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2:09:53

스트리트 파이터 6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J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 스트리트 파이터(2026)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C.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고유 시스템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
{{{#ebebeb 스트리트 파이터 6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 6
Street Fighter 6}}}
파일:Street Fighter 6 Box Art.jpg
<colbgcolor=#000><colcolor=#ebebeb> 개발 캡콤
유통
장르 대전 격투 게임
게임 엔진 RE 엔진
출시일 PS4 / PS5 / XSX|S / Steam
2023년 6월 2일
아케이드판
2023년 12월 14일
NS2[1]
2025년 6월 5일
플랫폼 PS5 | PS4 | Xbox Series X|S | Microsoft Windows
Steam Deck[2] | 타이토 Type X4 | Nintendo Switch 2
ESD 콘솔: PlayStation Store, Microsoft Store, 닌텐도 e숍
PC: Steam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한국어 지원 자막 한국어화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PC 시스템 요구 사양3. 발매 전 정보4. 구매 가이드
4.1. 발매 에디션4.2. DLC
4.2.1. 캐릭터 패스4.2.2. 얼티메이트 패스
4.3. 게임 내 재화
5. 시스템
5.1. 조작 방식5.2. 배틀 시스템5.3. 기술표
6. 게임 모드7. 등장인물(플레이어블 캐릭터)
7.1. 기본 캐릭터7.2. DLC 추가 캐릭터
7.2.1. Year 1 추가 캐릭터7.2.2. Year 2 추가 캐릭터7.2.3. Year 3 추가 캐릭터
8. 스테이지9. 오리지널 사운드트랙10. 파이팅 패스11. 업데이트 내역12. 평가13. 흥행14. TYPE ARCADE15. 공식 코믹스16. 기타

1. 개요

파일:SF6 로고 애니메이션.gif
캡콤에서 개발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7번째 작품군의 첫번째 작품. 발매한 모든 기종에서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한다.[3]

2. PC 시스템 요구 사양

<colbgcolor=#000><colcolor=#fff> 시스템 요구 사항 (스팀 판매 페이지 기준)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7500
AMD Ryzen 3 1200
Intel Core i7-8700
AMD Ryzen 5 3600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60 (VRAM 6GB)
AMD Radeon RX 580 (VRAM 4GB)
NVIDIA GeForce RTX 2070
AMD Radeon RX 5700 XT
API DirectX 12
저장 공간 60 GB
추가 사항 그래픽 집약적인 장면에서는 프레임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발매 전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발매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발매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구매 가이드

4.1. 발매 에디션

{{{#!wiki style="margin: -15px -10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0.9em"<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rowcolor=#fff> 파일:sf6_edition_standard.jpg 파일:sf6fe.jpg
이름 <rowcolor=#fff> 스탠다드 에디션 Years 1-2
파이터즈 에디션
가격 <rowcolor=#fff> $39.99 / ₩44,800 [4] $59.99 / ₩69,800[5]
게임 본편
캐릭터
이용권
기본 18종
Year 1,2 추가 8종 ×
스테
이지
기본 16종
Year 1,2 추가 4종 ×
제공 색상 기본 색상[6][7] 포함된 모든 캐릭터의 Outfit 1 색상 1~10
구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8,400장 }}}
본편만 구매해도 월드 투어 모드는 DLC 추가 캐릭터 등의 컨텐츠가 무료로 배포된다.

Year 1-2 패스 합본인 파이터즈 에디션의 출시에 앞서 스탠다드 에디션의 가격이 인하되었으며, 파이터즈 에디션 또한 예상보다 저렴한 가격에 출시되었다.

8월 12일 여름 맞이 세일을 진행한다. Year 2 패스도 20%로 첫 할인을 시작했다.

4.2. DLC

캐릭터를 상점에서 개별 구매할 경우 개당 350FC(파이터 코인)가 필요하다. 원화로 환산시 약 8400원 정도지만, 파이터 코인은 250, 610, 1250, 2750FC 단위로만 구입할 수 있어 강제로 오버페이를 하게 된다. 원하는 캐릭터가 단 하나라면 캐릭터 개별 구매가 더 적합하지만, 2~3명의 캐릭터를 구입하려 한다면 캐릭터 패스를 사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 있다.[8] 또한 캐릭터 개별구매의 경우 기본색상[9]만 제공되며 색상은 재차 구매해야 하지만, 패스로 구매할 경우 추가로 색상이 제공되며, 드라이브티켓 등 특전도 제공된다.

또한, 현재까지 Year 1 패스는 35%[10], Year 2 패스는 20% 할인[11]이 최대이다.

Year 3 패스가 스테이지와 구입 특전이 줄었음에도 가격이 인상되어 빈축을 샀다. 사실 이는 환율의 문제로, 실제로 다른 국가에서는 구성품 감소에 따라 가격이 소폭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4.2.1. 캐릭터 패스

1년간 나오는 추가 캐릭터를 제공하는 상품이다. 드레스업 아이템에 비용을 지불하기 싫다면 선택할 만한 상품이다.

본편 구매 전이라면 Year 1, 2까지의 캐릭터 패스 중 하나만 사려고 하더라도 파이터즈 에디션으로 구매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파일:라시드 outfit01.png 라시드}}}
파일:A.K.I. outfit01.png A.K.I.
파일:에드 outfit01.png 에드
파일:고우키 outfit01.png 고우키
Year 1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파일:베가 outfit01 보정.png 베가}}}
파일:테리 outfit01.png 테리
파일:마이 outfit01 보정.png 마이
파일:엘레나 outfit01 보정.png 엘레나
Year 2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4,200장
파일:사가트 outfit01.png 사가트}}}
파일:임시 바이퍼 outfit01.png C. 바이퍼
파일:알렉스 outfit01.png 알렉스
파일:잉그리드 outfit01.png 잉그리드
Year 3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 색상 1~10
특전 - 드라이브 티켓 3,000장

4.2.2. 얼티메이트 패스

캐릭터 패스의 모든 컨텐츠에 해당 연차의 모든 드레스업 컨텐츠를 전부 제공하는 상품이다.[13] 풀드레스업 컨텐츠를 즐기고 싶다면 선택할 만한 상품이다.
얼티메이트 패스를 구매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테이지 및 아웃핏 1의 컬러는 게임내에서 획득 가능한 드라이브 티켓으로 구매 가능하고[14], 아웃핏 2는 월드 투어에서 해당 캐릭터와의 유대감 최대를 달성하면 얻을 수 있지만[15], 아웃핏 3는 유료 재화를 사용하여야만 구매할 수 있다.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라시드 outfit02.png
}}}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A.K.I. outfit02.pn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에드 outfit02.pn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고우키 outfit02.pn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라시드 outfit03.png
}}}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A.K.I. outfit03.pn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에드 outfit03.pn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고우키 outfit03.png
파일:SF6 폐쇄된 연구소.jpg
파일:월드 투어 염마동굴.jpg
$49.99 / ₩54,800
Year 1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
Year 1 추가 스테이지 2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7,700장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베가 outfit02.png
}}}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테리 outfit02.pn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마이 outfit02.pn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엘레나 outfit02.pn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베가 outfit03.png
}}}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테리 outfit03.pn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마이 outfit03.pn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엘레나 outfit03.png
파일:SF6 파오파오 카페.png
파일:SF6 레니알라 유적.jpg
$49.99 / ₩54,800
Year 2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
Year 2 추가 스테이지 2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7,700장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사가트 outfit02.png
}}}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배경 outfit02.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0px 2px 0px 0px; width:min(calc(100%/6 - 4px), 80px)"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배경 outfit03.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SF6 Proud Spire.png
$47.99 / ₩58,800[a]
Year 3 추가 캐릭터 4종 및 Outfit 1,2,3, 그리고 그 각각의 색상 1~10[17]
Year 3 추가 스테이지 1종
특전 - 드라이브 티켓 5,800장

4.3. 게임 내 재화

5. 시스템

5.1. 조작 방식

이번작에서는 조작 방식이 모던 컨트롤 타입, 클래식 컨트롤 타입, 다이내믹 타입 3가지로 나뉘었다.

추가로 컨트롤 설정에서 클래식과 모던의 추가 버튼 설정이 가능하다.

5.2. 배틀 시스템

5.3. 기술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기술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기술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기술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게임 모드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로고.svg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파일:월드 투어 카드.jpg
]]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
파일:배틀 허브 카드.jpg
]]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파일:파이팅 그라운드 카드.jpg
]]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월드 투어
]]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파이팅 그라운드
]]
}}}}}}}}}

게임 모드 소개 영상
3가지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싱글 플레이 RPG 월드 투어, 오락실에서 온라인으로 소통과 대전을 즐기는 배틀 허브, 고전적인 대전 격투 게임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파이팅 그라운드가 있다.

6.1. 월드 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배틀 허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배틀 허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파이팅 그라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그라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등장인물(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로고.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dark-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D2D2D, #161616 9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84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정렬 가나다순)]
##
[[고우키|파일:고우키 outfit01.png
파일:sf6y1.svg
고우키]]
[[라시드(캡콤)|파일:라시드 outfit01.png
파일:sf6y1.svg
라시드]]
[[시라누이 마이(스트리트 파이터)|파일:마이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마이]]
[[베가(캡콤)|파일:베가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베가]]
[[사가트|파일:사가트 outfit01.png
파일:sf6y3.svg
사가트]]
[[알렉스(캡콤)|파일:알렉스 outfit01.png
파일:sf6y3.svg
알렉스]]
[[에드(캡콤)|파일:에드 outfit01.png
파일:sf6y1.svg
에드]]
[[엘레나(캡콤)|파일:엘레나 outfit01 보정.png
파일:sf6y2.svg
엘레나]]
[[잉그리드(캡콤)|파일:잉그리드 outfit01.png
파일:sf6y3.svg
잉그리드]]
[[테리 보가드(스트리트 파이터)|파일:테리 outfit01.png
파일:sf6y2.svg
테리]]
[[A.K.I.|파일:A.K.I. outfit01.png
파일:sf6y1.svg
A.K.I.]]
[[크림슨 바이퍼|파일:임시 바이퍼 outfit01.png
파일:sf6y3.svg
C. 바이퍼]]

회색 배경: 출시 예정

{{{#!wiki style="margin: -25px -4px -11px"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 ||
파일:sf6_char.jpg 파일:sf6_char_s1.png
출시 당시 선택창 Year 1 캐릭터 포함 선택창
파일:sf6_char_s2.png
Year 2 캐릭터 포함 선택창
🔄: 스트리트 파이터 5 미참전 캐릭터
🆕: 본작 신규 참전 캐릭터
✴️: 게스트 참전 캐릭터

※ 이미지의 캐릭터 나열은 출시 순서와 무관

7.1. 기본 캐릭터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캐릭터.jpg

7.2. DLC 추가 캐릭터

캐릭터 패스를 구매하거나 상점 페이지에서 파이터 코인(350코인)을 사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캐릭터. 구매하지 않아도 월드 투어 및 온라인 대전의 매칭에 제한은 없지만, 직접 조작하는 콘텐츠는 사용할 수 없다.

7.2.1. Year 1 추가 캐릭터

파일:sf6 char year1.jpg
사막의 질풍
'라시드'
2023.07.24
화저독사
'A.K.I.' 🆕
2023.09.27
유랑하는 해방자
'에드'
2024.02.27
하늘을 꿰뚫는 주먹
'고우키'
2024.05.22
일찍이 유출 사고가 발생하며 DLC 캐릭터 라인업이 공개되었다. 이후 예약 주문 페이지에서 1년차 캐릭터 패스에 총 4명의 캐릭터가 있는 것이 공식 확인되었고 2023년 4월 21일 스트리트 파이터 6 쇼케이스에서 마츠모토 슈헤이 프로듀서가 위 4인이 Year 1의 추가 캐릭터라고 발표했다. 해당 4인의 캐릭터들은 DLC 구매 여부와 관계없이 월드 투어에서도 스승으로 등장한다.

7.2.2. Year 2 추가 캐릭터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Year 2 추가 캐릭터.jpg
깨어나는 포악
'베가'
2024.06.26
전설의 늑대
'테리 보가드' ✴️
2024.09.24
일본 제일의 쿠노이치
'시라누이 마이' ✴️
2025.02.05
대자연의 치유자
'엘레나' 🔄
2025.06.04[32]
나카야마 디렉터의 인터뷰를 통해서 캐릭터 라인업은 앞으로도 일괄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혀졌다. 누군지도 모르는 캐릭터 패스를 구매하는 죄송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또한, 팬들이 예상하지 못한 캐릭터가 포함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Summer Games Fest 2024에서 Year 2 추가 캐릭터 영상이 공개되며 베가엘레나SNK와의 콜라보아랑전설 시리즈테리마이가 추가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게스트 캐릭터로 팔려가는 일만 많았던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였으나 넘버링 시리즈 최초로 게스트 캐릭터가 참전하게 되었다. 또한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에도 춘리가 참전하며 단순 콜라보를 넘어 양사 간의 크로스오버가 성사되었다.

7.2.3. Year 3 추가 캐릭터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 Year 3 추가 캐릭터.jpg
고봉의 정점
'사가트'
2025.08.05
C. 바이퍼 🔄
2025년 가을
알렉스
2026년 초봄
잉그리드 🔄
2026년 늦봄
전작에 이어 다시 한 번 출연한 케니 오메가가 각 캐릭터를 코스프레하는 B급 감성의 트레일러와 함께 캐릭터 라인업이 공개되었다.
일전에 유출 루머가 돌았던 "알렉스-바이퍼-사가트-잉그리드"[33]와 "사쿠라-미카-발로그-신규 캐릭터"[34]의 두 캐릭터 라인업 후보 중 전자가 사실로 확인되며 또다시 유출로 골머리를 앓게 되었다.

아미보 카드에서의 일러스트가 일부 공개되었다.#

라인업 중 가장 독특한 캐릭터는 역시 잉그리드로, 제로 시리즈의 이식판에 등장하긴 했지만 그마저도 캡콤 파이팅 잼의 데이터를 재활용한 수준이라 자사 콜라보도, 신캐릭터도, 재등장 캐릭도 아닌 그 사이쯤의 애매한 위치가 되었으며, 3D 그래픽으로 등장하는 것도 이번작이 처음이 될 예정이다.[35]

이전 시즌과 달리 3번째-4번째 캐릭터의 출시 시기가 연초 겨울/봄이 아닌 초봄/늦봄으로 공개되었는데, 대부분 이를 잉그리드의 6월[36] 출시를 암시한다고 보고 있다.

8. 스테이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테이지}}}에 대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테이지: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트리트 파이터 6/월드 투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기본 스테이지
파일:미국 국기.svg
메트로 시티 다운타운
Metro City Downtow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콜로세움
Colosseo
파일:미국 국기.svg
바이런 테일러 항공모함
Carrier Byron Taylor
파일:일본 국기.svg
겐부 사원
Genbu Temple
파일:멕시코 국기.svg
썬더풋 마을
Thunderfoot Settlement
파일:중국 국기.svg
천홍원
Tian Hong Yuan
파일:러시아 국기.svg
바르말레이 제철소
Barmaley Steelworks
파일:인도 국기.svg
달시메 사원
Dhalsimer Temple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배더스 비치
Bathers Beach
파일:나이샤르 국기.png
구시가지
Old Town Market
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인저스헛
Ranger's Hut
파일:나이샤르 국기.png
신전 투기장
Suval'hal Arena
파일:영국 국기.svg
킹 스트리트
King Street
파일:미국 국기.svg
마초 링
The Macho Ri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페트 포랭
Fête Foraine
파일:? 국기.png
트레이닝 룸
Training Room
시즌 1 추가 스테이지
파일:? 국기.png
폐쇄된 연구소
Ruined Lab
파일:일본 국기.svg
염마동굴
Enma's Hollow
시즌 2 추가 스테이지
파일:미국 국기.svg
파오파오 카페6호
Pao Pao Cafe No.6
파일:케냐 국기.svg
레니알라 유적
Reniala Remains
시즌 3 추가 스테이지
파일:태국 국기.svg
고고한 봉우리
Proud Spire

9.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2023년 7월 28일 음원 사이트(멜론, 지니, 벅스, 바이브, 플로, 애플뮤직, 스포티파이)를 통해 발매됐으며, CD판은 2023년 9월 20일에 발매됐다.

9.1. Not On The Sideline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ot On The Sideline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t On The Sideline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ot On The Sideline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파이팅 패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역대 파이팅 패스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패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패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파이팅 패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현재 진행 중인 파이팅 패스 보기 / 닫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98411><tablebgcolor=#000><tablecolor=#ebebeb><table width=644><nopad> 파일:파이팅 패스 시즌 25.jpg ||
개최 기간: 2025년 7월 4일(금) 16:00 ~ 2025년 8월 8일(월) 15:59
파일:파이팅 패스 25탄 보상.webp
받을 수 있는 보상들
  • 시즌 25: Get Ready for 사가트
    켄과 류의 EX 컬러[37]와 난입 일러스트가 보상에 추가되었다. 이외에 사가트 신규 복장을 재구성한 아바타 복장, 스트리트 파이터 1 시절의 사가트의 움직임을 구현한 감정 표현 등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대세를 따라 스트리트 파이터 6에도 배틀 패스 시스템이 도입됐다. 먼슬리, 위클리, 데일리 챌린지를 클리어하고 플레이 포인트를 쌓아 티어를 올려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무료 보상과 250 파이터 코인(6,100원)으로 해금 가능한 프리미엄 보상이 존재한다.

받을 수 있는 보상은 추가 캐릭터 출시 후 사용 가능한 렌탈권[38], 스탬프, 단말기 배경, 포토 프레임, 칭호, 감정 표현, 아바타 의상 등으로 대부분이 아바타용 콘텐츠지만, 갤러리의 게임 센터에서 플레이 가능한 고전 캡콤 게임, 그리고 구작 시리즈 OST[39] 등의 컨텐츠도 있다. 2025년 7월부터는 EX 컬러도 보상에 추가되었다.

티어 21부터 30까지는 프리미엄 보상을 해금해야 진행이 가능하며, 패스를 구입하는데 쓴 250 파이터 코인이 그대로 페이백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에이펙스 레전드마냥 게임을 꾸준히 한다면 첫 배틀 패스 이후로는 계속해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로 라이트층은 크게 과금 유도를 느끼지 않고, 코어층은 게임만 해도 자연스럽게 매 패스 보상을 챙김과 동시에 다음 패스까지 구입할 수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단, 보상이 너무 아바타와 갤러리 모드에 치우쳐 있어 컬러 정도라도 좀 넣어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은 종종 보이는 편이다.

팁으로, 플레이 포인트를 빠르게 쌓는 방법으로는 배틀 허브의 황금 캐비넷[40]이 주목받았지만 현재는 월드 투어에서 잡몹 한 마리당 1포인트에서 10포인트로 크게 상향되며 지하철 노가다가 각광받고 있다. 대략 2~3시간 만에 끝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여담으로 본작의 느린 업데이트 중 그나마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컨텐츠인 탓에 의도치 않은 샌드백 역할을 맡게되어, 유저들의 갈증이 커지는 시기에는 파이팅 패스 트레일러에 많은 싫어요 비율과 함께 신규 캐릭터를 찾는 댓글들을 확인할 수 있다.

11. 업데이트 내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트리트 파이터 6/업데이트 내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업데이트 내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트리트 파이터 6/업데이트 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C
메타크리틱 MUST-PLAY
[ 펼치기 · 접기 ]
순위. 점수 - 제목 ⠀·⠀ 메타크리틱 현황 2024.10.08. 기준
1. 96 - 하프라이프 2
  1. 96 - Grand Theft Auto V
  2. 96 - 발더스 게이트 3
  3. 96 - 오렌지 박스
  4. 96 - 하프라이프
  5. 96 - 바이오쇼크
  6. 95 - 발더스 게이트 2 앰의 그림자
  7. 95 - 포탈 2
  8. 94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9. 94 - 매스 이펙트 2
  10. 94 - Grand Theft Auto: Vice City
  11. 94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12. 94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13. 94 - 엘든 링
  14. 94 - 그림 판당고
  15. 94 - 문명 4
  16. 93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17. 93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18. 93 - 하프라이프: 알릭스
  19. 93 -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
  20. 93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21. 93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22. 93 - 갓 오브 워
  23. 93 - 마인크래프트
  24. 93 - 레드 데드 리뎀션 2
  25. 93 - Grand Theft Auto III
  26. 93 - 홈월드
  27. 93 - Hades
  28. 93 -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29. 9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30. 93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31. 92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32. 92 - 워크래프트 3: 레인 오브 카오스
  33. 92 - 심즈
  34. 92 - 스트리트 파이터 6
  35. 92 - 팀 포트리스 2
  36. 92 - 시스템 쇼크 2
  37. 92 - 스플린터 셀: 혼돈 이론
  38. 92 - 로마: 토탈 워
  39. 92 - 언더테일
  40. 92 - 시프: 더 다크 프로젝트
  41. 92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42. 92 - 언리얼 토너먼트
  43. 92 -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44. 92 - Galactic Civilizations II
  45. 92 - 파이널 판타지 14: 효월의 종언
  46. 92 - 메타포: 리판타지오
  47. 92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블러드 앤 와인
  48. 91 - Against the Storm
  49. 91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50. 91 - 디스아너드
  51. 91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2020)
  52.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
1.#54 91 - 발더스 게이트
  1. 91 - 오버워치
  2. 91 - 철권 8
  3. 91 - 프리스페이스 2
  4. 91 - 스플린터 셀
  5. 91 - 포르자 호라이즌 5
  6. 91 - 크라이시스
  7.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
  8. 91 - 더 롱기스트 저니
  9. 91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2
  10. 91 - 타이거 우즈 PGA 투어 2005
  11. 91 -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12. 91 - Galactic Civilizations II: Dark Avatar
  13. 91 - The Operative: 노 원 리브스 포에버
  14. 91 - 크루세이더 킹즈 3
  15. 91 - 배틀필드 2
  16. 91 - 스트리트 파이터 4
  17. 91 - 폴아웃 3
  18. 91 - 배트맨: 아캄 시티
  19. 91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20. 91 - 네버윈터 나이츠
  21. 91 - Animal Well
  22. 91 - 바이오하자드 4
  23. 91 - 노 원 리브스 포에버 2: A Spy in H.A.R.M.'s Way
  24. 91 - 드래곤 에이지: 오리진
  25. 91 - Disco Elysium
  26. 91 - 다크 소울 2
  27. 91 - Spelunky 2
  28. 91 - 콜 오브 듀티
  29. 90 - 심즈 2
  30. 90 - 파이널 판타지 14: 칠흑의 반역자
  31. 90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
  32. 90 - 월드 오브 구
  33. 90 - Balatro
  34. 90 - 블랙 앤 화이트
  35. 90 - 포탈
  36. 90 - NHL 2001
  37. 90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3
  38. 90 - 데이어스 엑스
  39. 90 -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2
  40. 90 - 공주를 죽여라
  41. 90 - 더 크로니클즈 오브 리딕: 이스케이프 프롬 부쳐 베이
  42. 90 - 문명 3
  43. 90 - Hi-Fi Rush
  44. 90 - 사일런트 헌터 3
  45. 90 - 베요네타
  46. 90 - 데이브 더 다이버
  47. 90 - 데스티니 가디언즈/최후의 형체
  48. 90 - 문명 5
  49. 90 - The Stanley Parable: Ultra Deluxe
  50. 90 -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51. 90 - 도타 2
  52. 90 - 길드워 2
  53. 90 - Freedom Force
  54. 90 - Into the Breach
  55. 90 - GTR 2
  56. 90 - Grand Theft Auto IV
  57. 90 - 토탈 워: 쇼군2
  58. 90 - 토탈 워: 엠파이어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layStation 5
메타크리틱 MUST-PLAY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Xbox Series X|S
메타크리틱 MUST-PLAY

기준일:
2025-09-06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street-fighter-6/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street-fighter-6/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9-06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4352/street-fighter-6|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fc430a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9e00b4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4aa1ce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1) * 1.8deg)), #80b06a 91%, #2e2e2e 9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1}}}}}}}}}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4352/street-fighter-6|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8)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98%, #2e2e2e 9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8%}}}}}}}}}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8)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98%, #2e2e2e 9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8%}}}}}}}}}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8) * 1.8deg)), #478c77, #76c8ff 98%, #2e2e2e 9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8%}}}}}}}}}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8) * 1.8deg)), #6c9059, #627f50 98%, #2e2e2e 98%)"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8%}}}}}}}}}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4352/street-fighter-6|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fc430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9e00b4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4aa1ce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80b06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9-06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6478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6478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Simply put, Street Fighter 6 is one of the very best entries in series history.
간단히 말해, 스트리트 파이터 6는 시리즈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다.
디스트럭 토이드
뛰어난 그래픽과 연출, 훨씬 풍부해진 컨텐츠, 입문자의 수월한 진입을 유도하는 여러 장치 등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보다 거의 대부분의 면에서 일취월장한 모습을 선보여 시리즈의 근본인 스트리트 파이터 2 이후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동세대 대전 격투 게임들은 장르의 고착화로 인한 높은 진입 장벽, 부족한 컨텐츠 등을 비롯한 여러 고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정도를 제외하면 잘해야 평론가 평점이 80점대에 머무르는 게 대다수인데, 90점대라는 고득점을 달성했다는 점만으로도 그 완성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작품성이 인정되어 더 게임 어워드 2023에서 격투 게임상 D.I.C.E. 어워드 2023 올해의 격투 게임상을 수상했다.

우선 전투의 난이도, 타격감, 그래픽 등은 그야말로 일신했다 말할 수 있는 수준인데, 캐릭터당 하나만 보유하던 슈퍼 아츠는 3개 이상 배치되고 연출도 크게 강화됐다. 월드 투어를 내세우는 싱글 콘텐츠는 소울 칼리버 시리즈 같은 싱글플레이 지향 게임보다도 거대한 수준의 컨텐츠 규모를 자랑하며, 게임 내 현질 요소도 캐릭터 해금, 신규 복장[41] 등을 제외하면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화로 충분히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등 합리적인 편이다. 게다가 로비 안 아케이드 코너에서는 용과 같이 시리즈를 연상케 하는, 캡콤의 고전 게임들을 탑재한 부가적인 미니게임까지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다.

무엇보다 대전 격투 게임들이 흔히 지적받는 문제인 높은 진입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요소들이 많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월드 투어는 자신에게 적절한 기본기를 가진 캐릭터를 찾거나 AI 캐릭터에게 걸린 아이템을 노린다면 적의 특정 패턴을 대응하는 연습이 가능하고, 미니 게임은 보다 심화 과정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표적으로 하도(HADO) 피자 가게는 클래식 타입의 커맨드, 병깨기는 모으기 커맨드의 연습을 겸한다. 동시에 모던 모드를 도입하여 커맨드 입력의 난이도를 대폭 낮추었다. 경쟁작들 또한 비슷한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으나 실전에서 쓰기에는 곤란한 성능에서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작에서는 충분히 중수 이상라고 할 수 있는 마스터급에서도 통용이 가능한 성능으로 구현되어 유의미한 시스템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이러한 조치의 연장선상으로 양학 문화를 차단하고자 랭크 시스템에도 많은 노력이 들어갔다. 배치고사 시스템을 통해 고계급 유저의 초반 양학을 통제하고, 입문자 구간을 루키-아이언-브론즈-실버-골드로 나누고 이를 다시 5단계로 세분화해 총 25개의 구간을 만들었으며 연승 시 점수가 배로 상승해 초보자들이 큰 성취감을 얻도록 유도했다. 그리고 연승 보너스를 제거한 중급자 구간 플레티넘-다이아몬드를 지나 상급자 구간인 마스터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강등 없이 ELO 시스템에 기반한 매칭이 진행되어 전작에서 상급자 간의 매칭에서조차 큰 실력차가 나타났던 것을 개선했다.

전작의 새 캐릭터를 해보고 싶으면 지금 랭크에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캐릭터 하나하나마다 랭크를 따로 부여하여 소위 말하는 부캐 키우기도 편해졌고, 부담도 덜 되게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하던 주력 캐릭터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어 브론즈와 다이아 사이의 실력 차이는 엄청나기 때문에 가장 높은 계급을 가진 캐릭터보다 좀 더 높게 배치가 되게 보정되어있고, 만약 캐릭터 하나라도 마스터 티어에 도달했다면 무조건 새 캐릭터의 배치는 최소 다이아 1부터 시작하게 되어 초보자들 입장에선 양학을 당하지 않아 좋고 새 캐릭터를 하는 입장에선 연습도 제대로 되고 티어 올리기도 빠르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 또한 호평받고 있다. 후속 패치로 아예 플래티넘 이상에서도 10연승을 할 경우 1000점을 얻게 되어서 소위 말하는 트럭조차 없애기 위한 노력이 많이 들어가 있다.

최적화 역시 기종을 가리지 않고 훌륭하다. 월드 투어가 아닌 일반적인 대전은 최소 사양 기준으로도 풀옵에서 고정 60프레임을 무리없이 뽑아내고, 출시가 10년이 되어가는 일반 PlayStation 4/PlayStation 4 Slim으로도 해상도만 조금 낮을 뿐 60프레임이 안정적으로 뽑힌다. Steam Deck 역시 중하옵 기준으로 매우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보인다. 다만, 오픈 월드 RPG 스타일의 월드 투어 최적화는 좀처럼 좋은 평가를 듣지 못한다.[42]

넷코드도 호평받고 있는데, 역대 격투 게임들 중 가장 쾌적한 넷코드 덕에 악명 높은 해외 와이파이 유저들과 대전해도 별 문제를 느낄 수 없을 정도다. 한국 유저끼리 플레이해도 잔렉이 발생했던 전작을 감안하면 엄청난 수준의 발전이다. 이 부분은 이후 출시된 철권 8이 부실한 외주 넷코드로 비판을 받기 시작하며 더욱 부각됐다.

메타크리틱 유저 평점은 다소 박한데, 이는 스팀판 내에 게임 퍼포먼스 성능 저하의 원인으로 꼽히는 데누보 프로그램을 탑재한 것과 배틀패스를 비롯한 유료 게임의 소액 결제에 대한 일부 서양 커뮤니티 내의 반발로 인한 평점 테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전작에 비해 타이트해진 선입력 조건으로 인해 조작감이 상당히 빡빡한 것도 낮은 점수에 한몫하고 있다. 다만 스팀의 평점은 그보다 훨씬 높다.

전반적인 평론가/유저 평점은 더할 나위 없는 명작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격투 게임 특유의 DLC 팔이 자체에 대한 반감과 가치에 비해 높게 측정된 가격의 캐시템 및 콜라보템, 파이터 코인 판매 단위 및 가격[43], 느린 컨텐츠 추가 주기[44] 등을 이유로 비판하는 유저들이 일부 있는 편이다.

13. 흥행

출시 첫 날 Steam 동시 접속자 7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대전 격투 게임 장르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2023년 6월 7일, 전 세계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누적 판매량 5,000만 장을 달성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2023년 7월 7일, 전 세계 판매량이 200만 장을 돌파했음을 알렸다.

2024년 1월 16일, 전 세계 판매량이 300만 장을 돌파했다. 2024년 5월 캡콤 실적 발표에서는 3월까지 총 330만 장이 판매되었다고 발표되었다. 2024년 5월 22일 고우키의 출시 및 대규모 밸런스 패치에 힘입어 다시 한 번 스팀 동시 접속자 7만 명을 돌파했다. 출시 후 1년 만에 총 377만 장이 판매되었다.# 2024년 9월 6일 400만 장 판매 소식을 알렸다.# 2024년 말까지 총 440만 장 판매되었다.#

2025년 6월 11일, 전 세계 판매량 500만 장을 달성했다.#

e스포츠로서의 흥행 또한 기존 대전 격투 게임들 중 최고 수준으로, 종합 격투 게임 대회 EVO의 첫 해 참가자 수가 7000명 이상을 돌파하면서 기존 최고 기록이었던 스트리트 파이터 5의 참가자 5065명을 자사 프렌차이즈의 신작으로 갈아치우게 되었다. 또한 CAPCOM CUP X의 경우 전 세계 31만 명이 동시 시청하는 기록을 세우는 등 크게 흥행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의 인기가 막강하다. 캡콤의 연달은 홈런을 통한 주가 및 신뢰도 상승, 게임 자체의 퀄리티, 버츄얼 유튜버들의 홍보 효과가 맞물려 발로란트, 스피드런에 이어 일본 게임 방송 시청률 3위에 자리잡았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EVO 재팬에서 2024년에는 4800명, 2025년에는 6600명을 넘기며 본가 EVO의 역대 1위 기록에도 근접했다. 덕분에 대한민국은 일본은 커녕 중국의 흥행도 따라잡지 못하지만, 준수한 넷코드와 흥행하는 양국 사이라는 지리적 이점로 인해 전 세계에서 가장 유리한 랭크 매치 환경을 가지게 되었다.

2025년 2월 6일, 일본 내에서 밀리언셀러를 달성했다.# 이는 격투 게임 역사상 PS1철권 3 이후로 무려 27년 만의 기록이다.#

출시 2년차에 접어드는 2025년 5월에도 다른 경쟁작들의 부진과 실패로[45] 별다른 게임 내적인 변화 없이도 파이를 차지하며 유저 수가 계속 증가하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46]

2025년 8월 5일, 사가트의 출시와 아웃핏4의 판매로 스팀 일본 매출 1위, 전 세계 매출 2위를 달성했다.

14. TYPE ARCADE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에 이어 본작에서도 아케이드 버전도 공개되었으며, 2023년 12월 14일에 일본내 가동이 시작되었다. 공식 명칭은 스트리트 파이터 6 타입 아케이드. 기판은 타이토 Type X4[47]이며, 본작에서도 타이토의 NESiCA 및 뷰릭스 기체를 사용한다.

15. 공식 코믹스

스파 6 본편 이전을 다룬 4편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공식 프리퀄 코믹스가 있으며 공식 사이트에서도 볼 수 있다.공식 사이트 제목은 "Days of the Eclipse". 4개의 챕터로 나눠지며, 각각 챕터 1: Some Indication, 챕터 2: A Good Fake, 챕터 3: Manipulation, 챕터 4: As a Father이다.

과거 전미 격투 챔피언이자 현재는 마스터즈 재단의 부회장인 은 이사회의 일원이자 켄의 아버지와도 오랜 사이인 알 잭슨[48]과 함께 아시아의 신흥 국가 나이샤르를 후원하기 위해 찾아간다. 나이샤르 후원 NGO 회장 요한 페트로비치는 켄에게 바샤르 산 정상의 고대 투기장에서 격투 토너먼트 대회를 열어 역사와 전통의 홍보, 컨텐츠 생산을 통한 전세계를 상대로 한 수익성 발생을 동시에 잡자는 제안을 하고, 자신의 결정에 매번 수익성을 이유로 반대하는 이사회에 이질이 나있던 켄은 곧바로 이에 동의하고 펀드를 제공하기로 약속한다. 하지만 알과 함께 호텔로 돌아가던 중 국가의 급격한 변화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대를 만나고, 그 사이로 가면을 쓴 테러 단체가 나타나 총기를 난사하며 차를 습격하고 이에 알이 사망하게 된다. 겨우 목숨은 부지한 켄마저 차가 폭발해 죽을 뻔하지만 가까스로 누군가에 의해 가까스로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한편 켄의 아들 멜 마스터즈는 아버지의 의뢰를 받은 루크의 호위를 받으며 켄을 따라서 나이샤르 후원 과정을 견학하기 위해 나이샤르로 가고 있었다. 하지만 멜을 기다리기로 했던 켄은 오지 않았고, 켄이 연락이 되지 않는다고 후원 계획을 중지할 수는 없었던 요한은 대회 유치를 발표하려 한다. 하지만 발표 도중 스스로를 "암네시아"라고 자칭하는 의문의 집단에 의해 화면이 해킹당한다. 화면에서의 켄은 자신이 오직 재단의 이익을 위해 반정부 테러 단체에게 무기를 후원했다고 자백하고, 이어서 암네시아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국가를 혼란에 빠트린 켄을 지탄한다. 멜은 이를 바로 앞에서 지켜보며 혼란에 빠지고, 그때 갑자기 경기 중계용 드론이 오작동을 일으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을 습격하며 혼란에 빠지게 된다.
한편 깨어난 켄은 자신을 구해준 것이 춘리이고, 최근 나이샤르의 수상한 금융 범죄 동향을 조사하러 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켄에게 테러 후원에 대한 폭로 영상을 보여주고 춘리는 부정하는 켄에게 물론 자신은 켄의 믿지만 남들은 그렇지 못할 것이라 말한다. 그렇게 춘리는 켄에게 사태가 잠잠해질때까지 자신과 함께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조사를 부탁했던 리펜과 통화를 하러 간다. 습격의 배후에 대해 고민하던 켄은 자신이 신전 격투장의 드론에 대해 악평을 했던 순간 이상한 반응을 보였던 요한의 비서 '칼리마'를 의심하게 된다. 그리고 상처를 쥐어짜 피를 내서 춘리의 조수를 유인한 후 제압하고, 춘리가 소란을 듣고 왔을 땐 이미 창문으로 켄이 달아난 후였다.

루크가 소속한 용병 단체는 요한의 선택에 따라 켄을 테러범으로 정의하고 무력 체포를 하려 했지만 루크의 주장으로 단 하루 간 유예가 주어진다. 이후 루크는 켄을 생포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며 멜과 헤어지는데, 직후 혼자 남은 멜을 누군가 납치해간다.
한편 숨어서 움직이던 켄은 갑작스런 폭발에 시선이 끌려 정체가 발각되어 도망가던 중 문득 나타난 요한과 재회한다. 그리고 요한은 충격적인 이야기를 하는데, 자신이 그동안의 이 모든 사태의 배후이고, 폭탄 테러, 총기 난사부터 암네시아와 드론 오작동 사태, 멜의 납치까지 모두 자신의 계획으로 일으킨 사건이라고 밝힌다. 심지어는 감금된 멜을 보여주고, 나이샤르 각지에 퍼진 자폭 드론을 조작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켄의 핸드폰을 건네주고는 3분 안에 기폭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멜이 있는 곳의 드론이 터질 것이라고 협박한다. 미칠듯이 갈등하던 켄은 결국 1초를 남기고 기폭 버튼을 누르게 되고, 직후 루크에게 발견되지만 폭발에 신경이 팔린 순간에 누군가의 도움으로 탈출하게 된다. 스위치부터, 구체적인 테러 계획이 그려진 현장을 보고 루크는 켄이 테러리스트라고 확신하게 된다.[49]

켄을 도와준 사람은 켄이 그렇게 의심했던 칼리마. 사실 반정부파 리더였던 칼리마는 자신도 요한의 계략에 의해 수많은 동료들이 억울하게 체포당했으며 자신은 그저 정말로 나이샤르가 제대로 자립할 수 있기를 바랐을 뿐이지만 요한이 모든 것을 망쳤다고 말한다. 요한의 후원 계획은 언뜻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진짜 목적은 켄의 성격을 자극해 격투 대회에 빠른 투자를 받아내서 전세계에 중계하며 불법 도박을 운영, 자금 세탁을 하기 위한 것이었다. 물론 격투 대회를 후원하고, 반정부단체를 후원하고, 자폭 드론 테러를 일으킨 누명은 켄에게 돌아가게 된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켄은 그럼에도 "마스터즈 가는 절대로 중간에 포기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미끼일 것이 뻔한 아들 멜을 찾으러 가기로 한다. 한편 이 말을 증명하듯 멜 또한 루크에게 받은 잭나이프로 탈출해내고야 만다.
계획에 차질이 생겼지만 요한은 그대로 나이샤르 격투 대회를 개최하며 첫 도전자를 소개하는데, 이때 나타난 사람은 다름아닌 켄. 자신을 가로 막는 대전자를 가볍게 쓰러뜨리고 요한와 대면하지만 곧바로 저지하러 온 루크와 대치하게 된다. 요한은 멜을 이용해 켄을 자극하고, 흥분해 달려드는 켄을 루크는 얼굴에 상처를 입으며 막아선다. 흥분한 켄은 루크에게 서브미션을 당하며 패배할 위기에 처하는데, 탈출한 멜이 드론을 이용해 띄운 화면을 통해 켄을 부르고, 켄은 정신을 차리고 빠져나오는데 성공한다. 한편 칼리마는 혼란을 틈타 요한을 암살하려 시도하지만 역으로 제압당하여 쓰러지고, 루크를 쓰러뜨린 켄도 결국 현장에서 체포되며 사태는 종료된다.
한편 춘리는 리펜이 조사한 사실을 듣고 있었는데, 요한 페트로피치라는 이름은 가명으로 그는 여러 다른 나라, 여러 NGO에서 J.P.라는 공통적인 이니셜의 이름들을 돌려쓰고 있고, 언뜻 합법적인 사업을 펼치는 듯 보이지만 그가 떠나면 6개월도 안 되어 국가가 파멸에 이르고, 또한 조사하던 중 역으로 해킹을 당할 뻔했다며 굉장히 위험한 인물일 것이라고 경고한다.
마지막으로 도망친 것인지 풀려난 것인지[50] 노숙자같은 차림으로 길거리를 걷는 켄, 그리고 아버지를 기다리겠다고 말하는 멜을 비추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16. 기타


[1] 파이터즈 에디션과 함께 출시[2] 완벽 호환[3] 전작인 스트리트 파이터 5도 PC와 PS4는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였다.[4] 이전 가격은 59.99$ / \69,800[5] 콘솔 패키지 가격 ₩64,800[6] Outfit 1 색상 1~2[7] 예약 구매 버전은 제이미, 마농, 주리, 디제이, , 춘리의 Outfit 1 10번 색상을 제공한다.[8] 1명을 구매하는 경우 250코인을 2번(12200원), 2명의 캐릭터를 구매하는 경우 250코인을 3번(18300원), 세 캐릭터를 구매하는 경우 610+250+250코인(26800원) 구매가 가장 효율적이지만, 캐릭터 패스의 가격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9] Outfit 1의 1,2번 색상[10] 1주년 당시 첫 할인, 이후 할인율이 증가한 적은 없다.[11] 2025년 8월의 여름 맞이 할인에서 첫 할인[a] 달러 가격은 동결이나, 환율로 인해 원화 가격 상승. 사실 특전 드라이브 티켓의 지급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사실상 달러가격도 상승한것으로 볼 수 있다.[13] 일부 이벤트 혹은 추후 별도 출시의 드레스업 컨텐츠 등은 제외된다.(EX 컬러, 마스터 리워드 컬러, 아웃핏 4)[14] 스테이지 하나에 드라이브 티켓 5000장, 컬러 하나당 드라이브 티켓 100장, 8개 세트는 드라이브 티켓 7200장[15] 상점에서 구매 시 50FC[a] [17] 아웃핏 3는 잉그리드와 함께 출시 예정[18] Outfit 2의 경우는 월드 투어 플레이를 통해 무료로 얻을 수 있다.[19] 통상 캐비넷에 비해 플레이 포인트 획득량 증가한다.[20] 1인당 10포인트[21]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l.png약+파일:스트리트 파이터 6_커맨드/m.png중으로 잡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22] 어시스트 1타에서 통상적으로 입력할 수 없는 모던에서 사라진 기본기를 쓸 수 있는 캐릭터도 있다. 좋은 기본기가 어시스트 1타에 있다면 반드시 기억해둘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23] 상대의 공격을 흡수하고 반격하는 기술로, 특히 코너 상황에서 매우 효과적, 예를 들어, 상대가 공격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때 드라이브 임팩트를 사용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24] 모든 상·중·하단 공격을 막아낼 수 있으며, 성공 시 프레임 이득을 가져와 추가적인 공격 연계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대의 강공격을 예측하여 패리 후 드라이브 러시로 거리를 좁혀 강한 콤보를 연결할 수 있다.[25]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본기에서 캔슬하여 발동 가능하며, 캔슬 발동의 경우 게이지를 많이 소모하는 대신 끊기지 않고 압박이나 콤보를 이어갈 수 있다.[26] 일부 캐릭터들은 공중 발동 버전, 약/중/강에 따라 시전 난이도, 투사체의 궤도나 탄속 등이 달라거나, 완전히 별개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27] 몇가지 예시를 들자면 의 진 승룡권은 슬로우 효과가 강화되고 전격 이펙트가 더해지며, 의 신룡열파는 신룡권 모션 이후 공중에서 상대의 안면에 주먹을 꽂아 바닥에 처박아 버리는 추가타가 이어진다. 또한 루크 설리반의 SA3는 안면에 강력한 펀치를 여러 번 가하는 기술이지만, CA는 오히려 상대가 이를 막아내고 역공하려다가 더 강한 카운터 한 방을 맞는 더욱 역동적인 연출로 바뀐다. 이외에도 익살적인 연출이나 상대를 능욕하는 대사가 추가되는 형식도 있다. 간단히 말하면 더욱 극적인 연출이 된다고 요약할 수 있다.[28] CA 전용으로 나온 순옥살은 상대의 잔여 체력량에 따른 연출 변화가 적용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순옥살 참고.[29] 히트 수 변화가 생기기도 하는데, 의 신룡열파(SA3 13히트, CA 14히트), 달심의 요가 머실러스(SA3 12히트, CA 26히트)처럼 늘어나거나 디제이 새터데이 나이트(SA3 32히트, CA 23히트) 베가 언리미티드 사이코 크러셔(SA3 11히트, CA 2히트)처럼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 가장 특이한 경우는 제이미인데, 본래 SA3가 추가타 가능하게 적을 띄우는 후상황을 부여하지만 CA로 강화될 시에는 자체 대미지가 강해지는 대신 추가타가 완전히 불가능하다. 류, 고우키, 마농 르그랑처럼 변화가 없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30] 유일하게 마농만이 이에 해당되지 않았는데, 시즌 2 업데이트에서 메달 레벨에 따라 대미지가 최대 600까지 증가하는 기믹이 추가되었다. 현재 잡기 판정의 CA 대미지는 각각 고우키(순옥살) - 4700 / 릴리(레이징 타이푼) - 5000 / 마농(파드 되) - 5100(메달 5 Lv.) / 장기에프(불쇼이 아토믹 버스터) - 5300.[31] 표기된 데미지를 입히고 슈퍼아츠 연출이 발생[32] 본래 봄 출시 예정으로, 고우키의 사례처럼 늦어도 5월 말 이내 출시가 예상되었다. 하지만 개발이 늦어진 것인지, 6월 초까지 봄으로 본 것인지, Nintendo Switch 2 버전 및 파이터즈 에디션의 발매와 함께 출시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너무 늦게 나오는 거 아니냐", "6월이 무슨 봄이냐" 등의 많은 비판이 일었다. 그리고, 스위치 및 파이터즈 에디션의 글로벌 런칭으로 인해 출시가 앞당겨 지며 6월 4일에 캐릭터가 출시되었다.[33] 해당 유출자는 자신을 캡콤 경쟁사의 직원이라 소개하며 해당 라인업을 언급하였는데 반신반의하는 반응이 많았으나 결국 사실로 밝혀졌다.[34] 이 라인업을 언급한 사람은 앞서 언급된 유출자와 동일 인물은 아니지만, 베가와 엘레나의 외형을 매우 정확하게 맞추어서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베가의 몸에 균열이 있고, 엘레나는 바지를 입어 노출도가 줄은 모습을 매우 자세하게 묘사했다) 아직 이 루머의 진위여부는 확실하지 않으나, 만약 사실이라면 이 라인업은 추후 Year 4 또는 이후 시즌의 라인업으로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35] 2025년 기준 스파 6 참전 (예정) 캐릭터 중 유일하게 3D 그래픽으로 등장한 적이 없는 캐릭터다.[36] 일반적으로 달 단위로 계절을 구분하는 인식과 달리 하지를 여름의 첫날로 보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잉그리드의 출시는 최대 6월 20일까지 늦춰질 수 있다...[37] 해당 컬러에 맞는 아웃핏을 보유해야만 사용 가능하다.[38] 1시간 동안 해금하지 않은 DLC 캐릭터를 체험할 수 있는 쿠폰[39] 1년차 업데이트를 통해 인게임 및 랭크 매치에서도 플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파이팅 패스의 가치가 높아졌다. 패스를 놓쳐서 획득하지 못한 OST의 경우 무료 재화인 드라이브 티켓으로도 구입할 수 있다.[40]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캐비넷의 플레이 포인트가 배가 된다.[41] 단 아웃핏 2의 경우 6000원으로 5개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며, 꼭 돈으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월드 투어 모드에서 특정 조건을 달성하여 무료로 해금하는 것도 가능하다.[42] 마찬가지로 동일한 RE 엔진으로 제작된 오픈 월드 게임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 역시 최적화 항목에서 비판을 받았다.[43] 기본 구입이 가능한 파이터 코인의 단위가 250(5달러), 610(12달러), 1250, 2750인데, 아웃핏 3의 가격은 300(6달러)이기 때문에 6달러 가치의 아이템 구매를 위해 최소 10달러 이상의 지출을 요구한다.[44] 대표적으로 아웃핏 업데이트가 있는데, 출시 6개월 차에서야 3번째 아웃핏을 출시하고, 이후 아웃핏 4가 출시되기까지는 약 20개월이 걸렸다. 이마저도 일부 캐릭터 우선 출시이기 때문에 유저들의 갈증은 더 깊은 것.[45] 대표적으로 철권 8은 시스템적 문제와 부실한 넷코드, 시즌 2의 개악으로 인해 평가와 유저 수를 모두 잃었고, 길티기어 STRIVE는 시즌 4의 밸런스 조절 실패와 랭크 시스템이라 볼 수 있는 타워의 개편 부재로 인해 전성기만큼의 흥행이 나오지 않고 있으며, 홍보에 크게 투자한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도 부족한 컨텐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심각한 흥행 부진을 겪었다. 격투게임의 특성상 유저수가 줄어들수록 양학이 발생하면서 신규 유저 유입이 힘들어지고 기존 유저들은 매칭 시간이 길어져 게임을 하기 어려워지는데, 이 점에서 유저 수가 유지되고 있던 스트리트 파이터 6으로 사람들이 몰리게 된 것이다.[46] 25년 중순 기준 스팀 동접자를 기준으로 철권 8이 6000명 내외, 길티기어 스트라이브가 2500명 내외, 모탈 컴뱃 1 1500명 내외,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300명 내외, 버추어 파이터 5: R.E.V.O. 250명 내외의 동접자를 기록중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6는 혼자서 27000명 동접을 기록하고 있어, 사실상 시장 단독 견인 레벨을 넘어 장르가 스파 외 기타등등이 된 상황이다.[47] 전작 스트리트 파이터 5 타입 아케이드의 기판에서 SSD만 교체해서 사용한다.[48] 킴벌리 잭슨의 삼촌이기도 하다.[49] 시간이 지난 시점인 인게임에서는 해당 사건 이후로 따로 조사를 해봤는지 켄 상대 승리 대사에서는 일이 끝나면 자세히 얘기해주라며 오해를 풀었다는 듯이 유순하게 대하는 반면 JP 상대 승리 대사에서는 JP와 결판을 낼 사람은 따로 있다며 날선 반응을 보인다.[50] 이후 아케이드 스토리에선 혐의가 풀렸다고 언급됐다.[51] 일단 기본 캐릭터로 등장한 8인의 경우, 플레이어 셀렉트 화면에서 위치가 스파 2때와 동일하다.[52] SF4 트레일러는 일본/한국/중국의 수묵화 스타일이었는데 크게 바뀌었다.[53] 그래도 과거 시리즈와 완전한 단절을 시도한 것은 아니고, 2 대신 제로나 3 시리즈의 테마곡을 어레인지한 경우가 많다.[54] 3편까진 초등학생 정도의 외형이었던 리펜멜 마스터즈가 중학생 정도의 외형으로 나온 걸 보면 3편 시점에서 수 년의 시간이 흐른 것으로 볼 수 있다.[55] 오노 요시노리가 본격적으로 총 지휘를 맡기 시작한 스트리트 파이터 4의 출시 시점부터 세면 약 14년 가량.[56] 정확히는 상술되어 있는 두 캐릭터가 걸어나오는 로딩 장면.[57] 대표적으로 커맨드의 간편화나 아예 입력체계를 단순화시킨 모드를 도입한다든지, 튜토리얼에서 대전 격투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 수준부터 교육을 시킨다던지.[58] 단순히 기존의 작품이 아니라 콜라보레이션에서도 이런 기조를 유지했었다.[59] 그래도 철권 8로 넘어와서 EWC 2024 진출자를 단 한명조차 배출하지 못할 정도로 완벽하게 대회에서 동네북으로 전락한 미국 철권에 비하면 사정이 훨씬 낫다.[60] 페놈은 토너먼트 진출에는 성공했으나 크리스 웡에게 무력하게 3대0 패배, sayff와의 켄 미러전에서마저 3대0 패배를 당하며 탈락했고, 엔딩워커는 죽음의 조 F조에 배치되어 꼴지로 탈락, 프라블럼 X는 LCQ를 우승하고 무난한 조에 배치되었지만 조 4위로 탈락하였다.