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4:42:55

경남여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양산시의 시외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경남고속뉴부산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시내버스 회사
경남여객 경기고속공공 대원고속공공 대원버스공공 평택버스공공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
경남여객·동백운수·마북운수
구성운수·죽전운수·연원운수·한비운수
상현운수 수성교통 승진여객 용인교통
용인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합자회사 경남여객
파일:경남여객 로고.png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신기로 170 (舊 남동)
대표이사 남경훈[1]
설립일자 1959년 5월 1일
업종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업
보유대수 505대[2]
홈페이지 홈페이지
파일:8342.png파일:8366_6156.png
경남여객 시외버스
시외버스 8342, 시외버스 8366
파일:P9201_1295.jpg파일:용인 P9241번 유니버스.jpg
경남여객 경기 프리미엄버스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0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41
파일:56001402.jpg파일:5002_.jpg
경남여객 직행좌석버스
용인 버스 5600, 용인 버스 5002
파일:경남10_eBUS12.png파일:20_1045.png
경남여객 시내버스
용인 버스 10, 용인 버스 20
파일:5_9555.png파일:용인5마을.jpg
경남여객 마을버스
용인 버스 5

1. 개요2. 역사
2.1. 역대 대표이사2.2. 오너 일가
3. 노선망
3.1. 고속버스3.2. 공항버스3.3. 시외버스
3.3.1. 위치조회가 가능한 시외버스3.3.2. 위치조회가 불가능한 시외버스
3.4. 시내버스3.5. 마을버스
4. 차량5. 이야깃거리
5.1. 비판 및 사건사고, 문제점
6. 영업소7. 면허 체계8. 보유차량9. 둘러보기

1. 개요

용인시를 연고로 하는 시내버스 회사. 이름만 보면 경상남도의 줄임말인 경남(慶南)이 연상될 수 있지만, 사실 경상남도가 아니라 서울과 경기도의 남부(京南)[3]라는 뜻이다. 이름이 비슷한 경남고속은 진짜 경상남도 면허 회사이다. 간혹 오너 집안의 성씨와 엮어서 경기도의 남씨 회사라는 의미로 지었다는 설도 있으나 진실은 저 너머에. 다만 한자가 같고 남씨 일가가 경영하던 용남고속은 진짜로 용인의 남씨 회사라는 의미가 맞다. 그 외에도 경남아너스빌로 유명한 건설회사 경남기업의 경남, 레모나로 유명한 제약회사 경남제약의 경남 등과 한자가 같기는 하지만 이 버스회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참고로 주식회사가 아닌 합자회사이다. 사실 합자회사 자체가 대한민국에서 비중이 낮은 형태이며 그나마 동호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버스 회사로는 신일여객, 명진여객, 신동아교통, 인천스마트 정도. 합자회사는 회사의 채무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범위가 주식회사보다 넓다(무한+유한)는게 특징이다.[4]

현재는 용인시를 근거지로 두고 있지만 원래 수원시에서 기반을 닦은 회사이다. 경남여객의 창립자는 남경필경기도지사의 조부인 남상학 씨인데, 남상학씨는 1929년에 "수원-신갈-풍덕천"간 노선을 운행하는 용인자동차부를 설립하여 운수업을 시작했고 현재의 법인은 1959년에 경남여객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이후 남상학의 아들이자 남경필의 아버지인 남평우 씨가 1970년에 대표이사가 되어 경남여객과 경인일보[5]에만 집중하던 중 정계에 입문했다. 2001년부터는 남경필 전 지사의 동생인 남경훈 씨가 대표이사로 재직하여 3대에 걸쳐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2017년 1월 1일부터 3년간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의 운영을 맡게 되었고, 동시에 전세버스에 진출했다가 현재는 전부 철수했다.

2017년에 마을버스 업체인 마북운수를 인수했다. 마북운수 기업보고서 상 경남여객 남경훈 대표가 이 회사의 대표를 겸직하고 있으며 마북운수의 기사모집공고에도 경남여객 계열사로 표시하고 있다. 사실상 경남여객이 마을버스 사업을 포기한 상황[6]이었다가, 그러던 차에 마을버스 업체를 인수한 거라 상당히 변화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용인시의 토착 업체이니만큼 용인시의 마을버스 회사들을 인수해가면서 사업을 확장하려는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추가로 용인시 마을버스 업체인 동백운수와 과거 자신의 노선으로 마을버스를 운영했던 강남여객도 인수했다. 그리고 강남여객은 2019년 동백운수로 흡수되었다.

2. 역사

2.1. 역대 대표이사

2.2. 오너 일가


3대 사장이었던 남찬우(1923년생)는 남상학의 조카이자 남평우의 4촌형이었다.

3. 노선망

시외버스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모두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다. 특이점은 고속버스 노선에 공동 배차하고 있다는 점. '용인~부산.서부산' 노선을 대원고속과 함께 운행하며 '용인~군산'노선을 중앙고속과 함께 운행했다가 경남여객 단독으로 운행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고속의 '고양~충주' 노선 같이 시외버스 업체들이 고속버스 신설에 공동 배차로 참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경남여객은 그러한 경우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용인~경주.포항' 노선을 개통하며 영남행 노선을 더 신설했다.[8]

용인시 최초의 시내버스 회사라 시내버스의 노선망 역시 굉장히 넓다. 다만 대체적인 노선망은 처인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흥구로 한정시켜도 동백지구 일대 정도만이 주요 노선을 운영 중이고, 나머지 기흥구의 경우는 경유지의 성격으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전 구 본사와 가까운 수지구는 일부 노선을 빼면 아예 진출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 KD 운송그룹이 상당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자면, 수지구와 기흥구 지역은 IMF 이전에 삼성여객, 수원여객의 주무대였고, 경기교통 노선도 몇몇 있었다. 그러다 삼성여객과 경기교통이 부도난 이후에 경남여객이 이들 노선 몇개를 인수했으나, 상당수 노선을 KD 운송그룹에 양도했다. 이를 통해 KD 운송그룹용인시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규모를 키운다. 대표적인 예시로 1998년에 IMF가 불어온 관계로 65번, 550번 등을 KD 운송그룹에게 넘겨준 것이 된다. 옆 동네 수원여객KD 운송그룹의 이름만 들어도 치를 떠는 상황인데 비해 경남여객은 앞의 사례처럼 KD와 노선을 교환하기도 한다. KD의 빗자루질 노선 중 하나인 대원고속65번은 상술한 대로 경남여객이 대원고속으로 양도한 노선이다. 그리고 흥덕지구를 지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공동 배차하기도 했고,[9] 에버랜드 내에서는 아예 차고지를 같이 쓴다. KD의 1113번 기사가 에버랜드에서 강변역으로 가는데 이 회사의 5700번이나 5002번을타고 강남역에서 2호선타는게 빠르다며 그걸 타라고 말하기도 한다. 또한 KD의 본진인 광주시20번 등의 자사 시내버스로 대놓고 다닌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KD 기사들과 경남여객 기사들이 같은 회사인냥 서로 손 인사를 하기도 한다.[10]

무엇보다도 그렇게 여기저기 발을 넓히는 KD 운송그룹이 유난히 진출을 하지 않는 지역이 바로 경남여객 노선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11] 2021년에 그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보이는 편인데 경남여객이 운영하던 5000번대 직행좌석버스의 공공버스 입찰에 KD가 하나도 참여하지 않았고, 그렇게 광역급행버스 노선에 투자를 많이 하는 KD가 동백지구에서 신설되는 M4455에도 역시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한숲시티에서 출발하는 4101번 입찰에도 역시 KD는 들어가질 않았다. 한마디로 KD 운송그룹이 경남여객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역은 철저하게 선을 그으며 진출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러모로 KD 운송그룹과 경남여객 사이에는 용인시 지역의 노선망을 두고 서로의 범위는 침범하지 않기로 하지 않았나란 추측을 할 수 있는 모습들이 보이는 편이다. 한마디로 따지자면 경남여객은 KD 운송그룹에 속해있지만 않을 뿐 KD 운송그룹의 우호 회사에 속해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1. 고속버스

전 노선 용인 출발. 부산(노포동, 사상)행 노선은 전환고속 노선이 아니라 2007년과 2014년에 노선을 개설하면서 같이 참여한 격이다. 군산행 노선도 원래 고속버스회사가 운행했던 노선을 인수한 것이므로 이 또한 전환고속이 아니다. 공동, 단독배차하는 모든 노선에 전부 티머니 E-Pass가 지원된다.

3.2. 공항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165 용인터미널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동백월드메르디앙.동백경남아너스빌 - 어정역 - 강남대역 - 신갈역 - 구성역 - 보정역 - 죽전역 - 풍덕고교사거리 - 광교마을 - 수원광교박물관 - 영동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부천터미널소풍 김포국제공항 60~75
8852 동백월드메르디앙.동백경남아너스빌 - 어정역 - 강남대역 - 신갈역 - 구성역 - 보정역 - 죽전역 - 풍덕고교사거리 - 광교마을 - 수원광교박물관 - 영동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인천대교 - 인천공항T1 인천공항T2 10~60
8877 한국민속촌 신갈오거리 - 삼성삼거리 - 수원컨벤션센터 - 광교중앙역 환승센터 - 영동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인천대교 - 인천공항T1 인천공항T2 1일 주간 13회
심야 2회

3.3. 시외버스

3.3.1. 위치조회가 가능한 시외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211 용인터미널 영동고속도로 - 문막 원주터미널 1일 12회
8218 수원터미널 우만주공 - 영동고속도로 - 문막 원주터미널 55
8326 용인터미널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 정안세종로 - 정부세종청사 - 세종터미널 유성터미널 1일 4회
8342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천안터미널 아산터미널 1일 2회
8343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천안터미널 1일 16회
8366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대전복합터미널 30~90
8423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 영통입구 - 청현마을 -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여주대학교 여주터미널 1일 8회
8424 아주대학교 - 영통입구 - 청현마을 -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오천리 이천터미널 1일 18회
8839 에버랜드 용인터미널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범계역 - 경수대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터미널 1일 3회
8862 용인터미널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영통입구 - 아주대학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영동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터미널 1일 3회

3.3.2. 위치조회가 불가능한 시외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8201 용인터미널 영동고속도로 강릉터미널 1일 4회
8210 수원터미널 우만주공 - 영동고속도로 강릉터미널 1일 12회

3.4. 시내버스

3.4.1. 경기 프리미엄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P9201 한숲시티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뱅뱅사거리 강남역 1일 2회
P9211 마북동 신창.LG아파트 - 교동초등학교 - 마북동행정복지센터 - 용인서울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서울시청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숭례문 1일 2회
P9241 한숲시티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 1일 2회

3.4.2. 광역급행버스

<rowcolor=#00b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M4455 초당역 동백역 - 호수마을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방배역내방역서초역교대역경부고속도로 교대역 15~40

3.4.3. 광역콜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광역콜버스 용인서울병원 덕영고등학교 - 단사마을 - 상유곡 - 유림동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서초구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양재역 1일 8회

3.4.4.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4101 한숲시티 남곡사거리 - 송전터미널 - 천리농협 - 남북대로 - 신중부대로 써니밸리 - 한국민속촌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서울시청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숭례문 15~35
5000A 초당역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서울역 10~20
5000B 명지대 시청·용인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서울역 10~20
5001 남동차고지 태성중·고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강남역 10~19
5001-1 명지대 시청·용인대역 - 용인대학교 - 효자고개 - 한국민속촌 - 상갈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강남역 15~30
5002A 남동차고지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 에버랜드 ←)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강남역 13~15
5002B 남동차고지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에버랜드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강남역 13~15
5003 남동차고지 남동구미마을 - 보보스타운 - 동진마을 - 명지대앞 - 시청·용인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강남역 8~20
5005 명지대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서울역 11~18
5600 명지대 동진마을 - 태성중·고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강변역 15~30
5700A 명지대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 에버랜드 ←)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강변역 30~35
5700B 명지대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에버랜드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강변역 35~45

3.4.5. 시내일반버스

용인시 버스 목록 참조. 용인시 관내 모든 시내일반형 버스, 공영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3.5. 마을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 용인터미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마평주공아파트 - 서울병원 - 고진역 - 덕영고등학교 - 용인시장 - 처인구청 - 김량장역 - 명지대역 - 용인시청 - 삼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동백역 용인세브란스병원 25~35
5-3 용인터미널 용인중앙시장역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 버드실 → 마성3리 → 지장실 → 새말 → 용인시청 → 명지대역김량장역용인중앙시장역 용인터미널 1일 1회
5-4 용인터미널 용인중앙시장역김량장역명지대역 → 용인시청 → 새말 → 지장실 → 마성3리 → 버드실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 용인중앙시장역 용인터미널 1일 1회
201 삼배울 이동테크노밸리 - 신창 - 천리농협 - 천리 - 천리농협 - 적동 염티골 1일 11회

4. 차량

5. 이야깃거리

5.1. 비판 및 사건사고, 문제점

6. 영업소

7. 면허 체계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BYD

8.1.3. MAN

8.1.4. 자일대우버스

8.1.5. KGM커머셜

8.1.6. 기아

8.2. 과거 보유차량

8.2.1. 현대자동차

8.2.2. 자일대우버스

8.2.3. 기아

9. 둘러보기

경남여객 계열사
경남여객 마북운수 동백운수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2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2 경기운수 대원고속1
대원버스 대원운수 명진여객
이천시내버스 진명여객2 평안운수
평택버스 화성여객 가평교통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선진시내버스 연천교통 파주여객
포천교통 포천상운 경진여객
남양여객 소신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 화성운수
경원여객 써클라인 시흥교통2
태화상운 가온누리엠 경남여객2
고양교통 과천여객 군포여객
금강고속 대명운수 대양운수
도원교통 동부고속1 명성
백성운수 보영운수 부일교통
부천버스 비티에스 산본여객
삼경운수 삼영운수 평택운수
서울여객 성광운수 성일운수
성남시내버스 성우운수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양주교통2
오산교통2 와부버스2 용남고속버스라인
의왕교통2 청우운수 태산운수2
평택여객 학의운수2 협진여객
화영운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 대원고속1 선진고속
경기공항리무진 경남여객 경일여객
금강고속 대화관광 동부고속1
동양고속1 삼화고속1 용남고속버스라인
중앙고속1 한일고속1
}}}}}}}}}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경원여객 계열사

파일:광주시 CI.svg 경기도 광주시 진입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KD 운송그룹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 버스 회사
[광] : 광주시 면허인 회사
}}}}}}}}} ||


[1] 경기도지사를 지냈던 전직 정치인 남경필의 동생이다.[2]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기준[3] 일제강점기 '경남철도주식회사'에서 경남이라는 단어가 쓰인 바 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경상남도와 헷갈리는 일이 많다보니, 경기남부의 두 글자 축약 표현은 기남(畿南)이 더 자주 쓰인다. 경기북부도 마찬가지로 경북(京北)보다 기북(畿北)이라는 표현을 더 자주 쓰고.[4] 사실 70년대에는 채무에 대해 경영진이 무한 책임을 지는 합명회사였다. 초창기의 경남여객은 현재보다 더 가족기업에 가까웠기 때문.[5] 인천 지역과 수원 지역 신문이 합쳐서 만든 신문, 1980년부터 경인일보의 감사, 이사로 재직했다.[6] 대표적으로 80번과 810번 노선. 이 둘을 마을버스 업체에 매각하여 현재는 5번 하나만 남았다.[7] 유일하게 오너일가가 아닌 대표이사[8] 현재는 폐선했다.[9] 이 노선들은 전부 KD로 양도했다. 5007번 참조. 대신 공동 배차하던 용인-신갈-대전 시외버스의 KD 지분이 경남여객으로 넘어갔다.[10] 다만 경쟁을 하는 노선도 일부 존재하는데, 수원역행 노선이 이에 해당한다.[11] KD의 용인시 주 영업지역은 수지구, 기흥구 서부와 구성동, 처인구 모현읍과 포곡읍이다.[운행중단] [13] 동양고속으로 부터 인수. 중앙고속 철수 후 단독 운행 노선이다.[14] E-Pass 실시로 인하여 잔여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정도는 고속버스티머니 앱이나 티머니 GO 앱에서 조회 가능함.[15] 개통 이후 대우차량만 투입된 유일한 노선이었으나 2019년 8월 그린시티를 투입하며 기록이 깨져버렸다.[16] 동시에 그랜버드 썬샤인 오토 차량도 도입했다.[17] 덤으로 이 회사는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마을버스 회사도 인수해서 운영 중에 있다. 물론 예외는 존재한다. 60번/660번/1113번은 광주시내를 관통하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와 오산리은 예외. 이쪽은 오산리로 갈때 오포읍을 경유하지 않고 직진해서 그런 거 없다.[18] 현재는 경기도 공공버스로 인해 기점지 면허로 대부분 변경되면서 아웃광주가 대폭으로 줄었다.[19] 특히 강남대역 용인방향(예를들어 10번 백암방향, 66시리즈 용인시내 + 에버랜드방향)이 제일 심하다. 특히 그쪽은 빨간불인데도 사람이 없으면 쌩까고 간다! 다른 곳도 있지만 특히 처인구 구간이 제일 잦다. 대신 신갈, 용인시 이외 구간(서울, 성남, 수원 등등)만 신호를 그나마 잘 지키는 편이다.[20] 경부고속도로에서 경남여객 2층버스가 KD를 추월하며 2022년에도 리밋이 풀려있는 차량들은 케바케지만 폭주를 하는 경우가 있고 심지어 과거에는 경남여객 직행좌석버스가 비상등을 키고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을 추월했다. 요새도 전세버스나 리밋이 걸려있지 않는 구형 버스를 타면 가끔 고속버스도 추월한다.[21] 경기도 공공버스 시행 이후로는 직행좌석 버스들이 크게 속도를 내지않고 크루즈를 맞춰놓거나 리밋이 걸려있어 95~97km/h 주행한다.그래도 대부분의 KD 소속 버스는 추월한다.[22] 경남여객답게 당연히 리밋에 근접한 속도를 내지만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앞에 KD 운송그룹의 차가 없을 경우 같은 경남여객 소속 유니버스의 속도를 보고 마치 자신이 KD 운송그룹의 차를 타고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23] 108km/h 리밋이 대부분이다. 중앙고속과 비슷하다.[24] R8343을 타보면 천안에서 수원신갈IC까지 30분 컷이다.[25] 혹시나 수지구를 가려고 서울에서 버스를 탔는데 M4101이 아닌 그냥 경기광역 4101을 탔다면 신갈오거리에서 내려 55번을 타거나 금화마을 입구에서 내려 상갈역으로 간 후 지하철 환승을 하면 되니 당황하진 말자.[26] 6101, 6174호 초반에는 강남역 위주였지만 지금은 유동적으로 모든 노선에 쓰인다.[27] 1141, 1142호[28] 파일:8211호.jpg[29] 용인시 장애인·노약자 홀대…저상버스 도입 최하 (2013.06.19, 연합뉴스)[30] 전량 22-1번에서 운행 중.[31] 용남고속 운행 당시 개조.[32] 현재 중문쇄정 차량들은 전부 대차됐다.[33] 비슷한 사례로 경진여객의 유니버스 프라임이 있다. 이건 자체적으로 53인승으로 뽑았는데 민원폭탄, 언론에 고발되고 버스 동호인도 신랄하게 비판해 49인승으로 개조했다.[34] 전문형 49인승 차량에 갱웨이가 높게 적용되어 있는 이유가 휠하우스 때문.[35] 경남여객의 용인터미널, 본사 소속 차량은 이곳에서 충전하며, 동백운수 본사로 등록되어 있어 동백운수도 이 곳을 사용한다.[36] 수원시 경유 노선과 처인구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들의 주박지이며, 경남여객 모든 차량의 중정비창이다. 남동 본사나 직행좌석버스들도 심하게 파손이 되었을 경우 이 곳으로 오며, 신차 작업도 우만동에서 해결한다.[37] 과거에는 에버랜드 정문 주차장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에버랜드가 모든 버스 업체를 밖으로 내쫓으면서 2011년 2월에 전대.에버랜드역 근처로 이전해왔다. 그러다가 2020년 4월 에버랜드 교통 개선 사업으로 인해 노선버스터미널과 함께 영업소도 정문 근처로 다시 돌아왔다. 구내에 CNG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38] 다만 KD의 경우에는 인근에 용인시내영업소라고 차고지가 따로 있으며, 평시에만 사용한다.[C] 용인시 마을/공영버스 주 면허로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과 함께 사용한다.[C] [41] 일부 면허는 KD 운송그룹(대원버스)에도 있다. 과거 1001, 2002, 2002-1번을 매각할 때 차량도 같이 넘어갔기 때문.[42] 수원여객99번을 인수하면서 가져온 차량으로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뉴 카운티로 대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