꺅도요 Common snipe | |
학명 | Gallinago gallinago Linnaeus, 1758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목 | 도요목(Charadriiformes) |
아목 | 도요아목(Scolopaci) |
과 | 도요과(Scolopacidae) |
속 | 꺅도요속(Gallinago) |
종 | 꺅도요(G. gallinago)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꺅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의 섭금류다.2. 서식지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방에서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대다수의 섭금류가 그렇듯이 월동도 번식도 하지 않고 잠시 도래하는 나그네새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드물게 월동을 하기도 하는 사례도 있다. 갯벌이나 하천 등 물가 가까이에 분포한다.3. 유사종
유사종들이 많아서 동정[1]이 쉽지 않다. 워낙에 닮은 종들이 많고 미세한 차이만 있다보니 탐조인들 사이에서 골머리를 썩힌다. 사실 꼬리깃의 형태가 종마다 달라 확연히 구분되지만 탐조하는 입장에서 잡아놓고 꼬리깃을 살필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 한국에 도래하는 유사종과 각각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2][3]뿐만 아니라 이들 종 가운데서는 교잡종도 태어나곤 하며, 교잡종은 정말로 유전자 검사 외에는 구별할 방법이 없다.
4. 방어 전략
포식자한테 쫓기고 있다면 '꺅' 하고 소리를 내고 지그재그 형태로 비행을 해서 포식자가 쫓기 어렵게 만든다. 이름이 꺅도요인 이유도 그 울음소리 때문이다.[1] 생물의 종을 판명하는 것을 말한다.[2] 하술한 종 뿐만 아니라 꺅도요속의 모든 종들이 사실 다 비슷하게 생겼다.[3] 출처 - 박종길, 야생조류 필드가이드, 자연과 생태, 2022, 232-235p[4] 다른 꺅도요류에 비해 몸집이 작다. 부리 또한 다른 꺅도요류에 비해 짧지만 실제로 봤을 때에는 큰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꼬리깃은 22~28장이며, 일반적으로 수컷이 26~28장, 암컷은 22~24장 정도이지만 개체마다 변이가 있다. 또한 꼬리깃의 양 끝으로 갈수록 깃의 폭이 좁아져 깃이 바늘처럼 보인다.[5] 이마의 검은색이 다른 종에 비해 비교적 선명하다. 꼬리깃은 암컷 16장이며 수컷 18장이다. 꼬리깃의 색이 분명하게 나뉜다.[6] 꼬리깃은 수컷 20~22장, 암컷 18장이다. 꼬리깃의 색이 큰꺅도요와 달리 색 간의 경계가 불명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