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7:17:46

PokéRogue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2024-06-15 21:02:32)
<colbgcolor=#303f6c><colcolor=#fff> 포켓로그[1]
PokéRogue
파일:pokerogue_logo.png
개발 Pagefault Games
장르 RPG, 로그라이크
플랫폼 (TypeScript)
출시 2024년 3월
언어 영어, 한국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브라질 포르투갈어), 중국어(번체, 간체)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위키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스타팅 포켓몬2.2. 포켓몬 융합2.3. 색이 다른 포켓몬
3. 모드
3.1. 클래식
3.1.1. 추천 포켓몬
3.2. 챌린지 모드3.3. 엔들리스3.4. 엔들리스(융합체)3.5. 데일리 런
4. 바이옴5. 아이템6. 진화
6.1. 진화의돌6.2. 바이옴 진화6.3. 아이템 진화6.4. 통신 진화6.5. 친밀도 진화6.6. 레벨 업 진화6.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7. 알
7.1. 알 뽑기7.2. 알 바우처
8. 배틀 기믹9. BGM
9.1. BGM 리스트
10. 구현되지 않은 기술 및 특성
10.1. 미구현 (N)10.2. 부분 구현 (P)
11. 오류 및 버그
11.1. 목록
12. 기타

[clearfix]

1. 개요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대전을 기반으로 한 로그라이트 팬 게임이다. 게임 메인 홈페이지에 의하면 공식적으로 Risk of Rain 2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한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 가능한 웹게임이며, 공식 깃허브에서 PC나 모바일에서 실행 가능한 오프라인 버전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2] 2024년 5월 30일 공식으로 온라인 한국어 버전이 나옴과 동시에 유명 방송인들이 여럿 플레이하면서 한국에서 반짝 주목을 받았다.

한국에서 접속 시 기본적으로 한국어로 실행된다.[3]

2. 특징

여타 다른 포켓몬스터 게임들과 달리, 맵 등의 탐험 요소는 전혀 없고 PvE에 집중한 게임이다. 배틀은 포켓몬 본가 방식의 형태만 등장하며, 그 종류는 야생 배틀, 트레이너 배틀, 보스 배틀 같은 '웨이브(wave)'로 나뉜다.

포켓몬 보유 수는 본가와 마찬가지로 최대 6마리까지만 데리고 있을 수 있다. 배틀 시 6마리가 모두 기절하는 경우 게임 오버 처리가 되어 해당 저장 데이터는 사라진다.[4]

로그라이트의 게임 방식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 웨이브 종료 시점마다 상점이 열리고, 랜덤하게 지급되는 아이템 중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많은 로그라이크 게임처럼 어떤 아이템이 등장하는지에 따라 게임 난이도 차이가 크다. 이 때문에 포켓몬 하나에 여러 종류의 아이템을 지니게 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 대신 기존의 방식처럼 배틀 도중 원하는 타이밍에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다. 포켓몬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배틀에서 승리해야 한다는 뜻. 이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내 포켓몬에게 공격이 들어오기도 전에' 상대 포켓몬을 먼저 원샷원킬로 기절시키는 배틀 방식이 선호되며, 본편보다 열매의 사용 빈도가 소소하게 오르기도 했다.

모든 배틀은 연속해서 이루어지며, 상점이나 특정 웨이브의 전체 회복을 제외하면 별도의 회복 조치는 없다. 야생 포켓몬 상대로는 배틀 시작 전에 포켓몬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걸로는 턴이 경과하지 않기에 유리한 포켓몬으로 상대할 수 있다. 스테이터스 상승이나 필드에 영향을 끼치는 변화는 배틀이 끝나도 효과가 지속되기에 한번 능력치를 올려놓으면 다음 배틀이 쉬워진다. 배틀 종료 시점은 '한쪽 포켓몬이 전멸 + 필드에 나와 있는 모든 포켓몬이 기술을 사용한 후'이므로 더블 배틀 등에서는 일단 상대를 쓰러트린 후 보조 기술을 사용해서 다음 배틀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단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일단 내보낸 포켓몬을 한 번 집어넣은 후 다시 내보내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전부 사라진 상태로 시작하게 된다.

또한 파티가 전부 다운되었더라도 게임 오버가 되기 전에 새로고침 혹은 설정으로 배틀의 시작 시점부터 다시 할 수 있는데, 이때 포케로그 특성상 변수나 확률은 변동되는 것이 아닌 고정값으로 계산되기에 주의. 만약 상대한테서 기술이 빗나가거나 급소에 명중되는 경우로는 아무리 새로고침해도 반드시 빗나갈 확률이 있는 기술은 반드시 빗나가고 급소도 반드시 맞는 등 결과는 반드시 고정된다는 소리. 따라서 포켓몬을 교체하거나 다른 기술을 써서 상대 포켓몬을 쓰러뜨리는 타이밍을 바꿔야 다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포켓몬은 9세대까지 전부 등장하며, 메가진화리전폼 등 배틀 기믹도 존재한다. 레벨 100이 한도인 포켓몬 본가와는 달리 클래식 모드에서는 레벨캡 개념으로 10라운드마다 레벨캡이 상승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레벨 제한이 200까지 상승한다.[5] 또한 무한 모드에서는 레벨 제한이 없기 때문에 수백, 수천 레벨의 포켓몬도 볼 수 있다.

이미지는 모두 5세대 도트 그래픽 기반이며, 공식 도트 그래픽이 없는 6세대부터는 팬메이드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게임 기본 그래픽 설정은 5세대 포켓몬까지만 움직이고 6세대 포켓몬부터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설정 메뉴의 'Sprite Set'에서 'Mixed Animated'를 선택하면 6~9세대 포켓몬도 (일부)움직이는 도트 스프라이트를 볼 수 있다. BGM의 경우는 공식 포켓몬 게임의 BGM이 대부분이나 몇몇 곡들은 PokéRogue 오리지널 곡들인 경우도 존재한다. 자세한 건 후술할 BGM 문단 참조.

2.1. 스타팅 포켓몬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는 1~9세대의 스타팅 포켓몬만 선택할 수 있으나,[6] 게임을 진행하며 포켓몬을 잡거나 알을 부화하면 새로 하기(New Game)를 할 때 잡거나 부화한 포켓몬을 고를 수 있게 된다. 한 종류의 포켓몬을 여러 마리를 잡으면 개체치는 각 스탯마다 가장 높았던 수치로 대체되며, 특성과 성격, 성별 또한 해당 포켓몬으로 발견한 것들 중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기에 회차 플레이를 할 수록 더욱 쉬워진다. 만약 진화체를 잡았을 경우 그 포켓몬의 미진화체가 대신 해금된다.[7]

기본적으로 포켓몬마다 정해진 코스트(Cost)가 할당되어 있으며, 모드마다 정해진 코스트 한도 내에서 최대 6마리의 포켓몬을 엔트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스타팅 포켓몬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사탕(Candies)이 있는데, 이는 해당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친밀도가 일정 수치만큼 누적될 때마다 하나씩, 알에서 해당 포켓몬이 부화했을 때 두 개씩 획득할 수 있다. 보스는 2배, 일반 이로치는 5배, 레어 이로치는 10배, 에픽 이로치는 20배의 획득량을 지닌다. 획득한 사탕으로는 포켓몬의 코스트를 1씩 최대 2번 절감하거나,[8] 패시브를 해금할 수 있다.[9]

포켓러스 또한 원작과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데, 매일 국제표준시 기준 오전 12시, 한국 기준 오전 9시마다 선택 화면에서 랜덤한 3마리의 포켓몬이 포켓러스에 감염되며, 보라색 테두리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포켓러스에 감염된 포켓몬은 1.5배의 경험치 획득량을 가지며, 모든 전투가 시작될 때마다 엔트리에 포함된 다른 포켓몬에게 1/10 확률로 전염시킨다.

2.2. 포켓몬 융합

아시아권 포덕들에게는 생소해 끔찍한 혼종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영어권에서는 스토리 돌파 위주의 포켓몬 유튜버라면 퓨전 포켓몬 팬게임/개조롬은 어지간하면 한번은 해보고 넘어가는 정도로 나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본 게임에서도 포켓몬의 융합이 가능하다.

융합체 포켓몬은 게임 중 도구 선택화면에 등장하는 유전자쐐기(DNA Splicers)를 사용하면 지니고 있는 포켓몬 두 마리를 선택하여 융합할 수 있다.

2.3. 색이 다른 포켓몬

본가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희귀할 뿐 그저 치장성 시스템에 불과하나, 포켓로그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게임 플레이에 큰 영향을 주며, 본가 이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야생에서는 6세대 이후의 본가에 비해서 2배 높은 1/2048의 확률로 등장하며, 빛나는부적을 소지하고 있으면 1/256로 대폭 상승하고, 추가적인 빛나는부적을 얻을 때마다 2배씩 높아져 최대 4개인 1/32까지 높일 수 있다. 알에서 부화할 때는 야생보다 훨씬 높은 1/256의 확률로 등장하며, 다른 색 업! 뽑기에서 나온 알은 1/64로 확률이 오른다.

포켓로그에선 색이 다른 포켓몬에도 종류와 등급이 존재하는데, 본가에 존재하는 배색인 일반 이로치 외에 포켓로그의 오리지널 배색인 레어 이로치, 에픽 이로치가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일반 - 레어 - 에픽 순으로 더욱 희귀해지며, 레어 이로치는 일반의 1/2, 에픽 이로치는 일반의 1/6의 확률로 등장한다.

색이 다른 포켓몬이 파티에 존재 할 경우 행운(Luck) 수치가 오르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행운 등급이 높아져 등장하는 아이템의 등급이 상승할 확률이 오르게 된다. 행운 수치는 이로치의 등급에 따라 1~3까지 부여되며, 기절하지 않은 상태의 이로치 포켓몬의 행운 수치를 합산하여 결정 된다. 만약 유전자 쐐기로 이로치 포켓몬을 합칠 경우 두 포켓몬의 행운 수치 역시 합쳐지며, 합치기 전과 동일한 행운 등급을 유지하게 된다. 다만 합체 후 분리할 경우에는 2번째로 선택한 포켓몬의 행운 수치는 사라지므로 주의.

행운 등급은 이로치가 없는 0포인트 기준 D등급부터 시작하여, 최대 14포인트의 SSS등급까지 오를 수 있다. 행운 등급이 상승할 때마다 대략 0.7~0.8%p의 확률이 증가하며, 최대 등급인 SSS은 최저 등급인 D보다 4배 이상의 확률로 아이템 등급이 상승하므로 이로치의 유무는 고급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등급에서 거의 동일한 %p의 확률이 증가하므로, 행운 수치가 낮은 시점에서의 등급 상승 체감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으니 파티에 일정량의 이로치를 확보해두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4포인트 정도만 확보해 B등급만 되어도 D등급의 2배에 육박한다.
행운
<rowcolor=#ffffff> 행운 수치 행운 등급 등급 상승 확률
0 D 4/128 (3.12%)
1 C 4/102 (3.92%)
2 C+ 4/85 (4.70%)
3 B- 4/73 (5.48%)
4 B 4/64 (6.25%)
5 B+ 4/56 (7.14%)
6 A- 4/51 (7.84%)
7 A 4/46 (8.70%)
8 A+ 4/42 (9.52%)
9 A++ 4/39 (10.3%)
10 S 4/36 (11.1%)
11 S+ 4/34 (11.8%)
12 SS 4/32 (12.5%)
13 SS+ 4/30 (13.3%)
14 SSS 4/28 (14.3%)

3. 모드

포켓로그에는 아래와 같은 게임 모드가 있다.

3.1. 클래식

가장 기본적인 모드로, 10웨이브마다 바이옴들이 바뀌며 모든 포켓몬의 HP 및 상태이상이 회복된다. 이때는 다른 웨이브와 달리 아이템 구매/포켓몬 간 전달이 불가능하다. 지도 아이템을 얻은 경우 일정 확률로 다음 바이옴을 선택할 수 있다. 총 200개의 웨이브까지 존재하며, 최초로 웨이브 200에서 승리하면 엔들리스 모드의 해금과 함께 최종 보스가 지니고 있던 미니 블랙홀[12]이 상점 아이템 테이블에 추가된다. 또한 유전자쐐기를 사용한 융합 포켓몬을 데리고 승리했다면 스플라이스드 엔들리스 모드도 함께 해금된다.

일반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 이외에 야생 보스 포켓몬, 일반 트레이너, 라이벌, 체육관 관장, 사천왕, 챔피언과의 배틀이 존재한다.[13]

체육관 관장 및 챔피언 배틀이 아닌 10의 배수 웨이브에서는 야생 보스 포켓몬이 등장한다. 보스 포켓몬은 해당 바이옴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중에서 랜덤하게 나타나고, 2줄의 HP 스톡과 패시브가 있으며, HP 1줄을 깎을 때마다 무작위 능력치의 랭크가 1단계 오르기 때문에 일반 포켓몬보다 HP을 깎기 어렵다. 하지만 상태이상은 그대로 적용되며, HP 스톡이 한 줄만 남을 경우 포획도 가능하다. 마스터볼의 경우 다른 볼과는 달리 HP가 전부 차 있는 상태에서도 던질 수 있다.

일반 트레이너 배틀은 라이벌이나 사천왕이 등장하는 웨이브가 아니면서 웨이브 끝의 자릿수가 0 또는 1이 아니면 아무 때나 등장할 수 있다. 바이옴마다 나오는 트레이너군이 정해져 있지만, 해당 바이옴의 야생 포켓몬보다는 다양한 포켓몬을 들고 나오기 때문에 야생 포켓몬들과는 상성이 달라질 수 있다. 엘리트 트레이너의 경우 웨이브 진행도에 비례해 포켓몬의 개수와 스펙이 더 강해진다. 일반 트레이너들은 웨이브 진행에 따른 제한은 따로 없어서 재수가 없으면 사천왕전 중간에 끼어들어 3연 트레이너전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

원작의 네임드 트레이너 배틀인 체육관 관장, 사천왕, 챔피언 배틀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라이벌의 경우 플레이어의 선택 성별의 반대 성별 라이벌[17]이 등장하며 정해진 웨이브에서만 등장한다. 웨이브 8에서 처음 고정으로 등장하고, 이후 웨이브 25, 55, 95, 145, 195에서 재등장한다. 첫 전투는 딱히 어렵지 않으나, 25 웨이브에서는 포켓러스 스타팅이 아닌 이상 전반적으로 레벨이 밀리는 구간이라 꽤 까다롭다. 이후 아직 최종진화체를 쓰지 않는 구간은 적당히 상대할 만 하나, 145 웨이브부터는 초전설 레쿠쟈를 비롯해 로스터가 완성수준에 이르기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마지막 배틀인 195 웨이브에서는 거의 진 최종보스나 다름없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또한, 끝자리가 5인 웨이브에서 싸우기에 파티가 너덜너덜해진 상태에서 회복없이 나머지 웨이브들을 감당해야 한다. 라이벌의 소지 포켓몬은 전부 랜덤이지만, 정해진 규칙은 존재한다.

웨이브 191부터는 패러독스 포켓몬들로 고정되며 처음에는 이들을 잡을 순 없고 뽑기에서 패러독스 포켓몬이 나오면 그때부터 잡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인 웨이브 200에서는 4줄의 HP 스톡을 가진 무한다이노가 고정으로 등장하며[22] HP 스톡을 1줄까지 깎으면 무한다이맥스하고 HP와 상태이상을 모두 회복한 상태에서 2대1 구도로 싸우게 된다.[23] 이 때 무한다이맥스한 무한다이노의 랜덤한 스탯 하나가 2랭크 오르며, 무한다이노는 이전까지 쌓은 랭크가 리셋되지만 본인이 소지한 포켓몬들은 랭업기로 쌓은 스탯이 그대로 남아있다.[24] 무한다이맥스의 HP 스톡은 5줄이며, 매 턴마다 아군 포켓몬이 지닌 아이템을 뺏어가는 미니 블랙홀을 지니고 있어 턴이 지날수록 점점 불리해지기에 체급과 랭크업이 매우 중요해진다. 또는 배틀 전에 미리 자신의 모든 아이템을 한 포켓몬에게 몰아주고, 2페이즈 시작 전에 그 포켓몬을 일부러 기절시켜 남은 아이템이 없게 하는 방법도 있다.

3.1.1. 추천 포켓몬

클래식 모드를 공략해나가는 데 좋은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

3.2. 챌린지 모드

특정 세대나 특정 타입, 혹은 둘 다 제한해 플레이하는 모드이다. 스타팅 포켓몬은 선택한 세대/타입을 제외하곤 선택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포획은 가능하나 배틀에 내보낼 수 없다. 만약 선택한 세대/타입의 포켓몬이 전부 쓰러졌다면, 엔트리에 (해당 포켓몬들을 제외한) 다른 포켓몬들이 있더라도 패배한 것으로 처리된다.

만약 진화형이 이후 세대에 나온 포켓몬(예:골뱃→크로뱃)이라면 진화시킨 후 사용할 수 없게되니 주의해야 하며, 포케로그 시스템상 진화지만 배틀 기믹인 메가진화와 거다이맥스는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테라피스를 사용해 다른 타입 포켓몬이더라도 10번의 배틀 동안 사용이 가능하긴 하다.

3.3. 엔들리스

처음에는 해금되어 있지 않으나, 클래식 모드를 한 번이라도 깼다면 진입할 수 있는 모드다. 문자 그대로 '엔들리스' 모드이나, 2024년 5월 기준 웨이브 5850이 마지막 웨이브로 설정되어 있다. 5850을 클리어하면 경험치 정산과 알 바우처를 얻었다는 메세지 이후 화면 전환 및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첫 소지 포켓몬을 10포인트 한도에서 고를 수 있는 클래식 모드와 달리 15포인트 한도로 포켓몬을 고를 수 있다. 바이옴은 1~4웨이브마다 변경되고, 지도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50웨이브마다 랜덤한 보스 패러독스 포켓몬이 등장하고, 250웨이브마다 무한다이노가 등장하며, 1000웨이브마다는 무한다이맥스 무한다이노가 등장한다.

트레이너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클래식의 야생 포켓몬 상대법이 쭉 이어지게 되며, 따라서 체급이 높은 초전설 포켓몬 원톱 플레이가 매우 잘 먹힌다. 기술폭이 좁거나 쓰임새가 제한적이지 않다면 무한다이노 상대용 저주/소금절이용 포켓몬만 데려가도 2000웨이브까지는 무리 없이 달성 가능할 정도. 다만 이 이후로는 어떤 포켓몬이라도 감당할 수 없는 데미지로 원킬을 내는 야생 포켓몬들, 토큰 시스템으로 추가되는 확률적인 버티기 등으로 인해 평범하게 플레이해서는 도달하기 힘들며, 이 때부터 일명 도주런이라 불리는 전략이 자주 사용된다. 핵심은 도주 특성을 단 포켓몬으로 야생 포켓몬에게서 확정적으로 계속 도망치고, 50웨이브마다 만나는 패러독스 포켓몬과 무한다이노는 저주와 소금절이, 물붓기로 날먹하는 방식. 이 전략을 계속 반복하면 마지막인 5850 웨이브까지 도달하는 것도 의외로 간단하다. 물론 이러면 보스전의 알 바우처 보상 외의 아이템은 얻을 수 없지만 대신 그 전까지 쌓아둔 수많은 아이템들, 특히 빛나는부적 4스택을 모은 뒤 전설의 포켓몬이나 색이 다른 포켓몬을 그전까지 쌓아둔 마스터볼로 잡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때문에 무한 모드는 처음부터 높은 행운 수치로 2000층 전까지 빛나는부적을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최소 2마리 이상의 이로치가 있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추천된다.

굳이 이로치를 노리는 상황이 아닌, 클래식을 여러 번 돌아 어지간한 관장을 전부 깨서 플러스 바우처를 얻기 힘들어진 이후라면 클래식 반복런보다 훨씬 고효율로 플러스 바우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굳이 2000층까지 가지 않아도 적당한 고효율 준전설만으로 충분히 많은 양의 바우처를 파밍할 수 있으므로, 클래식 3~4회차 정도를 넘기고 이제 막 초전설이나 이로치를 노리는 상황이라면 적극 추천된다. 아예 엔들리스 50층 보상만 먹고 다시 시작하는 50층런이 초반 파밍법 중 하나일 정도.

3.4. 엔들리스(융합체)

융합체 포켓몬을 지닌 상태에서 클래식 모드를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모드이다. 스타팅 선택은 두 융합체 포켓몬 중 첫번째 종만 지정할 수 있고, 두번째 종은 랜덤으로 설정되어 시작해 상대하는 포켓몬들도 전부 융합체 상태로 등장하여 랜덤성이 일반 모드보다 훨씬 커진다. 이외의 진행 방식은 일반 엔들리스 모드와 같다.

3.5. 데일리 런

클래식 모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총 웨이브 50까지 존재하며, 클래식 모드처럼 10웨이브마다 바이옴이 바뀐다.

본인이 선택한 5레벨 포켓몬으로 아무 도구 없이 시작하는 클래식 모드와는 달리, 랜덤한 20레벨 포켓몬 3마리+도구를 가지고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랜덤한 클래식 모드와는 다르게 데일리 런에서는 24시간 동안 난수값이 고정되어 있어 항상 같은 개체값의 포켓몬과 같은 포켓몬을 지닌 트레이너가 같은 웨이브에서 등장한다. 데일리 런에서 잡은 포켓몬도 클래식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37]

데일리 런은 한국 시간 오전 9시에 리셋되며, 알 바우처 같은 보상 아이템은 24시간에 1번씩만 얻을 수 있다. 상술하듯 모든 사람에게 난수값이 고정이기 때문에 그날그날 확실한 공략법이 존재하며, 보통 유튜브에 일일 공략법이 올라온다.

4. 바이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바이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kéRogue/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진화

포켓몬 본가 게임을 바탕으로 한 게임이기 때문에, 레벨 업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레벨에 도달하면 진화할 수 있다. 본가 게임에서는 야생이나 트레이너 배틀 중 진화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배틀이 종료되었을 때 진화가 이루어지지만, 포켓로그에서는 배틀 도중이더라도 조건이 충족되면 즉시 진화한다.

게임 특성상 조건 없는 레벨 업이 아닌 다른 진화 방식은 조금 변경되었다.

6.1. 진화의돌

진화의돌을 통한 진화의 경우, 웨이브를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 소지한 포켓몬 중 진화의돌로 진화하는 포켓몬이 있다면,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진화의돌이 등장한다.

보통 진화의돌 진화의 경우 기술 되살리기가 아니라면 기술을 새로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포켓로그에서는 진화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타이밍 계산을 잘 해야 한다. 기술 되살리기용 아이템도 존재하나, 등장 확률이 아주 높지는 않다.

엘레이드눈여아는 가디안, 얼음귀신과 같은 레벨 업 진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진화의돌 진화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포켓몬도 있다.

6.2. 바이옴 진화

일부 리전폼 포켓몬은 특정 바이옴에서만 진화할 수 있다.

6.3. 아이템 진화

진화의돌과 마찬가지로 아이템을 사용하여 진화하는 포켓몬의 경우, 해당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을 때 웨이브 클리어 보상으로 일정 확률로 진화 아이템이 등장한다.

이 방식으로 진화하는 포켓몬은 애프룡, 단지래플, 과미르, 카디나르마, 파라블레이즈, 브리두라스, 가라르 야도란, 가라르 야도킹, 우라오스, 마휘핑[39], 포트데스, 사마자르, 그우린차, 다투곰이다.

6.4. 통신 진화

포켓로그는 싱글플레이 게임이기 때문에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처럼 '연결의끈(Linking Cord)'이라는 아이템이 있어야 통신 진화 포켓몬을 진화시킬 수 있다. 다른 아이템 진화처럼, 통신 진화하는 포켓몬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일정 확률로 웨이브 클리어 보상에 연결의끈이 등장한다.

대부분 아이템을 사용하면 즉시 진화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 통신 교환을 해야 진화하던 포켓몬은 진화 조건이 일부 변경되었다. 왕구리야도킹왕의징표석 없이 연결의끈만 사용해도 진화한다.[40]

6.5. 친밀도 진화

게임 특성상 친밀도를 올리기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친밀도 진화의 필요 친밀도 수치가 매우 낮아졌다. 아래 펼치기는 친밀도 진화 조건이며, 괄호 안은 진화 이전 포켓몬의 초기 친밀도이다. 타부자고는 원래 친밀도 진화 포켓몬이 아니지만, 본 게임에서는 친밀도 진화로 변경되었다.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025_f00_s0.png 피카츄: 90 (70)


친밀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황은 3가지가 있다.

6.6. 레벨 업 진화

원래는 특정 진화 조건이 있던 일부 포켓몬의 경우, 레벨 업 방식의 진화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진화였지만 다른 진화 형태와 진화 방식을 구분하기 위해 조건이 추가된 경우도 있다.

조건 없는 단순 레벨 업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수컷 킬리아 레벨 30 진화[44]


특정 시간대에 레벨 업[46]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157_f00_s0.png 블레이범: 새벽이나 낮에 레벨 36 진화


기타 조건 레벨 업[50]
[ 펼치기 · 접기 ]
* 파일:icon0226_f00_s0.png 만타인: 총어를 잡거나 부화한 적이 있는 상태에서 레벨 32 진화

6.7. 메가진화/거다이맥스/합체

엄밀히 따지면 진화가 아닌 폼 체인지로 분류되지만, 시스템의 한계상 진화의 돌처럼 상점에서 아이템을 구매하여 항시 진화시키는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점에서 메가링/다이맥스밴드를 구매하면 이후 나이트/다이버섯이 등장하며, 이를 사용가능한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진화의돌을 사용하는 진화처럼 진화하게 되며, 이후 인벤토리에서 변화를 되돌릴 수 있다.

다만 거다이맥스의 경우 원본과 같이 다이맥스기술 없이 단순 스탯의 증가만 있어, 팬텀처럼 메가진화와 다이맥스가 모두 있는 포켓몬의 경우 메가진화가 조금 더 선호되는 편이다.

큐레무[51], 네크로즈마, 버드렉스 등 다른 포켓몬과 합체해서 폼 체인지를 하는 전설의 포켓몬의 경우, 다른 포켓몬 없이 원본이 되는 포켓몬만 있어도 상점에서 폼 체인지에 사용되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합체시킬 수 있다.

7.

포켓로그에는 본가 게임과는 달리 맵이 없기 때문에, 교배로 알을 얻을 수는 없다. 그 대신 여러 경로로 얻은 알 교환 바우처(voucher)를 알 뽑기(Egg Gacha)에 사용하여 알을 얻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가챠권을 모아 가챠하는 것. 알의 종류는 총 6개가 있으며 알을 얻은 뒤 게임을 하면 특정 웨이브 수 이후 자동으로 부화한다.

알에서 부화한 포켓몬은 개체치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고, 랜덤한 알 기술 하나가 해금된다. 부화할 때 알 기술 4개 중 하나가 골라지고 잠겨있는 기술이었으면 해금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해금된 기술이 골라졌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7.1. 알 뽑기

7.2. 알 바우처

8. 배틀 기믹

Z기술을 제외한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이 모두 존재하며 각각의 기믹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54]를 얻고 해당 기믹을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을 엔트리에 소지하고 있다면 관련 도구가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기본적으로 전부 복수 포켓몬에게 적용할 수 있다.

메가진화의 경우 진화의돌과 비슷하게 ~나이트를 고르면 해당 포켓몬에게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진화와 동일한 판정이라 메가진화 상태가 쭉 유지된 채로 엔트리에 존재할 수 있다. 쓰러져도 풀리지 않으며, 상태창에서 임의로 메가진화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추가로 본래 원시회귀는 메가진화와는 별개의 기믹이기에 메가링이 필요없지만 여기서는 밸런스 패치의 일환인지 메가링을 획득한 상태여야 주홍구슬, 쪽빛구슬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이맥스의 경우 거다이맥스 형태가 존재하는 포켓몬만 거다이맥스 할 수 있으며 공용 아이템인 다이버섯을 사용하면 된다. 판정은 메가진화와 동일하게 상태를 쭉 유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임의로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체력이 2배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메가진화처럼 총합이 100 늘어난 새로운 종족값을 가지게 되며 다이맥스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원작에 비하면 다소 소소하지만 무게 관련 기술, 앙코르, 사슬묶기, 풀죽음에 면역인 점은 구현되었다.

테라스탈의 경우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한 이후 특정 타입으로 변화시켜주는 피스들이 아이템 풀에 추가된다. 피스를 포켓몬에게 사용하면 배틀 참가 여부와 상관없이 10웨이브 동안 해당 테라스탈타입으로 변하며 포켓몬 모습에 해당 타입의 색깔이 입혀진다. 클래식 모드 중에 네임드 NPC들이 애용 중이며,[55] 마찬가지로 파티 내 중복 적용이 가능하다.

테라파고스의 경우, 일단 스텔라 테라피스 까지는 존재하지만 스텔라폼이 미구현되어 테라스탈오브를 획득하더라도 스텔라폼으로 전환할 수 없다. 테라셸도 미구현된 상태라 스텔라폼이 구현되기까진 꽤 오래 걸릴 듯.

9. BGM

BGM의 경우 대부분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OST,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OST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의 음악들을 사용하지만, PokéRogue 자체 작곡 오리지널 곡도 3개 존재한다.[56]

이후 2024년 6월 8일 업데이트로 게임 설정에 Music Preference 옵션이 추가되었는데, Consistent와 Mixed 두가지 중 선택이 가능하다. Consistent는 최대한 닌텐도 DS용 게임에서 가져온 BGM들만 사용하여 게임 그래픽에 걸맞는 퀄리티의 BGM만 흘러나오게 하는 옵션이고, Mixed는 원작 게임의 기종과 상관 없이 최대한 많은 BGM들을 가져와 포켓몬 전투 테마의 원작 고증을 지키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Mixed로 바꿀 시,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OST, 포켓몬스터 X·YOST,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OST, 포켓몬스터 썬·문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OST, 포켓몬스터 소드·실드OST,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OST도 게임에 사용된다.

PokéRogue 공식 GitHub 홈페이지 Credits 부분에 원작 게임들의 음악에 참여한 인물들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의 경우에는 이치노세 고, 사토 히토미, 카게야마 쇼타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의 경우에는 이이요시 아라타, 사카모토 히데키, 이토 케이스케, 사이토 켄이치, 마에다 요시히로의 이름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의 경우에는 이토 케이스케, 이이요시 아라타, 이시즈나 아츠히로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57] 그리고 PokéRogue 오리지널 곡인 대도시와 연구소 테마는 Firel의 이름이, 정글 테마는 Lmz의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9.1. BGM 리스트

<rowcolor=#fff>{{{#!wiki style="margin:-16px -11px" 제목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300> 음원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240> 원곡 }}}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60> 비고 }}}
타이틀 화면
메뉴 테마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포켓몬 선택
포켓몬의 세상에 온 걸 환영한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야생 포켓몬
전투! 야생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59]
레벨 업!
레벨 업!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반바지 꼬마의 테마
시선! 반바지 꼬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짧은 치마의 테마
시선! 짧은 치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전투! 트레이너
전투!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60]
트레이너에게 승리!
트레이너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마을
랜덤 던전 테마 3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라이벌의 테마
체렌의 테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61]
전투! 라이벌 1
전투! 체렌·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62]
회복
회복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평야
하늘봉 대초원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쌍둥이의 테마
시선! 쌍둥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사이클링의 테마
시선! 사이클링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풀숲
사과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호수
수정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대도시
PokéRogue 오리지널 곡
비즈니스맨의 테마
시선! 비즈니스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예술가의 테마
시선! 신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높은 풀숲
짙은 안개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늪지
폐쇄되어진 바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해변
축축한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파라솔 아가씨의 테마
시선! 파라솔 아가씨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공사장
바위 채석장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슬럼
하늘봉 해안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빡빡이의 테마
시선! 빡빡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검은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동굴
하늘봉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백팩커의 테마
시선! 백팩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묘지
신비의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초능력자의 테마
시선! 초능력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바다
바닷가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안의 암반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도장
텅구리 도장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발전소
일렉트릭 평원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전투! 체육관 관장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전투! 체육관 관장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전투! 체육관 관장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전투! 체육관 관장 (신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E4]
전투! 체육관 관장 (하나)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66]
전투! 체육관 관장 (칼로스)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체육관 관장 (가라르)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69]
전투! 체육관 관장 (팔데아)
전투! 체육관 관장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71]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진화
진화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진화 축하
진화 축하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초원
하늘봉 숲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정글
PokéRogue 오리지널 곡
악지
금속 계곡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심연
어둠의 화구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얼음 동굴
광활한 얼음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해저
바닷가 동굴 최심부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공장
숨겨진 유적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사원
파수꾼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사막
북쪽 사막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구원의 테마
시선! 연구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뿔산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눈 덮인 숲
하늘봉 눈밭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고대 유적
봉인의 암반 저편 너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화산
열수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전투! 라이벌 2
전투!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72]
전투! 준전설 포켓몬
전투! 전설의 포켓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73]
전투! 라이코
전투! 라이코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앤테이
전투! 앤테이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스이쿤
전투! 스이쿤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전설의 거인
전투! 레지락·레지아이스·레지스틸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준전설 포켓몬 (신오)
전투! 전설의 포켓몬 (신오)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전투! 유크시·엠라이트·아그놈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카푸
전투! 카푸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울트라비스트
전투! 울트라비스트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전설의 새 포켓몬
전투! 전설의 새 포켓몬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재앙의 보물
전투! 재앙의 보물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세벗님
전투! 세벗님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페어리 동굴
별의 동굴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우주
보물 협곡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황무지
환상의 대지 저편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하늘의 탐험대)
연구소
PokéRogue 오리지널 곡
엘리트 트레이너의 테마
시선! 엘리트 트레이너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전투! 초전설 포켓몬
전투! 레시라무·제크로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87]
전투! 전설의 포켓몬 (관동)
전투! 뮤츠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루기아
전투! 루기아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칠색조
전투! 칠색조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MP]
전투! 그란돈·가이오가
전투! 원시회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레쿠쟈
전투! 초고대포켓몬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전투!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DP]
전투! 기라티나
전투! 기라티나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96]
전투! 큐레무
전투! 큐레무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MP]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
전투! 제르네아스·이벨타르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
전투! 솔가레오·루나아라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전투! 자시안·자마젠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전투! 블리자포스·레이스포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버드렉스
전투! 버드렉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오거폰
전투! 오거폰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테라파고스
전투! 제로의 비보 테라파고스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복숭악동
전투! 복숭악동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사천왕 (호연)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MP]
전투! 사천왕 (하나)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07]
전투! 사천왕 (칼로스)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사천왕 (알로라)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썬·문)
[MP]
전투! 사천왕 (가라르)
전투! 파이널 토너먼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사천왕 (팔데아)
전투!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사천왕 (블루베리그)
전투! 블루베리그 사천왕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관동)
전투! 챔피언 (관동)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성도)
전투! 챔피언 (성도)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호연)
전투! 챔피언 (호연)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신오)
전투! 난천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13]
전투! 챔피언 (하나)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14]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전투! 챔피언 아이리스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전투! 챔피언 (칼로스)
전투! 챔피언
(포켓몬스터 X·Y)
[MP]
전투! 챔피언 (알로라)
정상결전! 하우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MP]
전투! 챔피언 (가라르)
결전! 챔피언 단델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MP]
전투! 챔피언 (팔데아)
전투! 치프 챔피언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네모
전투! 챔피언 네모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전투! 챔피언 (블루베리그)
전투! 챔피언 카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MP]
챔피언에게 승리!
챔피언에게 승리!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엔드 1
천공의 탑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21]
결전! 라이벌
결전! N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22]
엔드 2
천공의 탑 최상단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23]
전투! 무한다이노
레쿠쟈의 영역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구조대 DX)
[124]
결전! 무한다이노
전투! 게치스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125]
}}}

10. 구현되지 않은 기술 및 특성

아직 개발 단계에 있는 게임이기에 일부 기술이나 특성 등은 미구현 상태이다. 이 경우 미구현 상태일 경우 N[126], 일부 구현 상태일 경우 P[127]가 기술 혹은 특성 이름 옆에 붙는다. 미구현 기술/특성은 획득/보유해도 사용/발동이 불가능하고, 일부 구현의 경우는 사용/발동은 가능하지만 일부 효과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들은 대부분 원본보다 좋지 않지만 드물게 패널티가 사라져 역으로 사기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폭거북스의 전용기 트랩셸은 '물리기 피격시에만 후공으로 발동'이라는 제한이 미구현된 탓에 명중 100, 위력 150의 전체공격 자속기라는 무지막지한 기술이 되었다.

10.1. 미구현 (N)

미구현 기술의 경우 대부분 변화 기술이다.
}}}
{{{#!folding [미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곡예
* 공생
* 그대로꿀꺽미사일
* 기분파
* 도망태세
* 되새김질
* 리베로
* 마이티체인지
* 매직미러
* 멀티타입
* 멸망의바디
* 무아지경
* 미라클스킨
* 미러아머
* 배리어프리
* 배터리
* 변환자재
* 보이지않는주먹
* 볼주머니
* 볼줍기
* 부자유친
* 사령탑
* 서투름
* 시간벌기
* 싱크로
* 아로마베일
* 오라브레이크
* 우격다짐
* 위기회피
* 의태
* 인분
* 일루전
* 자력
* 제로포밍
* 총대장
* 퀵드로
* 테라셸
* 틈새포착
* 파워스폿
* 포이즌힐
* 프렌드가드
* 플라워베일
* 하늘의은총
* 협연
* AR시스템
}}}

10.2. 부분 구현 (P)

공격기술의 경우 데미지만 구현되고 기술 효과가 구현이 덜된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7~9세대다.
{{{#!folding [부분 구현 기술 목록 펼치기/접기]
}}}
{{{#!folding [부분 구현 특성 목록 펼치기/접기]
* 강철정신 -
* 건조피부 -
* 고대활성 -
* 균사의힘 -
* 대운 - 야생 포켓몬이 도구를 지닐 확률이 올라가지 않음.
* 대접 -
* 떠도는영혼 -
* 리밋실드 -
* 볼주머니 -
* 부식 - 매직미러 등과 함께 적용되지 않음.
* 스웜체인지 - 10% 지가르데는 아직 구현되지 않음.
* 스위트베일 - 아군 포켓몬도 잠듦에 면역이 되어야 하나, 아군 포켓몬은 잠들 수 있음.
* 승리의별 - 아군 포켓몬의 명중률이 올라가지 않음.
* 심안 -
* 아이스바디 -
* 저수 -
* 젖은접시 -
* 짓궃은마음 - 7세대부터 악 타입에게 무효화되나, 포케로그 환경에서는 악 타입 상대로도 변화기 시전이 막히지 않음.
* 축전 -
* 쿼크차지 -
* 탈 - 연속기나 도구 멀티렌즈를 사용한 기술이 '평소의 모습' 상태의 탈 특성 포켓몬에게 피해를 주지 못함.
* 파스텔베일 -
* 풍력발전 - 순풍 상태일 때도 발동해야 하나, 발동하지 않음.
* 플라워기프트 - 체리꼬가 폼 체인지하지 않음.
* 화학변화가스 -
* 황금몸 -
* 흙먹기 -
}}}

11. 오류 및 버그

전문 제작자는 아닌 것으로 보이는 이들이 만든 팬게임이기에 게임상의 오류나 버그가 자주 보이는 편으로 이전에 본가를 즐겨왔던 사람이라면 의아할 부분이 종종 나타나는 편이다.

타이틀 화면에 랜덤으로 뜨는 문구 중 하나인 '마나피 알 사건'도 그 중 하나로, 랜덤하게 새 게임 생성, 기존 게임의 진행이 불가능해지고 보유중인 모든 알이 마나피 알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고 한다.

11.1. 목록


12. 기타

웹게임 특성상 패치가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만큼 한글 번역이나 편의성이 수시로 업데이트 되고 있는데, 특히 6월 9일에 추가된 기술의 타입별 상성 유불리를 인게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옵션은 매우 호평을 받고 있다.


[1] 타이틀명 발음 자체는 '포케로그'로 이렇게 부르는 유저들이 많으나, 원래부터 포켓몬 쪽에서 Poké라는 접두어는 '포켓' 혹은 '포켓몬'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고, 결정적으로 공식 지원되는 한국어 표기에서 첫 접속 시 문구가 "포켓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이기 때문에 포켓로그가 맞다.[2] 공식 홈페이지에서 플레이하던 정보를 다운받아 오프라인에서 이어서 할 수는 있으나, 오프라인 플레이 정보를 공식 홈페이지로 불러올 수는 없다.[3] 물론 설정에서 다른 언어로 변경이 가능하다.[4] 하지만 체력 회복이나 부활 아이템을 게임 중 얻을 수 있고, 일정 웨이브마다 전체 포켓몬의 체력과 상태이상을 회복해 주기 때문에 너즐록 챌린지처럼 포켓몬이 기절했다고 더 이상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5] 전투가 끝나고 랜덤하게 등장하는 이상한사탕을 통해 이 레벨캡을 무시하고 레벨을 올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래식 191~200층의 레벨캡은 200이지만 이상한사탕을 통해 레벨이 200을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다.[6] 초기 상태에는 모든 개체값이 10, 성격은 무보정 성격이다.[7] 베이비 포켓몬들은 그 포켓몬의 진화체와 별개로 선택이 가능하며, 피츄의 경우 기본형 피카츄를 포함해 아무 버전의 코스프레 피카츄 한 마리만 포획하면 해금된다.[8] 코스트 1 이하의 포켓몬은 추가로 절감할 시 대신 코스트가 절반으로 나뉜다.[9] 패시브란 포켓몬마다 정해진 2번째 특성을 말한다. 주로 숨겨진 특성 등과도 별개로 해당 포켓몬을 굴리기 좋은 특성으로 정해져 있으며, 패시브를 해금하면 기본 특성과 패시브 2개의 특성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다. 스타팅 포켓몬에게 베이비 포켓몬이 존재할 시 베이비 포켓몬만 패시브를 해금할 수 있다.[예시] 이브이세꿀버리→님피아세꿀버리o,이브이비퀸x 님피아비퀸x[11] 꼬이밍고두더류→꼬이밍고몰드류[12] 턴마다 상대방이 지닌 아이템 중 하나를 빼앗음[13] 2024년 6월 11일 기준 악의 조직 트레이너 배틀도 업데이트가 예고되어 있다. https://github.com/pagefaultgames/pokerogue/pull/2028[14] 웨이브 20에 등장할 확률과 웨이브 30에 등장할 확률은 각기 50%이다.[15] 예를 들어 웨이브 182에서 충호가 등장하는 경우, 이후 웨이브의 사천왕은 들국화, 대엽, 오엽으로 고정되며, 웨이브 190의 챔피언도 난천으로 고정된다.[16] 예를 들어 팔데아리그의 팔자크의 경우, 과사삭벌레의 진화체인 애프룡단지래플 중 1마리가 엔트리에 포함되어 있고, 2마리의 드래곤 타입 포켓몬은 대면 때마다 매번 달라진다.[17] 라이벌의 이름은 여성일 경우 아이비, 남성일 경우 핀.[18]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메가니움, 블레이범, 장크로다일, 나무킹, 번치코, 대짱이, 토대부기, 초염몽, 엠페르트, 샤로다, 염무왕, 대검귀, 브리가론, 마폭시, 개굴닌자, 모크나이퍼, 어흥염, 누리레느,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계열 중 하나.[19] 피죤투, 야부엉, 스왈로, 찌르호크, 켄호로우, 파이어로, 왕큰부리, 아머까오, 찌리비크 계열 중 하나.[20] 진화하지 않는 포켓몬일 경우도 있다. 따라큐라던가, 폭거북스라던가.[21] 영원의 꽃 플라엣테나 붉은 달 다투곰은 전설의 포켓몬은 아니지만 라이벌이 소지하지 않는다.[22] 작중에서 유일하게 포켓몬임에도 말을 한다. 타이틀 화면에서 무작위로 나오는 스플래시등 중에서 'RoR2에 강하게 영감을 받았어요!'를 가리키는 것 중 하나이다.[23] 반사 대미지, 약점 찌르기 등으로 폭딜을 넣어도 HP 1줄은 반드시 남으며, 길동무멸망의노래같은 꼼수는 안 통한다.[24] 무한다이노 1페이즈의 소지 기술은 무한다이빔/오물폭탄/용의춤/코스믹파워로, 페어리 타입과 강철 타입의 포켓몬만 있다면 바보로 만들 수 있는 기술배치이다. 특히 무한다이빔은 PP가 5, 오물폭탄은 10밖에 안 되기에 강철/페어리 복합 타입 포켓몬을 세워놓거나 강철 타입과 페어리 타입 포켓몬 두 마리로 교체를 반복하여 지닌 공격기의 PP를 모두 소진시킨 후 랭업을 최대로 쌓은 뒤 2페이즈를 공략하는 전술이 가능하다. 물론 도트딜 위주의 덱을 짜 왔다면 길게 끌 필요 없이 무한다이빔의 반동 타이밍에 적당히 딜을 넣어 2페이즈를 앞당겨도 좋다.[25] 다만 라이벌, 관장 등등 트레이너 배틀에선 랭크업이 초기화되는 데 주의해야한다.[26] 이 부류의 끝판왕이 꼬이밍고. 알까기로 천둥차기라도 습득하고 나오게 되면 막바지까지 활약하게 된다.[27] 사탕 10개로 패시브인 소울하트를 해금한 이벨타르 역시 여기에 해당된다.[28] 둘 다 드래곤이고 레쿠쟈가 비행/드래곤이라 얼음타입이 유리할 것 같지만, 얼음 타입은 방어 상성이 최악인데다 약점 타입도 전부 흔한 타입들이고, 심지어 상술했듯 우수한 타입인 페어리와 강철과의 조합조차 강철 4배, 격투/불꽃 4배라는 환장할 성능 때문에 포켓로그에서는 어지간하면 얼음 기술만 물 타입 포켓몬의 서브웨폰으로 채용하지 얼음 타입 포켓몬을 들고 다니지는 않는다.[29] 무한다이노 1페이즈의 기술배치는 무한다이빔/오물폭탄/코스믹파워/용의춤으로, 공격기술은 오물폭탄과 무한다이빔뿐이지만 각각 독타입과 드래곤타입이라 강철/페어리 복합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상대로는 코스믹파워와 용의춤밖에 쓸 수 없다.[30] 다만 두드리짱은 레쿠쟈의 경우 약점을 무난하게 찌를 수 있지만 무한다이노의 약점을 찌를 기술이 마땅치 않으며 2페이즈의 소지 기술 중 화염방사에 약점을 찔린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두드리짱을 사용하려 할 경우 화력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치근거리기의 타점을 올려 줄 수 있는 칼춤을 기술머신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으며, 알까기로 아이스해머를 습득하게 되면 레쿠쟈는 문자 그대로 갈아버리고 무한다이노 전에서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게 된다.[31] 두드리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한다이노 1페이즈에서 강철타입 포켓몬과 페어리타입 포켓몬을 계속 교체하면 강철에 다이맥스포/페어리에 오물폭탄을 번갈아 쓰다 역으로 강철에 오물폭탄/페어리에 다이맥스포가 박혀 상쇄되며 이걸 반복하다 보면 PP 5짜리 다이맥스포가 금새 PP가 바닥나 강철타입을 공격할 수단이 사라진다. 이때 강철 포켓몬으로 랭크업기를 풀스택 누적 후 일방적으로 두들겨 패는 게 가능. 이 형태로 사용하기 좋은 멤버로 특공 2랭크 상승기인 나쁜음모와 반감 없이 유효타를 줄 수 있는 섀도볼을 습득하는 타부자고, 공격 2랭크 상승기인 칼춤을 지니고 자속으로 약점을 찌르는 지진/드릴라이너를 보유한 몰드류가 있다. 단 무한다이맥스 이후에는 화염방사를 지니고 있어 약점을 찔리니 주의.[32] 다만 파티 내에 존재하기만 하면 지속적으로 아이템을 수급해 주는 픽업에 비해 매지션은 아이템을 대량수급할 수는 있어도 직접 전투에 참여해야 하므로 충분한 육성이 필요하다는 점은 주의해야 된다.[33] 사탕으로 해금하는 특성으로는 버터플이 매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나 1코스트 포켓몬의 특성상 사탕 요구치가 50개라 금방 달아줄 수는 없다. 그래도 달아만 줄 수 있다면 버터플이 나름 기술폭도 다양한 편이고 스텟이 올라가는 거다이맥스도 가능하므로 나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34] 무한다이맥스 시에는 화염방사를 들고 나오기 때문에 껍질몬은 바로 눕는다.[35] 사실, 오히려 알기술 덕분에 스타팅으로 조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36] 노말 or 악 타입에 껍질몬의 특성과 제2타입인 고스트가 조합되어 노멀타입은 악타입, 악타입은 페어리 타입에만 피해를 입게 된다.[37] 단, 개체값이 모두 고정이기 때문에 같은 웨이브에 등장하는 포켓몬을 여러 번 잡아도 의미가 없다. 또한, 스타팅으로 주는 포켓몬은 잡은 것으로 취급되지 않기에 강력한 포켓몬이 스타팅으로 나온다고 해서 그 개체가 등록이 되는 것도 아니다.[38] 포켓로그에서는 40웨이브가 하루에 해당하며, 낮(day)이 15웨이브, 황혼(dusk)이 5웨이브, 밤(night)이 15웨이브, 새벽(dawn)이 5웨이브인 사이클로 돌아간다.[39] 마휘핑은 진화 시점의 바이옴에 따라 폼이 달라진다.[40] 원래는 왕의징표석을 지닌 상태에서 연결의끈을 사용해야 했으나, 패치로 왕의징표석 없이 진화할 수 있게 바뀌었다.[41] 선두로 나가서 포켓몬을 쓰러트리거나, 선두로 나가서 야생 포켓몬을 포획하거나, 교체되어 잠깐이라도 배틀에 참여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처리된다. 배틀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경험치만 얻는 경우에는 오르지 않는다.[42] 파티 전원의 레벨을 올려주는 더이상한사탕도 동일한 수치의 친밀도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파티 전원의 친밀도가 동시에 오르게 된다.[43] 부활의씨앗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친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44] 암컷이면 가디안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수컷 가디안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암컷 킬리아만 가디안으로 진화할 수 있다.[45] 수컷이면 얼음귀신으로 진화한다. 본가에서는 암컷 얼음귀신도 존재했지만 포켓로그에서는 수컷 눈꼬마만 얼음귀신으로 진화할 수 있다.[46] 라란티스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 레벨 상관 없이 진화 가능하다.[50] 맘모꾸리는 본가와 진화 조건이 같다.[51] 본 게임에서 유전자쐐기가 모든 포켓몬에 대응하는 도구가 되었기 때문에 합체에는 다크스톤/라이트스톤이 사용된다.[52] 전설 업! 뽑기에서는 202/256 확률.[53] 극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네크로즈마의 4번째 기술은 짜랑고우거의 전용기인 소울비트이다. 해당 기술은 HP를 1/3 소모해 공격/특공/방어/특방/속도를 랭크업하는데, 네크로즈마는 자체 회복기(아침햇살, 달빛)를 보유한 데다 랭크업 수치만큼 공격력이 증가하는 기술인 어시스트파워까지 자력습득하므로 이 둘이 조합되면 그대로 게임이 터진다.[54] 메가링, 다이맥스밴드, 테라스탈오브.[55] 팔데아지방 사천왕처럼 기존 타입을 가진 포켓몬을 테라스탈시키는 소위 자속 테라로만 사용한다.[56] 대도시, 연구소 그리고 정글이 이에 해당하며, 모두 기본 MIDI 음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57] 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에는 딱히 이름이 등재되어 있지 않은데, 곡 제작에 참여한 인물들 전원이 이미 블랙·화이트 부분에 이름이 등재되어 있기 때문에 넣지 않은 듯하다.[58]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주로 일반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때 흘러나오는 BGM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는데, 아래 BGM 리스트에도 초반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먼저, 그 이후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바이옴이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전설의 포켓몬 전투 테마처럼 초반부터 흘러나오는 경우도 있으나 그러할 확률이 극악인 BGM의 경우, 그만큼 더 후반에 비치되어 있다. 3번째 라이벌 전투 테마의 경우는 145 웨이브에서 먼저 흘러나오기에, 원래는 180 웨이브부터 흘러나오는 사천왕과 챔피언 전투 테마 이전에 비치되어 있어야 할 것 같지만, 공식 슈퍼 뮤직 컬렉션에서는 '결전'이라는 단어가 제목으로 사용된 전투 테마의 경우 최대한 리스트 후반에 비치되는 경향이 있기에 여기에서도 이가 반영되었다.[59]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첫 5 웨이브의 야생 포켓몬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60] 원작 시리즈에서는 하나지방 출신의 트레이너 전투 테마로만 사용되나, 해당 작품에서는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트레이너의 전투 테마로 사용되었다.[61] 라이벌과의 마지막 전투인 195 웨이브 이외의 모든 라이벌과의 전투 직전에 흘러나온다.[62] 8, 25, 5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E4] 해당 지방의 사천왕 전투 테마로도 사용되었다.[E4] [E4] [66]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 한정으로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체육관 관장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Mixed로 바꾸면 변경된다.[MP] [69] 원작 소드·실드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MP] [71] 소드·실드와 비슷하게 원작 스칼렛·바이올렛에서는 체육관 관장의 남은 포켓몬 수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가 달려졌지만, 이 작품에서는 남은 포켓몬 수에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곡의 분위기가 바뀐다.[72] 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73]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이다.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 한정으로 이와 상관없이 모든 환상과 준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DP]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DP] [MP] [MP] [MP] [MP] [MP] [87] 전용 전투 테마를 가지고 있지 않은 초전설 포켓몬 전투 테마.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 한정으로 이와 상관없이 모든 초전설 포켓몬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DP] [MP] [96] 해당 곡이 처음 등장한 건 포켓몬스터Pt 기라티나이지만, PokéRogue 공식 크레딧에는 이 곡이 재사용 된 적이 있는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곡이라고 서술되어 있다.[MP] [MP] [MP] [MP] [MP] [MP] [MP] [MP] [MP] [MP] [107]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 한정으로 출신 지방에 상관 없이 모든 사천왕의 전투 테마로 사용된다.[MP] [MP] [MP] [MP] [MP] [113] 원작 시리즈에서 블랙 2·화이트 2 PWT 버전 전투곡이 존재하는 곡들 중, 유일하게 PWT 버전이 아닌 블랙·화이트 전투곡을 사용한다.[114] 게임 옵션에서 Music Preference 기능을 Consistent로 설정하였을 때 한정으로 5세대 이후 지방인 하나지방, 칼로스지방, 알로라지방, 가라르지방 그리고 팔데아지방 출신의 챔피언 전투 테마로도 사용된다.[MP] [MP] [MP] [MP] [MP] [MP] [121] 191 ~ 194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122] 145, 195 웨이브의 라이벌 전투 테마이다.[123] 196 ~ 199 웨이브의 엔드 바이옴 테마이다.[124] 무한다이노 전투 이외에도 195 웨이브 라이벌 전투 직전에 라이벌의 테마 대신 흘러나오기도 한다.[125] 무한다이노가 무한다이맥스를 할 때부터 흘러나오기 시작한다.[126] Not implemented[127] Partially implemented[128] 덕분에 디메리트라고는 겨우 pp 5뿐인 120 위력을 난사하는 군침도는 기술이 되었다.[129] 파일:포케로그_오류.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