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0:43:56

조강 생물 목록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강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상위 계통 생물 목록에 대한 내용은 수도룡형류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1. 고악하강(古顎下綱, Paleognathae)
1.1. †에레모페주스과(Eremopezidae)1.2. †레미오르니스과(Remiornithidae)1.3. 타조목(駝鳥目, Struthioniformes)
1.3.1. †팔라이오티스과(Palaeotididae)1.3.2. †게라노이데스과(Geranoididae)1.3.3. †에오그루스과(Eogruidae)1.3.4. 타조과(駝鳥科, Struthionidae)
1.4. 남방고악류(南方古顎類, Notopalaeognathae)
1.4.1. 레아목(Rheiformes)
1.4.1.1. 레아과(Rheidae)1.4.1.2. †오피스토닥틸루스과(Opistodactylidae)
1.4.2. †리토르니스목(Lithornithiformes)
1.4.2.1. 리토르니스과(Lithornithidae)
1.4.3. 도요타조목(Tinamiformes)1.4.4. †모아목(Dinornithiformes)
1.4.4.1. 모아과(Dinornithidae)1.4.4.2. 고원모아과(Megalapterygidae)1.4.4.3. 동쪽모아과(Emeidae)
1.4.5. 신평흉류(新平胸類, Novaeratitae)
1.4.5.1. †코끼리새목(Aepyornithiformes)1.4.5.2. 키위목(Apterygiformes)
1.4.5.2.1. 키위과(Apterygidae)
1.4.5.3. 화식조목(火食鳥目, Casuariiformes)
1.4.5.3.1. 화식조과(火食鳥科, Casuariidae)
2. 신악하강(新顎下綱, Neognathae)
2.1. †오돈톱테릭스목(Odontopterygiformes)2.2. 범닭기러기류(Pangalloanserae)
2.2.1. 닭기러기상목(家禽上目, Galloanserae)
2.2.1.1. 이빨기러기류(Odontoanserae)
2.2.1.1.1. 기러기형류(Anserimorphae)
2.2.1.2. 범닭류(Pangalliformes)
2.2.1.2.1. †갈리눌로이데스과(Gallinuloididae)2.2.1.2.2. †파라오티고이데스과(Paraortygidae)2.2.1.2.3. †쿠에르키메가포디우스과(Quercymegapodiidae)2.2.1.2.4. †실비오르니스과(Sylviornithidae)2.2.1.2.5. 닭목(Galliformes)
2.3. 신조상목(新鳥上目, Neoaves)
2.3.1. 기적조류(奇蹟鳥類, Mirandornithes)
2.3.1.1. 논병아리목(Podicipediformes)
2.3.1.1.1. 논병아리과(Podicipedidae)
2.3.1.2. 홍학목(紅鶴目, Phoenicopteriformes)
2.3.1.2.1. †팔라일로두스과(Palaeldidae)2.3.1.2.2. 홍학과(紅鶴科, Phoenicopteridae)
2.3.2. 비둘기형류(Columbimorphae)
2.3.2.1. 비둘기목(Columbiformes)2.3.2.2. 사막꿩메사이트류(Pteroclimesites)
2.3.2.2.1. 사막꿩목(Pteroclidiformes)2.3.2.2.2. 메사이트목(Mesitornithiformes)
2.3.3. 참새류(Passerea)
2.3.3.1. 호아친목(Opisthocomiformes)2.3.3.2. 수좌류(樹座類, Strisores)
2.3.3.2.1. 쏙독새목(Caprimulgiformes)2.3.3.2.2. 소조류(消鳥類, Vanescaves)
2.3.3.3. 느시형류(Otidimorphae)
2.3.3.3.1. 뻐꾸기목(Cuculiformes)2.3.3.3.2. 부채머리목(Musophagiformes)2.3.3.3.3. 느시목(Otidiformes)
2.3.3.4. 두루미형류(Gruimorphae)
2.3.3.4.1. 도요목(Charadriiformes)2.3.3.4.2. 두루미목(Gruiformes)
2.3.3.5. 파이토쿠오르니테스(Phaethoquornithes)
2.3.3.5.1. 뱀눈새류(Eurypygimorphae)2.3.3.5.2. 수조류(水鳥類, Aequornithes)
2.3.3.6. 육조류(陸鳥類, Telluraves)
3. 관련 문서


조강(鳥綱, Aves)은 석형류 공룡상목 용반목 수각아목 공미룡류 수도룡형류 아비알라이 오르니투라이의 한 분기군으로, 한 쌍의 날개와 다리를 가지고 있다. 학계에서의 실질적인 소위 조강(Aves), 새(bird)는 이 현생 조류만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조강이 수각아목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하위 분류들은 엄밀히 말하면 clade에 속한다.

※ 한국에 서식하는 새의 자세한 정보와 생김새는 한국의 조류 참고.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멸종했다는 뜻.
※ S = 여름 철새, W = 겨울 철새, P = 나그네새
※ S/R, W/R = 일부 텃새화된 철새
※ '(☠)'이 붙은 항목은 독을 지닌 종류.

1. 고악하강(古顎下綱, Paleognathae)

1.1. †에레모페주스과(Eremopezidae)

1.2. †레미오르니스과(Remiornithidae)

1.3. 타조목(駝鳥目, Struthioniformes)[1]

1.3.1. †팔라이오티스과(Palaeotididae)

1.3.2. †게라노이데스과(Geranoididae)

1.3.3. †에오그루스과(Eogruidae)[2]

1.3.4. 타조과(駝鳥科, Struthionidae)

1.4. 남방고악류(南方古顎類, Notopalaeognathae)

1.4.1. 레아목(Rheiformes)

1.4.1.1. 레아과(Rheidae)
1.4.1.2. †오피스토닥틸루스과(Opistodactylidae)

1.4.2. †리토르니스목(Lithornithiformes)

1.4.2.1. 리토르니스과(Lithornithidae)

1.4.3. 도요타조목(Tinamiformes)

1.4.3.1. 도요타조과(Tinamidae)

1.4.4.모아목(Dinornithiformes)

1.4.4.1. 모아과(Dinornithidae)
1.4.4.2. 고원모아과(Megalapterygidae)
1.4.4.3. 동쪽모아과(Emeidae)

1.4.5. 신평흉류(新平胸類, Novaeratitae)

1.4.5.1. †코끼리새목(Aepyornithiformes)
1.4.5.1.1. 코끼리새과(Aepyornithidae)
1.4.5.2. 키위목(Apterygiformes)
1.4.5.2.1. 키위과(Apterygidae)
1.4.5.3. 화식조목(火食鳥目, Casuariiformes)
1.4.5.3.1. 화식조과(火食鳥科, Casuariidae)

2. 신악하강(新顎下綱, Neognathae)

2.1. †오돈톱테릭스목(Odontopterygiformes)

2.2. 범닭기러기류(Pangalloanserae)

2.2.1. 닭기러기상목(家禽上目, Galloanserae)

2.2.1.1. 이빨기러기류(Odontoanserae)
2.2.1.1.1. 기러기형류(Anserimorphae)
2.2.1.2. 범닭류(Pangalliformes)
2.2.1.2.1. †갈리눌로이데스과(Gallinuloididae)
2.2.1.2.2. †파라오티고이데스과(Paraortygidae)
2.2.1.2.3. †쿠에르키메가포디우스과(Quercymegapodiidae)
2.2.1.2.4. †실비오르니스과(Sylviornithidae)
2.2.1.2.5. 닭목(Galliformes)

2.3. 신조상목(新鳥上目, Neoaves)

2.3.1. 기적조류(奇蹟鳥類, Mirandornithes)

2.3.1.1. 논병아리목(Podicipediformes)
2.3.1.1.1. 논병아리과(Podicipedidae)
2.3.1.2. 홍학목(紅鶴目, Phoenicopteriformes)
2.3.1.2.1. †팔라일로두스과(Palaeldidae)
2.3.1.2.2. 홍학과(紅鶴科, Phoenicopteridae)

2.3.2. 비둘기형류(Columbimorphae)

2.3.2.1. 비둘기목(Columbiformes)
2.3.2.1.1. 비둘기과(Columbidae)
2.3.2.2. 사막꿩메사이트류(Pteroclimesites)
2.3.2.2.1. 사막꿩목(Pteroclidiformes)
2.3.2.2.2. 메사이트목(Mesitornithiformes)

2.3.3. 참새류(Passerea)

2.3.3.1. 호아친목(Opisthocomiformes)
2.3.3.2. 수좌류(樹座類, Strisores)
2.3.3.2.1. 쏙독새목(Caprimulgiformes)
2.3.3.2.2. 소조류(消鳥類, Vanescav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조류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3.3. 느시형류(Otidimorphae)
2.3.3.3.1. 뻐꾸기목(Cuculiformes)
2.3.3.3.2. 부채머리목(Musophagiformes)
2.3.3.3.3. 느시목(Otidiformes)
2.3.3.4. 두루미형류(Gruimorphae)
2.3.3.4.1. 도요목(Charadriiformes)[12]
2.3.3.4.2. 두루미목(Gruiformes)
2.3.3.5. 파이토쿠오르니테스(Phaethoquornithes)
2.3.3.5.1. 뱀눈새류(Eurypygimorphae)
2.3.3.5.2. 수조류(水鳥類, Aequornith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조류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3.6. 육조류(陸鳥類, Tellurav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육조류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관련 문서


[1] 이 분류군을 한 목으로 봐야할지 아니면 별개의 목으로 분류해야 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 말이 많다.[2] 황새목으로 추정되었다가 타조목으로 재분류되었다.[3] 아이피오르니스속에 통합되었다.[4] 베가비스가 기러기목에 속하는 것과는 별개로 "베가비스과"가 유효한 분류군인지는 불분명하다.[5] 엄밀히 말하면 기러기목이 아니라 분기 단계로서 기러기목 sensu lato 분류에 속한다.[6] 회색기러기와 개리가 가축화된 것이다.[7] 하와이를 서식처로 삼던 멸종된 기러기.[8] 또는 보관조과.[9] 여기서 메추라기속이란 코트루닉스(coturnix)속을 말한다. 또한 해골이 있는 이유는 독초를 먹은 야생 메추라기를 먹고 중독되어 사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10] 비둘기속의 바위비둘기와는 다르다.[11] 이 분류군에 속한 새들은 코칼이라고도 한다.[12] 물떼새목 또는 세가락메추라기목이라고도 한다.[13] 쇠오리라는 새와는 관련이 없으니 착각하지 말자.[14] 별개의 과라고 여기기도 하나 아직 불분명하다.[15]나팔새가 아니고 남미 아마존에 사는 조류다.[16] 예전에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되었다.[17] 두루미속에서 분리되었다.[18] 별개의 속이지만 현재는 웨카속의 한 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