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2:10:40

꼬이밍고

||<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91919><tablewidth=700><tablebordercolor=#5d73d4><bgcolor=#5d73d4><-3>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파일:icon0972_f00_s0.png 0972 묘두기 파일:icon0973_f00_s0.png 0973 꼬이밍고 파일:icon0974_f00_s0.png 0974 터벅고래
지역 도감 나열 순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팔데아도감
본토
파일:748MS.png 345 더시마사리 파일:973MS.png 346 꼬이밍고 파일:147MS.png 347 미뇽
}}}}}}}}} ||
정보 내 바로가기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유전 정보
모습
방어 상성
종족치
울음소리
도감 설명
skip

1. 정보2. 개요3. 포획 및 스토리4. 대전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1. 애니메이션5.2. Pokémon GO
6. 기타
6.1. 삽화6.2. 국가별 명칭
7. 둘러보기

[clearfix]

1. 정보

파일:973 꼬이밍고.png
꼬이밍고
기본 정보
<rowcolor=white> 이름 도감 번호 타입
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カラミンゴ(카라밍고)
Flamigo
전국: 0973
팔데아: 346본토


특성(숨겨진 특성은 *)
배짱 고스트타입 적 포켓몬에게 노말, 격투타입 기술을 쓸 수 있다.
갈지자걸음 혼란에 빠질 때 회피율이 1랭크 상승한다.
*협연 등장했을 때 같은 편의 능력 변화를 복사한다.
세부 정보
<rowcolor=white>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포획률
0973 꼬이밍고 싱크로 포켓몬 1.6m 37.0kg 100
유전 정보
<rowcolor=#ffffff> 성비 알 그룹 부화 카운트 최대 경험치량
수컷: 50%
암컷: 50%
비행 20 1,059,860
모습
모습 파일:973.gif
0973 꼬이밍고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25배 0배

종족치
<rowcolor=white>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82 115 74 75 64 90 500
울음소리
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icon0973_f00_s0.png
0973 꼬이밍고
스칼렛 배에 비축해 둔 에너지가 부리를 통해 새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목 아래쪽을 꼬아 놓은 듯 하다.
바이올렛 싱크로라 불리는 습성으로 인해 무리 전체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일제히 공격한다.

2. 개요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신규 포켓몬.

모티브는 홍학이며, 격투 타입이 있단 점에서 권투글러브를 모티브로 삼았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1] 도감설명을 보면 풍선으로 만든 동물이나 튜브가 모티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 엄청나게 가느다란 다리를 보면 핑크 플라밍고 장식도 섞인 듯하다.

꼬이밍고라는 네이밍은 다리와 [2]을 꼰 플라밍고라서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3. 포획 및 스토리

<colbgcolor=#5d73d4><colcolor=white>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SV
포지션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를 통한 물리 스위퍼
장점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 배짱 특성
이른 출현, 안정적인 스피드런 가능
단점 낮은 특수 내구, 브레이브버드의 늦은 습득[3], 인파이트 자력 습득 불가
추천되는 도구 조개껍질방울, 예리한부리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마스카나, 라우드본, 웨이니발
추천 기술배치 브레이브버드/인파이트/지옥찌르기/유턴 or 아쿠아브레이크

티스푼마을에서 조금만 멀리 가면 극초반부터 만날 수 있다.

생긴 것만 보면 그렇게 강할 것 같지 않은 포켓몬이지만, 그 실체는 간단히 요약하면 팔데아판 찌르호크 내지는 타격귀라 할 수 있다. 찌르호크에 비하면 공격과 스피드가 다소 낮고 고위력기의 습득 타이밍도 늦는데다 에스퍼와 페어리에 약점을 찔리지만, 그 모든 단점을 게임 시작할 때부터 최종 진화형 스펙을 가지고 나온다는 괴악한 특징 하나로 커버한다. 종족값 총합이 500인데다 특공을 버려서 공격이 115, 스피드가 90으로 스타팅 최종 진화형인 웨이니발[4]과 스펙이 거의 비슷하다. 타입도 비행과 격투로 공격적이기 때문에 스토리를 밀기 좋다. 이러한 특징을 살려 현재 스피드런 원탑 요원으로 쓰이고 있다.#

활용도는 타입과 종족값 총합이 똑같은 루차불과 거의 비슷한데, 루차불과 비교하면 스피드가 좀 낮은 대신 화력이 더 좋다.

다만 종합적인 성능은 아무래도 4세대의 찌르호크나 5세대의 아케오스, 몰드류 등에 비하면 한 수 아래라는 느낌이다. 우선 단점에서도 언급했듯 꼬이밍고는 고화력 기술을 매우 늦은 레벨에 배우는데, 무려 레벨 54가 되어야 브레이브버드를 배우고 인파이트는 자력으로 못 배운다. 인파이트 기술머신은 스타단 최종보스 직전 보스인 비파를 이겨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는 날개치기와 두번차기, 혹은 안다리걸기로 연명해야한다. 그런데 후반 상성도 꼬이밍고에게 상황이 좋지 않다. 일단 고스트, 에스퍼, 얼음, 비행은 물론이고 페어리까지 후반부에 몰려있다. 얼음은 격투로 깨부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비파를 이기고 온 게 아닌 이상 두번차기 따위로는 그루샤의 포켓몬을 절대 한방 컷 못내고 눈보라나 고떨 등에 1타가 난다.

배짱 특성이면 고스트타입 상대로도 저항은 할 수 있지만, 라임의 포켓몬 중 따라큐, 스트린더는 물론이고 묘두기와 다크펫까지 약점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배도 아닌 격투 기술로는 사실상 승산이 없다. 즉, 초반부는 높은 스펙으로 저위력 기술로도 충분히 활약이 가능하지만 후반부로 갈 수록 불리한 상성과 늦은 기술 습득 레벨이 발목을 잡는 포켓몬이라고 할 수 있다. 찌르호크가 진화하자마자 인파이트를 배우고 레벨 33에 돌진을 배워 늦은 브레이브버드 습득을 커버치고 아케오스는 진화가 늦어서 그렇지 아켄때부터 애크러뱃을 배우는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

4. 대전

타입은 비행/격투. 루차불, 가라르 폼 썬더와 같지만, 이쪽은 첫 번째 타입이 비행이다. 자속 기술로 8개의 타입을 찌를 수 있다.

종족값은 전형적인 물리 어태커의 배분으로 115의 공격을 지녔으며, 스피드는 90으로 격전지에 위치해 있다. 다만 내구는 그리 좋진 못한 편.

자력으로 페인트, 메가톤킥, 지옥찌르기, 브레이브버드 등을, 기술머신으로 유턴, 인파이트, 아쿠아브레이크, 더블윙, 덤벼들기, 죽기살기 등을 배운다. 쓸 만한 변화기로는 칼춤, 벌크업, 날개쉬기, 순풍, 와이드가드, 패스트가드, 도발, 깃털댄스 등이 있다.

특성 중 갈지자걸음은 사실상 버리는 특성이고, 배짱은 격투타입 기술을 주력으로 사용하면서 물리형 딜러인 꼬이밍고와 궁합이 좋은 특성이다. 포켓몬홈이 풀리지 않고 사흉수 포켓몬이 금지당한 현재 싱글배틀에선 드래펄트, 저승갓숭, 타부자고 등 여러 고스트타입 포켓몬이 자주 보이고 있어 인식이 마이너한 꼬이밍고에게 가장 합리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다. 비교적 새로 등장한 포켓몬이고, 대전에서 자주 보이는 포켓몬도 아닌지라, 특성이 배짱인 줄 모른 채 고스트타입이라고 자신만만한 유저들을 엿먹일 수 있다.[5]

하지만 형태가 다양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 위에도 서술되었듯 애매한 스피드 때문에 구애머리띠 형태로 쓰기 힘들고, 좋지 않은 내구로 인해 내구형이나 돌격조끼 형태도 쓰기 다소 힘들다. 이 때문에 1대 맞고 때리는 기합의띠와 부족한 스피드를 보완하는 스카프 외에는 제대로 사용해볼 만한 도구가 없다.

다행인 점으로 브레이브버드와 인파이트를 모두 자속으로 구사할 수 있어 기본적인 화력은 의외로 꽤나 되는 편에, 위력은 낮지만 우선도가 2이고, 배짱 덕에 고스트에게도 막타를 칠 수 있는 페인트가 있어 기합의띠 형태도 나름 무난하게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 유턴을 배워서 스카프형이라도 유연하게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 기술 폭은 매우 좁아도 견제기로는 좋은 성능인 아쿠아브레이크도 배운다는 점이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스피드 대비가 되어 있거나 드닐레이브처럼 연속기를 사용하는 포켓몬들이 있는 등 대처가 돼있는 파티를 만나면 답이 없고, 자기 엔트리에 마스카나나 드래펄트 같은 스카프형, 기합의띠 형태로 쓰이는 포켓몬이 있으면 스카프나 기합의띠가 아이템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심리전에서 지고 들어갈 수 있다는 리스크가 있다.

숨겨진 특성이자 전용 특성인 협연은, 등장했을 때 아군의 능력 변화를 복사하는 것이다. 이 특성을 이용해 더블배틀에서 어써러셔싸리용과 특성인 사령탑으로 합체해 모든 능력치 2랭크업을 한 상태에서 꼬이밍고가 튀어나와 그것을 복사한 후 상대를 스윕하는 싸리용-어써려셔-꼬이밍고 파티가 현재 주목받고 있다.[6] 처음에는 애매한 종족값 때문에 무시당할 뻔했지만, 전술의 강력함이 알려지자 오히려 능력 변화를 초기화하는 흑안개가 주목받는 상황이다. 사령탑 파티 이외에도 카디나르마파라블레이즈의 깨어진갑옷이나 변덕쟁이 특성을 활용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특히나 남청의 원반에서 루브도가 복귀하고 선발을 루브도-알로라 질뻐기로 내보내서 루브도가 일부러 먼저 쓰러지기 위해 날따름를 쓰고, 질뻐기는 작아지기로 회피 랭크 올린 후 루브도가 쓰러지면 화학의힘 특성으로 변덕쟁이를 특성으로 변화하고 계속 작아지기를 쓰면서 다른 한 포켓몬과 시간을 끌며 랭크를 누적시키고 최종적으로 꼬이밍고를 내보내서 랭크업을 복사하는 해악성 플레이가 유행하고 있는데,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성스러운칼이나 흑안개, 천진 특성, 압박류 기술, 필중하는 기술 외에는 대처하는 방법이 없어서 엄청난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고, 이에 대한 대처로 꼬이밍고가 다 쓰러지고 마지막에 등장해야 되기에 포켓몬 머릿수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용해서 루브도-질뻐기를 보고 의도적으로 TOD로 끌고가는 등 대전의 인기를 더더욱 나락으로 보내버리고 있다.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1.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2023)에서 청목의 사천왕으로써의 에이스 포켓몬이 게임판과 동일하게 꼬이밍고인 것으로 묘사된다.

49화에서는 엑스트라로 아주 잠깐 등장했다.

55화에서 청목의 포켓몬으로 직접 등장한다. 그러나 하필이면 나오자마자 대결상대인 산호얼음귀신에게 막무가내로 자폭을 지시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배틀 장면도 없이 그대로 전투불능 상태가 되어버렸다.

5.2. Pokémon GO

2023년 9월에 팔데아도감이 업데이트되면서 데이터가 같이 업로드가 됨이 확인되었다. 종족값은 공격 227, 방어 145, 체력 193에 최대 CP는 3,117. 배우는 기술은 노말 어택으로 날개치기 / 두번차기를, 차징 기술로는 인파이트 / 제비반환 / 브레이브버드를 습득한다.

6. 기타

6.1. 삽화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73 꼬이밍고 dex.png
꼬이밍고

6.2. 국가별 명칭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꼬이밍고 꼬이다 + 플라밍고
일본어 カラミンゴ 絡み(얽히다) + 플라밍고
영어 Flamigo Flamingo + Amigo(친구)

7. 둘러보기

파일:비행 타입.svg 비행 타입 포켓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리자몽|파일:icon0006_f00_s0.png
리자몽
]]
[[버터플|파일:icon0012_f00_s0.png
버터플
]]
[[피죤투|파일:icon0018_f00_s0.png
피죤투
]]
[[깨비드릴조|파일:icon0022_f00_s0.png
깨비드릴조
]]
[[크로뱃|파일:icon0042_f00_s0.png
골뱃
]]
[[파오리|파일:icon0083_f00_s0.png
파오리
]]
[[두트리오|파일:icon0085_f00_s0.png
두트리오
]]
[[스라크|파일:icon0123_f00_s0.png
스라크
]][A]
[[쁘사이저|파일:icon0127_f01_s0.png
메가쁘사이저
]]
[[갸라도스|파일:icon0130_f00_s0.png
갸라도스
]]
[[프테라|파일:icon0142_f00_s0.png
프테라
]]
[[프리져|파일:icon0144_f00_s0.png파일:icon0144_f01_s0.png
프리져
]]
[[썬더(포켓몬스터)|파일:icon0145_f00_s0.png파일:icon0145_f01_s0.png
썬더
]]
[[파이어(포켓몬스터)|파일:icon0146_f00_s0.png파일:icon0146_f01_s0.png
파이어
]]
[[망나뇽|파일:icon0149_f00_s0.png
망나뇽
]]
[A]: 진화하면서 비행 타입이 없어짐
2세대
[[야부엉|파일:icon0164_f00_s0.png
야부엉
]]
[[레디안|파일:icon0166_f00_s0.png
레디안
]]
[[크로뱃|파일:icon0169_f00_s0.png
크로뱃
]]
[[토게키스|파일:icon0176_f00_s0.png
토게틱
]]
[[네이티오|파일:icon0178_f00_s0.png
네이티오
]]
[[솜솜코|파일:icon0189_f00_s0.png
솜솜코
]]
[[메가자리|파일:icon0193_f00_s0.png
왕자리
]]
[[니로우|파일:icon0198_f00_s0.png
니로우
]]
[[딜리버드|파일:icon0225_f00_s0.png
딜리버드
]]
[[만타인|파일:icon0226_f00_s0.png
만타인
]]
[[무장조|파일:icon0227_f00_s0.png
무장조
]]
[[루기아|파일:icon0249_f00_s0.png
루기아
]]
[[칠색조|파일:icon0250_f00_s0.png
칠색조
]]
3세대
[[뷰티플라이|파일:icon0267_f00_s0.png
뷰티플라이
]]
[[스왈로|파일:icon0277_f00_s0.png
스왈로
]]
[[패리퍼|파일:icon0279_f00_s0.png
패리퍼
]]
[[비나방|파일:icon0284_f00_s0.png
비나방
]]
[[아이스크|파일:icon0291_f00_s0.png
아이스크
]]
[[파비코리|파일:icon0334_f00_s0.png
파비코리
]]
[[트로피우스|파일:icon0357_f00_s0.png
트로피우스
]]
[[보만다|파일:icon0373_f00_s0.png
보만다
]]
[[레쿠쟈|파일:icon0384_f00_s0.png
레쿠쟈
]]
4세대
[[찌르호크|파일:icon0398_f00_s0.png
찌르호크
]]
[[나메일|파일:icon0414_f00_s0.png
나메일
]]
[[비퀸|파일:icon0416_f00_s0.png
비퀸
]]
[[둥실라이드|파일:icon0426_f00_s0.png
둥실라이드
]]
[[돈크로우|파일:icon0430_f00_s0.png
돈크로우
]]
[[페라페|파일:icon0441_f00_s0.png
페라페
]]
[[토게키스|파일:icon0468_f00_s0.png
토게키스
]]
[[메가자리|파일:icon0469_f00_s0.png
메가자리
]]
[[글라이온|파일:icon0472_f00_s0.png
글라이온
]]
[[로토무|파일:icon0479_f04_s0.png
로토무
]]
[[쉐이미|파일:icon0492_f01_s0.png
쉐이미
]]
[[아르세우스|파일:icon0493_f02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켄호로우|파일:icon0521_f00_s0.png
켄호로우
]]
[[맘박쥐|파일:icon0528_f00_s0.png
맘박쥐
]]
[[심보러|파일:icon0561_f00_s0.png
심보러
]]
[[아케오스|파일:icon0567_f00_s0.png
아케오스
]]
[[스완나|파일:icon0581_f00_s0.png
스완나
]]
[[에몽가|파일:icon0587_f00_s0.png
에몽가
]]
[[워글|파일:icon0628_f00_s0.png파일:icon0628_f01_s0.png
워글
]]
[[버랜지나|파일:icon0630_f00_s0.png
버랜지나
]]
[[토네로스|파일:icon0641_f00_s0.png
토네로스
]]
[[볼트로스|파일:icon0642_f00_s0.png
볼트로스
]]
[[랜드로스|파일:icon0645_f00_s0.png
랜드로스
]]
6세대
[[파이어로|파일:icon0663_f00_s0.png
파이어로
]]
[[비비용|파일:icon0666_f06_s0.png
비비용
]]
[[루차불|파일:icon0701_f00_s0.png
루차불
]]
[[음번|파일:icon0715_f00_s0.png
음번
]]
[[이벨타르|파일:icon0717_f00_s0.png
이벨타르
]]
7세대
[[모크나이퍼|파일:icon0723_f00_s0.png
빼미스로우
]][A]
[[왕큰부리|파일:icon0733_f00_s0.png
왕큰부리
]]
[[춤추새|파일:icon0741_f00_s0.png
춤추새
]]
[[실버디|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
[[메테노|파일:icon0774_f00_s0.png
메테노
]]
[[철화구야|파일:icon0797_f00_s0.png
철화구야
]]
[A]: 진화하면서 비행 타입이 없어짐
8세대
[[아머까오|파일:icon0823_f00_s0.png
아머까오
]]
[[윽우지|파일:icon0845_f00_s0.png
윽우지
]]
[[러브로스|파일:icon0905_f00_s0.png
러브로스
]]
9세대
[[시비꼬|파일:icon0931_f00_s0.png
시비꼬
]]
[[찌리비크|파일:icon0941_f00_s0.png
찌리비크
]]
[[떨구새|파일:icon0962_f00_s0.png
떨구새
]]
[[꼬이밍고|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
[[무쇠머리|파일:icon0993_f00_s0.png
무쇠머리
]]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진화하며 타입이 없어지는 경우는 제외)
}}}}}}}}}

파일:격투 타입.svg 격투 타입 포켓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세대
[[성원숭|파일:icon0057_f00_s0.png
성원숭
]]
[[강챙이|파일:icon0062_f00_s0.png
강챙이
]]
[[괴력몬|파일:icon0068_f00_s0.png
괴력몬
]]
[[시라소몬|파일:icon0106_f00_s0.png
시라소몬
]]
[[홍수몬|파일:icon0107_f00_s0.png
홍수몬
]]
[[켄타로스|파일:icon0128_f01_s0.png
켄타로스
]]
[[썬더(포켓몬스터)|파일:icon0145_f01_s0.png
썬더
]]
[[뮤츠|파일:icon0150_f01_s0.png
메가뮤츠X
]]
2세대
[[헤라크로스|파일:icon0214_f00_s0.png
헤라크로스
]]
[[카포에라(포켓몬스터)|파일:icon0237_f00_s0.png
카포에라
]]
3세대
[[번치코|파일:icon0257_f00_s0.png
번치코
]]
[[버섯모|파일:icon0286_f00_s0.png
버섯모
]]
[[하리뭉|파일:icon0297_f00_s0.png
하리뭉
]]
[[요가램|파일:icon0308_f00_s0.png
요가램
]]
4세대
[[초염몽|파일:icon0392_f00_s0.png
초염몽
]]
[[이어롭|파일:icon0428_f01_s0.png
메가이어롭
]]
[[루카리오|파일:icon0448_f00_s0.png
루카리오
]]
[[독개굴|파일:icon0454_f00_s0.png
독개굴
]]
[[엘레이드|파일:icon0475_f00_s0.png
엘레이드
]]
[[아르세우스|파일:icon0493_f01_s0.png
아르세우스
]]
5세대
[[염무왕|파일:icon0500_f00_s0.png
염무왕
]]
[[노보청|파일:icon0534_f00_s0.png
노보청
]]
[[던지미|파일:icon0538_f00_s0.png
던지미
]]
[[타격귀|파일:icon0539_f00_s0.png
타격귀
]]
[[드레디어|파일:icon0549_f01_s0.png
드레디어
]]
[[곤율거니|파일:icon0560_f00_s0.png
곤율거니
]]
[[비조도|파일:icon0620_f00_s0.png
비조도
]]
[[코바르온|파일:icon0638_f00_s0.png
코바르온
]]
[[테라키온|파일:icon0639_f00_s0.png
테라키온
]]
[[비리디온|파일:icon0640_f00_s0.png
비리디온
]]
[[케르디오|파일:icon0647_f00_s0.png
케르디오
]]
[[메로엣타|파일:icon0648_f01_s0.png
메로엣타
]]
6세대
[[브리가론|파일:icon0652_f00_s0.png
브리가론
]]
[[부란다|파일:icon0675_f00_s0.png
부란다
]]
[[루차불|파일:icon0701_f00_s0.png
루차불
]]
7세대
[[모크나이퍼|파일:icon0724_f01_s0.png
모크나이퍼
]]
[[모단단게|파일:icon0740_f00_s0.png
모단단게
]]
[[이븐곰|파일:icon0760_f00_s0.png
이븐곰
]]
[[내던숭이|파일:icon0766_f00_s0.png
내던숭이
]]
[[실버디|파일:icon0773_f00_s0.png
실버디
]]
[[짜랑고우거|파일:icon0784_f00_s0.png
짜랑고우거
]]
[[매시붕|파일:icon0794_f00_s0.png
매시붕
]]
[[페로코체|파일:icon0795_f00_s0.png
페로코체
]]
[[마샤도|파일:icon0802_f00_s0.png
마샤도
]]
8세대
[[케오퍼스|파일:icon0853_f00_s0.png
케오퍼스
]]
[[창파나이트|파일:icon0865_f00_s0.png
창파나이트
]]
[[대여르|파일:icon0870_f00_s0.png
대여르
]]
[[자마젠타|파일:icon0889_f00_s0.png
자마젠타
]]
[[우라오스|파일:icon0892_f00_s0.png
우라오스
]]
[[포푸니크|파일:icon0903_f00_s0.png
포푸니크
]]
9세대
[[웨이니발|파일:icon0914_f00_s0.png
웨이니발
]]
[[빠르모트|파일:icon0923_f00_s0.png
빠르모트
]]
[[꼬이밍고|파일:icon0973_f00_s0.png
꼬이밍고
]]
[[저승갓숭|파일:icon0979_f00_s0.png
저승갓숭
]]
[[위대한엄니|파일:icon0984_f00_s0.png
위대한엄니
]]
[[땅을기는날개|파일:icon0988_f00_s0.png
땅을기는날개
]]
[[무쇠손|파일:icon0992_f00_s0.png
무쇠손
]]
[[무쇠무인|파일:icon1006_f00_s0.png
무쇠무인
]]
[[코라이돈|파일:icon1007_f00_s0.png
코라이돈
]]
[[조타구|파일:icon1014_f00_s0.png
조타구
]]
세대별 최종 진화형 기준 서술
(진화하며 타입이 없어지는 경우는 제외)
}}}}}}}}}



[1] 목의 매듭을 글러브의 손목으로 보고 접은 날개를 엄지손가락으로 보면 얼추 들어맞는다.[2] 도감 설명대로 가슴팍 주위를 살펴보면 목이 매듭처럼 1번 묶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3] 레벨 54가 돼서야 브레이브버드를 배우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날개치기나 애크러뱃으로 버텨야 한다.[4] 공격 120, 스피드 85.[5] 특히 강철타입을 겸한 타부자고에겐 배짱을 적용하면 격투타입 기술을 2배로 넣을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6] 보통 버티기를 쓴 싸리용이 파트너의 목숨걸기나 교체기를 맞으면서 맹독구슬을 발동시키고, 사령탑 발동 후 싸리용이 기절하면 그 자리에 꼬이밍고를 내서 스윕하는 방식이다.[7] 그나마 전술했듯이 성능이 좋아서 트래피더 보다는 상황이 나은 편.[8] 최종 채택된 꼬이밍고보다 훨씬 복잡한 디자인이었으며, 특히 하이힐 모양의 발로 킥을 날린다는 설정이었던 듯하다. 실제 하이힐이 흉기로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착안한 디자인이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