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 <colbgcolor=#eee,#0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 | 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 |||||
외전작 |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실사 영화 관련: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모바일: SF4 아레나 | ||||||
기타 게임 |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J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 ||||||
미디어 믹스 |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 스트리트 파이터(2026)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 ||||
류 · 켄 | |||||||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 |||||||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단 / 겐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 |||||||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 |||||||
알렉스 · 윤 · 양 · 숀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길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 |||||||
C.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 |||||||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 |||||||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 | 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 ||||
고유 시스템 | 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 ||||||
기술표 | 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ebebeb 스트리트 파이터 6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 6 Street Fighter 6}}} | |
| |
<colbgcolor=#000><colcolor=#ebebeb> 개발 | 캡콤 |
유통 | |
장르 | 대전 격투 게임 |
게임 엔진 | RE 엔진 |
출시일 | PS4 / PS5 / XSX|S / Steam 2023년 6월 2일 아케이드판 2023년 12월 14일 NS2[1] 2025년 6월 5일 |
플랫폼 | PS5 | PS4 | Xbox Series X|S | Microsoft Windows Steam Deck[2] | 타이토 Type X4 | Nintendo Switch 2 |
ESD | 콘솔: PlayStation Store, Microsoft Store, 닌텐도 e숍 PC: Steam |
심의 등급 | |
한국어 지원 | 자막 한국어화 |
공식 사이트 |
1. 개요
|
2. PC 시스템 요구 사양
<colbgcolor=#000><colcolor=#fff> 시스템 요구 사항 (스팀 판매 페이지 기준)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운영체제 | Windows 10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7500 AMD Ryzen 3 1200 | Intel Core i7-8700 AMD Ryzen 5 3600 |
메모리 | 8 GB RAM | 16 GB RAM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60 (VRAM 6GB) AMD Radeon RX 580 (VRAM 4GB) |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5700 XT |
API | DirectX 12 | |
저장 공간 | 60 GB | |
추가 사항 | 그래픽 집약적인 장면에서는 프레임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3. 발매 전 정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발매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발매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구매 가이드
4.1. 발매 에디션
{{{#!wiki style="margin: -15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0.9em"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rowcolor=#fff> | | | |
이름 | <rowcolor=#fff> 스탠다드 에디션 | Years 1-2 파이터즈 에디션 | ||
가격 | <rowcolor=#fff> $39.99 / ₩44,800 [4] | $59.99 / ₩69,800[5] | ||
게임 본편 | ○ | ○ | ||
캐릭터 이용권 | 기본 18종 | ○ | ○ | |
Year 1,2 추가 8종 | × | ○ | ||
스테 이지 | 기본 16종 | ○ | ○ | |
Year 1,2 추가 4종 | × | ○ | ||
제공 색상 | 기본 색상[6][7] | 포함된 모든 캐릭터의 Outfit 1 색상 1~10 | ||
구입 특전 | × | 드라이브 티켓 8,400장 | }}} |
Year 1-2 패스 합본인 파이터즈 에디션의 출시에 앞서 스탠다드 에디션의 가격이 인하되었으며, 파이터즈 에디션 또한 예상보다 저렴한 가격에 출시되었다.
8월 12일 여름 맞이 세일을 진행한다. Year 2 패스도 20%로 첫 할인을 시작했다.
4.2. DLC
캐릭터를 상점에서 개별 구매할 경우 개당 350FC(파이터 코인)가 필요하다. 원화로 환산시 약 8400원 정도지만, 파이터 코인은 250, 610, 1250, 2750FC 단위로만 구입할 수 있어 강제로 오버페이를 하게 된다. 원하는 캐릭터가 단 하나라면 캐릭터 개별 구매가 더 적합하지만, 2~3명의 캐릭터를 구입하려 한다면 캐릭터 패스를 사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8] 또한 캐릭터 개별구매의 경우 기본색상[9]만 제공되며 색상은 재차 구매해야 하지만, 패스로 구매할 경우 추가로 색상이 제공되며, 드라이브티켓 등 특전도 제공된다.또한, 현재까지 Year 1 패스는 35%[10], Year 2 패스는 20% 할인[11]이 최대이다.
Year 3 패스가 스테이지와 구입 특전이 줄었음에도 가격이 인상되어 빈축을 샀다. 사실 이는 환율의 문제로, 실제로 다른 국가에서는 구성품 감소에 따라 가격이 소폭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4.2.1. 캐릭터 패스
1년간 나오는 추가 캐릭터를 제공하는 상품이다. 드레스업 아이템에 비용을 지불하기 싫다면 선택할 만한 상품이다.본편 구매 전이라면 Year 1, 2까지의 캐릭터 패스 중 하나만 사려고 하더라도 파이터즈 에디션으로 구매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 Year 1 캐릭터 패스
$29.99 / ₩34,800
{{{#!wiki style="display:inline-flex; font-size:0.92em; text-align: center; margin:2px; border-radius:35px 2px 12px 2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 21px, #111 21px, transparent 25px), linear-gradient(60deg, #3e160e 20%, #663817 60%, #925d05)"
Year 1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 Year 2 캐릭터 패스
$29.99 / ₩34,800
{{{#!wiki style="display:inline-flex; font-size:0.92em; text-align: center; margin:2px; border-radius:35px 2px 12px 2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 21px, #111 21px, transparent 25px), linear-gradient(160deg, #601E2C 0%, #772033 50%, #45212D)"
Year 2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 Year 3 캐릭터 패스
$29.99 / ₩36,800[a]
{{{#!wiki style="display:inline-flex; font-size:0.92em; text-align: center; margin:2px; border-radius:35px 2px 12px 2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000 21px, #111 21px, transparent 25px), linear-gradient(-25deg, #2C2519, #130D06, #130D06, #130D06, #2C2519, #2C2519, #130D06, #130D06, #2C2519)"
Year 3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3,000장
특전 - 드라이브 티켓 3,000장
4.2.2. 얼티메이트 패스
캐릭터 패스의 모든 컨텐츠에 해당 연차의 모든 드레스업 컨텐츠를 전부 제공하는 상품이다.[13] 풀드레스업 컨텐츠를 즐기고 싶다면 선택할 만한 상품이다.얼티메이트 패스를 구매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테이지 및 아웃핏 1의 컬러는 게임내에서 획득 가능한 드라이브 티켓으로 구매 가능하고[14], 아웃핏 2는 월드 투어에서 해당 캐릭터와의 유대감 최대를 달성하면 얻을 수 있지만[15], 아웃핏 3는 유료 재화를 사용하여야만 구매할 수 있다.
- Year 1 얼티메이트 패스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49.99 / ₩54,800
Year 1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
Year 1 추가 스테이지 2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7,700장
- Year 2 얼티메이트 패스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49.99 / ₩54,800
Year 2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
Year 2 추가 스테이지 2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7,700장
- Year 3 얼티메이트 패스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47.99 / ₩58,800[a]
Year 3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17]
Year 3 추가 스테이지 1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5,800장
4.3. 게임 내 재화
- 파이터 코인(FC)
오직 현금 결제를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다. 상점 및 기타 컨텐츠 등 거의 모든 인게임 아이템 및 기능을 파이터 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월드 투어 컨텐츠 제외) 캐릭터, 의상(Outfit 2~4)[18], 그리고 소속 클럽 슬롯 확장 기능은 오직 파이터 코인으로만 구매할 수 있다.
파이터 코인의 최소 구매단위는 250FC인데 반해, 캐릭터 및 의상은 300FC/350FC 이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를 단품 구매하기 위해선 파이터 코인을 필요 이상으로 추가 구매해야만 하는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구매할 수 있는 파이터 코인의 단위와 가격은 다음과 같다.250FC 6,100원 610FC 14,600원 1250FC 29,100원 2750FC 60,600원
- 드라이브 티켓
본 게임의 주요 무료 재화로, 챌린지나 토너먼트, 컨텐츠 참가 등 기간 한정 이벤트의 보상으로 제공되거나 Year 패스 특전으로 제공된다. 즉, 획득 가능한 양이 한정되어 있어 의외로 많이 모으기 쉽지 않은 재화이다. 상기한 일부 파이터 코인 전용 컨텐츠를 제외한 대부분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으나 획득량이 많지 않기에 자유롭게 사용하기는 쉽지 않은 재화다.
획득하는 팁으로는, 보통 2주에 한 번 꼴로 나오는 "배틀 허브에서 아바타 배틀/익스트림 배틀 참가" 챌린지, 캐릭터의 생일에 열리는 "생일 토너먼트" 등이 있다.
3년차부터 생일 기념 및 챌린지 미션, 시즌 패스의 특전 보상 등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브 티켓량이 줄어들었다.
- 플레이 포인트
파이팅 패스 및 캐릭터별 칭호 획득에 사용된다. 게임을 많이 하는 경우 파이팅 패스 기간 동안 랭크 매치만 꾸준히 해도 14500포인트를 모을 수 있지만, 포인트를 빠르게 채우려면 배틀 허브의 황금 캐비넷[19]이나, 월드 투어의 지하철에서 불량배들을 잡는 것[20]이 추천된다.
- 렌탈 파이터
보유하지 않은 추가 캐릭터를 1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렌탈권. 최대 10장까지 보유할 수 있으며, 게임 초기에는 파이팅 패스나 이벤트로 자주 제공했으나 2년차에 들어 서며 배포량이 꽤나 줄었다. 온라인 대전 중에 렌탈 시간이 끝나도 대전이 종료될 때까지는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배틀 허브 토너먼트와 같은 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컨텐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제니
싱글 컨텐츠인 월드 투어 모드에서 사용되는 화폐.
사용처는 월드 투어 내의 상점 및 일부 미션/이벤트 진행 용도로 한정되며, 월드 투어 내의 아르바이트 컨텐츠 및 각종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평범하게 월드 투어를 진행한다면 충분하게 제공되며 스토리의 빠른 진행을 위한 물약 구입 및 아웃핏 2를 얻기 위한 선물 구입을 제외하면 수급 작업을 할 필요성은 크지 않은 편이다. 다만, 전 캐릭터의 아웃핏 2를 해금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필요 제니량이 캐릭터 수만큼 배로 늘어나는데, 이 경우 나이샤르의 아르바이트인 Scrap Heap II의 하드 난이도에서 가장 높은 효율로 돈을 모을 수 있다.
5. 시스템
5.1. 조작 방식
이번작에서는 조작 방식이 모던 컨트롤 타입, 클래식 컨트롤 타입, 다이내믹 타입 3가지로 나뉘었다.- 클래식 컨트롤 타입
시리즈 전통의 조작 방식. 주먹과 발 각각 약, 중, 강 총 6버튼을 쓴다. 필살기 및 슈퍼 아츠 발동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정식 커맨드를 입력하여 발동한다.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mp.png중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mk.png중)을 함께 눌러 드라이브 패리,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hp.png강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hk.png강)을 함께 눌러 드라이브 임팩트를 사용한다.
- 모던 컨트롤 타입
자세한 내용은 모던 컨트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던 컨트롤#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모던 컨트롤#|]] 부분을
본작의 신규 조작 방식으로, 기본기 버튼이 펀치, 킥 구분 없이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l.png약공격,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m.png중공격,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h.png강공격 3개가 존재하며, 필살기 버튼이 따로 존재한다. 또한 클래식 타입과는 달리 방향키(중립 포함)와 필살기 버튼 조합에 따라 각기 다른 필살기가 발동되며, 강공격 버튼과 동시에 입력하면 슈퍼 아츠를 발동할 수 있다.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throw.png잡기 버튼[21], 드라이브 시스템 버튼을 원버튼(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di.png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dp.png)으로 조작을 하며,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assist.png어시스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공격을 계속 입력하면 자동으로 콤보를 이어주는 어시스트 콤보 시스템도 존재한다.
스트리트 파이터 4의 모바일 버전에서 선보인 조작이나 아크 시스템 웍스 게임에 탑재된 스타일리쉬 모드와 비슷한 양상이며, 당연히 원 버튼 시스템이라 대미지 페널티를 차용해왔다. 전술적으론 6버튼이 3버튼으로 줄어든 만큼 기본기 싸움에서의 약점이 존재하지만[22], 커맨드가 간편해지면서 클래식으로 대응이 불가능한 일부 반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의식의 분배가 편해지는 강점이 있다. 특히 입문자들에게 어려운 일부 변태 커맨드들도 간편하게 쓸 수 있다. 또한 웬만한 필살기 기술은 클래식 컨트롤의 커맨드를 입력해 동일한 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춰 대미지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신규 유저와 기존 커맨드를 어려워했던 유저들에게는 좋은 시스템이지만, 제한된 기본기 때문에 캐릭터의 운영 방식, 조작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기존 유저들에게는 막상 쓰라고 한다면 간단한 조작과는 달리 각종 어시스트 버튼과 필살기 버튼을 따로 익힐 필요가 있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 일장일단이 있는 조작 방식이다.
시즌 1을 지나오면서 모던은 초보자에게 대단히 친화적인 시스템이며, 입문자 기준으로도 모던은 클래식에 비해 훨씬 높은 랭크까지 이끌어줄 수 있음은 쌓여진 데이터를 통해 명백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고점이 낮냐 하면 캡콤컵의 최상위권은 기존의 조작에 익숙한 강자들이 포진되어 있기에 클래식이 절대적으로 많지만, EVO나 캡콤컵 같은 대회에서도 모던 유저가 있었다는 점은 모던도 파고들면 클래식만한 고점을 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클래식에 익숙한 최상위층에게 불리한 환경이냐면 그것도 아닌 게, 모던은 조작성의 불리점을 안고 있는데다 모던에 대응할 수준의 조작 능력도 있어서 중간층에겐 신경이 쓰이는 개편이지만 최상층과 유입층에겐 불만이 없는 특이한 개편 사례로 남게 됐다. 우메하라 다이고는 이를 두고 스트리트 파이터에서 진행되던 다양한 개편 중 가장 성공적인 개편이라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 다이내믹 타입
모던과 함께 본작의 두 번째 신규 조작 방식으로, 파이팅 그라운드의 일부 모드 전용 조작 타입이다. 온라인 대전과 월드 투어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자동 공격 이외의 조작도 가능하다. 상대와의 거리에 따라 공격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AI가 자동으로 상황을 판단해 점프, 대시 등의 액션이나 콤보를 발동한다. 자동으로 콤보가 발동된다는 게 밸런스 붕괴에 가깝기 때문인지 모던과는 달리 주요 컨텐츠에서 쓸 수 없다 보니 존재감이 많이 없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게임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이 아무 버튼이나 막 눌러도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게 만든 컨트롤로, 여전히 어느 정도의 수동 조작은 가능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대전에서의 가치는 어느 정도 있다.
추가로 컨트롤 설정에서 클래식과 모던의 추가 버튼 설정이 가능하다.
5.2. 배틀 시스템
- 드라이브 시스템
필살기의 강화 버전인 EX 필살기의 기능을 대체하는 시스템으로, 전작들과 달리 처음부터 총 6칸의 게이지가 주어지며 EX라는 이름 또한 OD(오버 드라이브)로 변경되었다. 뿐만 아니라 게이지를 사용하여 상대의 공격을 흡수해서 강해지는 "드라이브 임팩트[23]", 상대의 공격을 상/중/하단 상관없이 모두 막아낼 수 있는 "드라이브 패리[24]", 상대에게 빠르게 접근하여 더욱 강한 공격을 가하는 "드라이브 러시[25]"와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슈퍼 아츠
슈퍼 콤보, 크리티컬 아츠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 초필살기 게이지는 본작에서 SA(슈퍼 아츠)로 바뀌었다. 전작의 형식과 대체로 비슷하고, 드라이브 게이지와는 별개로, 슈퍼 아츠를 사용하는 데에만 쓰인다. 최대 3칸까지 축적 가능하며, 이를 소모하여 슈퍼 아츠를 발동할 수 있다. 슈퍼 아츠는 캐릭터마다 보통 3개씩 보유[26]하고 있으며, 게이지 잔량에 따라 특정 기술이 강화되는 것이 나오는 것이 아닌 커맨드에 따라 완전 별개의 기술이 나간다는 게 특징이다. 슈퍼 아츠 게이지 소모량은 레벨 1은 1개, 레벨 2는 2개, 레벨 3는 전량(3개) 소모하는 형식으로 각기 다른 슈퍼 아츠를 사용한다.
기본기, 필살기보다 비교적 높은 최소 보정 퍼센트 수치가 부여되어 보정이 많이 들어간 콤보에서의 마무리로 큰 대미지를 주기 유용하다. 또한 본작에서는 슈퍼 아츠를 시전하면 경기 시간이 일시적으로 멈추기 때문에 연출 중에는 타임오버가 발생하지 않는다. - SA1은 발동 시 타격/잡기 무적에 장풍 무적은 없으며, 대미지는 평균 2000, 기본기에서만 캔슬 발동이 가능하다. 최소 대미지 보정은 30%. 또한 발동시 잠깐의 일시정지만 있고 따로 애니메이션 같은 건 없는 편. 예외적으로 달심과 디제이는 발동 시 무적이 전혀 없는 대신 방향 조절이나 추가타를 넣을 수 있는 등의 기믹이 있는 편이다.
- SA2는 다소 독특한 기술로, 일반적인 타격기의 경우 2600~3000 정도의 대미지를 주고, 기본기와 OD 필살기에서도 캔슬 발동 가능하며, 최소 대미지 보정은 40%이다. 보통 타격/잡기/장풍에 모두 무적이지만 일부 캐릭터의 SA2는 아예 무적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타격기가 아니라 다른 기술을 해금/강화하거나, 추가 콤보가 가능하거나, 투사체를 소환하는 등의 기술도 있어 해당 기믹의 특성이나 성능에 따라 캐릭터의 개성이 크게 좌우되며, 특정 SA2 하나만으로 캐릭터 성능 자체가 크게 좌우되는 경우도 많다. 발동시 잠깐의 특수 애니메이션이 존재하고 효과 자체는 일반적인 필드에서 연출된다. 콜라보 캐릭터로 출시되는 테리의 경우는 드라이브 게이지 3칸과 SA 게이지 1칸을 추가 소모해서 추가타를 넣는 형식 또한 가지고 있다. 자체 공격 기능이 없는 SA2의 경우 모던 컨트롤에서 대미지 감소 부담 없이 사용할 수도 있다.
- SA3는 발동 시 완전 무적, 기본기는 물론 일반, OD 필살기에서도 캔슬 발동이 가능하다. 또한 발동 시 특수 애니메이션이 있고 히트시에는 게임과는 완전히 별개의 애니메이션이 나온다. 맞지 않았을때의 특수 대사는 덤. 최소 대미지 보정은 50%. 전작 스파 5의 크리티컬 아츠(CA)는 체력이 25% 이하일 때 레벨 3 슈퍼 아츠를 강화시키는 형태로 변경됐다. 체력이 25% 이하가 되면 1P는 빨강, 2P는 파랑이었던 체력바가 노란색으로 변하며, 동시에 슈퍼 아츠 게이지가 3칸이 모이면 게이지 옆의 숫자가 "CA"로 변하며 체력바 전체가 노란색으로 빛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레벨 3 슈퍼 아츠를 발동하면 크리티컬 아츠로 강화되어 발동하며 대미지 500 증가, 또한 기술 연출에 변화가 생긴다.[27][28][29] 대미지는 SA3: 4000, CA 4500 정도가 평균치이지만 잡기 판정의 SA3/CA을 가진 커잡 캐릭터들의 경우는 발동 조건, 무적 시간, 사거리 등의 성능이 떨어지는 대신 대미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30] 자세한 대미지 수치는 공식 사이트의 프레임 데이터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한 특이하게 슈퍼아츠 중에 정석적인 타격판정[31] 외에도 추가 타격판정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켄의 SA3은 1타가 맞으면 맞으면 특수 애니메이션이 나오지만 1타가 헛치면 모션은 비슷하지만 특수 연출은 없고, 불 승룡권 모션과 함께 열화된 데미지가 들어온다.
- 여태까지 유지된 게이지 기반의 스턴 시스템이 사라지고 드라이브 게이지를 모두 소모한 번아웃 상태일 때 드라이브 임팩트를 맞거나 막아서 벽에 충돌할 경우에 스턴 당하는 방식으로 개편되었다.
- 전작 스파 5의 크러시 카운터는 이번작에서 "퍼니시 카운터" 라는 이름으로 이원화되었는데, 딜레이 캐치를 당했을 경우 퍼니시 카운터 판정이 뜨면서 일반 카운터 보다 이득이 4F 늘고 데미지도 세진다. 잡기로 퍼니시 카운터를 했을 경우엔 카메라 시점이 바뀌고 대미지 또한 증가한다.
-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에서 추가된 기본기 간 우선 순위가 다시 사라졌다. 반대로 장풍 사이엔 크게 일반-오버 드라이브(OD)-SA의 급수가 생기면서 동급 장풍끼린 타수만큼 상쇄가 일어나지만 급수가 차이나는 상풍으론 상급 장풍을 상쇠할 수 없으며 일방적으로 상쇄된다.
- 전작까지만 해도 상대방이 공격 시 레버를 뒤로 입력하면 바로 가드 모션을 취하는 형식이었는데 본작에서는 가드 모션을 취하지 않고 그대로 뒤로 지나간다. 사소하지만 중요한 변화로 장풍 깔아두기로 유용하게 써먹었던 라라 마츠다처럼 상대방을 다운시켜놓고 깔아두는 굳히기가 방지되었다. 만일 라라가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면 기술 배치가 달라질 여지가 있는 셈.
- 캐릭터별 체력 수치가 10000 단위로 평준화되었다. 장기에프-(11000), 에드먼드 혼다와 마리사-(10500)처럼 덩치 캐릭터 일부만 조금 더 체력이 높은 편이고 강한 공격력과 약한 체력이 전통적인 캐릭터 컨셉인 고우키만 낮은 체력(9000)이 책정되었다. 그 밖의 캐릭터의 체력은 모두 공통적으로 10000.
5.3. 기술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기술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기술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게임 모드
스트리트 파이터 6 게임 모드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 |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월드 투어 ]] |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파이팅 그라운드 ]] | }}}}}}}}} |
게임 모드 소개 영상
3가지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싱글 플레이 RPG 월드 투어, 오락실에서 온라인으로 소통과 대전을 즐기는 배틀 허브, 고전적인 대전 격투 게임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파이팅 그라운드가 있다.
6.1. 월드 투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배틀 허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파이팅 그라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등장인물(플레이어블 캐릭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ark-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D2D2D, #161616 9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4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정렬 가나다순)] ## [[고우키| [[라시드(캡콤)| [[시라누이 마이(스트리트 파이터)| [[베가(캡콤)| [[사가트| [[알렉스(캡콤)| [[에드(캡콤)| [[엘레나(캡콤)| [[잉그리드(캡콤)| [[테리 보가드(스트리트 파이터)| [[A.K.I.| [[크림슨 바이퍼| 회색 배경: 출시 예정 {{{#!wiki style="margin: -25px -4px -11px" |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 |
출시 당시 선택창 | Year 1 캐릭터 포함 선택창 |
| |
Year 2 캐릭터 포함 선택창 |
🆕: 본작 신규 참전 캐릭터
✴️: 게스트 참전 캐릭터
※ 이미지의 캐릭터 나열은 출시 순서와 무관
7.1. 기본 캐릭터
7.2. DLC 추가 캐릭터
캐릭터 패스를 구매하거나 상점 페이지에서 파이터 코인(350코인)을 사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캐릭터. 구매하지 않아도 월드 투어 및 온라인 대전의 매칭에 제한은 없지만, 직접 조작하는 콘텐츠는 사용할 수 없다.7.2.1. Year 1 추가 캐릭터
| |||
사막의 질풍 '라시드'2023.07.24 | 화저독사 'A.K.I.' 🆕2023.09.27 | 유랑하는 해방자 '에드'2024.02.27 | 하늘을 꿰뚫는 주먹 '고우키'2024.05.22 |
7.2.2. Year 2 추가 캐릭터
| |||
깨어나는 포악 '베가'2024.06.26 | 전설의 늑대 '테리 보가드' ✴️2024.09.24 | 일본 제일의 쿠노이치 '시라누이 마이' ✴️2025.02.05 | 대자연의 치유자 '엘레나' 🔄2025.06.04[32] |
Summer Games Fest 2024에서 Year 2 추가 캐릭터 영상이 공개되며 베가와 엘레나에 SNK와의 콜라보로 아랑전설 시리즈의 테리와 마이가 추가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게스트 캐릭터로 팔려가는 일만 많았던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였으나 넘버링 시리즈 최초로 게스트 캐릭터가 참전하게 되었다. 또한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에도 켄과 춘리가 참전하며 단순 콜라보를 넘어 양사 간의 크로스오버가 성사되었다.
7.2.3. Year 3 추가 캐릭터
| |||
고봉의 정점 '사가트'2025.08.05 | C. 바이퍼 🔄 2025년 가을 | 알렉스 2026년 초봄 | 잉그리드 🔄 2026년 늦봄 |
일전에 유출 루머가 돌았던 "알렉스-바이퍼-사가트-잉그리드"[33]와 "사쿠라-미카-발로그-신규 캐릭터"[34]의 두 캐릭터 라인업 후보 중 전자가 사실로 확인되며 또다시 유출로 골머리를 앓게 되었다.
아미보 카드에서의 일러스트가 일부 공개되었다.#
라인업 중 가장 독특한 캐릭터는 역시 잉그리드로, 제로 시리즈의 이식판에 등장하긴 했지만 그마저도 캡콤 파이팅 잼의 데이터를 재활용한 수준이라 자사 콜라보도, 신캐릭터도, 재등장 캐릭도 아닌 그 사이쯤의 애매한 위치가 되었으며, 3D 그래픽으로 등장하는 것도 이번작이 처음이 될 예정이다.[35]
이전 시즌과 달리 3번째-4번째 캐릭터의 출시 시기가 연초 겨울/봄이 아닌 초봄/늦봄으로 공개되었는데, 대부분 이를 잉그리드의 6월[36] 출시를 암시한다고 보고 있다.
8. 스테이지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테이지}}}에 대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테이지: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기본 스테이지 | |
메트로 시티 다운타운 | 콜로세움 |
바이런 테일러 항공모함 | 겐부 사원 |
썬더풋 마을 | 천홍원 |
바르말레이 제철소 | 달시메 사원 |
배더스 비치 | 구시가지 |
레인저스헛 | 신전 투기장 |
킹 스트리트 | 마초 링 |
페트 포랭 | 트레이닝 룸 |
시즌 1 추가 스테이지 | |
폐쇄된 연구소 | 염마동굴 |
시즌 2 추가 스테이지 | |
파오파오 카페6호 | 레니알라 유적 |
시즌 3 추가 스테이지 | |
고고한 봉우리 |
9.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2023년 7월 28일 음원 사이트(멜론, 지니, 벅스, 바이브, 플로, 애플뮤직, 스포티파이)를 통해 발매됐으며, CD판은 2023년 9월 20일에 발매됐다.
9.1. Not On The Sideline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t On The Sideline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t On The Sideline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파이팅 패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패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패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현재 진행 중인 파이팅 패스 보기 / 닫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98411><tablebgcolor=#000><tablecolor=#ebebeb><table width=644><nopad>
||
개최 기간: 2025년 7월 4일(금) 16:00 ~ 2025년 8월 8일(월) 15:59 받을 수 있는 보상들 - 시즌 25: Get Ready for 사가트
켄과 류의 EX 컬러[37]와 난입 일러스트가 보상에 추가되었다. 이외에 사가트 신규 복장을 재구성한 아바타 복장, 스트리트 파이터 1 시절의 사가트의 움직임을 구현한 감정 표현 등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시즌 25: Get Ready for 사가트
대세를 따라 스트리트 파이터 6에도 배틀 패스 시스템이 도입됐다. 먼슬리, 위클리, 데일리 챌린지를 클리어하고 플레이 포인트를 쌓아 티어를 올려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무료 보상과 250 파이터 코인(6,100원)으로 해금 가능한 프리미엄 보상이 존재한다.
받을 수 있는 보상은 추가 캐릭터 출시 후 사용 가능한 렌탈권[38], 스탬프, 단말기 배경, 포토 프레임, 칭호, 감정 표현, 아바타 의상 등으로 대부분이 아바타용 콘텐츠지만, 갤러리의 게임 센터에서 플레이 가능한 고전 캡콤 게임, 그리고 구작 시리즈 OST[39] 등의 컨텐츠도 있다. 2025년 7월부터는 EX 컬러도 보상에 추가되었다.
티어 21부터 30까지는 프리미엄 보상을 해금해야 진행이 가능하며, 패스를 구입하는데 쓴 250 파이터 코인이 그대로 페이백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에이펙스 레전드마냥 게임을 꾸준히 한다면 첫 배틀 패스 이후로는 계속해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로 라이트층은 크게 과금 유도를 느끼지 않고, 코어층은 게임만 해도 자연스럽게 매 패스 보상을 챙김과 동시에 다음 패스까지 구입할 수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단, 보상이 너무 아바타와 갤러리 모드에 치우쳐 있어 컬러 정도라도 좀 넣어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은 종종 보이는 편이다.
팁으로, 플레이 포인트를 빠르게 쌓는 방법으로는 배틀 허브의 황금 캐비넷[40]이 주목받았지만 현재는 월드 투어에서 잡몹 한 마리당 1포인트에서 10포인트로 크게 상향되며 지하철 노가다가 각광받고 있다. 대략 2~3시간 만에 끝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여담으로 본작의 느린 업데이트 중 그나마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컨텐츠인 탓에 의도치 않은 샌드백 역할을 맡게되어, 유저들의 갈증이 커지는 시기에는 파이팅 패스 트레일러에 많은 싫어요 비율과 함께 신규 캐릭터를 찾는 댓글들을 확인할 수 있다.
11. 업데이트 내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업데이트 내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업데이트 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
기준일: 2025-09-06 | ||
'''[[https://www.metacritic.com/game/street-fighter-6/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https://www.metacritic.com/game/street-fighter-6/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상세 내용 |
Simply put, Street Fighter 6 is one of the very best entries in series history.
간단히 말해, 스트리트 파이터 6는 시리즈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다.
디스트럭 토이드
뛰어난 그래픽과 연출, 훨씬 풍부해진 컨텐츠, 입문자의 수월한 진입을 유도하는 여러 장치 등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보다 거의 대부분의 면에서 일취월장한 모습을 선보여 시리즈의 근본인 스트리트 파이터 2 이후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동세대 대전 격투 게임들은 장르의 고착화로 인한 높은 진입 장벽, 부족한 컨텐츠 등을 비롯한 여러 고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정도를 제외하면 잘해야 평론가 평점이 80점대에 머무르는 게 대다수인데, 90점대라는 고득점을 달성했다는 점만으로도 그 완성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성이 인정되어 더 게임 어워드 2023에서 격투 게임상 D.I.C.E. 어워드 2023 올해의 격투 게임상을 수상했다.간단히 말해, 스트리트 파이터 6는 시리즈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다.
디스트럭 토이드
우선 전투의 난이도, 타격감, 그래픽 등은 그야말로 일신했다 말할 수 있는 수준인데, 캐릭터당 하나만 보유하던 슈퍼 아츠는 3개 이상 배치되고 연출도 크게 강화됐다. 월드 투어를 내세우는 싱글 콘텐츠는 소울 칼리버 시리즈 같은 싱글플레이 지향 게임보다도 거대한 수준의 컨텐츠 규모를 자랑하며, 게임 내 현질 요소도 캐릭터 해금, 신규 복장[41] 등을 제외하면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화로 충분히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등 합리적인 편이다. 게다가 로비 안 아케이드 코너에서는 용과 같이 시리즈를 연상케 하는, 캡콤의 고전 게임들을 탑재한 부가적인 미니게임까지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다.
무엇보다 대전 격투 게임들이 흔히 지적받는 문제인 높은 진입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요소들이 많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월드 투어는 자신에게 적절한 기본기를 가진 캐릭터를 찾거나 AI 캐릭터에게 걸린 아이템을 노린다면 적의 특정 패턴을 대응하는 연습이 가능하고, 미니 게임은 보다 심화 과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표적으로 하도(HADO) 피자 가게는 클래식 타입의 커맨드, 병깨기는 모으기 커맨드의 연습을 겸한다. 동시에 모던 모드를 도입하여 커맨드 입력의 난이도를 대폭 낮추었다. 경쟁작들 또한 비슷한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으나 실전에서 쓰기에는 곤란한 성능에서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작에서는 충분히 중수 이상라고 할 수 있는 마스터급에서도 통용이 가능한 성능으로 구현되어 유의미한 시스템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이러한 조치의 연장선상으로 양학 문화를 차단하고자 랭크 시스템에도 많은 노력이 들어갔다. 배치고사 시스템을 통해 고계급 유저의 초반 양학을 통제하고, 입문자 구간을 루키-아이언-브론즈-실버-골드로 나누고 이를 다시 5단계로 세분화해 총 25개의 구간을 만들었으며 연승 시 점수가 배로 상승해 초보자들이 큰 성취감을 얻도록 유도했다. 그리고 연승 보너스를 제거한 중급자 구간 플레티넘-다이아몬드를 지나 상급자 구간인 마스터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강등 없이 ELO 시스템에 기반한 매칭이 진행되어 전작에서 상급자 간의 매칭에서조차 큰 실력차가 나타났던 것을 개선했다.
전작의 새 캐릭터를 해보고 싶으면 지금 랭크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캐릭터 하나하나마다 랭크를 따로 부여하여 소위 말하는 부캐 키우기도 편해졌고, 부담도 덜 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하던 주력 캐릭터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어 브론즈와 다이아 사이의 실력 차이는 엄청나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계급을 가진 캐릭터보다 좀 더 높게 배치가 되게 보정되어있고, 만약 캐릭터 하나라도 마스터 티어에 도달했다면 무조건 새 캐릭터의 배치는 최소 다이아 1부터 시작하게 되어 초보자들 입장에선 양학을 당하지 않아 좋고 새 캐릭터를 하는 입장에선 연습도 제대로 되고 티어 올리기도 빠르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 또한 호평받고 있다. 후속 패치로 아예 플래티넘 이상에서도 10연승을 할 경우 1000점을 얻게 되어서 소위 말하는 트럭조차 없애기 위한 노력이 많이 들어가 있다.
최적화 역시 기종을 가리지 않고 훌륭하다. 월드 투어가 아닌 일반적인 대전은 최소 사양 기준으로도 풀옵에서 고정 60프레임을 무리없이 뽑아내고, 출시가 10년이 되어가는 일반 PlayStation 4/PlayStation 4 Slim으로도 해상도만 조금 낮을 뿐 60프레임이 안정적으로 뽑힌다. Steam Deck 역시 중하옵 기준으로 매우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인다. 다만, 오픈 월드 RPG 스타일의 월드 투어 최적화는 좀처럼 좋은 평가를 듣지 못한다.[42]
넷코드도 호평받고 있는데, 역대 격투 게임들 중 가장 쾌적한 넷코드 덕에 악명 높은 해외 와이파이 유저들과 대전해도 별 문제를 느낄 수 없을 정도다. 한국 유저끼리 플레이해도 잔렉이 발생했던 전작을 감안하면 엄청난 수준의 발전이다. 이 부분은 이후 출시된 철권 8이 부실한 외주 넷코드로 비판을 받기 시작하며 더욱 부각됐다.
메타크리틱 유저 평점은 다소 박한데, 이는 스팀판 내에 게임 퍼포먼스 성능 저하의 원인으로 꼽히는 데누보 프로그램을 탑재한 것과 배틀패스를 비롯한 유료 게임의 소액 결제에 대한 일부 서양 커뮤니티 내의 반발로 인한 평점 테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전작에 비해 타이트해진 선입력 조건으로 인해 조작감이 상당히 빡빡한 것도 낮은 점수에 한몫하고 있다. 다만 스팀의 평점은 그보다 훨씬 높다.
전반적인 평론가/유저 평점은 더할 나위 없는 명작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격투 게임 특유의 DLC 팔이 자체에 대한 반감과 가치에 비해 높게 측정된 가격의 캐시템 및 콜라보템, 파이터 코인 판매 단위 및 가격[43], 느린 컨텐츠 추가 주기[44] 등을 이유로 비판하는 유저들이 일부 있는 편이다.
13. 흥행
출시 첫 날 Steam 동시 접속자 7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대전 격투 게임 장르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2023년 6월 7일, 전 세계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누적 판매량 5,000만 장을 달성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2023년 7월 7일, 전 세계 판매량이 200만 장을 돌파했음을 알렸다.
2024년 1월 16일, 전 세계 판매량이 300만 장을 돌파했다. 2024년 5월 캡콤 실적 발표에서는 3월까지 총 330만 장이 판매되었다고 발표되었다. 2024년 5월 22일 고우키의 출시 및 대규모 밸런스 패치에 힘입어 다시 한 번 스팀 동시 접속자 7만 명을 돌파했다. 출시 후 1년 만에 총 377만 장이 판매되었다.# 2024년 9월 6일 400만 장 판매 소식을 알렸다.# 2024년 말까지 총 440만 장 판매되었다.#
2025년 6월 11일, 전 세계 판매량 500만 장을 달성했다.#
e스포츠로서의 흥행 또한 기존 대전 격투 게임들 중 최고 수준으로, 종합 격투 게임 대회 EVO의 첫 해 참가자 수가 7000명 이상을 돌파하면서 기존 최고 기록이었던 스트리트 파이터 5의 참가자 5065명을 자사 프렌차이즈의 신작으로 갈아치우게 되었다. 또한 CAPCOM CUP X의 경우 전 세계 31만 명이 동시 시청하는 기록을 세우는 등 크게 흥행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의 인기가 막강하다. 캡콤의 연달은 홈런을 통한 주가 및 신뢰도 상승, 게임 자체의 퀄리티, 버츄얼 유튜버들의 홍보 효과가 맞물려 발로란트, 스피드런에 이어 일본 게임 방송 시청률 3위에 자리잡았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EVO 재팬에서 2024년에는 4800명, 2025년에는 6600명을 넘기며 본가 EVO의 역대 1위 기록에도 근접했다. 덕분에 대한민국은 일본은 커녕 중국의 흥행도 따라잡지 못하지만, 준수한 넷코드와 흥행하는 양국 사이라는 지리적 이점로 인해 전 세계에서 가장 유리한 랭크 매치 환경을 가지게 되었다.
2025년 2월 6일, 일본 내에서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다.# 이는 격투 게임 역사상 PS1판 철권 3 이후로 무려 27년 만의 기록이다.#
출시 2년차에 접어드는 2025년 5월에도 다른 경쟁작들의 부진과 실패로[45] 별다른 게임 내적인 변화 없이도 파이를 차지하며 유저 수가 계속 증가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46]
2025년 8월 5일, 사가트의 출시와 아웃핏4의 판매로 스팀 일본 매출 1위, 전 세계 매출 2위를 달성했다.
14. TYPE ARCADE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 이어 본작에서도 아케이드 버전도 공개되었으며, 2023년 12월 14일에 일본내 가동이 시작되었다. 공식 명칭은 스트리트 파이터 6 타입 아케이드. 기판은 타이토 Type X4[47]이며, 본작에서도 타이토의 NESiCA 및 뷰릭스 기체를 사용한다.15. 공식 코믹스
스파 6 본편 이전을 다룬 4편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공식 프리퀄 코믹스가 있으며 공식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공식 사이트 제목은 "Days of the Eclipse". 4개의 챕터로 나눠지며, 각각 챕터 1: Some Indication, 챕터 2: A Good Fake, 챕터 3: Manipulation, 챕터 4: As a Father이다.과거 전미 격투 챔피언이자 현재는 마스터즈 재단의 부회장인 켄은 이사회의 일원이자 켄의 아버지와도 오랜 사이인 알 잭슨[48]과 함께 아시아의 신흥 국가 나이샤르를 후원하기 위해 찾아간다. 나이샤르 후원 NGO 회장 요한 페트로비치는 켄에게 바샤르 산 정상의 고대 투기장에서 격투 토너먼트 대회를 열어 역사와 전통의 홍보, 컨텐츠 생산을 통한 전세계를 상대로 한 수익성 발생을 동시에 잡자는 제안을 하고, 자신의 결정에 매번 수익성을 이유로 반대하는 이사회에 이질이 나있던 켄은 곧바로 이에 동의하고 펀드를 제공하기로 약속한다. 하지만 알과 함께 호텔로 돌아가던 중 국가의 급격한 변화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대를 만나고, 그 사이로 가면을 쓴 테러 단체가 나타나 총기를 난사하며 차를 습격하고 이에 알이 사망하게 된다. 겨우 목숨은 부지한 켄마저 차가 폭발해 죽을 뻔하지만 가까스로 누군가에 의해 가까스로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한편 켄의 아들 멜 마스터즈는 아버지의 의뢰를 받은 루크의 호위를 받으며 켄을 따라서 나이샤르 후원 과정을 견학하기 위해 나이샤르로 가고 있었다. 하지만 멜을 기다리기로 했던 켄은 오지 않았고, 켄이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후원 계획을 중지할 수는 없었던 요한은 대회 유치를 발표하려 한다. 하지만 발표 도중 스스로를 "암네시아"라고 자칭하는 의문의 집단에 의해 화면이 해킹당한다. 화면에서의 켄은 자신이 오직 재단의 이익을 위해 반정부 테러 단체에게 무기를 후원했다고 자백하고, 이어서 암네시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국가를 혼란에 빠트린 켄을 지탄한다. 멜은 이를 바로 앞에서 지켜보며 혼란에 빠지고, 그때 갑자기 경기 중계용 드론이 오작동을 일으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을 습격하며 혼란에 빠지게 된다.
한편 깨어난 켄은 자신을 구해준 것이 춘리이고, 최근 나이샤르의 수상한 금융 범죄 동향을 조사하러 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켄에게 테러 후원에 대한 폭로 영상을 보여주고 춘리는 부정하는 켄에게 물론 자신은 켄의 믿지만 남들은 그렇지 못할 것이라 말한다. 그렇게 춘리는 켄에게 사태가 잠잠해질때까지 자신과 함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조사를 부탁했던 리펜과 통화를 하러 간다. 습격의 배후에 대해 고민하던 켄은 자신이 신전 격투장의 드론에 대해 악평을 했던 순간 이상한 반응을 보였던 요한의 비서 '칼리마'를 의심하게 된다. 그리고 상처를 쥐어짜 피를 내서 춘리의 조수를 유인한 후 제압하고, 춘리가 소란을 듣고 왔을 땐 이미 창문으로 켄이 달아난 후였다.
루크가 소속한 용병 단체는 요한의 선택에 따라 켄을 테러범으로 정의하고 무력 체포를 하려 했지만 루크의 주장으로 단 하루 간 유예가 주어진다. 이후 루크는 켄을 생포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며 멜과 헤어지는데, 직후 혼자 남은 멜을 누군가 납치해간다.
한편 숨어서 움직이던 켄은 갑작스런 폭발에 시선이 끌려 정체가 발각되어 도망가던 중 문득 나타난 요한과 재회한다. 그리고 요한은 충격적인 이야기를 하는데, 자신이 그동안의 이 모든 사태의 배후이고, 폭탄 테러, 총기 난사부터 암네시아와 드론 오작동 사태, 멜의 납치까지 모두 자신의 계획으로 일으킨 사건이라고 밝힌다. 심지어는 감금된 멜을 보여주고, 나이샤르 각지에 퍼진 자폭 드론을 조작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켄의 핸드폰을 건네주고는 3분 안에 기폭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멜이 있는 곳의 드론이 터질 것이라고 협박한다. 미칠듯이 갈등하던 켄은 결국 1초를 남기고 기폭 버튼을 누르게 되고, 직후 루크에게 발견되지만 폭발에 신경이 팔린 순간에 누군가의 도움으로 탈출하게 된다. 스위치부터, 구체적인 테러 계획이 그려진 현장을 보고 루크는 켄이 테러리스트라고 확신하게 된다.[49]
켄을 도와준 사람은 켄이 그렇게 의심했던 칼리마. 사실 반정부파 리더였던 칼리마는 자신도 요한의 계략에 의해 수많은 동료들이 억울하게 체포당했으며 자신은 그저 정말로 나이샤르가 제대로 자립할 수 있기를 바랐을 뿐이지만 요한이 모든 것을 망쳤다고 말한다. 요한의 후원 계획은 언뜻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진짜 목적은 켄의 성격을 자극해 격투 대회에 빠른 투자를 받아내서 전세계에 중계하며 불법 도박을 운영, 자금 세탁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물론 격투 대회를 후원하고, 반정부단체를 후원하고, 자폭 드론 테러를 일으킨 누명은 켄에게 돌아가게 된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켄은 그럼에도 "마스터즈 가는 절대로 중간에 포기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미끼일 것이 뻔한 아들 멜을 찾으러 가기로 한다. 한편 이 말을 증명하듯 멜 또한 루크에게 받은 잭나이프로 탈출해내고야 만다.
계획에 차질이 생겼지만 요한은 그대로 나이샤르 격투 대회를 개최하며 첫 도전자를 소개하는데, 이때 나타난 사람은 다름아닌 켄. 자신을 가로 막는 대전자를 가볍게 쓰러뜨리고 요한와 대면하지만 곧바로 저지하러 온 루크와 대치하게 된다. 요한은 멜을 이용해 켄을 자극하고, 흥분해 달려드는 켄을 루크는 얼굴에 상처를 입으며 막아선다. 흥분한 켄은 루크에게 서브미션을 당하며 패배할 위기에 처하는데, 탈출한 멜이 드론을 이용해 띄운 화면을 통해 켄을 부르고, 켄은 정신을 차리고 빠져나오는데 성공한다. 한편 칼리마는 혼란을 틈타 요한을 암살하려 시도하지만 역으로 제압당하여 쓰러지고, 루크를 쓰러뜨린 켄도 결국 현장에서 체포되며 사태는 종료된다.
한편 춘리는 리펜이 조사한 사실을 듣고 있었는데, 요한 페트로피치라는 이름은 가명으로 그는 여러 다른 나라, 여러 NGO에서 J.P.라는 공통적인 이니셜의 이름들을 돌려쓰고 있고, 언뜻 합법적인 사업을 펼치는 듯 보이지만 그가 떠나면 6개월도 안 되어 국가가 파멸에 이르고, 또한 조사하던 중 역으로 해킹을 당할 뻔했다며 굉장히 위험한 인물일 것이라고 경고한다.
마지막으로 도망친 것인지 풀려난 것인지[50] 노숙자같은 차림으로 길거리를 걷는 켄, 그리고 아버지를 기다리겠다고 말하는 멜을 비추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16. 기타
- 시리즈의 초기작 중 하나이며, 근간인 SF2 시리즈를 최대한 벤치마킹[51]하고 모티브로 잡은 SF4, SF5 시리즈에 비해 아트워크나 캐릭터 스타일, 비주얼 등이 SF3 시리즈 같이 힙합스러우면서도 그래피티 스타일의 현대 미국적인 스타일로 바뀌었다.[52] 특히 캐릭터 테마곡을 갈아엎었다는 점에서 그 변화폭이 크다고 할수 있다. 다만 그동안 어레인지 형태로 유지하던 기존 캐릭터 테마곡이 완전히 바뀐 것에 대해선 이전작들과 비교하면서 아쉬워하는 반응이 있다.[53]
SF6의 신규 시스템인 드라이브 임팩트의 경우 아예 물감이라고 불릴 정도로 '스트리트' 파이터라는 이름에 한창 더 걸맞은 스타일이 여러모로 드러난다.
-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표기에서는 6 부분에 기존 작품에서 사용한 로마자 숫자가 아닌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지만, 로고의 숫자를 보면 오른쪽 부분에 로마자 VI가 보인다. 트레일러에서도 VI를 먼저 보인 후에 그걸 돌려 6으로 만드는 연출을 보이면서 의도적인 것임을 분명히 했다.
- 시대 배경은 스트리트 파이터 3 이후를 다루고 있다. 현시점에서 출시된 작품 중에서는 가장 나중의 시간대이다.[54]
- 캔슬의 선입력 조건이 상당히 빡빡해졌는데, 그 이유는 전작에서 히트확인 플레이가 너무 강력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줄인 것으로 보였다.
- 승리 화면에서는 배경에 흑백으로 실제 게임 중의 주요 장면을 캡쳐한 사진들이 나열된다. 다만 너무 흐릿하여 이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
- 스트리트 파이터 4의 프로듀서, 스트리트 파이터 5의 총괄 프로듀서로 스파 시리즈의 신시대를 이끌었던 오노 요시노리가 캡콤을 퇴사한 후 새로운 체제 하에 개발되는 신작이다.[55] 한편 오노는 티저 트레일러를 리트윗하면서 매우 기대된다(#1)는 반응을 보였고 2022년 6월 3일 발표 트레일러를 리트윗하면서 멋지다는 반응을 보였다.#2
- 시리즈 처음으로 e스포츠 스타일의 실황 중계 기능이 도입된다. 대전 격투 게임 커뮤니티 유명인의 음성을 게임에 넣기 위해 함께 작업하고 있으며 더 많은 해설자가 추후 발표된다고 밝혔다.#1 한 사람과 100번째 연속으로 대전을 하면 이에 관해 코멘트를 남기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 Year 1 포함 전 캐릭터 입장 연출, 대전 직전 대사, 승리 이벤트 모션 모음
오프라인 모드에서 대전이 성립되면 로딩 화면이 뜰때 인트로 연출이 발생하는데 대전을 하는 두 캐릭터가 주변인들의 환호를 받으며 경기장 안으로 입장하는 연출이 나온다. 이때 파이터 프로필이 나오며 입장이 끝남과 동시에 두 캐릭터가 각자 포즈를 취하면서 카메라가 줌 아웃되고 VS라고 적힌 간판이 나오면서 VS 화면으로 전환된다. 마치 UFC나 WWE 같은 격투 경기를 보는 것처럼 개성적이고 인상적인 연출로 호평 받았다. 통로의 디자인이나 흘러나오는 BGM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캐릭터들은 걸어나오는 와중에 각자만의 리액션을 보인다. 더불어 소울 칼리버 2처럼 VS 화면에서 표정을 바꿀 수 있다.#1
때문에 오프라인 대회의 주요 경기에서도 이 연출만은 스킵하지 않고 끝까지 틀어주는 편이고, 관중들도 인트로의 구호에 맞춰 함성을 지르는 것이 일종의 관람 문화처럼 정착했다. 하지만 일부 성격이 급한 선수들이 깜빡하고 이 연출을 스킵하는 일이 일부 있기도 했고, 그래서인지 마이 업데이트에 오프라인 대전에 "대회 모드"가 추가되어 인트로 연출이 스킵되지 않게 설정하는 기능이 생기기도 했다.#1
- 이전 시리즈보다 더욱더 실사 지향을 강조한 그래픽과 디자인을 선보인다. 그래서인지 이전작들의 카툰풍 그래픽과 디자인을 비교하면서 아쉬워하거나 호불호가 갈리는 반응도 많은 편.
- VS 스크린[56]에서 캐릭터의 위치가 1P냐 2P냐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며, 기본 캐릭터로 등장한 스파 2 시리즈 출신 10명의 경우 라운드별 승리포즈(#1)와 캐릭터 선택 장면 등은 이전작들의 일러스트를 바탕으로 두고 있다. 또한 번아웃 상태(#2)에서는 캐릭터의 자세가 달라지거나 드라이브 패리 지속 상태에서도 상대의 공격에 따라 방어 자세를 바꾸는 등의 많은 디테일이 숨겨져 있어 팬들 사이에서는 제작진들의 열의가 느껴져서 좋다는 반응도 많다.
- 스트리트 파이터 5와 비교하여 월드 투어 모드, 배틀 허브, 각종 미니 게임, 익스트림 배틀 등 싱글 플레이어와 라이트 유저들에게 어필하기 좋은 콘텐츠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소개 영상에서도 이를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2022년 11월 19일 스파 6의 프로듀서인 마츠모토 슈헤이와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를 비롯한 스파 시리즈의 아트워크를 담당하고 있는 오카노 쇼에이가 ITmedia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스트리트 파이터 5가 캡콥컵 및 각종 대회 일정을 위해 무리하게 일찍 발매해 콘텐츠 부족으로 싱글 플레이어와 라이트 유저들이 등을 돌리면서 초반 흥행에 실패한 것을 반면교사로 삼았다고 한다. 2023년 4월 27일, 마츠모토 슈헤이 프로듀서와 나카야마 타카유키 디렉터가 참석한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진행된 스파 6 미디어 쇼케이스 이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1 #2)에 따르면 커스터마이징의 경우 몬스터 헌터 시리즈, 드래곤즈 도그마에서 커스터마이징을 담당했던 개발진들이 스트리트 파이터 6만을 위해 월드 투어, 배틀 허브의 아바타 생성 시스템을 별도로 만들었다고 한다. 2015년 이후 대전 격투 게임이 초보 친화적인 노선을 걷고 있음에도 불구하고[57] 신규 유저들이 많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을 고려해, 그 해결책으로 싱글 플레이를 강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신규 유저들이 유입되기 위해 싱글 플레이를 강화함으로써 초보 유저라도 초장부터 고인물과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게임 시스템과 커맨드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방향성을 유도하고자 하는 듯 하다. 이 외에도 레벨 8 CPU는 체험판 가동 초기엔 업계에서 이름있는 유저나 프로들도 고전 내지는 신승을 할 정도로 상당히 강한 편이라, 컴퓨터와의 대전에서 유저간의 대전으로 넘겨줄 징검다리 역할을 충분히 소화할 만 하다.
-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 이후로 일본 본사가 개발 및 관리 주체를 모두 총괄하게 된 첫 작품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와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의 경우, 당시 판권을 캡콤의 북미지사인 CAPCOM USA가 관리하고 있었고, 개발은 본사가 공동으로 맡아서 제작되어 본사가 아닌 북미지사의 이름만 카피 라이트에 표기되었으나 2022년 3월 진행된 결산 단신을 통해 지사로 부터 IP들을 양도 받았다는 내용이 공개되었고, 이후 본사 단독 명의로 표기됨으로써 IP 관리를 캡콤 본사가 직접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본사가 당시 양도받은 IP 작품 리스트는 여전히 비공개 상태이다.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사상 가장 많은 여성 신캐릭터들이 스타팅 멤버에 추가된 작품이다. 완전 신캐릭터 6명 중에 무려 4명이 여성으로 스파 제로에서 로즈 1명, 스파 3에서 이부키와 엘레나 2명, 스파 4에서 크림슨 바이퍼 1명, 스파 5는 라라 마츠다 1명만 추가되며 시작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 더 나아가 스파 시리즈 여캐의 역사가 스파 2에서 춘리 1명만 달랑 추가되면서 시작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이다.
- 2022년 9월 15일 TGS 2022 CAPCOM 온라인 프로그램, 같은 날짜에 오후 11시 36분 스파 시리즈 공식 트위터를 통해 지구 데뷔 35++주년을 맞이한 데몬 각하가 실황 중계 기능의 해설자로서 인게임에 목소리로 출연한다고 밝혔다.#
- WWE에서 주최한 PLE 2023년 로얄럼블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6의 홍보 콜라보를 겸해 젤리나 베가가 한주리 코스프레를 하고 한주리의 퍼포먼스를 재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 인연인지 젤리나 베가는 본명인 티아 트리니다드로 실황 중계 기능의 해설자로서 인게임에 목소리로 출연한다.#
- 2023년 3월 10일 Capcom Spotlight, 같은 날짜에 오전 7시 36분 스트리트 파이터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배우 타카하시 히카루가 실황 중계 기능의 해설자로서 인게임에 목소리로 출연한다고 밝혔다.#
- 2023년 4월 21일 스파 6 쇼케이스 이후 배포된 체험판에서 레벨 8 난이도의 CPU와 대전을 할 수 있는데, CPU의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워서 화제가 되고 있다. 유명 프로게이머인 우메하라 다이고나 토키도조차도 10분 넘게 CPU와 대전을 했는데도 열세였으며, 강제연결 같은 스킬은 기본이고, 칼같은 대공, 절묘하게 내지르는 드라이브 임팩트와 드라이브 러시, 그로부터 파생되는 엄청난 데미지의 콤보로 프로게이머들조차도 곤혹에 빠지게 만들고 있다.
- 2023년 4월 27일, 스트리트 파이터 6 미디어 쇼케이스 행사에서 나카야마 타카유키 디렉터가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본작의 메인 이미지는 루크 설리반이 차지하고 있지만 개발진들은 출시와 함께 공개되는 초기 로스터 18인 전원이 주인공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월드 투어 모드에서 스승으로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의 제자로 들어가는 요소도 있다고 밝혔다. 또한 본작은 최종 보스에 대한 정보가 하나도 나오지 않았는데, 최종 보스에 대한 힌트를 줄 수 있느냐는 질문엔 스포일러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밝히기 어렵다고 했다.#
- 2023년 5월 5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스트리트 파이터 6 본편 이전을 다룬 4편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프리퀄 코믹스인 Days of the Eclipse를 공개했다.(영어)/(일본어)
- 2023년 5월 26일 캡콤 공식 일본어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영장류 최강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요시다 사오리가 출연한 스파 6 CM을 공개했고 2023년 6월 8일 메이킹 영상을 공개했다. 그 외에도 요시다의 모습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수치나, 본인이 직접 캐릭터들을 쓰러뜨리는 방법 영상들도 공개했는데 류는 파동권을 손으로 쳐내고 태클한다거나, 루크는 도발할 때 싸늘한 시선으로 마음을 꺾어버린다, 달심은 늘어난 팔을 가볍게 받아넘기고 떠 있는 몸을 잡기로 지면에 「쾅!」 한다, 장기에프는 더블 래리어트와 놀아 주고 가볍게 대미지가 들어간 지금 업어치기 한판으로 박살낸다는 등 영장류 최강 밈을 활용한 개그가 압권.
- 2023년 6월 9일 Summer Game Fest 2023과 9월 15일 TGS 2023 CAPCOM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스파 6 시점의 류, 춘리, 가일이 엑조프라이멀에서 2023년 가을에 진행된 엑조프라이멀 X 캡콤 타이틀 콜라보 이벤트 1탄의 엑소 슈트(Exosuits) 스킨으로 등장한다고 하며, 2023년 10월 18일 Year 2 업데이트와 함께 배포됐고 컬래버레이션을 기념해 나카야마 타카유키 디렉터의 메시지 영상도 공개했다.#
-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와 동일하게 Remote Play Together 기능이 대응되지 않는다.
- 월드 투어 모드에서 각 스승들의 호감도를 100으로 채울 경우 각 캐릭터들의 추가 복장이 해금된다. 그 외에는 캐시 화폐인 파이터 코인을 통해 50토큰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 이번작에서는 특히 현지화에 큰 신경을 썼다고 하며#, 캐릭터들의 인명이나 기술명 등의 고유명사가 한국어판에서조차 영어 알파벳 그대로 표기되었던 과거[58]와 달리 스트리트 파이터 4 아레나 때처럼 모든 고유명사들이 완벽히 한글화되어 유저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거기에 더해 한국어판 한정으로 샤돌루 사천왕과 고우키의 이름 역시 일본판을 따라가게 변경되었다.
-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와의 콜라보가 발표되었다.# 2023년 12월 4일에 콜라보 애니메이션이 공개됐다.#1
- 2023년 8월 1일, 유럽 토너먼트 대회에서 누드 모드가 중계 화면에 노출되는 유례없는 사고가 터졌다. 자세한 내용은 춘리 문서 참고.
- 2023년 8월 7일 EVO 2023을 통해 닌자 거북이와의 콜라보를 발표했고, 8월 8일에 배포되었다.#1 레오나르도, 도나텔로, 라파엘, 미켈란젤로가 월드 투어나 배틀 허브 모드의 아바타 의상으로 등장하며 그 외에도 감정 표현, 칭호, 스탬프, 단말기의 배경화면, 카메라 프레임 등 콜라보 디자인의 다양한 인게임 콘텐츠가 나온다고 한다.
- 이전 시리즈보다 공식 사이트의 캐릭터 설명이 단순해져서 국적조차 제대로 알기 힘들어졌는데, 사실 월드 투어에서 스승으로 삼은 캐릭터의 스타일을 최고 20Lv까지 성장시키면 볼 수 있는 스페셜 영상에서 각 캐릭터의 국적에 맞는 언어로 캐치프레이즈가 나와 이를 토대로 캐릭터의 국적을 추측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인도 출신인 달심은 힌디어로 योग आचार्य(요가 마스터)라고 적혀 나온다.
- 2023년 11월 12일 NHK의 게임 플래닛이라는 방송에서 제작 비화가 공개되었다. 여기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근육 표현의 리얼함을 살리기 위해 세계 각국의 보디빌더, 격투가들을 섭외해서 사진을 촬영하고 모션캡쳐를 해서 캐릭터의 근육 표현 및 동작에 반영하였다고 한다.
- 캡콤 프로투어와 같은 e스포츠 쪽에서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이 현재 초강세를 이루며 캡콤컵 X 8강 중 7명을 아시아 출신으로 도배하는 광경을 보여줬다. 반면 미국과 유럽 쪽은 대회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하락세를 겪고 있다. 특히 펑크는 주요한 상황에서의 결정력이 부족하고, 아이덤은 주캐릭터였던 라라를 대신해 마농을 새로운 주캐릭터로 삼았지만 연습량도 줄고 마농의 성능도 좋지 않아서 슬럼프를 겪고 있다. 그나마 너클두는 대회마다 꾸준히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긴 하지만 역시 메나 RD와 같은 천적에게 열세의 전적을 보여주는 등 우승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59] 유럽에서도 엔딩워커, 페넘, 프라블럼 X와 같이 좋은 폼으로 주목받던 선수들도 캡콤컵 X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며 토너먼트 진출도 실패하는 모습을 보였다.[60] 다만 2024년에 와서 미국같은 경우에는 펑크, 네퓨, 너클두, 렉스, 노아 더 프로디지가 EWC 2024 진출권을 획득하는 등 상당한 약진을 보여주고 있다.
- 2024년 2월 말 출시 8개월 만에 첫 밸런스 패치가 진행되었다. 8개월 간 쌓인 유저들의 불만은 만만치 않았지만 소소한 버그를 제외하곤 거의 패치가 없었음에도 발매 시점의 밸런스로 그간 게임이 유지되어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만 패치 자체는 마이너 밸패로, JP의 OD 암네시나, 루크의 앉아중P 등 비정상적인 수준의 기술의 너프, 류와 제이미 등 일부 캐릭터의 개성 강화 정도가 적용되었다.
- 스트리트 파이터 6 1주년 기념 인기투표에서 낮은 픽률의 신캐릭터인 A.K.I.가 독특한 이름에 의해 모든 국가에서 가다나 식 정렬의 1번째 자리를 차지했고, 이로 인해 투표 이후의 이벤트 참여만 생각한 유저들의 몰표를 받아 인기 투표 1위에 올랐다. 이후 투표 이벤트에서는 최상단에 "랜덤 투표"가 추가되며 이러한 사태의 재발을 방지했다.
TV 애니메이션 대전 감사합니다 ~숙녀는 격투 게임을 안 해요~(2025)의 주요 소재 게임으로 선정되었다. 원작은 라이센스를 받지 못해서 스트리트 파이터 4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 게임으로 나온다.
- 이외에도 크고 작은 규모로 굉장히 다양한 콜라보를 진행하고 있다. 같은 캡콤 산하의 몬스터 헌터 시리즈, 뱀파이어 시리즈, 록맨 시리즈, 역전재판 시리즈,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 사립 저스티스 학원 시리즈 등은 물론 SNK의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와의 대대적인 크로스오버를 진행했다. 오버워치 2와도 콜라보레이션이 이루어졌다. 이 외에도 바키 시리즈, 스파이 패밀리, 닌자 거북이, 언데드 언럭와 같은 만화 및 NERDS, 오니츠가 타이거 등의 패션 브랜드, Meiji, SUSHIRO 등의 요식업 브랜드, 버튜버 시시로 보탄, K-POP 아이돌 aespa 등등 매우 다양한 범위에서 콜라보를 진행시키고 있다.
- 출시 2주년 기념 난입 일러스트 공모전에서 킴벌리의 아웃핏 3를 베이스로 만들어진 AI 생성 일러스트가 입상하며 논란이 일었다. 이후 해당 작품의 입상이 취소되고 개발진이 직접 그린 일러스트로 교체되었다.
[1] 파이터즈 에디션과 함께 출시[2] 완벽 호환[3] 전작인 스트리트 파이터 5도 PC와 PS4는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였다.[4] 이전 가격은 59.99$ / \69,800[5] 콘솔 패키지 가격 ₩64,800[6] Outfit 1 색상 1~2[7] 예약 구매 버전은 제이미, 마농, 주리, 디제이, 켄, 춘리의 Outfit 1 10번 색상을 제공한다.[8] 1명을 구매하는 경우 250코인을 2번(12200원), 2명의 캐릭터를 구매하는 경우 250코인을 3번(18300원), 세 캐릭터를 구매하는 경우 610+250+250코인(26800원) 구매가 가장 효율적이지만, 캐릭터 패스의 가격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9] Outfit 1의 1,2번 색상[10] 1주년 당시 첫 할인, 이후 할인율이 증가한 적은 없다.[11] 2025년 8월의 여름 맞이 할인에서 첫 할인[a] 달러 가격은 동결이나, 환율로 인해 원화 가격 상승. 사실 특전 드라이브 티켓의 지급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사실상 달러가격도 상승한것으로 볼 수 있다.[13] 일부 이벤트 혹은 추후 별도 출시의 드레스업 컨텐츠 등은 제외된다.(EX 컬러, 마스터 리워드 컬러, 아웃핏 4)[14] 스테이지 하나에 드라이브 티켓 5000장, 컬러 하나당 드라이브 티켓 100장, 8개 세트는 드라이브 티켓 7200장[15] 상점에서 구매 시 50FC[a] [17] 아웃핏 3는 잉그리드와 함께 출시 예정[18] Outfit 2의 경우는 월드 투어 플레이를 통해 무료로 얻을 수 있다.[19] 통상 캐비넷에 비해 플레이 포인트 획득량 증가한다.[20] 1인당 10포인트[21]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l.png약+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m.png중으로 잡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22] 어시스트 1타에서 통상적으로 입력할 수 없는 모던에서 사라진 기본기를 쓸 수 있는 캐릭터도 있다. 좋은 기본기가 어시스트 1타에 있다면 반드시 기억해둘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23] 상대의 공격을 흡수하고 반격하는 기술로, 특히 코너 상황에서 매우 효과적, 예를 들어, 상대가 공격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때 드라이브 임팩트를 사용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24] 모든 상·중·하단 공격을 막아낼 수 있으며, 성공 시 프레임 이득을 가져와 추가적인 공격 연계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대의 강공격을 예측하여 패리 후 드라이브 러시로 거리를 좁혀 강한 콤보를 연결할 수 있다.[25]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본기에서 캔슬하여 발동 가능하며, 캔슬 발동의 경우 게이지를 많이 소모하는 대신 끊기지 않고 압박이나 콤보를 이어갈 수 있다.[26] 일부 캐릭터들은 공중 발동 버전, 약/중/강에 따라 시전 난이도, 투사체의 궤도나 탄속 등이 달라거나, 완전히 별개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27] 몇가지 예시를 들자면 류의 진 승룡권은 슬로우 효과가 강화되고 전격 이펙트가 더해지며, 켄의 신룡열파는 신룡권 모션 이후 공중에서 상대의 안면에 주먹을 꽂아 바닥에 처박아 버리는 추가타가 이어진다. 또한 루크 설리반의 SA3는 안면에 강력한 펀치를 여러 번 가하는 기술이지만, CA는 오히려 상대가 이를 막아내고 역공하려다가 더 강한 카운터 한 방을 맞는 더욱 역동적인 연출로 바뀐다. 이외에도 익살적인 연출이나 상대를 능욕하는 대사가 추가되는 형식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더욱 극적인 연출이 된다고 요약할 수 있다.[28] CA 전용으로 나온 순옥살은 상대의 잔여 체력량에 따른 연출 변화가 적용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순옥살 참고.[29] 히트 수 변화가 생기기도 하는데, 켄의 신룡열파(SA3 13히트, CA 14히트), 달심의 요가 머실러스(SA3 12히트, CA 26히트)처럼 늘어나거나 디제이 새터데이 나이트(SA3 32히트, CA 23히트) 베가 언리미티드 사이코 크러셔(SA3 11히트, CA 2히트)처럼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 가장 특이한 경우는 제이미인데, 본래 SA3가 추가타 가능하게 적을 띄우는 후상황을 부여하지만 CA로 강화될 시에는 자체 대미지가 강해지는 대신 추가타가 완전히 불가능하다. 류, 고우키, 마농 르그랑처럼 변화가 없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30] 유일하게 마농만이 이에 해당되지 않았는데, 시즌 2 업데이트에서 메달 레벨에 따라 대미지가 최대 600까지 증가하는 기믹이 추가되었다. 현재 잡기 판정의 CA 대미지는 각각 고우키(순옥살) - 4700 / 릴리(레이징 타이푼) - 5000 / 마농(파드 되) - 5100(메달 5 Lv.) / 장기에프(불쇼이 아토믹 버스터) - 5300.[31] 표기된 데미지를 입히고 슈퍼아츠 연출이 발생[32] 본래 봄 출시 예정으로, 고우키의 사례처럼 늦어도 5월 말 이내 출시가 예상되었다. 하지만 개발이 늦어진 것인지, 6월 초까지 봄으로 본 것인지, Nintendo Switch 2 버전 및 파이터즈 에디션의 발매와 함께 출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너무 늦게 나오는 거 아니냐", "6월이 무슨 봄이냐" 등의 많은 비판이 일었다. 그리고, 스위치 및 파이터즈 에디션의 글로벌 런칭으로 인해 출시가 앞당겨 지며 6월 4일에 캐릭터가 출시되었다.[33] 해당 유출자는 자신을 캡콤 경쟁사의 직원이라 소개하며 해당 라인업을 언급하였는데 반신반의하는 반응이 많았으나 결국 사실로 밝혀졌다.[34] 이 라인업을 언급한 사람은 앞서 언급된 유출자와 동일 인물은 아니지만, 베가와 엘레나의 외형을 매우 정확하게 맞추어서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베가의 몸에 균열이 있고, 엘레나는 바지를 입어 노출도가 줄은 모습을 매우 자세하게 묘사했다) 아직 이 루머의 진위여부는 확실하지 않으나, 만약 사실이라면 이 라인업은 추후 Year 4 또는 이후 시즌의 라인업으로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35] 2025년 기준 스파 6 참전 (예정) 캐릭터 중 유일하게 3D 그래픽으로 등장한 적이 없는 캐릭터다.[36] 일반적으로 달 단위로 계절을 구분하는 인식과 달리 하지를 여름의 첫날로 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잉그리드의 출시는 최대 6월 20일까지 늦춰질 수 있다...[37] 해당 컬러에 맞는 아웃핏을 보유해야만 사용 가능하다.[38] 1시간 동안 해금하지 않은 DLC 캐릭터를 체험할 수 있는 쿠폰[39] 1년차 업데이트를 통해 인게임 및 랭크 매치에서도 플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파이팅 패스의 가치가 높아졌다. 패스를 놓쳐서 획득하지 못한 OST의 경우 무료 재화인 드라이브 티켓으로도 구입할 수 있다.[40]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캐비넷의 플레이 포인트가 배가 된다.[41] 단 아웃핏 2의 경우 6000원으로 5개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며, 꼭 돈으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월드 투어 모드에서 특정 조건을 달성하여 무료로 해금하는 것도 가능하다.[42] 마찬가지로 동일한 RE 엔진으로 제작된 오픈 월드 게임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 역시 최적화 항목에서 비판을 받았다.[43] 기본 구입이 가능한 파이터 코인의 단위가 250(5달러), 610(12달러), 1250, 2750인데, 아웃핏 3의 가격은 300(6달러)이기 때문에 6달러 가치의 아이템 구매를 위해 최소 10달러 이상의 지출을 요구한다.[44] 대표적으로 아웃핏 업데이트가 있는데, 출시 6개월 차에서야 3번째 아웃핏을 출시하고, 이후 아웃핏 4가 출시되기까지는 약 20개월이 걸렸다. 이마저도 일부 캐릭터 우선 출시이기 때문에 유저들의 갈증은 더 깊은 것.[45] 대표적으로 철권 8은 시스템적 문제와 부실한 넷코드, 시즌 2의 개악으로 인해 평가와 유저 수를 모두 잃었고, 길티기어 STRIVE는 시즌 4의 밸런스 조절 실패와 랭크 시스템이라 볼 수 있는 타워의 개편 부재로 인해 전성기만큼의 흥행이 나오지 않고 있으며, 홍보에 크게 투자한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도 부족한 컨텐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심각한 흥행 부진을 겪었다. 격투게임의 특성상 유저수가 줄어들수록 양학이 발생하면서 신규 유저 유입이 힘들어지고 기존 유저들은 매칭 시간이 길어져 게임을 하기 어려워지는데, 이 점에서 유저 수가 유지되고 있던 스트리트 파이터 6으로 사람들이 몰리게 된 것이다.[46] 25년 중순 기준 스팀 동접자를 기준으로 철권 8이 6000명 내외, 길티기어 스트라이브가 2500명 내외, 모탈 컴뱃 1 1500명 내외,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300명 내외, 버추어 파이터 5: R.E.V.O. 250명 내외의 동접자를 기록중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6는 혼자서 27000명 동접을 기록하고 있어, 사실상 시장 단독 견인 레벨을 넘어 장르가 스파 외 기타등등이 된 상황이다.[47]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 타입 아케이드의 기판에서 SSD만 교체해서 사용한다.[48] 킴벌리 잭슨의 삼촌이기도 하다.[49] 시간이 지난 시점인 인게임에서는 해당 사건 이후로 따로 조사를 해봤는지 켄 상대 승리 대사에서는 일이 끝나면 자세히 얘기해주라며 오해를 풀었다는 듯이 유순하게 대하는 반면 JP 상대 승리 대사에서는 JP와 결판을 낼 사람은 따로 있다며 날선 반응을 보인다.[50] 이후 아케이드 스토리에선 혐의가 풀렸다고 언급됐다.[51] 일단 기본 캐릭터로 등장한 8인의 경우, 플레이어 셀렉트 화면에서 위치가 스파 2때와 동일하다.[52] SF4 트레일러는 일본/한국/중국의 수묵화 스타일이었는데 크게 바뀌었다.[53] 그래도 과거 시리즈와 완전한 단절을 시도한 것은 아니고, 2 대신 제로나 3 시리즈의 테마곡을 어레인지한 경우가 많다.[54] 3편까진 초등학생 정도의 외형이었던 리펜과 멜 마스터즈가 중학생 정도의 외형으로 나온 걸 보면 3편 시점에서 수 년의 시간이 흐른 것으로 볼 수 있다.[55] 오노 요시노리가 본격적으로 총 지휘를 맡기 시작한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출시 시점부터 세면 약 14년 가량.[56] 정확히는 상술되어 있는 두 캐릭터가 걸어나오는 로딩 장면.[57] 대표적으로 커맨드의 간편화나 아예 입력체계를 단순화시킨 모드를 도입한다든지, 튜토리얼에서 대전 격투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 수준부터 교육을 시킨다던지.[58] 단순히 기존의 작품이 아니라 콜라보레이션에서도 이런 기조를 유지했었다.[59] 그래도 철권 8로 넘어와서 EWC 2024 진출자를 단 한명조차 배출하지 못할 정도로 완벽하게 대회에서 동네북으로 전락한 미국 철권에 비하면 사정이 훨씬 낫다.[60] 페놈은 토너먼트 진출에는 성공했으나 크리스 웡에게 무력하게 3대0 패배, sayff와의 켄 미러전에서마저 3대0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고, 엔딩워커는 죽음의 조 F조에 배치되어 꼴지로 탈락, 프라블럼 X는 LCQ를 우승하고 무난한 조에 배치되었지만 조 4위로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