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단은
범계역 | ||
| ||
당고개 방면평 촌 ← 1.3 ㎞ | 4호선 (442) | 오이도 방면금 정 2.6 ㎞ → |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Beomgye | |
한자 | 범계 | |
간체자 | 凡溪 | |
가나 | ポムゲ | |
주소 |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지하 130 (호계동)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안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
운영 기관 | ||
과천선 | | |
개업일 | ||
과천선 | 1993년 1월 15일 | |
과천선 (구 1호선) | 1993년 1월 15일 ~1994년 3월 31일 | |
4호선 | 1994년 4월 1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금정 방면금 정 ← 2.6 ㎞ | 과천선 범 계 | 남태령 방면평 촌 1.3 ㎞ → |
[clearfix]
1. 개요
|
범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호랑이를 형상화했다. |
폴사인 | 역명판 |
호계동의 '호(虎)'를 순우리말 '범'으로 바꾼 지명
범계역은 1993년 1월 15일 과천선이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7,283㎡ 규모로 과천선의 다른 역사들처럼 철근 콘크리트 지하 역사로 지어졌다. 인근에 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하여 과천선의 역들 가운데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으로 <한국철도요람집 1993>에 따르면 당시 연간수입이 430백만원으로 인근 다른 역들의 1.5~2배에 달했다. 역명이 유래한 범계동 지명은 호계동의 방죽말, 안말, 샛터말을 통칭해 일컫던 말로 과거 이곳 초목이 우거지고, 그 냇가에 범이 많이 살았다하여 범계라 불렸으며, 이 범계를 한자말로 표기한 것이 오늘날 호계동이다. 이런 배경으로 1992년 호계동에서 지역이 독립하고, 역이 들어서면서 순수 우리말 지명을 되살려 범계가 되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4호선 442번[1].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지하 130 (호계동)[2] 소재.범계역은 1993년 1월 15일 과천선이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7,283㎡ 규모로 과천선의 다른 역사들처럼 철근 콘크리트 지하 역사로 지어졌다. 인근에 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하여 과천선의 역들 가운데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으로 <한국철도요람집 1993>에 따르면 당시 연간수입이 430백만원으로 인근 다른 역들의 1.5~2배에 달했다. 역명이 유래한 범계동 지명은 호계동의 방죽말, 안말, 샛터말을 통칭해 일컫던 말로 과거 이곳 초목이 우거지고, 그 냇가에 범이 많이 살았다하여 범계라 불렸으며, 이 범계를 한자말로 표기한 것이 오늘날 호계동이다. 이런 배경으로 1992년 호계동에서 지역이 독립하고, 역이 들어서면서 순수 우리말 지명을 되살려 범계가 되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
역 안내도 |
역 이름은 역이 위치한 곳인 호계동(虎溪洞)에서 유래했다. 동해선 호계역(虎溪驛)과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한자어 지명 대신 순우리말 기반 지명인 '범계'(범溪)를 택했다.[3] 중국어 표기는 순우리말 '범'을 음차한 '凡溪'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법정동은 그대로 호계동이지만 행정동은 1992년에 범계동으로 명명되었다.[4]
건설 당시에는 8개 출구가 있었지만, 2008년에 범계역에서 뉴코아아울렛 방향으로 4-1번 출구가 개설되었다. 2009년 초, 2번 출구와 4번 출구를 제외한 전 출구에 대형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
여담으로 2017년 3월의 카카오지하철 시간표 기준으로 토일공 마지막 안산행 차 시간은 딱 자정이다. 다만 토일공 진짜 막차는 24:22 산본행.
2011년 5월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현재 가동 중이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인덕원역과 같이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로 인하여 가동이 일시 중단된 적이 있다.[5]
오이도 방면 기준으로 마지막 지하역이다. 반면 사당, 당고개, 진접 방면으로는 지하 구간이 시작되는 기점이며 총신대입구역(이수)까지 쭉 이어진다.
평촌 방면 승강장 벽면에 지하철체로 된 구형 역명판 흔적이 있고 사진 금정 방면 승강장 기둥에 구형 역명판이 있다. 사진
은근히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에는 광고가 많다. 에듀윌과 산부인과 광고가 있다.
3. 역 주변 정보
1993년경에 조성된 평촌신도시의 서측에 위치해 있는 역으로, 역 주변은 대부분 평촌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상업지구로 조성되어 있다. 안양시청, 동안구청, 안양우체국이 있다. 평촌 로데오거리를 따라 상권가, 평촌 아크로타워, 안양우편집중국, 중앙공원이 주변에 있고, 목련5~7단지, 무궁화경남 단지를 넘어가서는 학원가로 이어진다.인근에 1번 국도 경수대로가 지나서 평촌신도시 바깥에서 버스 등을 이용해 접속하기에도 편해, 평촌신도시의 교통 요충지이다. 그런 환경으로 인해 2009년 1월 기준 일평균 이용객은 55,720명으로 현재도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코레일 운영구간의 역들 중 가장 많은 이용객을 자랑한다.
평촌신도시가 들어서기 이전 이 지역은 논밭이었으나, 신도시 형성 이후 안양역의 안양1번가와 함께 안양(권)의 양대 대규모 상권인 평촌1번가[6]가 형성되었다. 상권 바로 인근에 1번 국도 경수대로가 지나는 데다[7] 경수대로를 이용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평촌IC와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IC, 멀리 보면 영동고속도로 북수원IC까지도 연계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 교통 환경이 매우 좋다. 이런 이유로 강남이나 영등포(구로디지털단지)는 말할 것도 없고 송파, 용인, 모란, 분당, 수원, 오산, 평택 방면 시내버스(직행버스 포함) 등 온갖 지역 노선의 집결지임과 동시에 인천공항 가는 공항버스와 시외버스도 탈 수 있다. 터미널도 아닌 그냥 정류장인데도 꽤나 많은 편에 속하는데, 경기공항리무진 소속 버스는 아예 안양동안경찰서 맞은편 건물 1층을 임차해 간이 터미널처럼 사용하며 이곳을 경유 정류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비슷한 안양평촌 생활권에 속하는 의왕, 군포 주민도 범계역을 이용한다. 특히 군포 주민은 범계역이 지나는 4호선 연계가 편해서 이쪽으로 수요가 많이 난다.
고등학생들이 많이 보이는데, 크게 보면 지리적 요인 때문이다. 걸어서 5분에서 10분정도 걸리는 거리에 평촌고, 부흥고, 경기게임마이스터고 등 세 곳의 고등학교가 있고, 부흥중, 부림중, 부안중, 범계중, 평촌중과 부흥초, 부림초, 부안초, 희성초, 달안초, 평촌초, 범계초 등 학교가 매우 많다. 공교육기관 이외에도 몇 블록만 가면 학원가가 있는데, 그것도 보통 학원가가 아닌 경기도 최대 규모의 학원가 중 하나인 '평촌학원가'이다. 평촌학원가는 대로변에 287개 학원가들이 밀집해 있다.
인근에 뉴코아아울렛(CGV 범계)이 있으며, 현재는 힐스테이트 오피스텔로 재건축된 땅도 2017년까지는 NC백화점이었고, 범계역에서 도보로 약 5분 거리인 동안구청 북측에 홈플러스 평촌점이 있었다.[8] 이 지역의 상권은 2012년 3월 29일 NC백화점 바로 맞은 편에 개점한 롯데백화점 평촌점[9]으로 인해 크게 바뀌었다. 서울로 직통할 수 있는 전철역인데다 인근에 경수대로가 있어 차량 통행이 적지 않은데, 롯데백화점이 생긴 이후로 소위 "돈 많은 평촌 시민"들이 백화점들에 몰리면서 주말이면 일대가 지옥으로 변할 정도라는 비유가 나온다. 특히 롯데백화점은 평촌점의 성공 이후로 기존에 안양역사에 위치해 있던 점포를 매각하고 평촌점에 올인하게 된다. NC백화점은 이 때 롯데에 밀려 철수한 것이다. 롯데백화점 평촌점 내에 롯데시네마 평촌(범계역)이 있다.
백화점 외에도 드럭스토어만 네 개나 있으며[10], 상권의 척도처럼 사용되는 스타벅스도 2010년대 중반만 해도 로데오점 한 곳 뿐이었으나 야금야금 신규 출점해 현재는 범계역 인근에만 3개 점포, 거리를 약간 확장하면 안양비산DT와 평촌아크로까지 5개 점포가 있다. 패스트푸드점의 경우 리즈 시절만 해도 여러 브랜드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는데 뉴코아아울렛 1층에 90년대에 오픈한 범계역 인근 최초의 롯데리아는 2010년대 초반에 문을 닫았고, 범계역 번화가에 있는 롯데리아 평촌범계점은 2014년 9월 26일에 문을 닫았다. 2017년 엔씨백화점 폐점으로 내부에 있는 맥도날드와 버거킹도 폐점. 덕분에 이제는 홈플러스 1층 롯데리아와 범계역 2번 출구 인근 맘스터치만 남은 상황. 맥도날드는 부흥고 인근 뒷편의 DT점포(안양비산DT)와 평촌학원가 쪽의 지점(평촌호계점)만 남았고, 모스버거는 폐업하고 옆의 올리브영 매장이 확장되었다. 2021년 들어 폐점한 NC 백화점을 허물고 다시 지은 힐스테이트 오피스텔 저층부에 주상복합 형태의 상가가 생겨 새로운 패스트푸드 브랜드가 입점할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있었고 오피스텔 1층에 진짜로 프랭크버거가 들어왔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3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3년 | 4,375명 | |||
1994년 | 16,186명 | ||||
1995년 | 28,864명 | ||||
1996년 | 34,507명 | ||||
1997년 | 38,063명 | ||||
1998년 | 40,204명 | ||||
1999년 | 41,667명 | ||||
2000년 | 45,797명 | 비고 | |||
2001년 | 49,216명 | ||||
2002년 | 55,281명 | ||||
2003년 | 58,778명 | ||||
2004년 | 47,794명 | [11] | |||
2005년 | 50,099명 | ||||
2006년 | 50,209명 | ||||
2007년 | 50,914명 | ||||
2008년 | 54,009명 | ||||
2009년 | 54,741명 | }}}}}}}}} | |||
2010년 | 56,985명 | ||||
2011년 | 58,131명 | ||||
2012년 | 61,899명 | ||||
2013년 | 64,130명 | ||||
2014년 | 65,031명 | ||||
2015년 | 63,930명 | ||||
2016년 | 61,508명 | ||||
2017년 | 59,670명 | ||||
2018년 | 58,693명 | ||||
2019년 | 58,806명 | ||||
2020년 | 41,484명 | ||||
2021년 | 42,063명 | ||||
2022년 | 47,493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수도권 전철 4호선 코레일 구간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4호선 승하차객 수 전체 6위로 상위권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평촌신도시의 상업 중심지이자 안양시의 새로운 교통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어서 이미 주변 지역의 개발이 완료되었음에도 2014년까지 빠른 속도로 이용객이 늘어나는 역이었다.
- 2005년에 하루 이용객 5만 명 돌파, 2012년에는 6만 명을 돌파하여 안양시 동안구 및 의왕시 사람들이 범계역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으며 다시 이용객이 감소해 2017년에는 6년 만에 일일 이용객이 5만 명대로 돌아왔다.
- 범계역의 주된 이용객은 안양시 동안구 신촌 · 귀인동에 넖게 펼쳐진 평촌학원가를 찾는 과천시, 수원시, 의왕시, 안산시 일대의 학생과 학부모들이다. 범계역 번화가에서 먹고 놀거나 볼 일이 있는 사람들 또는 서울로 출퇴근하려는 비산동, 호계동 및 의왕시 고천동 일부 주민들도 이용한다. 이 정도만 해도 배후 인구가 10만 명이 넘는 수준인데, 범계역의 이용객 수를 보면 과천시, 수원시, 동작구 등을 포함 곳곳에서 온 사람들 역시 이 역을 자주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 안양시 내에서도 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정차하고 안양1번가라는 번화가가 있는 안양역을 제치고 안양시 내 지하철 수요 1위다.
5. 승강장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개찰구별로 승강장이 분리돼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12] 승강장을 잘못 갔을 경우 개찰구 끝에 있는 비상문의 직원 호출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직원이 문을 열어주기 때문에 이 문을 통해 승강장을 넘어가는 방법이 있다.
평촌역 방면으로 건너편 선로로 건너가는 건넘선이 존재한다. 금정역 이남에서 사고가 일어날 경우 당고개 방면으로 비상 회차가 가능하나, 다음 역인 금정역이 경부선 환승역이기도 하고 사고 대처가 쉬운[13] 역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용된 적은 없고 금정역에서 사고가 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용될 지는 미지수이다.
↑ 평촌 | |||
1 | ㅣ | ㅣ | 2 |
금정 ↓ |
상 | | 인덕원·대공원·이촌·명동·당고개 방면 |
하 | 금정·산본·상록수·안산·오이도 방면 |
6. 버스연계
타는 곳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각주[n]을 확인하세요.도 움 말
상행 종점 : 정류장명(위치) / 하행종점 : 정류장명(위치)
| |
광역급행버스 · 시외버스 | M5333[14] · 8839[15]· 8458[16] |
직행좌석버스 | 333[17] · 1303[18] · 3030[19] · 3330[20] · G8808[21] |
일반좌석버스 · 간선버스(서울) | 300[22] · 542[23] |
일반시내버스 | 1[24] · 3[25] · 5-2[26] · 6[27] · 10[28] · 11-5[29] · 33[30] · 60[31] · 301[32] · 917[33] |
마을버스 | 03[34] · 2-1 · 5 · 5-1 · 5-3 · 6 · 6-1 · 6-2 · 7 · 8 · 10-1 · 10-2 |
[1] 개정 전 57번[2] 호계동 1039-2번지[3] 범계동 유래, 수도권 4호선 역명의 공식 한자 표기[4] 평촌신도시 전체가 안양시의 여타 지역과 달리 법정동과 행정동 명칭이 서로 다르다.[5] 스크린도어 개량 전에는 1호선 대방역, 주안역처럼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 음성이었으나 개량하고 난 이후에는 광주 1호선 대다수 역들, 경의중앙선 망우역~양정역과 똑같은 '승강장 안전문이 열립니다' 이 음성이 난다.[6] 사람들 사이에서는 대부분 ‘평촌’이나 역 이름인 ‘범계’, 또는 '범계 로데오'로 퉁쳐도 알아듣는다. 근처 주민들 혹은 군포나 의왕 등 안양권 등지, 서울 등지에서 놀러온 사람들에게는 사실상 만남의 장소로 통한다.[7] 범계사거리로 나가기만 하면 바로 경수대로다.[8] 덧붙여 홈플러스가 되기 이전에는 세반스토어라는 소형 백화점 형태로 운영되었다가 1997년 외환 위기의 여파로 문을 닫았고, 1999년부터 한양프라자라는 명칭으로 리네임한 뒤 상가 형태로 근근히 버티면서 영업했는데 이마저도 00년대 NC백화점과 그 옆의 킴스/뉴코아아울렛에게 완전히 잡아먹혀서 2007년 즈음 폐업했다. 이후 2008년 가을에 홈플러스로 리뉴얼되면서 지하 매장과 주차장이 마개조 수준으로 확장된 곳.[9] 원래는 GS스퀘어 안양점으로 공사가 진행중인 부지였으나, 롯데가 GS스퀘어와 GS마트를 인수하면서(GS리테일 자회사의 보유 부지에 롯데가 임대 입점한 형태) 같이 롯데백화점으로 간판이 바뀌었다. 이 시기 롯데백화점이 된 대표적인 점포가 안산 롯데백화점과 구리 롯데백화점으로, 자세한 내용은 롯데백화점/점포 항목 참조.[10] 올리브영 3+롭스 1. 한동안 4호선 사당 이남으로는 유일하게 이 부근에 랄라블라(구 왓슨스)도 있었으나 10년대 중후반 경에 폐점하였다.[11]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12] 4호선의 코레일 구간에서는 선바위역과 함께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둘 뿐인 역이다.[13] 평상시에 사용하지 않는 주박용 승강장이 있고, 시간표가 허락한다면 건넘선을 이용하여 1호선 승강장을 이용할 수 있다.[14] 잠실역: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 / 범계역:종점[15] 인천터미널: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 / 에버랜드: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16] 소풍터미널: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 / 동아방송대학: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17] 사기막골: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안양역: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18] 외대: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안양역: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19] 신사역: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군포차고지: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20] 도촌동: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안양역: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21] 부천터미널소풍: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범계역:종점[22] 범계역:종점 / 하북차고지: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23] 신사역: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부곡차고지: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24] 구로디지털역:범계역(3번출구 앞) / 평촌차고지: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25] 철산역:범계역(3번출구 앞) / 평촌차고지:목련선경아파트(목련1단지 앞)[26] 연현마을:범계역(3번출구 앞) / 월암차고지:목련선경아파트(목련1단지 앞)[27] 벌말초교: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충훈부종점:동안경찰서.범계역(8번출구 건너편)[28] 고천: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창박골:범계역(3번출구 앞)[29] 정금마을:범계역, 동안경찰서.범계역(3번 또는 8번출구 앞) / 군포차고지: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30] 숲속마을:범계역,범계역.힐스테이트(3번 또는 1번출구 앞) / 롯데프리미엄아울렛타임빌라스:목련선경아파트(목련1단지앞)[31] 동편마을:범계역(3번출구 앞) / 군포차고지:목련선경아파트(목련1단지앞)[32] 부림중학교: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 / 하북차고지:목련선경아파트(목련1단지 앞)[33] 잠실주경기장:범계역, 동안경찰서.범계역(3번 출구 앞 또는 8번출구 건너) / 군포차고지:롯데백화점.범계역(8번출구 앞)[34] 관악타운:목련선경아파트 (목련 2단지 앞)/모락산현대아파트: 범계역 중앙정류장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
서울 지하철 4호선 | 당고개 - 상계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한성대입구 - 혜화 - 명동 - 회현 - 숙대입구 - 신용산 - | |
과천선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 |
안산선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