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0 0 -25px; padding-bottom: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정보 | 문명 · 지도 · 유닛(영웅 · 연대기) · 동물 및 자원 · 건물 · 기술 · 도전 과제 · 방어 유형 | |||||
시리즈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 정복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 포가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 아프리카 ]]왕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 라자의 ]]부흥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 마지막 ]]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2| 서쪽의 ]]군주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3| 군주들의 ]]여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4| 인도 ]]왕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 로마의 ]]귀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6| 마운틴 ]]로열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7| 승자와 ]]패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9| 삼국지 ]] | ||||||
연대기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8| 그리스 전쟁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10| 알렉산더 대왕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캠페인 목록 ] | {{{#!wiki style="margin:-15px -10px" | 결정판 이전 캠페인 공략 목록 | 에이지 오브 킹 · 정복자 · 포가튼 · 아프리카 왕국 · 라자의 부흥 | }}} | |||
| 결정판 캠페인 공략 개괄 | |||||||
| 아프리카 | |||||||
| 아메리카 | |||||||
| 아시아 | |||||||
| 유럽 | |||||||
| 서유럽 | |||||||
| 동유럽 | |||||||
| 남아시아 | |||||||
| 코카서스 | |||||||
| 중국 | |||||||
| 역사적인 전투 | |||||||
| 승자와 패자 | |||||||
| 로마의 귀환 |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
| 그랜드 캠페인 | |||||||
- [ 문명 목록 ]
- ||<tablebgcolor=white,#191919>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에 나오는 공성무기 제조소에서 양성하는 유닛. 실제 고대 그리스・로마 등지에서 사용되었던 투석기 오나게르(Onager)를 모티브로 했다. 역사적 시기로 따져보면 아너저가 더 먼저 등장했고 망고넬이 더 후대에 나왔기에 아너저 - 망고넬의 순서가 되는 것이 시대순으로 따졌을때 적절하나 게임에서는 왜인지는 몰라도 망고넬의 강화형이 아너저가 되었다.2. 설명
성주시대부터 생산 가능한 공성무기 유닛이다. 전작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캐터펄트'를 계승한 유닛이지만, 2편에서는 역할이 바뀌어 장거리 공성유닛에서 광역 피해를 넓은 범위에 가할 수 있어 대유닛 용도에 특화된 공성무기로 바뀌었다.[1]지렛대에 놓인 돌덩이들을 던져서 공격하며, 원거리 유닛이지만 근접 공격력 판정을 가지고 있어 상대의 근접 방어력에 영향을 받는다. 표기된 공격력을 지닌 주 투사체와 추가로 1의 공격력을 가진 보조 투사체를 동시에 발사하며, 보조 투사체는 흩뿌려진다. 투사체의 중심부의 적에게 표기된 피해를 입히고, 1의 추가 투사체를 5발 더 발사한다. 중심부에 100%의 피해를 입히고, 광역피해 범위에서 멀어질 수록 피해량이 감소한다. 기본 사정거리는 망고넬은 7, 아너저/공성 아너저 투석기는 8이며, 공성 기술자 연구 시 사정거리가 1 증가한다.
아너저 투석기의 존재 가치는 뭉쳐 있는 보병, 궁사 유닛들을 몰살하는 광역 누커 역할에 있다. 기본 공격력이 상당히 높고 광역 범위도 넓다 보니, 아너저 투석기가 발사한 돌덩이들이 보병, 궁사 무리에 직격하는 순간 아군 대열에 구멍이 뻥 뚫리게 된다. 특히 궁사의 경우 기본적으로 아너저 투석기는 원거리 방어력이 높아 원거리 공격에 저항력이 높은 편이라 총통병처럼 깡딜이 세거나 공성무기에 추가 피해를 주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아너저 투석기는 대부분의 궁사 유닛 상대로 상성상 우위를 점한다.
유닛 외에도 공성무기인 만큼 건물 상대로 높은 추가 피해를 주며, 풀업 공성 아너저 투석기는 건물 상대로 135 라는 높은 피해를 주는 만큼 수가 쌓인 아너저 투석기는 건물을 순식간에 철거할 수 있다. 건물 외에도 공성무기와 '중형 공성무기' 상대로 높은 추가 피해를 주다 보니, 똑같이 공성 무기인 스콜피온과 크메르인의 노포 코끼리와 보헤미아인의 후스파 마차 상대로 상성상 우위를 점할 수 있다.[2]
또한 아너저 투석기는 사석포, 트레뷰셋과 더불어 지면 공격이 가능한 몇 안되는 유닛 중 하나로, 공격력이 높고 광역 범위도 넓은 만큼 다른 유닛보다 지면 공격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유닛이다. 다수의 아너저 투석기로 적의 예상 경로에 지면 공격을 쓰는 예측샷으로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특히 개활지 같은 경우에는 일일히 우클릭을 해서 표적을 지정하는 것보다는 지면 공격을 통해 예측샷을 날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단점이라면 아군에게도 광역 피해가 들어간다는 것. 킹스 시절에는 아군이 있든 말든 일단 돌을 날리고 봤으며, 정복자부터는 아군이 스플래시 범위에 들어온다면 공격을 하지 않게 패치되긴 하였으나, 아군이 망고넬의 착탄 예상 지점으로 들어가지 않게 하는 인공지능은 없어서 대놓고 아군을 안 죽일 뿐, 신경쓰지 않으면 여전히 팀킬이 심하다. 아군 유닛들이 교전중인데 컨트롤에 신경 쓰지 않으면 돌을 아군에게 날려서 전부 몰살당하는 피보는 일들이 자주 일어난다. 어찌보면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공성 전차 못지 않는 팀킬의 대명사.
또한 높은 가격에 비해 체력이 보병 수준인데다 근접 방어력이 0이고, 최소 사정거리가 있어서 적 유닛들이 근접해버리면 손도 못 쓰고 부서진다. 이 때문에 기동성이 좋아 아너저 투석기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기병이나 독수리 전사 같은 유닛을 상대로 불리하다.[3] 그 외에도 사정거리가 아너저보다 길고 공성무기에 추가 피해를 주는 사석포나, 전향 사정거리가 아너저 투석기보다 길고 목판 인쇄로 사정거리를 12나 늘릴 수 있는 구원 연구가 완료된 수도사도 주의해야 할 대상이다.
가격 또한 목재 160 금 135로 상당히 비싸고, 승급 업그레이드에 드는 비용도 모든 유닛들 가운데 가장 비싸다. 아너저만 해도 식량 800, 금 500이 소모되며, 공성 아너저는 무려 식량 1450, 금 1000이라는 팔라딘보다 더 비싼 비용이 소모된다. 이 때문에 실전에선 팀전이 아닌 이상 공성 아너저 투석기는 팔라딘보다 더 보기 힘든 유닛이다.
정복자 시절까지는 공성 아너저 투석기만이 지면 공격으로 나무를 제거할 수 있었는데,[4] 포가튼에선 아너저 투석기도 나무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트레뷰셋도 나무제거가 가능하긴 하지만 스플래시도 없고 공속도 느려서 숲 사이로 길을 뚫을 때는 아너저가 사용된다.[5] 때문에 삼림 지대 팀전에서는 공성 아너저가 지원되지 않는 문명이더라도 아너저를 누른 뒤 주력 병력으로 그대로 백도어를 감행하는 전략이 자주 나온다.
여담으로 컴까기를 할땐 AI가 유독 망고넬을 포함한 공성무기들의 투사체를 현란한 스텝으로 잘 피하기 때문에 안쓰는게 차라리 나은 유닛이 된다.
3. 운용
아너저 투석기는 실전에서는 손을 꽤 바쁘게 하는 유닛이다보니 운용 난이도가 상당히 까다로운 유닛이다. 아너저 투석기와 아군 유닛을 같이 운용할 때 일단 아군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팀킬을 방지하기 위해 아너저 투석기 이외의 유닛 컨트롤도 신경을 써야 하고, 아너저 투석기의 내구력이 워낙 허약하다보니 적의 근접 유닛이 접근하지 못하게 아너저 투석기를 잘 엄호해 줘야 하며, 근접 유닛들이 적을 추격하는 국면에서 아군이 포화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가능한 한 적의 병력만 때릴 수 있는 위치를 지면 공격을 이용해서라도 때려주는 센스가 필요하다. 이런 까다로운 요소들 덕분에 아너저 투석기는 입문자는 물론이고 중수급에게도 운용이 쉽지 않은 유닛이다.또한 아너저 투석기는 탄도학이 적용되지 않고, 발사한 투사체가 목표에 도달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다보니 적 유닛이 회피할 수 있다. 이동속도가 빠른 기병은 물론이고, 보병이나 궁사도 아너저 투석기의 공격을 피하는게 가능할 정도다. 이 때문에 이걸 역이용하여 유닛의 대형을 수정하는 기능으로 아너저 투석기의 공격을 빠르게 회피하면서 아너저 투석기를 공격하는 컨트롤이 가능하며, 실제 고수 플레이어들은 이 컨트롤에 굉장히 능숙하다보니 성주 시대에서 상성상 우위여야 할 망고넬이 석궁병의 회피 컨트롤에 농락당하다 되려 터져버리는 장면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지면 공격으로 이 회피 컨트롤을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지만 이 지면 공격도 일일히 단축키를 눌러가면서 지정해야 하니 굉장히 난이도가 높다.
이 때문에 성주 시대에서 망고넬은 어디까지나 주력 유닛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되며, 똑같이 공성무기인 스콜피온보다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공격력은 망고넬이 높지만, 스콜피온은 일직선 범위 피해를 주며 무엇보다 탄도학이 적용되다보니 움직이는 유닛 상대로 망고넬보다 스콜피온이 더 효율적이다. 특히 이동속도가 빠르고 원거리 공격을 하는 기마궁사의 경우 맞추기 힘든 망고넬보다는 차라리 공격력은 낮아도 맞추기 쉬운 스콜피온이 더 선호되는 편이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적중만 한다면 적 유닛들을 한번에 몰살시킬 수 있다는 장점과 건물에게도 강하다는 점 덕분에 왕정시대 후반에 들어서면 크메르[6] 또는 로마[7]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전반적으로는 스콜피온보다는 아너저 계열이 훨씬 더 선호된다. 원거리 방어력에 영향을 많이 받는 스콜피온과 달리 깡딜이 센 아너저 투석기가 화력면에서 스콜피온을 앞서고, 회피 컨트롤도 양산이 가능해지는 왕정시대 쯤 되면 다수의 아너저 투석기의 돌덩이 세례로 무력화 시킬 수 있다.
4. 게임 내 성능
| <colbgcolor=#069><colcolor=white> 초상화 | | | | ||||
| 모델링 | {{{#!wiki style="margin:0px -10px -6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HD 시절 모델링]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 | |||||
| 명칭 | 망고넬 투석기 Mangonel | 아너저 투석기 Onager | 공성 아너저 투석기 Siege Onager | ||||
| 업그레이드 비용 | - | 75초 | 150초 | ||||
| HP | 50 | 60 | 70 | ||||
| 공격력 | 40 + 1×5 | 50 + 1×7 | 75 + 1×9 | ||||
| 추가 공격력 | {{{#!wiki style="margin:0px -10px -6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추가 공격력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colcolor=white><rowcolor=white><colbgcolor=#069> | 망고넬 투석기 | 아너저 투석기 | 공성 아너저 투석기 | ||
| 건물 | 35 | 45 | 60 | ||||
| 공성무기 | 12 | ||||||
| 중형 공성무기 | 40 | 50 | |||||
| 수도사 | -1 | 0 | |||||
| 사정 거리 | 7 | 8 | |
| 최소 사정 거리 | 3 | ||
| 광역 범위 | 1 | 1.25 | 1.5 |
| 방어력 (근접/원거리) | 0/6 | 0/7 | 0/8 |
| 이동 속도 | 0.6 | ||
| 시야 | 9 | 10 | |
| 양성 시간 | 46초 | ||
| 공격 속도 | 6.0 | ||
| 방어 유형 | 공성무기 | ||
| 양성 비용 | | ||
- 망고넬 투석기 Mangonel
- 양성 불가능 문명: 조선, 중국, 금, 요
성주 시대에 생산 가능하며, 조선과 중국, 금과 요를 제외하면 모든 문명이 생산 가능하다.[8] 기본 공격력이 40이나 되고 원거리 방어력이 높지만, 성주 시대에서는 양산이 힘들고 광역 범위도 애매한 편이다보니 보통은 주력 병종을 보조하는 역할로 쓰거나 상대 마을 회관을 사정거리 밖에서 타격하면서 견제하는 용도로 쓰인다.
특이하게도 수도사 상대로 공격력 -1 패널티가 존재하는데, 과거에는 망고넬 투석기가 수도사를 공격할 때 주 투사체 말고도 보조 투사체가 전부 적중하냐 아니냐에 따라 신성 연구가 완료된 수도사가 한 방에 죽거나 그렇지 않거나로 갈려 일관성이 떨어졌었다. 결국 패치로 -1 패널티가 생겨 어떤 경우에도 수도사가 망고넬의 공격을 두 방 버틸수 있게 되었다. 아너저로 업그레이드 할 경우 해당 패널티는 사라진다.
- 아너저 투석기 Onager
- 양성 불가능 문명: 튀르크, 훈
왕정 시대에서 아너저 투석기를 업그레이드 하면 생산 가능하다. 망고넬 투석기를 사용할 수 있는 문명 중 튀르크와 훈족만이 이 업그레이드를 사용할 수 없다. 망고넬 투석기보다 공격력과 광역 범위가 증가하고 체력과 원거리 방어력이 높아진데다가 기본 사정거리도 7에서 8로 증가해서 이때부터 주력 유닛으로 쓸만해진다. 후술할 공성 아너저 투석기 업그레이드가 워낙 비싸다보니 실전에서는 공성 아너저를 포기하고 차라리 아너저 투석기에서 멈추고 대신 공성 기술자 연구로 사정거리를 늘려서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 공성 아너저 투석기 Siege Onager
- 양성 가능 문명: 아즈텍, 켈트, 쿠만, 드라비다, 몽골, 말리, 조지아, 시칠리아, 슬라브, 사라센, 불가리아, 튜턴
왕정 시대에 공성 아너저 투석기를 업그레이드하면 생산 가능하다. 아너저 투석기보다 체력과 원거리 방어력이 증가하고 공격력과 추가 투사체 갯수가 증가하며 공격 범위도 넓어저셔 강력한 원거리 화력을 가지게 되여, 다수의 공성 아너저 투석기의 공격에 맞으면 보병이나 궁사는 물론, 풀업 팔라딘 조차도 상당한 피해를 입을 정도로 상당히 강해지게 된다. 하지만 업그레이드 가격이 식량 1450, 금 1000이라는 억 소리나는 비용과 150초라는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다보니 1대1에서는 공성 아너저 투석기를 보기가 어렵다. 그나마 팀전에서는 팀의 지원을 받으면 이 문제를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어 삼림지대 같은 폐쇄맵에서는 최종병기로 자주 활약한다.
4.1. 관련 기술
- 수도원
- 이단: 적에게 전향되는 대신 제거.
- 헌신: 전향 저항력 +15% 증가. (전향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이 1초 증가)
- 신앙: 전향 저항력 +50% 증가. (전향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이 4초 증가)
5. 문명 보너스
- 몽골: 이동 속도 50% 증가[10]
- 사라센: 공격력 15% 증가[11]
- 슬라브: 생산 비용 -15%
- 켈트: 공격 속도 +20%, 생산 속도 +20%[12], 체력 +40%[13], 시야 내 가축은 전향되지 않음
- 튜턴: 근접 방어력 +4[14]
- 불가리아: 승급 비용 식량 -50%
- 에티오피아: 광역 피해 범위 증가[15]
- 드라비다: 목재 비용 -33%
- 타타르: 고지대에서 공격시 추가 데미지 +25%
- 조지아: 고지대에서 방어시 추가 피해 -15%
아너저는 조선, 중국, 금, 요, 튀르크, 훈족을 제외한 모든 문명이 지원하지만 공성 아너저는 몽골, 켈트, 말리, 쿠만, 슬라브, 에티오피아, 튜턴, 시칠리아, 아즈텍, 불가리아, 사라센, 드라비다, 조지아만이 지원하기 때문에 팔라딘처럼 사실상 특수 유닛 취급을 받는다.[16] 이 중 말리와 쿠만, 드라비다는 공성 기술자가 없어서 공성 아너저 투석기를 쓰는 데에 애로사항이 있다.
[1] 장거리 공성 담당은 트레뷰셋 투석기와 사석포에게로 넘어갔다.[2] 예외적으로 사석포는 공성무기 판정이여서 아너저에 한대만 맞아도 죽지만, 사석포는 아너저보다 사정거리가 길어 사석포 상대로 오히려 불리하다.[3] 이런 이유로 아너저는 단독으로 운용하기보다는 창병의 엄호를 받아야 한다.[4] 전작에서도 중 캐터펄트만이 나무를 제거할 수 있었다.[5] 즉, 일꾼을 제외한 나무를 공격할 수 있는 유닛은 왕정시대까지 가야 나온다. 딱 하나 예외가 크메르 특수 유닛인 노포 코끼리로, 성주 시대에서도 강제 공격으로 나무를 두어개씩 없앤다.[6] 코끼리 기병 위주로 병력을 꾸리는 크메르의 특성상 가격이 저렴한 중스콜과 건물 파괴용인 공성추나 트레뷰셋을 제외한 다른 공성 유닛이 나올 틈이 없다. 어차피 크메르의 스콜피온은 사거리와 투사체 추가 보너스가 있어 아너저 없이도 적 보병 물량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다.[7] 로마의 스콜피온은 금 비용 60% 감소, 공격 속도 33% 증가 보너스가 있어 핵심 원거리 유닛으로 활약한다.[8] 대신 조선과 중국, 금과 요는 망고넬을 대체하는 로켓 수레를 사용할 수 있다.[9] 주 투사체가 아닌 추가 투사체에는 공격력 증가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10] 특수기술 '훈련'.[11] 특수기술 '평형추'.[12] 팀 보너스[13] 특수기술 '켈트족의 분노' 업그레이드.[14] 특수기술 '철갑판'.[15] 특수기술 '용수철 엔진'.[16] 여담으로 공성 기술자가 지원되면서 아너저가 특화되지 않는 문명 중 공성 아너저를 쓸 수 있는 문명은 시칠리아와 아즈텍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