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6:44

감시초소(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감시초소에 관한 문서이다.

2.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1

신석기 시대부터 건설할 수 있으며,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화살을 쏴 방어한다. 후속작들과 달리, 병력을 주둔시키는 기능은 없다. 총 4단계이며, 곡창(Granary)에서 업그레이드된다.
망루(Watch Tower, 신석기 시대) : 공격력 5.
보초탑(Sentry Tower, 청동기 시대) : 공격력 6.
방어탑(Guard Tower, 철기 시대) : 공격력 7.
노포탑(Ballista Tower, 철기 시대) : 공격력 20. 화살이 아닌 노포(발리스타)를 발사하며, 외관은 방어탑 그대로다. 다만 건설 아이콘은 금빛으로 바뀐다.

3.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파일:title_stacked.png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0 0 -25px; padding-bottom:10px"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정보문명 · 지도 · 유닛 · 무금 유닛 · 영웅 · 건물 · 기술 · 도전 과제 · 방어 유형
파일:aoe2_de.png
시리즈
목록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파일:aoe2_base.png
에이지
오브 킹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파일:aoe2_dlc0.png
정복자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파일:aoe2_dlc1.png
포가튼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파일:aoe2_dlc2.png
아프리카
왕국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파일:aoe2_dlc3.png
라자의
부흥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파일:aoe2_dlc4.png
마지막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2|파일:aoe2_dlc5.png
서쪽의
군주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3|파일:aoe2_dlc6.png
군주들의
여명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4|파일:aoe2_dlc7.png
인도
왕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파일:aoe2_dlc8.png
로마의
귀환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6|파일:AoE2Icon-MountainRoyals.webp
마운틴
로열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7|파일:Aoe2_victorsandvanquished.png
승자와
패자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8|파일:Battle_for_Greece_logo.webp
연대기: 그리스 전쟁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캠페인 목록 ]
{{{#!wiki style="margin:-15px -10px"결정판 이전
캠페인 공략 목록
에이지 오브 킹 · 정복자 · 포가튼 · 아프리카 왕국 · 라자의 부흥}}}
결정판 캠페인 공략 개괄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서유럽
동유럽
남아시아
코카서스
역사적인 전투
승자와 패자
로마의 귀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그리스 전쟁
}}}}}}
[ 문명 목록 ]
}}}||


전작과 달리, 공격 능력과 병력 탑재 능력이 있는 망루(Watch Tower, 봉건 시대)→방어탑(Guard Tower, 성주 시대) → 성채(Keep, 왕정 시대)와 단순하게 넓은 시야를 가진 감시초소(Outpost)로 이원화됐다.

감시초소는 암흑 시대부터 지을 수 있는 시야 확보용 건물로 초반에 상당히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 목재 25에 석재 5를 먹으므로 부담되는 가격은 아니지만 일단 석재를 먹는다는 것 자체가 좋지 못하고, 암흑시대에는 딱히 기지 주변의 시야를 장악해야할 이유가 없으므로 잘 안쓰인다. 봉건시대 이후에는 싼 값을 이용해 요충지 곳곳에 박아둘 수 있다. 생긴 것과 달리 공격 능력도, 주둔 능력도 없으므로 순수하게 시야 확보용.[1]

망루 계열 탑은 화살로 원거리 공격을 하며, 주민 또는 궁병계 유닛(기마 궁사류는 아예 탑에 못 들어가므로 제외)의 탑재 수에 따라 화살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걸어다니는 유닛(주민, 보병, 궁사, 수도사 등)이라면 모두 주둔시킬 수 있으며, 주둔하고 있는 유닛을 분당 6씩 치료해 준다. 망루는 체력 1020에 공격력 5, 사거리 8에 방어력 1/7로 업그레이드 될 때마다 공격력이 2, 방어력이 각 1, 체력이 약 1.5배씩 증가한다.

타워에 주민 및 보병 궁사 유닛을 주둔시 그 유닛의 DPS에 따라[2] 타워가 발사하는 화살의 갯수를 증가시킨다. 노업 타워인 망루는 공격력 5의 화살을 2.0초마다 발사하기에 공격력 5의 화살을 2.0초마다 발사하는 공1업 궁사를 주둔시 망루가 발사하는 화살의 갯수가 1개 증가한다. 공격력 10의 화살을 2.0초마다 발사하는 풀업 철석궁병을 주둔시 망루는 2발의 화살을 더 발사한다.

성과 마찬가지로 첫 화살 후 발사되는 추가 화살은 ‘방어 건물’[3]에 +5의 추가 피해를 준다. 때문에 초반 타워 러시를 막아낼 방법은 사거리 내에 맞타워를 지어서 주민을 주둔시켜 ‘방어 건물’인 망루에 방어건물 추가피해를 주는 추가화살을 쏘게해 상대 망루를 부수는 것이다. 또는 주민의 건물 추가 피해가 의외로 강하며, 초반 타워가 그리 튼튼하지 않기에 주민을 5~6기 보내 부수는 것도 가능하다.

망루는 업그레이드 될때마다 공격력이 오르며 추가 화살을 발사하게 하려면 그만큼 더 높은 공격력의 유닛을 주둔 시켜야 한다. 즉, 공격력이 5인 망루에 주민 5명을 주둔 시키면 5발을 쏘게 되지만, 공격력이 9인 성채에 주민 5명을 주둔 시키면 3발만 쏘게된다.

성주시대 이후 대학에서 연구할 수 있는 살인 구멍이 있는게 아니라면 성과 마찬가지로 최소 사거리 1이 존재하기에 가까이 인접한 적에 대항할 수가 없다. 때문에 봉건시대 수비용도로 지어둔 타워 아래로 무장병사나 기병같은 유닛이 들어와 부술 위험이 있으며, 궁사도 최소 사거리 안으로 비집고 들어와 짱박아두어 주변 주민을 견제할 위험이 있기에 상대 궁사가 다이브할 조짐이 보인다면 미리 주민을 주둔시켜 타워의 발사하는 화살 수를 늘릴 필요가 있으며, 주변 1칸 내에 나무벽이라도 둘러쳐주는 것이 좋다. 타워로 공격을 가는 입장일때도 마찬가지로 벽을 둘러주는 것이 좋다.

참고로 주민은 주둔시 2.5의 DPS를 가진 것으로 처리되며 공격력 5, 공속이 2.0인 노업타워(망루)에 한명을 주둔할때마다 발사하는 화살이 1발씩 늘어난다. 기본적으로 망루에 주민을 4명 주둔시 5발을 쏘고, 5명까지 다 채워도 더 늘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타워러시를 할때 주민을 4기까지만 주둔시키는게 효율적이다.

기본적인 화력은 그다지 좋지 않으나 주민이나 궁사같은 유닛을 주둔하면 꽤나 위협적인 화력이 나온다. 때문에 주민이 곧장 주둔하기 좋도록 주민이 작업하는 자원 옆에 지어두었다가 적이 사거리 내에 들어오면 주민을 주둔시켜 추가화살을 쏘는 식으로 쓰인다.

성주시대 중후반 이후로는 공성추가 생산 가능해지면서 영향력이 크게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나 봉건시대에는 상당한 영향력을 가져서 상대 금이나 목재 옆에다 타워를 지어 자원줄을 방해하는 타워러시에 쓰거나, 금 같은 중요한 자원 옆에 타워를 지어두어 상대의 궁사로부터 수비하는 수단으로도 유용하다.

단, 타워를 여럿 짓기에는 비용이 꽤나 비싼 편이기에 수비용이라면 꼭 필요한 한 곳 정도에만 짓는 것이 좋으며, 보통 금광 옆에다 짓게 된다.

4.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게임 시작하면 마을 회관 주변에 저절로 주어지는 4개의 타워. 처음엔 공격능력이 없는 단순한 망루지만, 고전 시대부터 공격기능을 연구하면 공격능력이 있는 탑으로 바뀌며, 시대업을 할수록 방어탑으로서의 능력도 상승한다.

전서구, 봉화 업그레이드로 탑을 비롯한 모든 건물의 시야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이집트는 2시대로 진행하자마자 탑의 1단계 업그레이드가 무료로 제공된다. 이후의 업그레이드는 다른 문명들처럼 비용을 치러야 하지만, 유일하게 4단계 탑인 노포탑까지 업그레이드가 된다.

5.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방어: 원거리 0%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사석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6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범위 3)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공속: 3초
인구수 제공: 5

아웃포스트. 미쏠로지 때에도 방어탑을 짓는 개수제한이 있었지만, 미쏠로지에서는 제한개수가 30여 개 정도여서 티가 안 난는 데 반해 AoE3에서는 감시초소를 7개[4]밖에 지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팀 카드를 통해 30% 싸게 건설할 수도 있다.

고로 타워 러시우주방어 같은 건 커녕 기지 방어하기에도 턱없이 모자라 마을 회관이나 유닛을 동원해야 할 판이다. 또한 선박 공격과 일반 지상유닛 공격 방식도 크게 변화. 다른 건물들도 다 그렇지만...

전선 감시초소로 업그레이드하면 원거리 공격력이 50% 증가하고, 대형 감시초소로 최종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면 대포를 사용해서 공성 공격으로 바뀐다.

5.1. 감시초소 외의 방어 건물

5.1.1. 토치카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Buildingblockhouse.jpg
5.1.2. 전사양성소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WarHut.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
공속: 3초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대전사에서 새로운 국가로 등장한 이로쿼이, 아즈텍, 수족의 유닛 생산 건물. 비용이나 성능을 보면 알겠지만 러시아의 토치카와 대동소이하다. 보병양성소+감시초소의 성능. 덕분에 감시초소와 비슷하게 업을 할 수도 있고 카드로 받거나 강화할 수도 있지만 생산 한도도 정해져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를 해도 사석포 공격은 없다.

방어 관련 카드와 마을의 춤을 추면 실로 막강한 능력치로 방어의 중추가 된다. 체력 20%, 25% 상승 카드가 있을 정도. 모든 카드를 바르고 마을의 춤을 추기 시작하면 이게 감시초소 대용인지 요새인지 구별이 안간다. 팀 카드에서는 감시초소 관련 카드 혹은 보병양성소 계열에서 일부 혜택을 얻을 수도 있다. 아즈텍의 경우는 시대업 지도자가 전사양성소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5.1.3. 고급 전사양성소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NoblesHut.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00, 금 100
체력: 3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45(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
공속: 3초

아즈텍의 기병 양성소 및 공성무기 제조소를 대체하는 보강된 전사 양성소로 아즈텍만 건설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아즈텍은 건설 한도 증가 카드가 따로 있으며 고유 카드를 통해 위의 전사양성소와 함께 원거리 공격의 사거리를 30으로 만들 수도 있다. 에이지 2편의 아즈텍이 방어탑에서 성채로 업그레이드하지 못한 것을 생각하면 미묘하다.
5.1.4.
이러쿼이 연맹을 선택하면 고유 집인 롱하우스(공동 주택)를 방어탑으로 업글할 수 있는 카드를 받을 수 있다. 공격도 담당하는 하우스 쉴드
5.1.5. 아시아 성
파일:Castle3.png

6.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

감시 초소만 살아남고 망루/방어탑/성채/포격탑은 사라진 대신, 유닛을 수용해 화살을 쏘거나 각 감시 초소에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무기를 올리고 내구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사실상 방어탑과 통합되었다. 전통대로 시야가 매우 넓으며 지형으로 인해 가려지는 시야를 뚫어볼 수 있다.

기본가격이 목재 100으로 저렴한데다가 빌드 타임도 2의 망루보다는 훨씬 짧고 아무 유닛이나 집어넣어 화살을 쏠수 있어 타워를 많이 사용하기 편해졌다. 특히 4에서는 건물 시야가 좁아서 본진 주변 시야 장악이 중요해진 특성상 엄청나게 넓은 시야를 가진 감시 초소를 기지 주변이나 요충지에 세워주면 쾌적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석재를 먹지 않게 되었기에 위험한 자원지대 인근에 다수를 세워놓아 시야를 확보하다 긴급시 주민이 대피하는 용도로 쓰는 것도 무방하다.

처음 1시대에는 무기를 장비할 수 없지만 시대를 올릴 때마다 석재와 금을 지불해 활 발사구, 스프링갈드, 대포 중 하나를 장비할 수 있게 되는데 활은 가장 저렴한 대신 화력을 기대하기 어렵고, 스프링갈드는 연사가 느리지만 사거리가 길고 화력이 출중해 석재 수급이 괜찮다면 무난하게 쓰이는 편. 대포는 포격탑급으로 좋은 성능이란 것에 이견이 없지만 건물값이 너무 비싸져서 본질적으로 방어용임을 생각하면 선뜻 올리기가 어렵다. 무기를 장비한 감시초소는 상부에 지붕이 덮히고 발사구가 생기므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석재를 소모하여 각 감시초소를 강화 감시초소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데 내구도가 2배가 되며 화염 방어력이 상승해 실질 내구도가 더 향상된다. 외관도 석조 건물로 변경되므로 이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본격적인 방어탑으로 취급되는 셈이다.

이전과 달리 공격적인 용도로 활용하긴 어려워졌는데 주둔 유닛과 활 발사구가 쏘는 화살이 중갑 유닛을 잘 잡지 못하는데다가 유닛들의 체력 단위가 상향평준화되어 정말 찔끔찔끔 피해를 주게 된다. 사거리도 이전과 달리 짧아진데다가 사거리 업이 사라진 4의 특성상 자원지대에 타워링을 하기도 어려워졌고, 결정적으로 봉건시대부터 제작 가능한 공성추가 쐐기를 박는다.

대신 함선 상대로는 대 함선 추가 데미지에 힘입어 여전히 사신같은 위력을 자랑하는데, 해안가에 감시초소를 잔뜩 박고 활 발사구만 달아놔도 어지간한 함대는 가볍게 잡을 수 있다.

잉글랜드 감시 초소는 성 연락망의 효과로 주변 아군에게 공격 속도 보너스를 부여하고, 몽골은 역참 효과를 제공해 주변 아군에게 이동속도 보너스를 부여하므로 두 문명은 다른 문명에 비해 많이 만들고 보다 공격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중국 감시초소는 활 대신 총통을 장비해 중갑 유닛에게도 따끔한 한방을 먹일 수 있다.

아바스는 직접적인 버프는 없지만 본진 근처에 있다면 지혜의 집이 제공하는 화염 방어력 보너스를 받아 보병으로 무너뜨리기 까다로워지고, 신롬은 유물을 배치해 건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루스는 강화된 버전인 목조 요새를 사용하는데, 최대 8인까지 수용가능하며 내구도가 2배 더 높지만 목재를 더 많이 먹고 대포가 안달리는 등 완전한 상위호환은 아니다. 기존 감시초소에 없는 자잘한 부분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근처에서 목재 수급을 올려주는 등 루스 운영의 핵심 파츠중 하나. 루스의 랜드마크 크렘린은 아예 풀 업그레이드된 목조 요새이다.




[1] 다만 정보전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비용도 석재만 제외하면 집과 동급으로 싸게 먹힌다. 특히 주민 견제가 극심한 상위권에서 방어에는 심시티만 아니라 시야를 통한 맵 정보를 곧바로 반응할 수 있게 대응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중요한 상황이라면 꼭 먼저 선행해서 짓는 것이 좋다.[2] 주민의 경우 주민의 DPS와 별개로 2.5의 DPS를 가진 것으로 계산된다.[3] 타워(망루), 돌 성벽, 성 같은 건물이 해당된다.[4] 홈 시티에서 카드를 사용하여 최대 한도를 13개까지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일부 국가는 이런 카드도 없다. 이 카드는 토치카, 전사 양성소도 적용된다. 성의 경우는 9개가 한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