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8:10:41

PokéRogue/트레이너 배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okéRogue
1. 개요2. 일반 트레이너3. 라이벌4. 체육관 관장5. 사천왕6. 챔피언7. 악의 조직

1. 개요

PokéRogue의 트레이너 배틀에 대해 서술한 문서. 포케로그는 기본적으로 로그라이크 게임이기 때문에 어떤 트레이너가 등장할지는 랜덤이지만, 그 트레이너가 어느 바이옴에서 등장하는지, 어떤 포켓몬들을 사용할지는 어느 정도 체계가 잡혀있다.

참고로 모든 트레이너들은 다음에 해당하는 포켓몬들은 해당 포켓몬이 고정 포켓몬 풀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다. 설령 네임드 트레이너더라도.
엔드리스 모드에서는 트레이너가 등장하지 않는다.

2. 일반 트레이너

일반 트레이너 배틀은 라이벌이나 사천왕이 등장하는 웨이브가 아니면서 웨이브 끝의 자릿수가 0 또는 1이 아니면 아무 때나 등장할 수 있으며[1] 33% 확률로 더블배틀로 진행된다. 바이옴마다 나오는 트레이너군이 정해져 있지만, 해당 바이옴의 야생 포켓몬보다는 다양한 포켓몬을 들고 나오기 때문에 야생 포켓몬들과는 상성이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바이옴의 야생 포켓몬보다는 다양할 뿐, 본가와 마찬가지로 트레이너군별로 특정 타입만을 사용하거나, 특정 종류의 포켓몬만을 사용한다. 엘리트 트레이너의 경우 웨이브 진행도에 비례해 포켓몬의 개수와 스펙이 더 강해진다.

일반 트레이너들은 연구소, 해저, 섬, 우주, 엔드 바이옴에서는 등장하지 않지만, 그 이외에는 웨이브 진행에 따른 제한은 따로 없어서 재수가 없으면 체육관 관장보다도 먼저 6마리 엔트리를 완성하는 포켓몬 브리더들이 초반에 몰려나와 회복 아이템 소비를 강요하거나, 일반 트레이너가 사천왕전 중간에 끼어들어 3연 트레이너전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

3. 라이벌

파일:pokerogue_rivals.webp
레딧 페이지에서 공개된 여성 라이벌(아이비)과 남성 라이벌(핀)의 원화.

플레이어의 선택 성별의 반대 성별 라이벌[2]이 등장하며 정해진 웨이브에서만 등장한다. 웨이브 8에서 처음 고정으로 등장하며, 이후 웨이브 25, 55, 95, 145, 195에서 재등장한다. 첫 전투는 딱히 어렵지 않으나, 25 웨이브에서는 포켓러스 스타팅이 아닌 이상 전반적으로 레벨이 밀리는 구간이라 꽤 까다롭다. 이후 아직 최종진화체를 쓰지 않는 구간은 적당히 상대할 만 하나, 145 웨이브부터는 초전설 레쿠쟈를 비롯해 로스터가 완성수준에 이르기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며, 마지막 배틀인 195 웨이브에서는 거의 진 최종보스나 다름없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또한, 끝자리가 5인 웨이브에서 싸우기에 파티가 너덜너덜해진 상태에서 회복없이 나머지 웨이브들을 감당해야 한다. 라이벌의 소지 포켓몬은 마지막의 (메가)레쿠쟈를 제외하면 전부 랜덤이지만, 정해진 규칙은 존재한다.

4. 체육관 관장

체육관 관장은 웨이브 20 혹은 30부터[8] 30웨이브 간격, 총 6명을 만나게 된다.[9] 관장들의 포켓몬 소지 수 및 레벨은 캐릭터 및 웨이브에 따라 달라진다.
각 관장마다 등장 바이옴은 정해져 있고,[10] 최소 2마리의 소지 포켓몬은 고정되어 있으며,[11] 랜덤 포켓몬도 그 관장의 전문 타입에 해당하는 포켓몬으로만 등장한다. 웨이브 100 이후의 관장은 1마리의 포켓몬을 전문 타입으로 테라스탈한다. 체육관 관장은 하나지방의 시간대에 따른 관장 변동과 가라르지방의 소프트웨어 및 스토리 진행에 따른 관장 변동을 모두 반영해서 원작에서 싸운 경험이 있던 관장은 모두 등장한다. 단, 후속작에서 사천왕에 등극한 독수나 챔피언에 등극한 윤진아이리스는 체육관 관장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뱃지는 따로 없지만, 만약 아직 클리어한 적이 없는 체육관 관장을 클리어한다면 알 플러스 바우처 1장을 받으며, 이미 클리어한 체육관 관장을 클리어한다면 일반 바우처 1장을 받는다.

원작에서 더블 배틀로 진행되는 풍&란의 경우 포케로그에서도 일정 확률로 더블 배틀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상은 풍과 란 중 & 앞에 있는 관장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즉 란&풍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는 뜻. 반면 원작에서는 혼자서 더블 배틀의 기믹만 사용했던 금랑이나 라임은 싱글 배틀로 진행된다.

관장과의 배틀의 경우 단일타입에 특화된 펀이라 난이도가 비교적 낮다고 하나, 알 기술의 특혜를 관장들도 받아 신묘한 기술폭을 자랑하고 파티 최고레벨보다 높은 포켓몬 + 보스 포켓몬 보정을 받아 체급싸움에서 우위를 가진다. 따라서 원맨캐리로 굴리다가 해당 포켓몬으로 약점을 못 찌르는 관장을 만날 경우 패배할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견제폭으로 고루 육성을 하더라도 레벨링이 밀릴 경우 본가에서 해당 포켓몬이 쓸 수 없는 특이한 기술폭으로 이루어진 견제기에 역으로 털리는 경우도 생긴다.

5. 사천왕

사천왕전은 웨이브 182를 시작으로 2웨이브마다 진행된다. 사천왕은 체육관 관장과 달리 같은 지역 출신으로 통일된다.[12] 사천왕의 엔트리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기본적으로 첫 등장 이후 세대의 포켓몬들도 엔트리에 넣기 때문에 타입 불일치는 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갸라도스프테라를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목호, 딱구리를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시바, 강철톤 or 이어롭마그마번과 같이 사용하는 대엽 등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버전에 따라 상대하는 사천왕이 다른 알로라리그의 경우 첫 사천왕은 할라멀레인 중 1명만 상대하며, 가라르리그의 사천왕은 슛스타디움 토너먼트를 간략화해 마리야청채두 or 어니언금랑 순서로 상대한다.

만약 아직 클리어한 적이 없는 사천왕을 클리어한다면 알 플러스 바우처 1장을 받으며, 이미 클리어한 사천왕을 클리어한다면 일반 바우처 1장을 받는다.

챌린지 모드에서 특정 세대를 고정한 경우, 반드시 해당 세대의 사천왕이 등장한다.

6. 챔피언

챔피언전은 웨이브 190에서 고정적으로 진행되며, 앞서 사천왕전에서 상대한 리그의 챔피언이 등장한다. 챔피언들의 엔트리는 다음과 같으며, 남은 1마리의 소지 포켓몬은 타입 제한이 없이 종족값 470 이상의 포켓몬이 랜덤으로 등장한다. 챔피언은 라이벌을 제외한 타 네임드 트레이너전과는 달리 전설/환상의 포켓몬들이 1마리 포함되어 있으며,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한 포켓몬들도 등장한다. 동시에 챔피언들은 3마리의 포켓몬을 자속 테라스탈한다. 볼드체는 원작에서 해당 챔피언의 에이스 포켓몬. 팬게임답게 대체적으로 본가에서 사용한 포켓몬들로 이루어져 있다.

만약 아직 클리어한 적이 없는 챔피언을 클리어한다면 알 프리미엄 바우처 1장을 받으며, 이미 클리어한 챔피언을 클리어한다면 알 플러스 바우처 1장을 받는다.

7. 악의 조직

2024년 6월 25일 업데이트를 통해 악의 조직과의 대결이 구현되었다. 악의 조직은 1, 2세대의 로켓단, 3세대의 마그마단, 아쿠아단, 4세대의 갤럭시단, 5세대의 플라즈마단[14], 6세대의 플레어단 중 하나의 세력만 등장한다. 악행의 규모가 축소된 스컬단, 옐단, 스타단이나 일부 수뇌부의 폭주에 가까웠던 에테르재단, 매크로코스모스는 구현되지 않아서, 포켓몬 팬덤에서 전통적인 악의 조직으로 간주하는 1~6세대 세력만 등장한다.

웨이브 35에서 처음으로 악의 조직 조무래기를 만나게 되며 이후 웨이브 62, 64, 66, 112, 114에서 조무래기가, 115와 165에서는 악의 조직의 보스가 등장한다. 조무래기가 사용하는 포켓몬은 어느정도 정해진 풀에서 무작위로 등장하며, 악의 조직 보스의 경우 무작위 없이 6마리의 포켓몬 모두 엔트리가 정해져있다. 악의 조직 보스들은 보스별 편차는 있지만 기존에는 챔피언전에서 처음 구경할 수 있던 메가진화 포켓몬이나 준전설을 웨이브 115부터 사용하는데다가, 웨이브 165의 강화판은 메가진화나 초전설에 더해 트레이너 최초로 패러독스 포켓몬까지 사용하며 챔피언이 부럽지 않은 초호화 엔트리를 자랑한다. 그나마 거다이맥스/테라스탈은 사용하지 않고, 보스 실드도 많지 않다는 부분이 위안.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의 조직 업데이트는 드래곤 억까로 고착화된 클래식 공략의 난도를 크게 올렸다고 평가받는데, 특정 웨이브 구간에서 물량공세를 하는 조무래기와 무지막지한 체급의 보스가 모두 까다로운 게 크다. 웨이브 165의 보스를 상대해서 어찌저찌 이기더라도 전체 부활 아이템인 성스러운 분말이 해금이 안된 상황에서 파티를 보수하는 지출이 더 커지고, 최악의 상황으로 만약 20라운드부터 체육관 관장 배틀이 등장했다면 웨이브 170에서 관장과의 배틀이 이어지는데, 하필 이 체육관 관장이 체육관 관장 중에서 가장 강한 전력으로 전투를 갖기 때문에 악의 조직 보스를 잡고도 후속타에서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스전 직전에 소지금을 최대한 끌어 모으면서 만반의 대비를 해주면서 웨이브 170에서 관장이 나오는 것이 확정적이라면, 지도를 통해 에이스 포켓몬에게 상성에 유리한 체육관 관장이 등장하도록 바이옴을 설정해두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한편 조무래기 밀집 구간인 웨이브 60대와 110대의 경우 랭업과 장판기 운신의 폭을 더욱 줄이면서 여전히 일반 트레이너 난입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다타입 악의 조직은 그쪽대로 넓은 견제폭을 요구하고 단일타입 악의 조직은 아예 특정 타입 챌린지 통곡의 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만만치 않다.

만약 아직 클리어한 적이 없는 악의 조직 보스를 클리어한다면 알 플러스 바우처 1장을 받으며, 1차전과 2차전을 따로 계산한다.

보스 포켓몬은 굵은 글자로 표기.


[1] 웨이브 4~6 사이에는 반바지 꼬마 / 짧은 치마 중 한 명을 확정적으로 만나게 된다.[2] 라이벌의 이름은 여성일 경우 아이비, 남성일 경우 핀.[3]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메가니움, 블레이범, 장크로다일, 나무킹, 번치코, 대짱이, 토대부기, 초염몽, 엠페르트, 샤로다, 염무왕, 대검귀, 브리가론, 마폭시, 개굴닌자, 모크나이퍼, 어흥염, 누리레느,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계열 중 하나.[4] 피죤투, 야부엉, 스왈로, 찌르호크, 켄호로우, 파이어로, 왕큰부리, 아머까오, 찌리비크 계열 중 하나.[5] 그래서 라이벌이 초반 두 포켓몬을 어떤 녀석들로 들고오는지의 여부도 향후 게임 난이도에 큰 영향을 준다. 아무래도 치코리타+부우부와 염버니+찌르꼬는 차원이 다르니...[6] 가끔 3줄로 등장할 때가 있다.[7] 진화하지 않는 포켓몬일 경우도 있다. 따라큐라든가, 폭거북스라든가.[8] 웨이브 20에 등장할 확률과 웨이브 30에 등장할 확률은 각기 50%이다.[9] 데일리 런에서는 웨이브 20, 30, 40에서 총 3번을 만난다.[10] 따라서 동일한 바이옴을 방문할 경우 동일한 관장을 2번 이상 만날 수도 있다.[11] 고정 소지 포켓몬이 3~4마리인데 초반에 등장할 경우 이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된다.[12] 예를 들어 웨이브 182에서 충호가 등장하는 경우, 이후 웨이브의 사천왕은 들국화, 대엽, 오엽으로 고정된다.[13] 예를 들어 팔데아리그의 팔자크의 경우, 과사삭벌레의 진화체인 애프룡단지래플 중 1마리가 엔트리에 포함되어 있다.[14] 조무래기의 복장은 BW1 기준의 복장(=구플라즈마단)이지만 게치스는 BW2의 복장을 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