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관내 시내 | 고양교통 | 대덕운수 | 명성 |
백마운수 | 서울여객 | 선진버스 | ||
여산교통 | 대원고속 | |||
관외 시내 | 경기고속 | 동해운수 | 신촌교통 | |
서울매일버스 | 선진운수CL | |||
마을 | 고양도시관리공사 | 관산운수 | 대림교통 | |
대진교통 | 대화교통 | 동일여객 | ||
보람운수 | 보은교통 | 성우교통 | ||
신일산교통 | 신일산운수 | 여산교통 | ||
자안운수 | 주원교통 | 하나교통 | ||
한진교통 | 화정교통 | 홍성 | ||
CL: 현금 승차 제한 업체 | ||||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대덕운수 계열사 | |||
고양시 | 서울특별시 | ||
대덕운수 | 백마운수 | 서북교통 | 서북운수 |
주식회사 대덕운수 株式會社 大德運輸 Daedeok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 2004년 5월 1일[1]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김만선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32명(2024년 8월 31일 기준) |
자본금 | 1억원(2023년 기준) |
매출액 | 77억 2,122만원(2023년 기준) |
영업이익 | 1억 4,765만원(2023년 기준) |
순이익 | 2,711만원(2023년 기준) |
자산총액 | 59억 5,717만원(2023년 기준) |
부채총액 | 58억 907만원(2023년 기준) |
부채비율 | 3,922.27%(2023년 기준) |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견달산로 246-3 (식사동) |
전화번호 | 031-965-8401 |
1. 개요
| |
81번 | 83번 |
대덕운수는 고양시 시내버스 업체로,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견달산로 246-3 (식사동 249-28)에 위치하고 있다.
계열사로는 백마운수, 서북운수, 서북교통이 있다.
2. 역사
- 1997년 : 백마교통으로 설립되었다.
- 2009년 3월 : 대호운수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2009년 3월 1일 :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으로 100번, 100-1번, 101번, 101-1번이 각각 080번, 081번, 082번, 08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2월 12일 : 대덕운수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2024년 5월 1일 : 고양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080번, 081번, 082번, 089번이 각각 100번, 81번, 83번, 89번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되었다.
3. 특징
3.1. 회사 운영
- 주요 거점은 백마역과 마두역이다. 89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풍동을 경유하고 있으며, 대부분 '식사동 – 풍동 – 백마역'이라는 공통된 노선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 백마역 이후로 각각의 운행 구간으로 갈라졌다가, 백석역과 마두역 인근에서 교차한 후 다시 갈라지는 형태이다. 이 중 일산서구로 가는 노선은 81번을 제외하고 모두 주엽역까지 공통으로 운행한다.
- 한때 고양시 대표 마을버스 업체였다. 규모도 70대로 가장 큰 편이었고, 총 5개의 노선을 운영하면서 5개의 노선 모두 평균 인가댓수가 10대가 넘는다. 그래서 인가댓수 1위였으나, 현재는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여산교통이 타이틀을 가져가게 되었다.[2]
- 난폭운전과 불친절이 심한 편이다. 시내버스 전환 이후에도 과거 마을버스 시절과 비슷하게 밟으면서 다니는 경우가 많은 편이며, 이전에는 중앙로에서도 신호위반과 과속을 밥먹듯이 하던 업체 중 하나이며 여전히 과속 및 신호위반이 일상이다[3]
- 식사동 본사에 고정식 가스충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인근의 여러 마을버스 업체들이 충전을 하기 위해 방문한다.[4]
3.2. 차량 운용
- 총 70대를 보유중이다.
- 홍성(주)와 더불어 자일대우버스 위주로 출고를 했다. 2012년까지는 그린시티를 주로 출고했으나, 대우에서 NEW BS가 나온 후로는 대우 NEW BS를 주로 출고하고 있었는데... 그러나 전에 대덕운수에서 근무했던 기사에 의하면 자일대우버스 1대를 출고한 뒤(9018호) 1주일도 안돼서 고장나서 A/S를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자꾸 잔고장이 나서 대표이사가 열 받아서 반품시키고[5] 현대버스를 출고했다고 하고 당분간 현대버스만 출고한다고 밝혔다.
- 2008년부터 2010년에 출고한 글로벌900과 그린시티는 유독 상태가 좋지 않았다. 원래 손잡이가 없이 출고된 차량에 추가로 손잡이를 설치했는데, 보통 여러 개를 달아두는 다른 업체들과 달리 대덕운수 차량은 왼쪽에 3개, 오른쪽에 2개만 달아두는 탓에 안전사고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후에 출고하는 그린시티부터는 손잡이를 적용하여 출고하고 있다.
- 보유중인 고상버스는 모두 스펀지 시트로 적용하여 출고하였으며, 시내버스 전환 이후에도 별도로 격벽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반대로 저상버스는 모두 격벽을 적용하여 운행중이다.
- 2022년 6월 전기버스인 BYD NEW e-Bus-12 7대를 출고해 자사 첫 전기 대형 저상버스를 보유하며 080번에 5대, 082A번에 2대를 투입한다.
- 2023년 11월에는 BYD의 중형 저상버스인 eBus9를 출고해 081번에 투입했다. 이때부터 전기버스는 BYD만 출고한다.
- 2025년 6월 중순에 사내 최초로 BYD eBus11을 출고했다.
4.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81[6] | 식사동차고지 | 위시티 - 동국대병원 - 세원고교 - 숲속마을 - 풍산동 - 백마역 - 백석고교 - 마두역 - 롯데백화점 - 라페스타 - 정발산동 - 밤가시마을 - 일산복음병원 | 풍산역 | 8 |
83[7] | 풍동고교 | 숲속마을 - 풍산동 - 백마역 - 백송마을 - 백석역 - 마두역 - 일산동구청 - 주엽역 - 대화역 - 킨텍스 | 킨텍스원시티 | 8 |
84 | 풍동고교 | 숲속마을 - 풍산동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백송마을 - 백석역 - 대곡역 | 하이마트사거리 | 16 |
89[8] | 더샵그라비스타.이마트킨텍스점 | 현대모터스튜디오 - 킨텍스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대곡역 - (← 옥빛17단지 ←) - 능곡역 - 행신동삼거리 | 행신역 | 20 |
100[9] | 위시티1단지 | 위시티5단지 - 은행마을 - 숲속마을 - 백마역 - 백석고교 - 백석역 - 마두역 - 일산동구청 - 주엽역 - 아쿠아리움 | 빛마루 | 10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고양똑버스 01 (출근) | 위시티1단지 |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위시티5단지 → 일산자이센트리지 → 은행마을3단지 | 대곡역 | 12분 |
고양똑버스 01 (퇴근) | 위시티1단지 |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위시티5단지 → 은행마을3단지 → 대곡역 → 백마역 → 일산자이센트리지 → 위시티5단지 | 대곡역 | 15분 |
4.1. 이전 운행 노선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 차량
6.1. 현대자동차
6.2. BYD
6.3. 자일대우버스
7. 과거 보유 차량
7.1. 현대자동차
7.2. 자일대우버스
7.3. 기아
8.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2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2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여객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경원여객 | 써클라인 | 시흥교통2 | ||||
태화상운 | 경남여객2 | 고양교통 |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금강고속 | ||||
기흥여객2 | 뉴부일교통 | 뉴신일관광 | ||||
대덕운수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더버스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
명성 | 백마운수 | 백성운수 |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부천버스 | ||||
산본여객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신성교통 |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양주교통2 | ||||
여산교통2 | 오산교통2 | 와부버스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태산운수2 | 파주교통2 | 평택운수 | ||||
평택여객 | 학의운수 | 협진여객 | ||||
화영운수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KST그룹 계열사 |
[1] 백마교통 설립일. 대덕운수 법인 설립일은 2018년 12월 12일이다.[2] 다만 이쪽도 직행좌석버스를 제외하고 순수 마을버스만 생각하면 39대의 대화교통이 가장 규모가 크다.[3] 관련영상[4] 식사동 자체가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 다수가 차고지를 두고 있는 지역이다. 바로 옆 문봉동에 차고지를 둔 고양교통 역시 인근의 여러 업체들이 CNG 충전을 위해 방문하는 곳.[5] 이 차는 반품된지 몇 일만에 재도색 + 수리를 거치고 구로구 수현운수로 매각되어 구로13번에서 다닌다.[6] (구) 081번[7] (구) 082번[8] (구) 089번[9] (구) 080번[10] 명성 출신 면허.[A]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 주 면허.[12] 고양시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A]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 주 면허.[14] 현재 모두 휴차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