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333><colcolor=#fff> 지하철체 | |
분류 | 돋움 |
제작 | 인터디자인연구소, 초롱테크(TTF화 제작) |
출시 | 1983년 |
활자 가족 | 지하철체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대부분의 예전 지하철 간판 등에서 주력으로 쓰이던 글꼴이다. 1983년 개발한 서체로, 인터디자인연구소에서 디자인하고 초롱테크에서 제작하였다.[1] 국내 도시철도 최초의 고유 서체이며, 서울교통공사 운영 1~8호선, 신분당선[2], 그리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스크린도어 안내문, 대구 도시철도 반월당역, 중앙로역, 동대구역의 스크린도어[3], 열차 정지선 표지에서 사용하는 서체이다. 국내 도시철도 최초로 규격화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사용한 서체로, 이후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의 지방 도시철도도 고유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디자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2. 역사
1980년대에 1, 2호선이 개통하고 난 뒤, 고전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기 위해 새 서체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고, 1, 2호선에 시범 적용을 한다. 그 후, 이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는지 안내 사인 등 지하철체가 적용된 디자인의 범위를 확장하여 3, 4호선이 개통할 무렵에는 전부 지하철체로 디자인되어 개통하게 된다.
2기 지하철 계획이 수립되면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발족하였고, 지하철체의 소유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공동으로 갖게 되었다. 그리고 5, 6, 7, 8호선 역시 지하철체로 된 안내 사인을 적용하여 개통하게 되었다.
1990년대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의 과천선, 분당선, 일산선, 안산선에서도 지하철체를 사용했었다. 사진(과천역) 다만, 경인선, 경원선 등의 지상 구간에서는 견출고딕 계열 서체(HY견고딕체와 유사)가 적용되어 있었다. 이후, 철도청도 자체적인 디자인 체계를 만들게 되면서 지하철체가 적용된 사인은 대부분 한국철도체로 변경되었다. 한국철도체는 현재의 코레일체보다는 대체 폰트인 HY울릉도체에 가까운 디자인이다. 2005년 한국철도공사 시기로 접어들면서 코레일체가 개발됨에 따라 한국철도체도 그 수명이 다 해가고 있다. 구 철도청 관할 지하 구간인 과천선, 분당선 1차 구간, 일산선의 몇몇 역명판은 역번 부분을 제외하면 아직까지도 한국철도체 시절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4] 지상 구간의 경우 경원선(회기 - 의정부 구간)이 코레일 블루 디자인이 적용된 뒤에도 한국철도체를 유지했으나 2012년경 부역명이 붙은 역부터 교체가 시작되어 현재는 모두 코레일체가 적용되어 있다. 다만 여전히 승강장 내 종합안내도나 주변지역안내도에서 지하철체를 찾아볼 수 있다. 경인선을 비롯하여 심지어 부산에서도 볼 수 있는데, 21세기에 개통된 동해선 광역철도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3. 쇠퇴
오세훈 시장 임기 말에 들어 서울시는 서울을 디자인중점 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수립한다. 그렇게 새롭게 탄생하게 된 서울남산체로 인해 지하철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서울 지하철 9호선과 3호선(연장구간)의 노선 디자인은 지하철체가 아닌 서울 서체를 이용한 노선이 되었다. 2010년대 들어 기존 서울 지하철 역사에도 시설물들이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교체되어 지하철체 사용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게다가 최근에는 의무적으로 일본어, 중국어 표기를 하게 되면서 서울에서의 지하철체의 운명도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쪽에서는 역명판을 비롯한 사인 교체 관련 작업이 진행 중인데 서울 서체를 적용하되 기존의 틀은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듯.결국 서울교통공사는 2025년까지 모든 시설물 교체를 완료하겠다는 방침을 내려 사실상 서울교통공사 구간에서의 지하철체는 시한부 카운트다운이 시작되었다. 조만간 서울교통공사 구간에서는 지하철체를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결국 1호선[5], 2호선[6], 3호선[7], 4호선[8], 5호선[9][10], 8호선[11] 역명판에서는 대부분 퇴출되었다.# 다만 6호선[12], 7호선[13]에는 지하철체가 대부분 남아있으며 아직 일본어, 중국어 표기가 추가되지 못하고 지하철체가 온전히 보존된 역명판이 한두 개 정도 발견되는 역 또한 제법 많은 편이다.(예: 효창공원앞역, 남구로역, 증산역) 그리고 심지어 최근에는 1~4호선(경복궁역, 충무로역(3호선) 제외) 한정으로 승강장 너머 역명판에도 서울남산체로 교체되는 추세이며 5~8호선에는 왕십리역을 제외하면 아직 교체가 진행된 곳이 한 곳도 없다. 하지만 타는 곳, 나가는 곳, 갈아타는 곳 등의 표기에는 지하철체가 훨씬 많다.[14]
서울시가 지하철체를 차츰 소멸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오히려 서울시 관할이 아닌 노선인 신분당선은 아예 지하철체를 디자인으로 활용하는 추세다. 인천 1호선은 한때 스크린도어 역명판에서 지하철체를 활용했으나[15] 지금은 인천 2호선과 비슷하게 다시 붙여서 사라졌다. 다만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부분에는 지하철체가 남아있다.
부산광역시 도시철도에서 부산교통공사 관할역의 지하철체 퇴출 이전 역 중 환승역이나 붐비는 역이 아닌 경우에는[16] 지하철체를 볼 수 있다. 일부 구형 역명판은 HY헤드라인M을 사용했다. 1호선에는 이미 다 사라졌으며[17], 대표적으로 2호선[18], 3호선[19]의 일부 역에는 남아있다. 다만 선로측 역명판과 열차 미정차 구간에는 지하철체가 남아있다.
대구 지하철에는 지하철체는 아니지만 구형 글씨체가 대구 지하철 1호선과 대구 지하철 2호선의 일부 역에 남아있으며, 광주 지하철에는 광주송정역, 금남로 4가역, 문화전당역에는 지하철체가 없다.
인천 지하철은 개통 당시 구형 역명판은 지하철체가 아닌 HY견고딕을 사용하였으며, 대전 지하철은 개통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HY헤드라인M을 사용하고 있다.
결국 지하철체는 역사의 뒤안길로 완전히 소멸되는 듯 하지만…
서울지하철에서 지하철체가 소멸되는 도중에 뜬끔없이 지하철체로 된 안내사인이 새로 설치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남선과 진접선, 석남 연장과 같이 연장되는 노선의 행선판이나 선로측 역명판 땜질이나 출구 신설시설물 관련 등에서 볼 수 있다.[20]
4. 여담
- 한때 이 서체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 급이였는데, 2010년경에 디시인사이드 철도 갤러리에서 한 유저가 지하철체를 무상으로 배포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다. 현재는 이 블로그에서 배포중이다. 사실 그 이전에 일부 간판 회사[21]에서 간간히 지하철체를 사용했던 사례가 있었다. 그래서 가끔 길에서 지하철체로 된 간판을 목격 할 수 있다.
- 초롱테크에서 나온 지하철체는 "CR지하철"이라는 이름의 폰트로 모리사와에서 폰트 저작권을 인수하여 "터미널"이라는 폰트로 존재중이다.[22]
- 경기도의 어떤 버스 회사의 시외버스 차량 중 일부는 후면에 있는 폰트가 지하철체로 되어있다.
- 정말 뜬금없게도 경기도 안양시 평촌 중앙공원 지하주차장의 몇몇 안내판에 지하철체가 사용되고 있다.
* 한때 강원여객에서도 차량 외부 사명 표기를 할 때 지하철체를 사용했다. 신도색이 적용되면서 더 이상 지하철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아직은 잔존 차량 수가 많아서 지하철체로 '강 원 여 객'이 적힌 차량은 많이 볼 수 있다.
[1] 이 연구소에서는 2000년까지 사용하였던 지하철 안내 사인도 함께 디자인했다.[2] 21세기에 신설된 노선 중에 유일하게 지하철체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전부 지하철체는 아니고 윤고딕 계열 서체와 혼용 중이다. 예외로 2018년 4월 28일에 개통한 미금역은 코레일 둥근고딕체를 쓴다.[3] 언뜻 보면 쓰이지 않은 것 같지만 스크린도어 곳곳 안내 문구에 적힌 것을 볼 수 있다.[4] 단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적용된 역은 제외.(ex) 서현역)[5] 온전하게 남아 있던 역은 종로5가, 신설동역이 마지막이었으며 모두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 가면서 철거되었고, 종각역의 일부 역명판에는 전후역 표기에 남아있다.[6]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던 시청역 및 신설동역을 제외하고 2019년 8월 중순에 제일 먼저 퇴출되었으며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시청역도 2021년에 교체되었지만, 신설동역 당역 종착 역명판의 용두역(전 역)과 신도림역 1번 출구 폴사인에 아직 지하철체가 남아있다.[7] 옥수역과 도곡역, 압구정역의 타원형 일부 역명판을 제외하고는 모두 교체되었으나 압구정역의 경우 역번호는 자판기에 가려져 있다. 또한 고속터미널역 8번 출구 상단에도 남아있다.[8] 온전한 형태는 리모델링 공사와 함께 철거된 쌍문역을 마지막으로 대부분 교체되었으나 노원역에 아직 1개가 남아있으며 이수역과 충무로역도 스크린도어에 가려진 것이 각각 1개씩 남아있고 혜화역 일부 역명판에도 전후역 표기에 남아있다. 또한 이촌역 3-1번 출구에서도 볼 수 있다.[9] 여기는 날개형 역명판에 시범적으로 서울남산체 디자인을 적용하는 노선으로 선정되어 6, 7, 8호선의 날개형 역명판과는 달리 모든 상대식 승강장역의 날개형 역명판에 한국어 표기까지 전부 서울남산체로 교체되었다. 다만 섬식 승강장 너머에 있는 역명판에는 방화역과 화곡역을 제외하면 아직 지하철체가 남아있다.[10] 사실 다른 노선의 날개형 역명판처럼 초기에는 한자 역명판만 교체했지만 언제부터 한국어 표기까지 전부 서울남산체로 교체되었다...[11] 다만 암사역, 몽촌토성역, 송파역, 문정역 역명판은 당 역에는 한국어 표기에는 지하철체가 남아있었지만 결국 2024년 8월에 모두 교체되었다.#[12] 태릉입구역을 마지막으로 한자 역명판은 모두 교체된 상태이지만 대부분 아직 당 역 한국어 표기에서는 지하철체가 남아있다.# 한국어 표기도 서울남산체인 역은 합정역, 이태원역, 봉화산역, 신내역 뿐이었지만, 2024년 7월 들어서 지하철체가 사라지기 시작했다. 참고로 5~8호선 상대식 승강장(섬식 승강장에서도 승강장 너머의 벽면에 설치되었으나 스크린도어에 가려져 교체 대상에서 제외되었다.)에서 볼 수 있는 날개형 역명판은 한국어 표기 칸과 외국어 표기 칸이 따로 있어서 일본어, 중국어 표기를 추가하여 교체한 뒤에도 한국어 표기에는 지하철체가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13] 201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한자 표기가 많이 남아있었지만, 2019년부터 한자 표기의 역명판은 사라지기 시작해서 2022년에는 한자 역명판이 아예 없다. 그리고 섬식 승강장(노원역을 제외하고 전부 개정) 및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시행된 일부 역(ex) 학동역, 논현역, 내방역)들은 한국어 표기도 서울남산체로 개정되었다. 그로 인해 현재 6호선보다 개정이 더 많이 되었으나 강북구간의 스크린도어 역명판에는 지하철체가 꽤 남아있다.[14] 이 쪽 역시 일본어, 중국어 표기를 추가하면서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한국어 표기 칸과 외국어 표기 칸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아직 역명판에 비하면 지하철체가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15] 예외적으로 동막역 스크린도어 역명판은 2002체를 활용했다.[16] 이런 역은 애저녁에 다 신 역명판으로 바꿨다. 대표적으로 서면역.[17] 부산 4호선은 신역명판으로 개통되었으므로 제외[18] 모덕역, 동원역, 금곡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에는 구역명판만 부암역, 수정역 승강장과 스크린도어 너머의 서면역, 장산역에는 전&후역 부분에만 구역명판이 남아있다.[19] 거제역을 제외한 모든 환승역과 숙등역, 구포역만 신역명판이고 그 외는 전부 구역명판[20] 다만, 조금만 더 생각해본다면 완전 새로 설치할 경우에는 아예 전체를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해 돈이 많이 들지만, 일부분만 수정하면 돈을 아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라 볼 수 있다.[21] 서울지하철의 사인물을 맡았던 업체.[22] 결제를 해야 다운로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