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0:49:36

비바라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환경 변화
기상변화
모래바람비바라기싸라기눈쾌청
설경
공간변화
매직룸원더룸중력트릭룸
필드변화
그래스필드미스트필드사이코필드

[include(틀:포켓몬 기술, 물=, 변화=,
파일=7세대 비바라기 1-1.png,
한칭=비바라기, 일칭=あまごい, 영칭=Rain Dance,
위력=-, 명중=-, PP=5,
효과=5턴 동안 비를 내리게 해서 물타입 기술의 위력을 올린다.,
성능=환경 변화)]

1. 개요2. 효과3. 비파티
3.1. 역사
3.1.1. ~4세대3.1.2. 5세대3.1.3. 6~7세대3.1.4. 8세대3.1.5. 9세대
3.2. 주요 멤버
3.2.1. 비뿌리개3.2.2. 비 에이스3.2.3. 보완역
4. 폭우5. 기타

1. 개요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포켓몬스터기술로, 환경 변화기다. 2~7세대 기술머신 18번, 8세대 기술머신 33번, 9세대 기술머신 050번이다.[1]. 성능 등에서 감이 오겠지만, 기우제의 고유어 번역어다.

모래바람, 쾌청과 마찬가지로 3세대부터는 특성인 잔비로 발동할 수 있었다.[2] 문제는 모래바람과 달리 이 쪽은 4세대까지는 초전설 포켓몬인 가이오가가 잔비 특성을 독점하고 있어서 골치가 아팠다. 다행히도 5세대에서 왕구리가 숨겨진 특성으로, 7세대에서 패리퍼가 일반 특성으로 가지게 되었다.

참고로 4대 날씨계 특성 중 유일하게 메가진화 포켓몬이 없다.[3] 물론 원시회귀까지 포함하면 원시가이오가의 폭우가 있긴 하나, 밑에 따로 문단이 적혀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비 상태와 조금 다르다.

==# 스토리 내에서 #==
본가 게임의 스토리를 진행하는 중 일부 지역에서는 해당 날씨가 패시브로 깔려있는 경우도 종종 나온다. 이는 모래바람, 싸라기눈/설경, 쾌청도 해당되는 사항.
게임 지방 지역 발생 시간 및 비고
HGSS 성도지방 33번도로
분노의 호수
원작인 GSC에서는 양쪽 다 비가 없었다.
수요일에는 분노의 호수에 비가 내리지 않는다.
RSE
ORAS
호연지방 120번도로
119번도로, 123번도로
120번도로는 상시
119번도로는 가끔. 119번도로에 번개가 치면 123번도로도 비가 온다.
DPPt
BDSP
신오지방 212번도로
213번도로
215번도로
남쪽 부분(들판시티 쪽)은 상시, 특정 날짜에 따라 강우[강우]나 뇌우[5]가 친다.
특정 날짜 한정[6]
상시
BW
B2W2
하나지방 물풍경시티, 냉동컨테이너[7], 하나 6번도로 특정 날짜 한정[8]
BW
B2W2
하나지방 궐수시티, 하나 7번도로, 태엽산 특정 날짜 한정[9]
BW
B2W2
하나지방 설화시티, 용나선탑 특정 날짜 한정[10]
BW
B2W2
하나지방 하나 8번도로 특정 날짜 한정[11]
BW
B2W2
하나지방 하나 12번도로 가끔[12]
B2W2 하나지방 모란만시티+모란만콤비나트 특정 날짜 한정[13], 서로 날씨를 공유
B2W2 하나지방 산가지마을, 하나 20번도로, 산가지목장 특정 날짜 한정[14]
XY 칼로스지방 칼로스 8번도로, 가라마을, 삼채시티, 칼로스 10번도로, 옥유마을 가끔[15]
XY 칼로스지방 칼로스 14번도로, 후늬시티, 볼 공장 월요일 자정~13시
XY 칼로스지방 기남시티 수요일
XY 칼로스지방 칼로스 9번도로, 칼로스 15번도로, 칼로스 16번도로, 칼로스 18번도로, 배롱마을, 칼로스 19번도로, 칼로스 21번도로, 사라시티 가끔
SM
USUM
알로라지방 셰이드정글, 잔잔한물가언덕, 말리에시티, 말리에정원, 알로라 10번도로, 알로라 11번도로, 알로라 12번도로, 알로라 13번도로, 화끈산, 울라울라비치 17시~18시
SM
USUM
알로라지방 카푸마을, 알로라 14번도로 가끔
SM
USUM
알로라지방 알로라 17번도로
포마을
상시
포 마을은 뇌우.
SM
USUM
알로라지방 나시·아일랜드 일반 비[16], 강우[강우][18]
SWSH 가라르지방 와일드에리어, 갑옷섬 일반 비, 뇌우[19] 모두 해당.
와일드에리어 한정으로 10/1에는 비가, 11/1에는 뇌우가 전역에 발생.
갑옷섬 한정으로 4/15, 6/15, 12/25일에는 비가, 6/15, 8/15에는 뇌우가 전역에 발생.
SV 팔데아지방
북신의 고장
일부 지역 뺀 전역 간헐적
===# 이벤트성 #===
특정 스토리 진행 중에만 발생하는 현상. 이후에는 위의 테이블을 따라간다.
게임 지방 지역 비고
S, AS
E
호연지방 해안시티, 이끼시티, 루네시티, 그랜드시티, 124번수로, 125번수로, 126번수로, 127번수로, 128번수로
하늘 기둥[에메랄드][알파사파이어], 129번수로[에메랄드][알파사파이어], 130번수로[에메랄드][알파사파이어], 131번수로[에메랄드][알파사파이어], 비밀의 작은 섬, 비밀의 꽃밭, 비밀의 바위해변[알파사파이어]
초고대 포켓몬의 부활 이벤트 진행중 한정.
알파사파이어 버전 한정으로 폭우, 에메랄드 버전 한정으로 쾌청과 번갈아가며 날씨가 바뀐다.
E 호연지방 105번수로, 125번수로, 127번수로, 129번수로 바다 동굴[29]이 출현할 때 한정
BW 하나지방 하나 1번도로, 하나 17번수로 외 모든 지역 블랙 버전 한정으로 토네로스가 있는 곳에는 강우[강우]가, 화이트 버전 한정으로 볼트로스가 있는 곳에는 뇌우가 내린다.
SM
USUM
알로라지방 잔잔한물가언덕 수련의 시련 진행 중 한정. 썬문은 첫 번째 약어리를 물리친 시점부터, 울썬울문은 두 번째 약어리를 물리친 시점부터 시련 종료시까지.

2. 효과

3. 비파티

날씨 '비'를 사용하는 것을 메인 컨셉으로 잡는 파티. 트릭룸이나 모래파티 같은 파티들과 함께 대두되는 대표적인 전개 파티이다.

비바라기와 관련된 대부분의 특성을 주로 물 타입 포켓몬이 가지기 때문에, 파티 컨셉이 일관화되어 날씨를 이용하는 파티 가운데 가장 성능이 뛰어나다. 기본적으로 비파티는 필드에 등장하면 비가 내리는 특성인 잔비 특성의 날씨깔이(왕구리, 패리퍼, 가이오가)를 필두로 쓱쓱 특성의 에이스(킹드라, 대쓰여너, 메가대짱이 등)로 구성되며, 나머지 자리에는 비파티의 주축 포켓몬들의 약점을 보완하는 포켓몬(썬더, 너트령, 브리두라스 등)으로 구성된다.

주축이 되는 물 타입이 공격 일관성이 좋은 편이고, 불꽃, 강철에게 강하고, 약점이 2개로 적은 등 상당히 강한 타입이라는 점도 플러스 요소.

또한 번개가 반드시 명중한다는 점, 물 타입이 어려워하는 상대 물 타입을 잡아가는 점에서 전기 타입도 비팟에서 좋은 편이다.

3.1. 역사

3.1.1. ~4세대

이 당시에는 잔비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 초전설 포켓몬인 가이오가밖에 없었기 때문에, 플랫 룰에서 비파티를 굴리려면 기술 비바라기를 사용하는 수밖에 없었다.

스피드가 빠르고 비바라기를 배우는 붐볼, 크로뱃 등에게 축축한바위를 주어 8턴간 비를 뿌리고, 8턴이라는 한정된 시간동안 화력을 최대한 쏟아부어 속전속결을 짓는 화력 형식의 파티였다. 이런 형태의 구성은 선발대가 겉돌기 쉬운데다 비가 끝나면 다시 비바라기를 써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비팟은 자연스레 그렇게까지 강력한 파티가 될 수 없었다.

3.1.2. 5세대

드림월드 왕구리잔비 특성을 얻은 5세대에 들어오면서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심지어 5세대에서는 잔비로 인한 비는 5턴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다른 수단으로 날씨를 바꾸지 않는 한 비가 무한하게 내렸다. 왕구리 자신도 물 타입이라 비로 인한 버프를 받을 수 있어서 왕구리가 포켓몬 슬롯 낭비로 작용하는 경우도 드물다.

주된 조합으로는 왕구리+킹드라, 왕구리+로파파 등이 있으며, 쓱쓱 포켓몬이 물타입이기에 속도와 자속 보정을 동시에 챙길 수 있어 잘만 구성하면 터무니없을 정도로 강력했다. 비파티랑 만나면 너무 무력하게 패배해서 재미없고, 오히려 비파티를 사용하면 너무 쉽게 이겨서 재미없다는 평가를 들을 정도였다.

3.1.3. 6~7세대

5세대에서 너무 날뛴 영향으로 잔비 특성으로 인한 비의 지속 시간이 5턴으로 너프되어, 이전과 같은 막강한 전투력은 사라졌다. 파이어로를 시작으로 선공기가 범람하여 쓱쓱 특성으로 인한 압도적인 선공권이 흔들리고, 메가진화의 추가로 포켓몬들의 전체적인 체급이 올라가며 능력치가 애매한 편인 쓱쓱 에이스들의 상대적인 전투력이 약화되는 등 간접적인 너프도 꽤 많이 받았다.

6세대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에서는 메가대짱이라는 새로운 쓱쓱 에이스가 등장했고, 7세대 썬문버전부터 패리퍼가 잔비 특성을 추가 받으면서 기존 왕구리+킹드라, 왕구리+로파파 등의 고착화된 조합에서 벗어나 다채롭게 비파티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둘은 왕구리와 킹드라 그리고 로파파를 제치고 금세 비파티의 주축으로 떠올랐다.

3.1.4. 8세대

다이맥스 기술들의 부가효과 때문에 날씨가 자주 바뀌면서 비단 비파티뿐만이 아닌 날씨 파티들의 하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날씨가 자주 바뀌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라, 다이맥스를 할 경우 포켓몬의 내구가 순간적으로 강화되어 다이맥스 없이는 비 아래서 한번에 쓰러질 포켓몬들이 쓰러지지 않는 등, 잔비 상태 아래에서의 화력으로 상대를 찍어누르던 비파티의 결정력이 아쉽게 느껴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이어지다 보니 차라리 날씨를 에이스들도 직접 깔 수 있음을 이용해, 날씨 깔이들을 빼고 두빅굴 등 쓱쓱 에이스 포켓몬들이 다이스트림을 사용해 직접 비를 까는 전개 또한 많아졌다.

초전설 포켓몬들이 사용 가능한 룰이 도입되고서는 당시 해수스파우팅을 기반으로 강력한 화력을 보여주던 가이오가의 보완역으로써 조금씩 모습을 보였다.

3.1.5. 9세대

날씨 깔이(왕구리, 가이오가)와 대부분의 쓱쓱 에이스들이 입국을 못한 관계로 소드실드에서 자주 사용되던 조합인 패리퍼+갈가부기와, 소드실드에서 등장하지 못했으나 이번 작에서 입국하게 된 플로젤과 조합해 패리퍼+플로젤 조합이 사용되었다. 게다가 플로젤은 물타입 고위력 물리기인 웨이브태클을 새로 추가받아서, 화력적인 측면에서 갈가부기를 상회해 더욱 자주 사용되었다. 그리고 레귤레이션 D에서 대쓰여너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메가대짱이를 이은 성능이 우수한 비파티 에이스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3.2. 주요 멤버

9세대(스칼렛, 바이올렛)에서 사용가능한 포켓몬들은 이름을 굵게 표시함.

3.2.1. 비뿌리개

잔비 특성을 사용하여 비를 깔아주는 엔진 역할의 포켓몬. 비파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다.

* 왕구리: 수비적 비뿌리개. 내구가 90-75-100이고 단일 물 타입이라 약점이 적어, 웬만해서 한 턴에 쓰러지는 일은 잘 없다. 그리고 멸망의노래, 앙코르 등 여러 가지 변화기를 배우므로 에이스가 활약할 수 있도록 판을 까는 역할을 잘 수행한다. 화력도 나쁜 수준은 아니라서, 물주얼/물Z를 사용해 뜬금킬을 내고 활약하는 샘플도 있다.
그러나 매우 수동적인 포켓몬이라는 점이 아쉽다. 패리퍼는 유턴으로 수월하게 퇴장하여 에이스가 필드에 등장할 수 있으나, 왕구리는 교체기술을 배우지 못하므로 도구가 탈출버튼[33]으로 강제된다(싱글 기준). 또한 9세대 배틀 환경은 왕구리의 다채로운 변화기를 억제하는 도발이나 앙코르의 채용률이 높으므로, 왕구리가 변화기를 통해 판을 까는 플레이들이 상당히 힘들어졌다.

3.2.2. 비 에이스

비가 내리는 동안 증가하는 체급으로 공격을 실행할 메인 에이스 포켓몬. 주로 '쓱쓱' 특성을 가진 포켓몬을 사용한다.

3.2.3. 보완역

비파티가 상대하기 어려운 포켓몬을 잡아주거나, 비 밑에서 소량의 버프를 받을 수 있는 포켓몬들을 사용한다. 비파티가 상대하기 힘든 물, 풀, 전기, 드래곤 타입을 상대로 강한 포켓몬이 많다.

4. 폭우

강한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가이오가원시회귀를 할 경우 발동되는 특성, 시작의바다에 의해 발생하는 특수 날씨. 기본적으로 비 상태와 같지만, 아래의 변경점이 존재한다.

5. 기타

파일:attachment/c_3.jpg

교수님씨뿌리기 기술과 합쳐져서 "학생의 비바라기"라는 위와 같은 짤방이 유명하다. 교수가 C학점을 뿌리자, 이에 대항해 학생이 비바라기(B바라기: B로 올려주세요)로 대항하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눈앞이 캄캄해진다는 짤방.[39] 대학교에서 학점 나오는 시즌이 되면 심심찮게 인용되는 짤방이다. 사실 과거엔 정말 징징거리면 A 또는 B학점으로 올려주기도 했지만, 요즘엔 국내 대부분 대학이 상대평가를 시행하므로[40], 아무리 울고불고 사정해도 불가능하다. 자신의 성적이 오르면 다른 누군가의 성적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김영란법의 시행 이후로는 학점을 올려달라는 부탁도 불법이 되어 불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해당 과목의 수강인원이 적어 절대평가로 성적을 매긴다면 학점 부여 방식은 온전히 교수 재량이므로 학점을 후하게 주는 교수라면 A나 B로 올라갈 수도 있기는 하다.

애니에서는 날씨 변화 기술 중 모래바람과 더불어 자주 나오는 편이다. XY&Z의 티에르노의 소유 포켓몬 일부, 포켓몬스터W의 야생 로파파금랑미끄래곤, 랜드누오 등이 사용했다.


[1] 9세대부터는 기술머신 수가 100번을 넘기면서 01~99번이 001~099의 세자리수로 통일되었다.[2] 비슷한 위치였던 싸라기눈/설경은 4세대에 눈설왕의 눈퍼뜨리기가 나오고 나서야 특성으로 발동할 수 있게 됐다.[3] 메가리자몽Y - 쾌청, 메가마기라스 - 모래바람, 메가눈설왕 - 싸라기눈[강우] 알파사파이어의 폭우와 달리 배틀 중에는 그냥 비와 동일한 효과고, 배틀 외적인 게임플레이의 배경에만 영향을 준다.[5] DP와 Pt까지는 위의 강우처럼 그냥 배경에만 영향을 줬지만, BDSP에서는 실제로 일렉트릭필드도 깔린다.[6] 1/24, 3/13, 5/11, 7/11, 8/9, 8/20, 10/18, 11/10, 12/2, 12/31[7] B2W2에서는 PWT로 교체되었으며, 이 쪽은 일반적인 날씨만 나온다.[8] 봄과 가을 4-5, 12-13, 20-21, 28-29일차[9] 봄과 가을 3-6, 11-14, 19-22, 27-30일차, 여름 9-10, 20-21차[10] 봄과 가을 3-7, 11-15, 19-23, 27-31일차, 여름 8-11, 19-22일차[11] 봄과 가을 3-7, 11-15, 19-23, 27-31일차, 여름 1-2, 6-13, 18-24일차. 이와 별개로 6월 17일, 29~30일, 10월 17일, 28~31일은 반드시 비가 온다.[12] 겨울 1-3, 10-13, 20-23, 28-30일차. 이와 별개로 4월 4, 14, 24일, 8월 9, 31일, 12월 4, 9, 19, 31일은 비가 온다.[13] 봄과 가을 4-5, 12-13, 20-21, 28-29일차. 이와 별개로 2월 10일과 20일에는 반드시 비가 온다.[14] 봄 3, 5, 11, 13, 20, 27, 29일차, 여름 9-10, 20-21일차[15] 플레어단의 최종병기 이벤트 진행 중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16] 10시~15시 59분[강우] [18] 18시~23시 59분[19] BDSP에도 나중에 적용된 것처럼, 이 날씨에는 일렉트릭필드가 깔린다.[에메랄드] 에메랄드 버전에서는 하늘 기둥으로 갈 수 있게 된 뒤부터[알파사파이어] 알파사파이어에서는 적용되는 장소들이 더 늘어났다.[에메랄드] [알파사파이어] [에메랄드] [알파사파이어] [에메랄드] [알파사파이어] [알파사파이어] [29] 가이오가의 포획 장소. 게임이 미정발이라 비공식 번역명.[강우] [31] 5세대까지는 날씨를 바꾸지 않으면 영구지속.[32] 명중률/회피율을 무시하고, 제비반환이나 섀도펀치처럼 필중기로 바뀐다.[33] 상대의 공격 기술로 인해 데미지를 받으면 아군 포켓몬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도구.[34] 썬더, 토게키스 등[35] 하이드로펌프, 리프스톰 등 고위력기들은 하나같이 명중률이 부실하다.[36] 특성이 아니라 날씨에 의한 영향이기 때문에 틀깨기류 특성으로 무시할 수 없다. 불꽃 타입은 물 타입과는 달리 자신에게만 적용하는 변화기도 없으므로, 사실상 모든 기술이 완봉된다.[37] 단, 날씨를 무시하는 날씨부정이나 에어록 특성은 얄짤없이 적용된다. 따라서 골덕이나 파비코리, 일반 레쿠쟈가 나와있으면 -굳이 해볼 사람은 없겠지만- 불꽃타입 기술로 원시가이오가를 공격할 수 있다. 참고로 발동시키지 못할 때 나오는 텍스트는 강한 비의 기세는 멈추지 않는다![38] 이 효과는 특성 '날씨부정', '에어록'으로 날씨의 효과가 무시되는 상황에서도 지속된다.[39] 공교롭게도 씨뿌리기는 풀타입, 비바라기는 물타입이다.[40] A, B학점의 비율은 대학마다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