인 운용도 가능했지만 앞서 말한 문제점들과 느린 속도로 인해 공세적이라기보단 수세적 병기에 가까워 전쟁 후반으로 갈수록 많이 투입되었다. 특히 노르망디 상륙 작전바르샤바 봉기에서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5. 한계

결과론적이지만, 독일의 골리아트 지뢰는 시대를 앞선 전술 병기였다. 현대전에서 여전히 무인기 전술이 크게 활약하고 이젠 정석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오죽 했으면 무선 재밍을 피하겠다고 유선 드론까지 등장하는 판국이니, 유무선 무인 지뢰를 1만 대나 생산하고 적극적으로 운영한 전략 자체는 독일이 기술력이 부족했음에도 시대를 앞선 셈 이다.

그래도 역시 문제는 시대를 앞서가도 너무 앞으로 가버려서 당시로는 기술력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유선조종의 경우 케이블이 끊어지면 순식간에 무력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무선조종의 경우 조종 범위가 너무 좁아서 제대로 운용하기 힘들었다. 이는 당시 매우 부실했던 초기 진공관 기술의 문제가 컸다. 상온에서도 쉽게 파손되거나 과열되었고 퓨즈조차 매우 약해서 얼마 못 가 고장나거나 교체해야 했다. 다만 겨울전쟁계속전쟁, 동부전선에서는 특유의 낮은 기온 덕분에 무난하게 운용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독일의 무선조종 기술과 엔진 기술이 충분히 발달했다면 연합군에게 위협을 안겨줄 만한 무기가 되었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당시에는 전자소자들이 매우 조악하고 대량생산을 하지 못해 무선유도 장치는 물론이고 유선유도 장치도 매우 비싼 가격을 자랑했다. 그리고 모터에 구리를 많이 써야해서 골리아트 자체도 생산 비용이 높았다. 특히 자폭하는 특성상 전략물자인 구리를 회수할 수 없다는 사실이 부각되자 모델 302는 1944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모델 303은 1945년까지 생산되었지만 이미 그 때는 나치 독일의 생산력이 크게 저하되던 시점이었다.

10km/h 밖에 안 되는 느린 속도도 끝내 개선되지 못했다. 그리고 유선조종형의 경우 컨트롤러와 직결된 케이블을 잘라버리면 그대로 멈춰버리기 때문에 간단히 무력화할 수 있다는 약점도 존재했다. 이 문제를 개선한 무선조종형도 개발되었지만 조종 범위가 너무 좁다는 한계로 제대로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래도 총탄이 빗발치는 최전선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전투공병들의 입장에서는 안전한 장비로 인기가 높아 패전 때까지 생산되었다.

6. 운용 양상

바르샤바 봉기 당시 변변한 무기가 없던 폴란드 국내군에게는 건물 하나를 통째로 날려버리는 위력 탓에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 그렇지만 이때도 조종 케이블을 절단당해 무력화되는 약점은 여전했다. 바르샤바 봉기를 다룬 영화 하수도(1956년)에서 야전삽으로 유선조종식 골리아트의 케이블을 절단하여 무력화시키는 장면이 등장한다. 또한 같은 내용을 다룬 영화 바르샤바 1944에서도 등장한다. 후반부의 건물 방어전에서 폴란드군이 진을 치고 있던 건물을 날려버리기 위해 출동하지만 PIAT에 맞아 차체가 반파되고 케이블이 끊어져 무력화된 뒤에 자폭한다.

이탈리아 전선의 시가전에서 골리아트로 괜찮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위험한 곳으로 전진할 때 보병 대신 골리아트를 선두에 내세운 것. 숨어 있던 연합군은 이 움직이는 폭탄을 파괴하기 위해 마구 사격을 퍼부었고, 그럼에도 파괴되지 않고 목표 지점까지 도착했다면 골리아트는 제 할 일을 하면 됐고 중간에 파괴되더라도 결과적으로 연합군의 위치를 독일군에게 고스란히 알려주는 역할을 해냈다.

노르망디 전투 때는 연합군의 우세가 엄청나서 초반의 몇몇 사례를 제외하면 크게 활약하지 못했다. 나중에는 노획되어 연합군의 장난감이 되었다. 그러나 노획품 수집을 좋아하는 장병들이 전투가 끝났을 때 찾으러 다니다가 전장에 잔존한 적군에게 사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외 버려진 골리아트를 처음 접한 장병이 내부에 대량의 폭약이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잘못 건드려 주변 동료들과 함께 폭사하는 사고도 다수 발생했으며, 내장된 폭약의 양을 제대로 알지 못해 수류탄으로 처리하려 한 일부 연합군이 폭발에 휘말려 사망한 사례도 있다.

이러한 사고들을 겪은 다수의 미군들은 아예 골리아트에 내장된 폭약을 해체, 빈 공간에 간이 의자를 넣고 케이블을 줄여 조종기를 연동하는 등 적절한 개조를 했고... 골리아트는 더 이상 무기가 아닌 군인들의 대형 RC카가 되어버렸다. 나중에는 후방에서 점령지 치안유지를 맡은 부대는 딱정벌레(doodlebug)라는 애칭을 붙여 개조한 골리아트로 경주까지 벌였다.[1]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oliat.jpg
노획하여 폭약을 제거한 뒤 한가득 쌓아 놓은 모습[2]
파일:지크프리트 방어선 독일군 장비.jpg
골리아트를 타고 노는 영국 육군 왕립 기갑부대원들 [3]
파일:external/forum.valka.cz/lol.jpg
골리아트를 타고 노는 유타 해변의 미합중국 해군 공병
파일:goliath remote.gif
교육용으로 연출된 영상임에도 표정에서 가식 없는 행복이 느껴진다.[4]

7. 유사 무기

이런 무선 기갑병기는 프랑스와 독일 외의 다른 국가에서도 등장했다.

소련의 경우 1930년대에 기관총 발사, 화염방사, 자폭 등이 가능한 전투용 무선전차를 만들어서 실전에 투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골리아트와 같은 문제를 겪어 2개 대대 규모만 만들고 이후 추가 생산은 하지 않았다.

일본에서도 1920년대에 폭발물 설치 용도의 무선병기의 프로토타입인 나가야마 전차98식 소형 공병전차 야이고가 제작된 적이 있다.
리비아 내전에서 등장한 사제 UGV
리비아 내전에서 등장한 사제 UGV. RC카 차체와 리모콘, 무선 캠코더까지 모두 민수용이고 군용품이라고는 위에 달려있는 PKM 기관총밖에 없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대전차지뢰를 장착한 UGV
무선 기술이 훨씬 발전한 오늘날에는 민간 기술만으로도 골리아트보다 훨씬 뛰어난 무선 전투차량을 만들 수 있으며, 잘 만든 RC카는 골리아트를 가볍게 압도하는 조종범위와 속도, 돌파력을 가지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골리아트 지뢰의 정신적 후속작 비슷하게 UGV에 대전차 지뢰나 폭약을 탑재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양측이 사용하고 있고 점차 군용으로 개발된 본격적인 차량들이 등장하고 있다.

8. 미디어

골리아트 지뢰가 등장하는 미디어 모음

8.1. 영화/드라마

8.2. 게임

대부분의 등장 게임에서는 당시의 골칫거리였던 무선 조종의 범위가 무제한으로 게임 보정을 받았다. 대신 무선이라는 특성상 시야를 제공하지 않는 등의 제약이 걸리긴 했지만, 골리아트 지뢰의 원래 폭장량에 무제한 무선 범위는 골리아트 지뢰가 정말 충격적인 물건이였음을 다시 확인하는데 충분하다. 갑툭튀의 대표적인 무기인 셈.

8.3. 만화

8.4. 기타

9. 둘러보기

파일:보르그바르트 엠블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42438> 분류 차량
소형 SUV BX3
준중형 SUV BX5 · BX6
중형 SUV BX7
군용 B IV · 골리아트 지뢰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보면 알겠지만 현대의 어른이들이 상대라도 상당히 마음을 뺏을 수 있는 디자인과 성능이다. 놀 여유도 놀 거리도 없는데 스트레스만 한가득인 군인들에게 저런 물건이 딱 떨어졌으니 마음 속 동심이 직무유기를 하지 않는 한 가지고 놀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2] 폭약이 제거된 건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폭약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쌓아둘 가능성은 적다.[3] 흰색 세로선이 그어진 곳이 후면인데, 잘 보면 반대 방향으로 타고 있다. 사실 영국군의 전통이다[4] 심지어 파이프 담배를 물고서 환하게 웃는 왼쪽 장병은 상대적으로 군기를 잡아야 할 헌병(MP)이다.[5] 하프트랙을 3업한 뒤 워킹 스투카를 달고 서너대가 로켓을 갈궈대도 쉽게 부술 순 있지만... 125탄약 한 방이면 끊어지는 다리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