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0:27:31

언체인드(유희왕)

파계(유희왕)에서 넘어옴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언체인드
<nopad> 파일:Abominations Prison.png
쌍왕의 계
<colbgcolor=#5D4C4A> 한국어판 명칭 언체인드
일어판 명칭 [ruby(破械, ruby=はかい)]
영어판 명칭 Unchained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1] 악마족 효과, 링크

1. 개요2. 설명
2.1. 설정2.2. 성능
2.2.1. 장점2.2.2. 단점
2.3. 유희왕 듀얼링크스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3
3.1.1. 언체인드트윈스 아루하3.1.2. 언체인드트윈스 라키아3.1.3. 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3.2. 레벨 6
3.2.1. 언체인드소울 샤바라3.2.2. 언체인드소울 슈야마
3.3. 레벨 8
3.3.1. 언체인드소울의 화혼령3.3.2. 쌍극의 언체인드소울
4. 링크 몬스터
4.1. 링크 2
4.1.1. 언체인드소울 라기아4.1.2. 언체인드소울킹 야마
4.2. 링크 3
4.2.1. 언체인드소울 아루바
4.3. 링크 4
4.3.1.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5. 마법 카드
5.1. 지속 마법
5.1.1. 언체인드소울의 통곡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언체인드 창도6.1.2. 언체인드 쌍극
7. 서포트 카드
7.1. 일반 마법
7.1.1. 쌍왕의 계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

부스터 팩 카오스 임팩트에서 데뷔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원래 이름 파계는 일본어로 파괴와 발음이 같으며, 때문에 효과 대부분이 카드를 '파괴'하는 것이다. 카드 모티브 중에 인도 신화와 관련된 것도 있기 때문에 불교 용어 파계도 의도했을 가능성이 크다.[2]

영어판에선 파계/파계신/쌍왕을 각각 "Unchained"/Unchained Soul/Abomination으로 옮겼다. 국내 정발시엔 파계만룡-버스터 드래곤파계승 란신과 겹치는 파계 부분 한자가 달라서, 한글판 명칭은 영어판 명칭을 그대로 옮긴 '언체인드', '언체인드소울'이 됐다. 비슷한 사례로는 무사신이 된 무신과 명세계가 된 명계가 있는데, 저 둘은 잘만 번역해놓고 대놓고 동양풍인 파계는 왜 파기계[3]가 아니라 언체인드로 번역한 것인지는 불명. 혹은 파괴수의 전례에 따라 "파괴계"로 번역할 수도 있었다. 어쨌든 어감이나 단어의 조화가 안 좋아 혹평을 받는다. 그래서 원래 이름인 "파계" 로 부르는 경우도 많았다.

국내 커뮤니티나 정보 사이트에선 언체인드와 파계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잦아 이러한 사정을 모르는 유저들이 카드 이름을 혼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현재에는 대부분 언체인드로 부르는 편이다. 마스터 듀얼 유입 유저는 언체인드가 익숙한 것도 있고, TCG에서 언체인드 입상이 폭발적으로 늘은 탓에 관심도도 높아져 언체인드라는 이름을 더 많이 쓰고 있다.

2024년에는 실물 카드(데먼스미스 언체인드 유벨), 마스터 듀얼(언체인드 유벨) 부문 모두에서 세계대회 우승을 차지하며 파츠 꼽사리긴 해도 우승 덱리에 들었고, 듀얼링크스에서도 듀얼리스트 유벨/덱 언체인드가 세계대회 우승을 하였다.

2.1. 설정

"모조리 파괴한다" 남겨진 의식은 단 하나.
과거, 온갖 신선의 술법을 익힌 한 사람의 술사가 있었다.
그러나 너무나 강대한 힘에 대한 사람들의 외경은 언젠가부터 두려움으로 변했고,
그 힘을 멀리하는 이들의 모략으로 인해 구속되어, 겹겹이 봉인이 씌워졌다.
긴 세월이 지나 이윽고 술사의 혼은 사악하게 물들고 현세에의 원한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조금씩 조금씩 자신의 봉인에서 빠져나온 힘을 모아, 2명의 복제를 만들어내기에 이른 술사는
과거 자신의 식신을 현현시켜 자신의 봉인을 풀기 위해 사역한다.

사악한 모습으로 변모한 과거의 식신
봉인기구를 파괴하던 동자들은 이윽고 힘을 되찾아 거대해진 식신을 불러냈다.
이 식신은 과거 술사가 사역했던 것으로, 지금의 술사의 혼에 호응하여 불길하게 변모해가고 있었다.
그 식신은 드디어 동자들을 집어먹고 1마리의 대형종으로 변모한다.
힘을 원한 식신은 주위를 파괴하며 술사가 봉인되어 있는 장소로 나아간다.
술사의 봉인이 풀리는 때에 세계는 파괴되고 어둠에 휩싸일 것이다.

2.2. 성능

파계가 일본어로 파괴와 발음이 같은 것에 맞게, 자신이 파괴됐을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들로 구성됐다. 거기에 언체인드소울(파계신)들은 상대 몬스터를 지정해 자신과 대상의 상대 몬스터로 링크 소환할 수 있다.[4] 공식 사이트에선 이를 침식 링크 소환이라 표현한다. 또한 마법 / 함정 카드엔 세트된 상태에서 효과로 파괴되면 덱에서 파계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보험 효과도 있다. 하지만 파괴 효과와 링크 소환 효과 전부 대상 지정 효과라, 대상 지정 내성에 취약하단 약점이 있다.

대신 언체인드소울의 링크 소환 효과는 어둠 속성만 지정하지, 딱히 악마족만 링크 소환 가능한 종족 제한은 없기 때문에, 다른 범용 어둠 속성 링크를 채용하는 건 어렵지 않다.

멋진 디자인, 파괴를 반복하는 강렬한 효과가 있지만, 패와 덱의 소모가 빠르다는 점, 제거 효과가 대상 지정에 치중되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한계가 명확하다. 다만 대상 비지정의 쌍극과 후속을 만들어주는 신규 언체인드의 등장으로 상기의 문제는 다소 해결됐다.

특수 소환 위주, 고타점을 활용한 전투 파괴와 에이스의 효과 파괴가 중심인 썬더 드래곤에게는 완벽한 천적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비대상, 비파괴로 몬스터를 제거하는 파괴수 계통에는 취약하다.

듀얼리스트 넥서스 지원을 받고도 OCG에선 큰 실적을 거두진 못했고 비티어 라인에서 노는 신세였지만 TCG에선 크샤트리라, 키메라 다음으로 높은 쉐어를 차지하는 1티어 반열까지 올라갔다. 심지어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발매로 인플레가 엄청나게 올라갔음에도 레스큐 에이스, 티아라멘츠 다음으로 퓨어리와 비슷한 수준의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23년 11월 기준으로는 레스큐 에이스 다음으로 입상 수가 많아 최상위 티어덱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OCG에 비해 특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이유는 증식의 G 금지, 졸겸 무제한, 주류 패트랩이 드롤과 니비루라는 점, 리틀나이트와 시너지 등 대놓고 언체인드가 날뛸 수 있는 환경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결국 24년 1월에 샤바라 제한이라는 금제를 받았고, 순식간에 입상 수가 추락해 티어권 턱걸이 신세가 되었다. 이후 결국 스네이크아이, 염왕 등에 밀려 비주류 티어덱까지 추락했다.

OCG환경에서도 금제로 인한 타 티어덱의 약화와 에스:피 리틀나이트와의 좋은 궁합으로 반사이익을 받아 티어권의 말석에 자리잡고 있다. 팬텀 나이트메어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언체인드와 마찬가지로 파괴를 통해 어드밴티지를 버는 유벨이 대거 지원을 받으면서 순수 언체인드보다도 언체인드와 유벨을 혼합한 덱이 보다 주목을 받고 있다. 순수 언체인드와 비교했을 때 유벨은 1) 대상 내성을 가진 몬스터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언체인드의 단점을 유벨의 전투데미지 반사와 강제전투 그리고 초융합으로 보완하고 2) 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로 몬스터 효과 퍼미션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환마 파츠를 섞어서 악마족 굿 스터프 형식으로 구축하기도 한다. [5]

이후 인피니트 포비든에서 악마족 용병인 데먼스미스가 등장하며 궁합이 주목받고 있는데, 데먼스미스는 일소, 속성/종족 제약 없이 6레벨 2체를 뽑아낼 수 있기에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를 뽑아 니비루를 케어하고 언체인드를 전개하여 추가적인 몬스터를 뽑아내는 구축이 연구되고 있다. 언체인드를 안 섞는게 더 강해보이는건 기분탓

2.2.1. 장점

2.2.2. 단점

2.3. 유희왕 듀얼링크스

7월 미니 팩 DESTROYER OF THE PHANTASM으로 첫 출시되었다. 출시 직후부터 강덱으로 평가받으며 티어권에 들어오는 데에 성공하였다. 최소 상대를 2번 방해하는 탁월한 견제 능력과 많은 공격권이 장점으로 주목받는 중. 파괴 이외의 돌파 및 견제 수단도 마련할 수 있으며, 상대의 패 트랩을 맞고 전개가 정지하더라도 어떻게든 버텨서 게임을 장기전으로 끌고 갈 수 있는 것도 훌륭하다.

자주 채용하는 스킬은 '악마족의 거래'. 언체인드의 단점 중 하나인 패에 잡히는 상급 문제를 해결하면서 범용 카드를 첫 패에 잡을 확률을 높여주기 때문에 좋다. LP를 늘려주는 링크 다크레이즈도 고려되지만 주류는 아닌 상태. 이빌트윈과 섞는 언체트윈 구축도 주목받았다. 단 범용 스페이스 문제로 현재는 순수 언체인드가 티어권에 올라 있다.

강한 덱이지만 섀도르 등 선공을 빼앗기면 상대하기 힘든 덱이 존재하고, 강한 밸류를 가진 카드가 아니면 채용하기 껄끄러워 패트랩 채용에도 애로사항이 생기는 단점, 상대 턴에 파괴 이외의 수단으로 상대를 견제할 방법이 라기아 정도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종합적으로는 너무 사기도, 너무 약하거나 애매하지도 않은 무난한 황밸 분기의 티어 덱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2024년 듀얼링크스 세계대회 우승자 덱슬롯을 한자리 차지하여 티어덱으로서의 명예를 지켰다.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3

3.1.1. 언체인드트윈스 아루하

파일:破械童子アルハ.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트윈스 아루하,
일어판명칭=<ruby>破械童子<rp>(</rp><rt>はかいどうじ</rt><rp>)</rp></ruby>アルハ,
영어판명칭=Unchained Twins - Aruha,
레벨=3, 속성=화염, 종족=악마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언체인드트윈스 아루하" 이외의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언체인드트윈스 아루하" 이외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라키아와 쌍을 이루는 화염 속성 언체인드 몬스터. 자신 필드의 아무 카드나 파괴하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와, 자신이 다른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면 덱에서 다른 언체인드를 리크루트하는 효과가 있다. ①의 효과 사용 이후 악마족 소환 제약이 있지만, 발동 후라 미리 다른 전개를 시작하고 언체인드 몬스터를 꺼내기 위해 쓰면 다른 전개를 방해할 일도 적다.

유언 효과를 가진 몬스터나 급할 경우 필요 없는 카드 1장을 올리고 효과로 파괴해 소환할 수도 있다.

자체 특수 소환+파괴될 경우 덱 리크루트 효과인 만큼 언체인드 덱의 주축 카드다. 실제로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를 제외하고 언체인드 전원이 파괴될 경우 유언 효과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08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08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08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52 | 2020 TIN OF LOST MEMORIES
2024-0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4-EN005 | OTS TOURNAMENT PACK 24

3.1.2. 언체인드트윈스 라키아

파일:破械童子ラキ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트윈스 라키아,
일어판명칭=<ruby>破械童子<rp>(</rp><rt>はかいどうじ</rt><rp>)</rp></ruby>ラキア,
영어판명칭=Unchained Twins - Rakea,
레벨=3, 속성=물, 종족=악마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언체인드트윈스 라키아" 이외의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언체인드트윈스 라키아" 이외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아루하와 쌍을 이루는 물 속성 언체인드 몬스터. 아루하와 달리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없는 대신, 프리 체인으로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는 ①의 효과가 있다. 이 효과로 보통 자신의 언체인드 카드를 파괴하면서 어드밴티지를 벌겠지만, 자신 필드이기만 하면 되기에 파괴됐을 때 어드밴티지를 벌어오는 다른 카드와도 궁합을 맞출 수 있다.

①의 효과가 프리 체인임을 이용해 상대의 견제 카드에 체인해 다른 언체인드 몬스터의 유언 효과를 상대 턴에도 적극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고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①의 효과와도 연계가 가능한 만큼 나쁘지 않은 효과다. 다만 파괴하는 게 자신 필드의 카드로 한정되고, 파괴만 할 뿐 다른 어드밴티지는 없고, 자기 효과로 파괴돼도 ②의 효과는 발동되지 않으니 연계 가능한 언체인드가 없으면 빛이 바라는 효과다.

아루하는 아무거나 파괴하고 일반 소환권을 안 잡아먹는 특수 소환이지만, 이 카드는 다른 카드와 연계가 안 되면 그저 1:0 교환이 된다. 거기다 소환 제약도 있어서 아티팩트 같은 카드와도 연계가 힘든 게 단점.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09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09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09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53 | 2020 TIN OF LOST MEMORIES

3.1.3. 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파일:破械童子サラ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일어판명칭=<ruby>破械童子<rp>(</rp><rt>はかいどうじ</rt><rp>)</rp></ruby>サラマ,
영어판명칭=Unchained Twins - Sarama,
레벨=3,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이외의 자신 묘지의 "언체인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이외의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언체인드트윈스 사라마" 이외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소생 후 파괴 효과. 몬스터뿐만 아니라 마함도 살려올 수 있어서 묘지의 언체인드 카드를 1장 살리고 그 카드를 파괴하면 간단히 덱에서 최상급 언체인드를 꺼낼 수 있다. 언체인드의 약점인 중후반 아드 부족을 조금이나마 메꿀 수 있다. 다른 언체인드트윈스에게 있는 악마족 소환 제약도 없다.

②의 효과는 언체인드트윈스 공통 효과. 다른 트윈스로 파괴하고 효과를 쓰면 된다.

몸 곳곳의 문양이나 생김새로 보아 아무래도 라이고우가 변한 모양.

일본 명칭인 "파계동자"를 영문판 / 국내판에서는 "언체인드트윈스"로 번역했는데, 이 카드가 추가되면서 트윈스(쌍둥이)라는 이름이 굉장히 어색해졌다.
수록 시리즈
2020-01-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TCO-JP029 | エターニティ・コード [ ETERNITY CODE ]
2020-03-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SE4 | IGNITION ASSAULT SPECIAL EDITION
2020-05-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TCO-EN029 | ETERNITY CODE
2020-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TCO-KR029 | 이터니티 코드

3.2. 레벨 6

3.2.1. 언체인드소울 샤바라

파일:破械神シャバ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 샤바라,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シャバラ,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of Sharvara,
레벨=6, 속성=화염,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이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언체인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준제한 카드)]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나 뒷면 표시의 카드를 깨고 나오는 특수 소환 효과. 전개로도 당연히 쓸만하고, 프리체인이라 견제 용도로도 쓸만하다. 패에서 능동적인 소환이 가능한 언체인드소울이라 언체인드 링크 몬스터들을 소환하는 데에도 한층 도움이 된다. 악마족 제약이 걸리지만, 이 카드를 어떻게든 필드에서 치우거나 뒷면 표시로 만들면 제약이 풀린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때 언체인드 마법/함정을 세트하는 효과. 쌍극의 코스트로 보내지거나, 링크 소재로 쓰이거나 등등 여러 방식으로 묘지로 보내져도 발동의 트리거를 만족한다. 상황에 따라 상황을 타개할 마법/함정을 세트하면 된다.

이름의 모티브는 죽음의 신 야마가 기르는 개 사라메야 중 한 마리, 샤바라이다. 사라메야는 눈이 4개인 개로 알려져 있으며, No.14 욕망의 사라메야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수록 시리즈
2023-04-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JP019 | デュエリスト・ネクサス[ DUELIST NEXUS ]
2023-06-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KR019 | 듀얼리스트 넥서스
2023-07-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EN019 | DUELIST NEXUS
2024-0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4-EN008 | OTS TOURNAMENT PACK 24

3.2.2. 언체인드소울 슈야마

파일:破械神シュヤー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 슈야마,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シュヤーマ,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of Shyama,
레벨=6, 속성=물,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이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덱 맨 아래로 되돌아간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고, 필드의 마법 / 함정을 파괴하는 효과. 파괴 시 시너지가 나는 카드를 파괴함과 동시에, 상대의 후열을 견제할 수 있다. 물론 언체인드의 마법/함정 또한 파괴시 효과가 있으니 그것을 파괴해 추가 전개를 해도 무방하다.

②의 효과는 샤바라와 비슷하나 이 카드는 묘지에서 특수 소환된다. 그냥 사용해도 1:1 교환이며, 파괴 시너지가 있는 언체인드 카드들을 이용하면 어드밴티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필드에서 벗어나면 덱으로 되돌아가지만, 엑시즈 소환으로 치워버리거나 다시 리크루트 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샤바라처럼 죽음의 신 야마가 기르는 개 사라메야 중 한 마리, 슈야마이다.
수록 시리즈
2023-04-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JP020 | デュエリスト・ネクサス[ DUELIST NEXUS ]
2023-06-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KR020 | 듀얼리스트 넥서스
2023-07-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EN020 | DUELIST NEXUS

3.3. 레벨 8

3.3.1. 언체인드소울의 화혼령

파일:破械神の禍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의 화혼령,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の<ruby>禍霊<rp>(</rp><rt>まがたま</rt><rp>)</rp></ruby>,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of Disaster,
레벨=8,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언체인드" 카드의 수 × 300 올린다.,
효과2=②: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와 자신 필드의 이 카드만을 소재로서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링크 소환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언체인드소울의 화혼령" 이외의 자신 묘지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사람의 형태였던 언체인드트윈스들과 달리, 여우의 형태를 취한 언체인드 최상급 몬스터, 설정상 언체인드트윈스들의 원형인 술사가 데리고 다니던 식신이란 것 같다.

최상급 몬스터인 만큼 수비력 3000으로 견고하며, 덤으로 보는 효과지만 묘지의 언체인드 1장당 공격력이 300 오르는 효과는 마함도 포함되어서 나중에 라이고우로 못 뚫는 타점의 돌파구가 되어줄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와 이 카드만으로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하는 링크 버전 유사 초융합. 하지만 대상 지정 효과라 상대가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하거나,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몬스터를 내놓는다면 실패한다. 대신 다른 소환 제약은 없기에 ②의 효과를 못 써도 덱에서 튀어나와 3000짜리 방어벽으로 쓸 수도 있고, 이렇게 파괴된 이 카드는 유언 소생 효과도 있어서 유사 죽은 자의 소생으로도 운영 가능하다.

③의 효과는 묘지의 언체인드 몬스터를 소환하는 소생 효과. 언체인드 몬스터이기만 하면 되므로 묘지에서 언체인드소울 라기아를 불러와 상대 턴에 갑툭튀로 다시 상대 특수 소환된 몬스터를 잡아먹고 다시 링크 소환을 이어나갈 수도 있다. 상대에게 대상 내성이 없다면 1순위로 어떻게든 불러와야 할 카드. 자체 특수 소환 효과도 없고 레벨도 8인 만큼 패에 잡히는 것보단 덱 / 묘지에 있는 게 더 효율적이다. 묘지에 헬웨이 패트롤이 있으면 공격력이 0이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같은 악마족이라 못 써먹을 건 없는 콤보.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10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10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10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54 | 2020 TIN OF LOST MEMORIES

3.3.2. 쌍극의 언체인드소울

파일:雙極の破械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쌍극의 언체인드소울,
일어판명칭=<ruby>雙極<rp>(</rp><rt>そうきょく</rt><rp>)</rp></ruby>の<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
영어판명칭=Abominable Unchained Soul,
레벨=8,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3000, 수비력=1500,
효과외1=자신은 "쌍극의 언체인드소울"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아간다.)]

최상급 몬스터지만 언체인드 덱은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가 많아서 ①의 효과로 쉽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효과. 대부분 대상을 지정하는 다른 언체인드 카드들과 달리 고르고 파괴하므로, 효과 대상이 안 되는 '대상 지정 내성' 몬스터도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파계 덱 종특 파괴 효과인 건 그대로라 효과 파괴 내성을 지닌 몬스터에겐 안 먹힌다.

③의 효과는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진 엔드 페이즈에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하지만 이 카드는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으니, 특수 소환한 턴엔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일러스트는 술사의 봉인이 풀린 모습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19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3-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3TP-JP208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3 Vol.2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19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19 | IGNITION ASSAULT
2023-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ASM-EN051 | VALIANT SMASHERS

4. 링크 몬스터

화혼령과 라기아, 아루바는 공통적으로 자신과 상대 몬스터만을 링크 소재로 어둠 속성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혼령과의 빌드로 화혼령+상대 몬스터 1장→언체인드소울 라기아→언체인드소울 라기아+특수 소환된 상대 몬스터 1장→아루바→아루바+상대 몬스터 1장→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란 빌드가 가능하다.

다만 야마는 그러한 효과는 없는 대신, 언체인드 몬스터 서치 및 샐비지 효과가 있으며, 라이고우는 언체인드의 최종 에이스로서, 공격력 3000에 필드의 카드 파괴에 특화된 효과를 갖고 있는 게 특징.

4.1. 링크 2

4.1.1. 언체인드소울 라기아

파일:破械神ラギ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 라기아,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ラギア,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of Rage,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link2=, link8=,
소재="언체인드소울"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와 자신 필드의 이 카드만을 소재로서 "언체인드소울 라기아" 이외의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의 링크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언체인드소울 라기아" 이외의 자신 묘지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언체인드소울의 시작이 되는 링크 2의 언체인드소울 몬스터. 언체인드소울 공통의 링크 버전 초융합과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언체인드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가 있다.

①의 효과는 화혼령과 달리 상대 메인 페이즈에 사용 가능한 효과.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만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며, 대상 지정 효과를 받지 않는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쓰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전개를 끊고 나올 수 있는 게 장점이며, 상대가 전개를 시작하면 특수 소환을 여러 번 거치면서 빌드를 만들어낼 만큼 사용자의 눈치에 따라 끊어먹을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한 효과다. 상대가 뭘 들고있을지 파악하고 상대가 이 카드를 쉽게 제거하지 못하게 한다면 존재만으로도 상대는 전개하기 상당히 껄끄러운 상황이 된다. 초고성능 2링크 몬스터인 에스:피 리틀나이트 역시 소환 범위에 포함되므로 상대 몬스터 하나를 잡아먹을 수 있는 악마족 전용 아이:피 마스카레나처럼 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침식 링크 + 리틀나이트의 ①②의 효과를 통해 3번의 견제 기회를 뽑아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묘지에서 악마족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

소재 조건이 널널하며 라기아로 잇기 쉬운 언체인드소울킹 야마의 등장 이후로는 라뷰린스, 유벨, 데먼스미스 등의 악마족 덱에서 용병으로 자주 기용되고 있다. 극단적으로 파츠를 줄이면 메인 덱에 샤바라 1장, 엑스트라 덱에 야마와 라기아 2장만 투자하기만 해도 악마족 몬스터 둘로 간단히 라기아에 닿을 수 있으면서, 리턴 역시 강력한 범용 2링크인 리틀나이트를 소환할 수 있어 우수하기 때문.

일러스트는 화혼령+라키아를 아루하가 다루는 모습.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43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43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43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73 | 2020 TIN OF LOST MEMORIES
2024-05-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2-EN041 | 25TH ANNIVERSARY RARITY COLLECTION 2

4.1.2. 언체인드소울킹 야마

파일:破械神王ヤ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킹 야마,
일어판명칭=<ruby>破械神王<rp>(</rp><rt>はかいしんのう</rt><rp>)</rp></ruby>ヤマ,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Lord of Yama,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link3=, link1=,
소재=악마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악마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듀얼리스트 넥서스에 등장한 새로운 언체인드소울 링크 몬스터. 다른 언체인드소울 링크 몬스터가 가지는 침식 링크 효과는 없지만, 소재가 대신 매우 널널하다. 꺼내려면 수고가 드는 화혼령 / 쌍극 대신 언체인드소울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는 라기아와 아루바를 소환하기 위한 언체인드소울 몬스터로 쓸만할 것이다.

소재는 악마족 몬스터 2장으로 퍼페추얼킹 데몬이랑 비슷하다.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가 초동이 되어줄 수 있다는 뜻이다. 데스가이드와 데스가이드 효과로 소환한 마주사이의 전사를 소재로 소환한 다음, 마주사이의 전사의 효과로 샤바라를 버려 언체인드 마법/함정을 세트하고, 이 카드 ①의 효과로 서치한 아루하가 그 마법/함정을 파괴하여 소환하는 방식의 콤보로 필드의 몬스터 수를 늘릴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언체인드 몬스터 서치 혹은 샐비지. 링크 소환에 국한되지 않아, 화혼령 등의 소생할 때마다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아루하를 서치하여 파괴 시너지를 능동적으로 낼 수 있게 된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묘지의 자신을 제외하고 패 / 묘지의 악마족 몬스터를 꺼내는 효과. 어떻게 파괴하든지 발동 조건을 채울 수 있어 언체인드에서 이 조건을 채우는 것은 매우 쉽다. 이후 효과에 따라 자신 카드 1장을 파괴할 지 말지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언체인드에 국한되지 않고 악마족이면 범용적으로 쓸 수 있는 효과이다. 꼭 링크 소환할 필요도 없기에 라뷰린스에서 드래그마 퍼니시먼트로 버린 뒤, 악마족 몬스터를 소생하는 데 써먹을 수 있을 것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인도 신화의 신 야마. 일본판 이름은 "파계신왕"인데, "파계신"을 "언체인드소울"로 번역하고 있는 한국어판은 "언체인드소울킹" 혹은 "언체인드소울왕"으로 번역될 가능성이 크며, 정발 후엔 전자대로 소울킹이 되었다.

완전히 해방된 쌍극이나 사라마의 모습으로 보이며, 카드군이 전반적으로 험악하게 생긴 데 반해 상당한 미소년이다. 그러나 언체인드의 정체성과도 같은 강렬한 썩소를 잃어버렸다.
수록 시리즈
2023-04-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JP049 | デュエリスト・ネクサス[ DUELIST NEXUS ]
2023-06-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KR049 | 듀얼리스트 넥서스
2023-07-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NE-EN049 | DUELIST NEXUS

4.2. 링크 3

4.2.1. 언체인드소울 아루바

파일:破械神アルバ.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 아루바,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アルバ,
영어판명칭=Unchained Soul of Anguish,
레벨=3,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400, link1=, link3=, link8=,
소재="언체인드소울"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와 자신 필드의 이 카드만을 소재로서 "언체인드소울 아루바" 이외의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링크 소환한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언체인드소울 아루바" 이외의 자신 묘지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라기아가 상대 턴에만 조금 제한된 몬스터를 잡아먹는 초링크를 보여준다면, 아루바는 자신 턴에만 가능한 대신, 대상 지정과 효과만 먹히면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물론, 일반 소환 / 반전 소환된 몬스터도 집어먹고 링크 소환할 수 있다. 링크 3 몬스터인 만큼 라이고우로 바로 이어질 수 있고, 필드에 언체인드소울의 통곡이 있다면 아루바로 상대 몬스터 1장 제거로 라이고우→라이고우 소환에 반응해 통곡으로 인한 1장 파괴→통곡의 효과에 반응해 라이고우로 1장 파괴→엔드 페이즈 라이고우 효과로 1장 파괴로 필드에서 4장을 파괴할 수 있는, 말 그대로 파괴신이 된다. 꼭 라이고우를 할 필요 없이, 액세스코드 토커도 이 효과로 빠르게 소환하여 마무리지을 수 있다.

다만 바렐로드 드래곤 같은 경우는 건드릴 수 없는 게 단점. 대상 내성은 다른 카드로 제거하자.

②의 효과는 라기아와 똑같은 파괴시 악마족 샐비지 효과.

일러스트는 화혼령+아루하를 라키아가 다루는 모습. 아루바와 라기아의 공격력 차이를 봤을 때 아루하가 라키아보다 강한 분신인 모양이다.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44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44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44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74 | 2020 TIN OF LOST MEMORIES

4.3. 링크 4

4.3.1.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파일:破械雙王神ライゴウ.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일어판명칭=<ruby>破械雙王神<rp>(</rp><rt>はかいそうおうしん</rt><rp>)</rp></ruby>ライゴウ,
영어판명칭=Unchained Abomination,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3000, link1=, link2=, link3=, link8=,
소재=링크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이외의 카드의 효과로 필드의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 이외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대극적인 것을 흡수하여 흉흉한 모습으로 현현한 마수.
쇠사슬을 잡아끌어 부수는 난폭한 힘은, 계속하여 파괴를 낳는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메이트의 플레이버 텍스트.

가지고 있는 3개의 효과 모두 파괴 효과인 파괴의 화신이자, 언체인드 덱의 에이스 카드로서, 화혼령, 라키아, 아루하가 전부 융합되면서 만들어졌다. 효과 파괴나 전투 파괴 시, 그리고 엔드 페이즈에 한 장 씩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 턴에 무려 최대 세 장의 카드를 치울 수 있다.

아루바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 1장 혹은 라기아로 링크 2 몬스터를 잡아먹고 상대 턴에 튀어나와, 통곡을 통한 대량 견제로도 이어나갈 수 있다. 범용 링크 4 몬스터이기도 하고 효과 자체는 언체인드 몬스터를 요구하는 효과가 없어서 다른 파괴 견제 카드가 많다면 약간 추가 견제용으로 쓸 수도 있다. 자체적으로 파괴 트리거를 충족할 수 있고 마법과 몬스터에 대한 대처능력은 걸출하지만 함정 대비력이 부족한 밸리언츠 같은 덱이 그 예시.

다만 언체인드의 에이스치곤 효과가 전부 대상 지정 효과라 바렐로드 드래곤 같은 대상 지정 내성 효과를 가진 몬스터는 처리할 방법이 없다. 한 효과 정도는 비대상 지정 파괴를 가져도 좋았을 텐데 아쉬운 점이다. 더군다나 자신은 아무 내성도, 심지어 유언 효과도 없기에 파괴될 경우 어드밴티지 복구 방법도 없다.

대신 바렛 덱에선 오히려 이 모든 효과가 대상을 지정한다는 점이 플러스 요소가 되는데, 바렛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링크 몬스터의 효과 대상이 되면 자괴하면서 비대상 지정으로 제거 효과를 쓸 수 있기 때문. 이를 이용해 ③의 효과로 매턴 바렛 몬스터들의 효과를 발동시키면서 바렛들의 자괴 효과를 트리거로 이 카드의 ①의 효과까지 발동해가며 상대 카드를 2, 3장씩 마구마구 부수고 새로운 바렛들을 리크루트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바렛 덱에선 에이스인 링크 4 바렐 몬스터들을 뽑을 때 스트라이커 드래곤이나 데린저러스 드래곤 같은 링크 몹들을 필수적으로 쓰기에, 이 카드의 소환 조건을 충족하기도 쉽다. 덱 리크루트나 소생이 간편하니 다른 카드로 지속적으로 우려먹는 것도 좋다.

마찬가지로 링크 몬스터가 있고 효과 파괴가 특기인 스크랩 덱에서도 사용해 볼 만 하다.

파일:유희왕 마듀 언체인드 라이고우 라투디.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전용 소환 연출이 적용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45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22-11-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LF1-JP092 | SELECTION 5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45 | 카오스 임팩트
2023-0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LF1-KR092 | 셀렉션 파이브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45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75 | 2020 TIN OF LOST MEMORIES
2023-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2-EN006 | OTS TOURNAMENT PACK 22

5. 마법 카드

5.1. 지속 마법

5.1.1. 언체인드소울의 통곡

파일:破械神の慟哭.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언체인드소울의 통곡,
일어판명칭=<ruby>破械神<rp>(</rp><rt>はかいしん</rt><rp>)</rp></ruby>の<ruby>慟哭<rp>(</rp><rt>どうこく</rt><rp>)</rp></ruby>,
영어판명칭=Wailing of the Unchained Soul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언체인드" 링크 몬스터의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언체인드소울의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 패 여건만 되면 시작부터 언체인드소울 라기아로 1장 먹고 들어갈 수도 있고, 라이고우까지 가면 라이고우의 효과로 2장을 연이어서 파괴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언체인드 마법 / 함정 공통의 파괴시 덱 리크루트 효과.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55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55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55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83 | 2020 TIN OF LOST MEMORIES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언체인드 창도

파일:破械唱導.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언체인드 창도,
일어판명칭=<ruby>破械唱導<rp>(</rp><rt>はかいしょうどう</rt><rp>)</rp></ruby>,
영어판명칭=Escape of the Unchained,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과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 2장을 파괴한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 필드의 언체인드 몬스터 1장과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함정 카드.

언체인드 메인 덱 몬스터들은 파괴될 경우 다른 언체인드 몬스터를 불러오기 편하고, 라이고우가 필드에 있으면 1:2 교환이 될 테니 대상 지정 파괴라도 강력한 효과다.

"그 카드 2장"이라는 텍스트이므로, 한 쪽이 필드에서 벗어났다면 다른 쪽도 파괴되지 않는다. 하지만 마계특파원 데스캐스터 같은 카드로 한 쪽의 파괴를 막는 경우에는 다른 쪽은 파괴된다.

일러스트는 술사의 분신인 언체인드트윈스들이 깨어난 모습. 썩소가 인상깊다.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69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69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69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91 | 2020 TIN OF LOST MEMORIES

6.1.2. 언체인드 쌍극

파일:破械雙極.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언체인드 쌍극,
일어판명칭=<ruby>破械雙極<rp>(</rp><rt>はかいそうきょく</rt><rp>)</rp></ruby>,
영어판명칭=Abominable Chamber of the Unchained,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골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패 / 묘지의 언체인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함정 카드. 함정이라 느리고 언체인드 중 상대 턴에서 소환됐을 때 제 효력을 발휘하는 카드는 기껏해야 언체인드소울 라기아 정도라, 그리 유용한 효과는 아니다. 사실상 ②의 효과를 쓰기에 제일 적절한 카드.

일러스트는 언체인드들의 원형이 되는 술사가 봉인된 모습.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70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70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70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92 | 2020 TIN OF LOST MEMORIES

7. 서포트 카드

7.1. 일반 마법

7.1.1. 쌍왕의 계

파일:雙王の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쌍왕의 계,
일어판명칭=<ruby>雙王<rp>(</rp><rt>そうおう</rt><rp>)</rp></ruby>の<ruby>械<rp>(</rp><rt>かせ</rt><rp>)</rp></ruby>,
영어판명칭=Abomination's Pris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언체인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세트된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언체인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언체인드 서치 카드지만, 이 카드 자체는 언체인드 카드가 아니므로 자기 자신을 서치할 수 없고, 화혼령의 카운트에도 적용되지 못한다. 차라리 이 카드를 언체인드 카드로 하고, 자신을 제외하고를 붙였으면 사라마를 활용한 원핸드 초동이 가능했을 텐데 아쉬운 카드다. 언체인드의 카드풀이 적은 만큼, 그리고 귀중한 서치 수단인 만큼 무조건 3장씩 넣어야 하는 카드.

②의 효과는 언체인드 마법 / 함정 공통의 파괴시 덱 리크루트 효과. 하지만 이 카드는 유일한 서치 카드라 비상시가 아니면 ①의 효과를 쓸 테니, 이 카드의 ②의 효과를 쓸 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2019-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JP054 | カオス・インパクト [ CHAOS IMPACT ]
2019-10-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KR054 | 카오스 임팩트
2019-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HIM-EN054 | CHAOS IMPACT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82 | 2020 TIN OF LOST MEMORIES
2024-05-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2-EN064 | 25TH ANNIVERSARY RARITY COLLECTION 2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1] 별개로 언체인드트윈스는 아루하가 화염, 라키아가 물 속성이다.[2] 일본어 기준으로 破壊, 破戒, 破械 모두 はかい(하카이)로 발음이 같다.[3] 이 카드군의 계는 명세계와 달리 ""(지경 계)가 아니라 ""(기계 계)다. 즉 무사신과 명세계의 전례를 따르면 "파기계"가 되어야한다.[4] 다만 룰 소환인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와는 달리 상대 몬스터를 대상으로 발동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효과 내성, 대상 내성이 있는 몬스터를 상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초융합하고도 일부 공유하는 단점(초융합은 비대상이기에 대상 내성은 무시하지만 대신 마법 카드에 대한 내성이 있으면 초융합이 먹히지 않는다).[5] 제작자는 데빌 링크라고 부르기는 하는데 그냥 언체인드라서 Nextplay에서는 본인 요청이라는 코멘트가 붙었다.[6] 아루하 3장, 라키아 2장, 사라마 2장, 샤바라 2장, 슈아마 1장, 취향에 따라 화혼령/쌍극 0~1장, 쌍왕의 계 3장, 언체인드 쌍극, 언체인드 창도 2장씩 등[7] 라기아 2장, 아루바 1장, 라이고우 1장, 이그제큐티브 시저 1장, 야마 2장[8] 라키아 일소 → 언체인드소울 특소 → 라기아/야마 특소[9] 이 경우도 직접 서치하는 것보단 세트한 후 파괴시키는 것이 주요한 활용법이다[10] 에볼 몬스터를 채용하지 않았다고 가정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